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553B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553B1
KR101105553B1 KR1020100042370A KR20100042370A KR101105553B1 KR 101105553 B1 KR101105553 B1 KR 101105553B1 KR 1020100042370 A KR1020100042370 A KR 1020100042370A KR 20100042370 A KR20100042370 A KR 20100042370A KR 101105553 B1 KR101105553 B1 KR 10110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paper product
elastic member
wir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978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1020100042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553B1/ko
Priority to US13/389,785 priority patent/US8960514B2/en
Priority to EP10810089.2A priority patent/EP2468162A4/en
Priority to PCT/KR2010/004721 priority patent/WO2011021781A2/ko
Priority to CN201080037154.8A priority patent/CN102481074B/zh
Priority to JP2012600035U priority patent/JP3177666U/ja
Publication of KR201101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6/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 F03G6/001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having photovoltaic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이제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타측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탄성공급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어 문자나 문양 또는 광고가 표시되는 표식패널과, 상기 표식패널의 전면에 부착되고 빛을 통과 및 반사시키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길이만큼의 종이제품을 와이어를 당기는 것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화장지 또는 핸드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와이어의 당김에 따라 종이제품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 또는 핸드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 등을 공급하는 디스펜서가 화장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디스펜서는 케이싱의 회전축에 종이제품이 결합되고, 배출구를 통해 노출된 종이제품의 단부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길이만큼 가압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수만큼 종이제품을 공급한다.
그런데, 종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종이제품의 단부를 잡아당기면 회전력에 의해 배출되는 종이제품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필요이상의 양이 사용되어 낭비 되는 경우가 많았고, 희망하는 종이제품의 길이가 길 경우 장시간 종이제품을 가압해야 하므로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종이제품을 커팅하고자 할 경우 배출구에 구비된 칼날에 종이제품을 가압하여 커팅했다. 그런데, 커팅시 칼날이 노출되어 있어 다치기 쉬우며 종이제품이 칼날에 미끄러져 커팅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아 절단면이 깨끗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만큼 자동으로 종이제품이 배출구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종이제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케이싱의 전면에 표시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을 인식시켜 광고 효과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상기 종이제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타측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탄성공급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어 문자나 문양 또는 광고가 표시되는 표식패널과, 상기 표식패널의 전면에 부착되고 빛을 통과 및 반사시키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공급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구동축과;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일측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타측에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가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가 윗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에 탄성적으로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전동기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기어는,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 상에 결합된 제1전동기어와; 상기 구동축 상에 결합된 제2전동기어와; 상기 제1전동기어와 상기 제2전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전동기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기어는, 상기 와이어가 윗 방향으로 상승될 때에만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시키는 클러치기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제품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종이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커팅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자연광 또는 조명장치에서 방출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상기 종이제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타측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탄성공급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는 투명 메모판과, 상기 투명 메모판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 메모판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장치부와, 상기 조명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스위치를 구비하는 메모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 만큼 와이어를 당기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여 종이제품이 배출부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부에 습식커팅부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종이제품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의 전면에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을 인식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탄성공급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사용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습식커팅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8의 디스펜서에서 표시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메모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10의 메모보드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탄성공급부(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는 종이제품(T)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100)과, 본체케이싱(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와이어(231)의 당김에 의해 종이제품(T)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탄성공급부(20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120)으로 구성된다. 제1케이싱(110)은 전방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종이제품(T)이 수용되고, 제2케이싱(120)은 제1케이싱(110)에 결합되어 제1케이싱(110)의 전방개구를 차단하며 탄성공급부(200)가 결합된다.
제1케이싱(110)에는 회전축(11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리브(111)와, 일단부는 지지리브(11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탄성공급부(200)의 구동축(220)에 결합되며 종이제품(T)의 중공축(Ta)을 수용하는 회전축(115)을 포함한다. 또한, 제1케이싱(110)의 하부영역에는 종이제품(T)이 배출되는 배출부(130)가 형성되며, 배출부(130)의 양측에는 종이제품(T)을 절단하는 커팅날(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종이제품(T)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종이제품(T)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품수용부(150)가 구비된다.
지지리브(111)는 제1케이싱(110)의 내측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11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리브(111)는 회전축(115)의 리브수용공(115a)에 수용된다. 회전축(115)은 구동축(220)에 결합되어 구동축(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제1케이싱(110) 내에서 회전된다. 회전축(115)은 종이제품(T)의 중공축(Ta)에 삽입되어 회전축(115)의 회전에 따라 종이제품(T)도 회전되어 종이제품(T)이 배출부(130)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다. 회전축(115)의 일단부에는 지지리브(111)를 수용하는 리브수용공(115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구동축(220)과 결합되는 구동축수용공(115b)이 형성된다.
커팅날(140)은 배출부(130)의 양측에 구비되어 배출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종이제품(T)을 사용자가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수용부(150)는 배출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부(130)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제품수용부(150)는 배출부(130)의 하부영역을 밀폐하여 와이어(231)에 의해 일정 길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종이제품(T)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내부에 수용한다. 제품수용부(150)는 제1케이싱(110)과 일체로 구비되거나, 제1케이싱(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케이싱(120)은 제1케이싱(110)의 전방개구를 차단하여 밀폐한다. 제2케이싱(120)에는 탄성공급부(200)가 결합된다. 제2케이싱(120)에는 탄성공급부(200)의 와이어(231)를 제2케이싱(12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와이어배출공(121)이 형성된다. 와이어(231)는 와이어배출공(121)을 통해 제2케이싱(120)의 하부영역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와이어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공급부(2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싱(1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와이어(231)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회전축(115)이 회전되어 종이제품(T)이 배출부(130)를 통해 자동으로 희망하는 길이만큼 공급되도록 한다.
탄성공급부(200)는 제2케이싱(120) 내에 수용되는 공급부케이싱(210)과, 공급부케이싱(210) 내에 회전축(115)과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구동축(220)과, 구동축(220)과 일정 길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탄성부재(233)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구동축(230)과, 탄성부재 구동축(23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33)와 와이어(231), 그리고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회전을 구동축(220)으로 전달하는 전동기어(221,223,237)와 클러치기어(235)를 포함한다.
공급부케이싱(210)은 상호 결합되는 전면케이싱(211)과 후면케이싱(213)을 포함한다. 구동축(220)은 전면케이싱(211)과 후면케이싱(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케이싱(211)을 관통하여 회전축(115)과 고정결합된다. 구동축(220) 상에는 제2전동기어(221)가 결합되어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회전력을 구동축(220)으로 전달한다.
탄성부재 구동축(230)은 구동축(220)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며 축의 일단부에 탄성부재(233)가 권취되고 타측부에 와이어(231)가 권취된다. 탄성부재 구동축(230)은 전면케이싱(211)과 후면케이싱(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233)는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결합된다. 이 때, 탄성부재(233)의 내측단부(233a)는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탄성부재 결합홈(230b)에 수용되어 탄성부재 구동축(230)에 고정결합된다. 탄성부재(233)의 외측단부(233b)는 후면케이싱(213)에 고정결합된다. 탄성부재(233)는 태엽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되어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수회 권취된다.
와이어(231)는 후면케이싱(21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권취된다. 이 때,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단부에는 와이어지지판(232)이 결합된다. 와이어지지판(232)은 U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와이어(231)가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일정 두께로 권취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탄성부재 구동축(230)에는 기어열(23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와이어지지판(232)의 중공축에는 기어홈(232a)이 형성되어 서로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어(231)를 아랫방향으로 가압하면 와이어지지판(232)과 함께 탄성부재 구동축(23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탄성부재 구동축(230)에는 클러치 기어(235)가 구비된다. 클러치 기어(235)는 동력을 잠시 끊거나 이어주는 축이음 장치로 축과 축을 접속하거나 차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여기서, 클러치 기어(235)는 사용자가 와이어(231)를 아랫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 구동축(230)이 회전할 때는 회전력이 구동축(22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와이어(231)가 윗 방향으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 구동축(230)이 회전할 때에는 회전력이 구동축(22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기어(235)는 제1전동기어(237)의 내측기어(237b)와 서로 맞물리며 일방향 전동 기능을 수행한다.
제1전동기어(237)는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결합되어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회전력을 제2전동기어(221)로 전달한다. 제1전동기어(237)는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기어(237a)와,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237b)로 형성된다. 외측기어(237a)는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회전시 제3전동기어(223)의 하부기어(223a)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전달한다. 내측기어(237b)는 클러치기어(235)와 맞물려 와이어(231)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 구동축(230)이 회전할 때만 회전력이 제2전동기어(221)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3전동기어(223)는 제1전동기어(237)와 제2전동기어(22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부재 구동축(230)의 회전력을 구동축(220)으로 전달한다. 제3전동기어(223)는 전면케이싱(211)과 후면케이싱(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전동기어지지축(224) 상에 결합된다. 제3전동기어(223)는 동축상에 구비된 하부기어(223a)와 상부기어(223b)를 포함한다. 하부기어(223a)는 제1전동기어(237)와 치합되며, 상부기어(223b)는 제2전동기어(221)와 치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의 종이제품(T) 공급과정을 도4와 도5를 참조로 설명한다.
종이제품(T)이 필요한 사용자는 본체케이싱(100)의 하부영역으로 노출된 와이어(231)를 가압하여 아랫방향으로 당긴다. 와이어(231)가 가압되면 와이어(231)가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부재 구동축(230)이 회전한다. 와이어(231)가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부재 구동축(230)이 회전하면 탄성부재 구동축(230)에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233)는 초기상태보다 탄성부재 구동축(230) 상에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33)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탄성부재(233)가 풀리는 방향 즉, 와이어(231)가 윗방향으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한다.
제1전동기어(237)의 회전에 따라 제3전동기어(223)의 하부기어(223a)와 상부기어(223b)가 함께 회전한다. 상부기어(223b)와 치합되어 있는 제2전동기어(221)가 회전하면 구동축(220)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220)의 회전에 의해 종이제품(T)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115)이 회전한다. 회전축(115)의 회전에 의해 종이제품(T)이 풀리면서 배출부(130)를 통해 공급된다. 배출부(130)를 통해 공급된 종이제품(T)은 제품수용부(150) 내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필요한 종이제품(T)의 길이에 맞게 와이어(231)를 수차례 가압한다. 필요한 길이 만큼의 종이제품(T)이 제품수용부(150) 내에 수용되면 종이제품(T)을 커팅날(140)에 가압하여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 만큼 와이어를 당기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여 종이제품(T)이 배출부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디스펜서(10a)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a)는 배출부(130)에 종이제품(T)의 커팅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커팅부(300)를 포함한다.
습식커팅부(300)는 스펀지(320)를 수용하는 수용부(314)가 형성된 커팅케이싱(310)과, 커팅케이싱(310) 내부에 수용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스펀지(320)를 포함한다. 커팅케이싱(310)은 상호 결합되는 좌측케이싱(311) 및 우측케이싱(313)과, 좌측케이싱(311) 및 우측케이싱(313)의 단부영역에 구비되어 스펀지(320)를 가압하는 절단가이드(315)와, 커팅케이싱(310)의 테두리(316)와, 커팅케이싱(310)의 판면에 형성된 물보충공(317)을 포함한다.
스펀지(320)는 물보충공(317)을 통해 공급된 수분을 머금고 있으며, 종이제품(T)의 절단영역에 수분을 공급한다. 스펀지(320)는 커팅부케이싱(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스펀지(321)와, 절단가이드(315)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펀지(323)를 포함한다. 제1스펀지(321)는 상대적으로 제2스펀지(323)에 비해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많은 양의 물을 머금고 있다.
제2스펀지(323)는 제1스펀지(321)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절단가이드(315) 사이에 수용된다. 제2스펀지(323)는 습식커팅부(300)가 본체케이싱(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스펀지(321)에 비해 하부영역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제1스펀지(321)에 스며든 액체가 자중에 의하여 제2스펀지(323)로 이동한다. 제2스펀지(323)는 자중으로 이동된 액체에 의해 제1스펀지(321)에 비해 많은 액체 함유량을 갖는다. 따라서, 스펀지(320)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는 한 제2스펀지(323)는 항상 액체를 머금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펀지(320)는 스펀지 재질뿐만 아니라 아세테이트 토우를 포함한다.
한편, 좌측케이싱(311)과 우측케이싱(313)의 테두리(316)에는 실링부재(330)가 결합되어 액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는 와이어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 길이 공급되어 제품수용부(150)에 종이제품이 수용되면 사용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을 습식커팅부(300)의 절단가이드(315)와 접촉시킨다. 이때, 제2스펀지(323)에 의해 절단가이드(315) 상에 수분이 있으므로 절단가이드(315)와 접촉된 종이제품(T)은 순간적으로 절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습식커팅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종이제품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의 표시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케이싱(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표시장치(400)는 사용자에게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을 인식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9는 도 8의 디스펜서(10)에서 표시장치(4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표시장치(400)는 문자나 문양 또는 광고가 표시되는 표식패널(420)과, 상기 표식패널(420)의 전면에 부착되고 빛을 통과 및 반사시키는 액정패널(430)과, 상기 액정패널(4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10)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410)는 태양전지이다.
상기 액정패널(430)은 상기 표식패널(420)의 전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도록 복수개의 섹터(431)로 형성되고, 상기 액정패널(430)의 전면에 상기 액정패널(430)을 보호하고 편광시키는 편광필름(432)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400)의 상측면에는 일정 넓이로 관통된 태양전지 장착부(412)가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 장착부(412)는 상기 액정패널(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410)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410)는 자연광 또는 조명장치에서 방출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상기 액정패널(430)이 구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태양에너지(41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액정패널(430)과 연결된 기판(411)상의 제어칩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액정패널(430)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섹터(431)별로 순차적으로 점멸되게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표식(421)을 분명하게 인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430)과 상기 표식패널(420)은 상기 태양전지(410)로만 작동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410)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 등의 교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에게 광고문구 또는 디자인을 쉽게 인식시켜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400)는 메모보드(5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이 표시되는 메모보드(5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싱(100)에 장착되는 메모보드(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이 표시된 투명 메모판(510)과, 상기 투명 메모판(510)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 메모판(510)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장치부(520)와, 상기 조명장치부(5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30)와, 상기 전원공급부(5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스위치(5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메모판(5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아크릴수지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나 투명의 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메모판(510)의 하단부에는 조명장치부(520)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조명장치부(520)의 내부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설치되어 전원공급스위치(540)에 의해 점등시 상부의 투명 메모판(510)을 비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부(520)는 후면에 전원공급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530)에 LED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배터리(531)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부(520)의 후면에는 배터리(53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532) 및 상기 수용공간부(532)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5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보드(50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전원공급스위치(540)를 항상 "ON"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도 광고 문구 또는 디자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디스펜서 100 : 본체 케이싱
110 : 제1케이싱 111 : 지지리브
115 : 회전축 115a : 리브수용공
115b : 구동축수용공 120 : 제2케이싱
121 : 와이어배출공 130 : 배출부
140 : 커팅날 150 : 제품수용부
200 : 탄성공급부 210 : 공급부케이싱
211 : 전면케이싱 213 : 후면케이싱
220 : 구동축 221 : 제2전동기어
223 : 제3전동기어 223a : 하부기어
223b : 상부기어 224 : 제3전동기어지지축
230 : 탄성부재 구동축 230a : 기어열
230b : 탄성부재 결합홈 231 : 와이어
232 : 와이어지지판 232a : 기어홈
233 : 탄성부재 235 : 클러치기어
237 : 제1전동기어 237a : 외측기어
237b : 내측기어 300 : 습식 커팅부
310 : 커팅부케이싱 311 : 좌측케이싱
313 : 우측케이싱 314 : 수용부
315 : 절단가이드 316 : 테두리
317 : 물보충공 320 : 스펀지
321 : 제1스펀지 323 : 제2스펀지
330 : 실링부재 400 : 표시장치
410 : 전원공급부(태양전지) 411 : 기판
412 : 태양전지 장착부 420 : 표식패널
421 : 표식부 430 : 액정패널
431 : 섹터 432 : 편광필름
500 : 메모보드 510 : 투명 메모판
520 : 조명장치부 531 : 배터리
532 : 수용공간부 533 : 커버
T : 종이제품
Ta : 중공

Claims (8)

  1.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종이제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타측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탄성공급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어 문자나 문양 또는 광고가 표시되는 표식패널과, 상기 표식패널의 전면에 부착되고 빛을 통과 및 반사시키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공급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구동축과,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일측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타측에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가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가 윗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에 탄성적으로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는,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 상에 결합된 제1전동기어와;
    상기 구동축 상에 결합된 제2전동기어와;
    상기 제1전동기어와 상기 제2전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는,
    상기 와이어가 아랫 방향으로 하강될 때에만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시키는 클러치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제품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종이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커팅부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자연광 또는 조명장치에서 방출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롤 타입의 1회용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종이제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제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타측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이제품을 공급하는 탄성공급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장착되는 투명 메모판과, 상기 투명 메모판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 메모판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장치부와, 상기 조명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스위치를 구비하는 메모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공급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구동축과,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일측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타측에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가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가 윗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에 탄성적으로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1020100042370A 2009-08-21 2010-05-06 디스펜서 KR10110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70A KR101105553B1 (ko) 2010-05-06 2010-05-06 디스펜서
US13/389,785 US8960514B2 (en) 2009-08-21 2010-07-20 Dispenser
EP10810089.2A EP2468162A4 (en) 2009-08-21 2010-07-20 Dispenser
PCT/KR2010/004721 WO2011021781A2 (ko) 2009-08-21 2010-07-20 디스펜서
CN201080037154.8A CN102481074B (zh) 2009-08-21 2010-07-20 分配器
JP2012600035U JP3177666U (ja) 2009-08-21 2010-07-20 ディスペンサ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70A KR101105553B1 (ko) 2010-05-06 2010-05-06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78A KR20110122978A (ko) 2011-11-14
KR101105553B1 true KR101105553B1 (ko) 2012-01-17

Family

ID=4539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370A KR101105553B1 (ko) 2009-08-21 2010-05-06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97U (ko) 2016-08-11 2018-02-21 주식회사 스마트사인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2250840B1 (ko) * 2019-11-14 2021-05-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3624B2 (en) * 2015-09-18 2019-06-18 Endo Kogyo Co., Ltd. Spring-powered drive apparatus and self-propelled cas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589Y1 (ko) * 1988-06-11 1991-05-31 전성조 화장지 배출기
JPH03149818A (ja) * 1989-11-06 1991-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58260A (ko) * 2001-11-01 2004-07-03 도시하루 히라이 페이퍼 홀더 및 페이퍼 절단 장치
KR100643196B1 (ko) 2004-10-28 2006-11-10 (주) 폭스힐 액정패널을 이용한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589Y1 (ko) * 1988-06-11 1991-05-31 전성조 화장지 배출기
JPH03149818A (ja) * 1989-11-06 1991-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58260A (ko) * 2001-11-01 2004-07-03 도시하루 히라이 페이퍼 홀더 및 페이퍼 절단 장치
KR100643196B1 (ko) 2004-10-28 2006-11-10 (주) 폭스힐 액정패널을 이용한 광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97U (ko) 2016-08-11 2018-02-21 주식회사 스마트사인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2250840B1 (ko) * 2019-11-14 2021-05-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78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666U (ja) ディスペンサー
KR20100085158A (ko) 전자식 수동 분배기
KR101105553B1 (ko) 디스펜서
EP1202924A4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SPENSER FOR ROLLED TOWELS, WITH DATA COMMUNICATION SYSTEM
US20190014956A1 (en) Paper cutting device easy to be disassembled and maintained
WO2012067419A3 (ko) 솔라셀 광고장치
GB2499126A (en) Illuminated banner
KR100872407B1 (ko) 회전식 에어간판
US11857121B2 (en) Paper dispenser and method of using same
GB2479590A (en) Light guide panel assemblies
CN204199412U (zh) 卫生清洗装置
US20090084693A1 (en) Facial tissue container with integrated night light
CN201057451Y (zh) 用于饮用和/或食用的照明工具
WO2006124436A3 (en) Writing instrument with paper source dispensable under a source of power
KR20110025158A (ko) 디스펜서
CN203607057U (zh) 一种可发光的logo指示窗
CN220859960U (zh) 一种液体分配器
JP4064737B2 (ja) ディスペンサ内のトイレットペーパー又はハンドタオルの交換時期表示装置
KR20230087949A (ko)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JP5769433B2 (ja) 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CN215302307U (zh) 具有照明功能的宠物牵引装置
KR20030070298A (ko) 건수건 제조장치
TWM271505U (en) Shining vessel with temperature-controlled function
TWM406051U (en) Image transfer apparatus
ES1043003U (es) Aparato dispensador de etiquetas personaliza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