KR101105942B1 - 팝업 텐트 - Google Patents

팝업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942B1
KR101105942B1 KR1020090048712A KR20090048712A KR101105942B1 KR 101105942 B1 KR101105942 B1 KR 101105942B1 KR 1020090048712 A KR1020090048712 A KR 1020090048712A KR 20090048712 A KR20090048712 A KR 20090048712A KR 101105942 B1 KR101105942 B1 KR 10110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pop
mesh
f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056A (ko
Inventor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이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065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59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기 filed Critical 이석기
Priority to KR102009004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9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04H15/405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flexible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던지면 펴지는 팝업 텐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이와 이너텐트가 메쉬(그물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프레임으로 텐트의 골격을 유지하고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가 조인트부재로 연결되어 있어서 추후 프레임 교체가 용이하도록 제작된 팝업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의 외측으로 프레임 마감부가 형성되어 제 1, 2 프레임이 삽입되고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아치형상의 플라이와 상기 플라이의 내측으로 상기 플라이를 따라 구성되는 이너텐트와 상기 플라이와 이너텐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플라이와 이너텐트를 연결구성하도록 메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팝업 텐트에 의하면, 별도로 플라이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단시간 내에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너텐트와 플라이 사이를 메쉬로 연결하여 텐트 설치시 이너텐트가 확실히 펼쳐지도록 하고 텐트 골격을 형성하고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텐트와 플라이의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결로 현상의 발생이 적고, 텐트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양단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조인트 부재로 연결 또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이 파손 되더라도 프레임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팝업 텐트, 푸쉬버튼, 메쉬

Description

팝업 텐트{Pop up tent}
본 발명은 던지면 펴지는 팝업 텐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이와 이너텐트가 메쉬(그물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프레임으로 텐트의 골격을 유지하고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가 조인트부재로 연결되어 있어서 추후 프레임 교체가 용이하도록 제작된 팝업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 등에서 취침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야외 보조기구로써, 상기한 텐트의 구성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마감하는 마감천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텐트는 텐트의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외부 충격 또는 바람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폴을 땅에 삽입하고, 상기 폴과 프레임을 로프로 연결하여 텐트를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텐트를 설치하고 해체시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416808은 프레임이 선형상의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텐트가 게재되어 있으나, 상기 텐트는 이너텐트를 설치한 후 그 외부에 플라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상 번거로 움이 있었으며, 이너텐트와 플라이를 연결하는 부분이 견고하지 않아서 설치시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이 중간에 끊어지는 등의 파손이 있을 경우,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라이와 이너텐트가 메쉬로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텐트 설치시 메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텐트의 모양을 형성하고자 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양단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조인트 부재로 연결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추후 프레임 교체가 용이한 팝업 텐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가 마련된 이너텐트(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상기 이너텐트(30)의 외측에서 상기 이너텐트(3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너텐트(30)의 출입구와 연통가능하도록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플라이(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플라이(50)의 하측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플라이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이어지며 상기 플라이 부분에 고정결합되는 중공형상의 프레임 마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상기 중공형상의 프레임 마감부에 삽입되는 제 1, 2 프레임(10, 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상기 플라이(50)와 이너텐트(30) 사이에 개재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 마감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너텐트에 결합되는 메쉬(그물망)(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에서 상기 제 1, 2 프레임은 탄성과 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2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각각 제 1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제 2 고정부재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제 2 고정부재는 조인트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는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제 2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중앙에 압착시킨 압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팝업 텐트에 의하면, 별도로 플라이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단시간 내에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너텐트와 플라이 사이를 메쉬로 연결하여 텐트 설치시 이너텐트가 확실히 펼쳐지도록 하고 텐트 골격을 형성하고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텐트와 플라이의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결로 현상의 발생이 적고, 텐트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양단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조인트 부재로 연결 또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이 파손 되더라도 프레임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 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팝업 텐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팝업 텐트는 플라이(50)와 이너텐트(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플라이(50)에는 프레임 마감부를 형성하여 프레임(10, 20)을 삽입하고 이너텐트(30)와 플라이(50) 사이는 메쉬(그물망)(40)로 연결된다. 프레임 마감부에 삽입되는 프레임(10,20)은 바닥면 횡방향으로부터 상부 일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10)과, 상기 제 1 프레임(10)의 반대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갖으며, 상기 제 1 프레임(10)과 동일하게 일체로 구성되는 제 2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메쉬를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텐트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쉬(그물망)(40)는 텐트(100)의 설치 시에 이너텐트(30)가 확실히 펼쳐지도록 공기가 삽입되어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고 형상을 유지하며, 통풍성을 최대화하여 갑작스런 돌풍에 의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닥면 가장자리 둘레의 메쉬(그물망)(40)는 통풍을 원 활하게 하여 여름철에 더욱 시원하고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라이(50)와 이너텐트(30)의 이중 구조는, 기존의 플라이가 없는 홑겹 텐트와는 달리 결로현상의 발생이 적으며, 텐트(100)의 전면 양 사이드와 후미에 통풍구(60, 70)를 구비하여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하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팝업 텐트의 프레임의 분리교체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팝업 텐트의 프레임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 1, 2프레임(10, 20)은 절곡이 가능하고 탄성력이 우수하며 복원력이 강한 재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2 프레임(10, 20)은 탄성과 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제 1, 2프레임(10, 20)의 일단부에는 각각 제 1 고정부재(11)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제 2 고정부재(1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1, 12)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10, 20)에 이탈 되지 않도록 프레스기 등에 의해 압착시켜 홈으로 형성되는 압착부(111, 1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부재(11)와 제 2 고정부재(12)는 조인트 부재(1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분해할 수 있고 보조도구 없이 탈부착이 가능하여 추후에 프레임의 분리교체가 가능하다. 조인트 부재(13)에 의해 연결된 프레임(10, 20)은 벨크로 패치(80)인 고정수단에 의해 텐트(100) 몸체에 고정된다.
제 1, 2 고정부재(11, 12)는 조인트부재(13)의 양쪽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10, 20)에 삽입된 제1, 2 고정부재(11, 12)가 이탈되지 않도록 프레스기 등에 의해 압착시킨 압착부(14)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프레임(10, 20) 양단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이탈되지 않는 것이며, 동시에 조인트 부재(13)로 연결되는 프레임(10, 20)의 양단은 팝업 텐트(100)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아 고장의 가능성이 감소되고 분리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팝업 텐트(100)의 사용 후 접어서 보관 할 경우에 상기 프레임(10, 20)이 뒤틀려서 접히게 되는데, 이 경우에 제1, 2 고정부재(11, 12)가 상기 조인트 부재(13)의 내부에서 아주 미세하게 슬라이딩 되므로, 상기 팝업 텐트(100)를 용이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팝업 텐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팝업 텐트는 이너텐트와 플라이를 메쉬(그물망)로 연결하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프레임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추후 교체를 편리하 므로 야영 또는 캠핑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메쉬를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텐트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팝업 텐트의 프레임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프레임 20 : 제 2 프레임
30 : 이너텐트 40 : 메쉬
50 : 플라이 60, 70 : 통풍구
11 : 제 1고정부재 12 : 제 2 고정부재
13 : 조인트 부재 14 : 압착부
111, 121 : 압착부 100 : 팝업 텐트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가 마련된 이너텐트(30)와;
    상기 이너텐트(30)의 외측에서 상기 이너텐트(3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너텐트(30)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텐트(30)의 출입구와 연통가능하도록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플라이(50)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플라이(50)의 하측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플라이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이어지며 상기 플라이 부분에 고정결합되는 중공형상의 프레임 마감부와;
    상기 중공형상의 프레임 마감부에 삽입되는 제 1, 2 프레임(10, 20)과;
    상기 플라이(50)와 이너텐트(30) 사이에 개재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 마감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너텐트에 결합되는 메쉬(그물망)(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각각 제 1 고정부재(11)가 삽입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제 2 고정부재(12)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재(11)와 제 2 고정부재(12)는 조인트 부재(13)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11)와 제 2 고정부재(12)가 상기 조인트 부재(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인트 부재(13)는 그 중앙에 압착시킨 압착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텐트.
KR1020090048712A 2009-06-02 2009-06-02 팝업 텐트 KR10110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12A KR101105942B1 (ko) 2009-06-02 2009-06-02 팝업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12A KR101105942B1 (ko) 2009-06-02 2009-06-02 팝업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56A KR20100130056A (ko) 2010-12-10
KR101105942B1 true KR101105942B1 (ko) 2012-01-18

Family

ID=4350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12A KR101105942B1 (ko) 2009-06-02 2009-06-02 팝업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906A1 (ko) * 2018-04-12 2019-10-17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 텐트용 플라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2583B1 (en) 2015-12-15 2022-05-1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461A (en) 1991-10-17 1992-11-17 Ivanovich Michael K Self-erecting shelter
JPH1088869A (ja) 1996-09-17 1998-04-07 Masakatsu Unno キャンプ用ピンホール映写テント
US20060272695A1 (en) 2004-11-17 2006-12-07 Benjamin Mettavant Self-deployable tent including an inside cha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461A (en) 1991-10-17 1992-11-17 Ivanovich Michael K Self-erecting shelter
JPH1088869A (ja) 1996-09-17 1998-04-07 Masakatsu Unno キャンプ用ピンホール映写テント
US20060272695A1 (en) 2004-11-17 2006-12-07 Benjamin Mettavant Self-deployable tent including an inside cha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906A1 (ko) * 2018-04-12 2019-10-17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 텐트용 플라이
US11193301B2 (en) 2018-04-12 2021-12-07 Idoogen Co., Ltd. One-touch tent fly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56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20070017563A1 (en) Tent having improved windproof and ventilation abilities
US7721746B2 (en) Moisture diversion system for a collapsible structure
KR200492954Y1 (ko) 텐트
US7128077B2 (en) Tent ventilation structure
KR101105942B1 (ko) 팝업 텐트
KR20180001323U (ko) 실내용 난방텐트
KR101188018B1 (ko) 타프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US20050066591A1 (en) Vent stay for a canopy or tent
EP2721230A1 (en) A substantially cone-shaped tent provided with means for rain diverting and a shelter therefore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457440Y1 (ko) 캠핑용 하이브리드 스크린 타프
KR102607422B1 (ko) 캠핑용 텐트
KR200464016Y1 (ko) 이중막 텐트의 내피 처짐 방지 조립구조
KR20210136747A (ko) 파라솔텐트
KR20100119320A (ko) 텐트의 프레임
KR100836123B1 (ko)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KR101929707B1 (ko) 텐트용 연결 장치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515

Effective date: 2016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