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949A -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949A
KR20230087949A KR1020210176646A KR20210176646A KR20230087949A KR 20230087949 A KR20230087949 A KR 20230087949A KR 1020210176646 A KR1020210176646 A KR 1020210176646A KR 20210176646 A KR20210176646 A KR 20210176646A KR 20230087949 A KR20230087949 A KR 20230087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unit
dispenser
inpu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국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949A/ko
Publication of KR2023008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25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collecting data of u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68Detection of the presence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6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rotation brak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지 디스펜서는, 화장지가 수납되는 화장지 수납부; 상기 화장지의 상기 화장지 수납부로부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화장지 조절부로 하여금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게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되, 상기 화장지가 배출된 후에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다시 화장지를 배출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ECONOMICAL TOILET TISSUE DISPENSER}
본 개시는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화장지는 일상적인 생활에 있어서 예컨대, 얼굴화장을 지우거나, 용변을 처리하거나, 손에 물기를 닦거나, 혹은 바닥의 작은 오염부분을 닦아내는 등 사용범위가 많고, 공중 화장실과 같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곳에 비치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가 화장지를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부족할 수 있고, 곧바로 쓰래기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사용한 화장지를 변기에 버리는 경우, 과도한 화장지가 버려지게 되면 변기의 하수구가 막히게 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도 화장지를 절약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KR 10-1999-0057011 A는 특히, 두루마리 휴지를 당겨서 풀 때, 미리 정해진 임의의 양만큼만 풀릴 수 있도록 하여 휴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임의의 길이만큼 당겨진 상태에서 두루마리 휴지의 회전이 정지하여 자동적으로 휴지가 끊길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두루마리 휴지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을 따르더라도,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하게 한다면 화장지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오히려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10-1999-0057011 A (1999.07.15)
본 개시는 화장지를 자동으로 일정량 배출하여 사용자가 화장지를 사용하는데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일정시간 후에만 다시 배출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화장지를 낭비하지 않게 하고, 화장지를 절약하는 습관을 함양하고자 한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지 디스펜서는, 화장지가 수납되는 화장지 수납부; 상기 화장지의 상기 화장지 수납부로부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화장지 조절부로 하여금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게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되, 상기 화장지가 배출된 후에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다시 화장지를 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장지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화장지를 개재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여, 상기 화장지를 아래로 이동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 화장지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화장지 수납부는 롤타입의 화장지가 끼워지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에 끼워진 두루마리 화장지를 풀리도록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축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지 디스펜서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장치에서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지 디스펜서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일정시간, 상기 일정시간 중 잔여 시간, 상기 화장지의 배출량, 상기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LED 램프,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개괄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화장지 디스펜서(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롤타입의 화장지(101)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화장지(101)를 보충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120)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행위(control action)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출력부 및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화장지(101)를 일정량(102)만큼 하우징(110)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기계식 버튼 스위치, 터치 스위치, 또는 전자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자동 배출된 일정량의 화장지(102)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화장지(101)를 이용하기 위하여 입력 인터페이스(120)에 대하여 입력하더라도, 화장지가 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화장지(102)가 자동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화장지가 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만, 입력 인터페이스(1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화장지(102)가 다시 자동 배출될 수 있다. 화장지가 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입력 인터페이스(120)에 사용자의 입력에도 화장지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에서는 화장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일정시간 또는 잔여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130)는 한번의 자동 배출로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출력하거나, 화장지의 전체의 잔여량 또는 배출 가능 횟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인터페이스(131)는 복수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잔여 시간을 발광하는 LED 램프로의 개수로 표현할 수 있다. 제2 출력 인터페이스(132)는 한번의 자동 배출로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입력 인터페이스(12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는 단순한 예시로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2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는 하나의 터치-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지 디스펜서(100)는 자동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과, 다시 자동 배출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화장지의 낭비를 방지하며, 사용자에게 화장지를 절약하는 습관을 함양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장지 디스펜서(200)에서, 화장지 수납부(220)에 수납된 화장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구동부(2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장지 디스펜서(200)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에 포함된 화장지 수납부(220) 및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화장지 수납부(220)에 수납된 화장지가 구동부(230)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11)는 하우징(210)의 하측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예를 들어,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지 수납부(220)는 롤타입의 화장지(221)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장지 수납부(220)는 롤타입의 화장지(221)의 심지가 끼워지는 축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222)는 롤타입의 화장지(221)가 구동부(230)가 가하는 힘에 의해 배출되도록 자유 회전 할 수 있다. 화장지(221)는 축부재(222)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풀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부재(222)는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구동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축부재(222)는 화장지(221)의 배출이 허용될 때에는 회전할 수 있으며, 화장지(221)의 배출이 허용되지 않을 때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롤러부(231), 절단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231)는 한 쌍의 롤러가 화장지(221)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하여 절단과정에서 화장지(221)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함은 물론 화장지(221)를 절단한 후 다시 감기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롤러부(231)의 롤러면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어 화장지(221)를 밀착하여 잡아줄 수 있다. 롤러부(231)는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다.
롤러부(231)가 포함하는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부(231)에 의하여 전면 및 후면이 밀착된 화장지(221)는 롤러부(231)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절단부(232)는 절단날(232a) 및 구동유닛(232b)(예: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날(232a)은 롤러부(231) 아래로 배출된 화장지(221)의 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232b)은 절단날(232a)을 왕복운동하게 할 수 있다. 절단날(232a)의 왕복이동은 웜기어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왕복운동하는 절단날에 의하여 화장지(221)는 절단될 수 있고, 절단된 화장지는 배출구(211)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30)는 절단날(232a)의 끝 단이 닿는 기준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대(233)는 절단날(232a)의 끝 단이 화장지(221)를 절단할 수 있도록 받침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부(230)는 기준롤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231)와 기준롤러(234) 사이의 절단부(232)가 배치되고, 롤러부(231)와 기준롤러(234)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되는 화장지(221)는 절단날(232a)의 왕복이동이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절단부(232)의 절단날(232a)은 구동유닛(232b)이 아닌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에 의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날(232a)은 하우징(210)의 외부에 돌출된 푸쉬 버튼(push button)과 연결되고, 사용자가 푸쉬 버튼(push button)을 누르는 힘이 곧바로 절단날(232a)을 이동시켜 화장지(221)를 절단하게 할 수 있다. 푸쉬 버튼(push button)은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에는 눌려지지 않도록 잠길(locking)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구동부(230)는 축부재(222)는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222)는 화장지(221)의 배출이 허용될 때에는 회전할 수 있으며, 화장지(221)의 배출이 허용되지 않을 때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축부재(222)의 회전에 의해서만 화장지(221)의 배출이 이뤄지되, 배출된 화장지(221)를 절단하기 위해서 하우징(210)의 배출구(211)에 인접하여 화장지(221)를 고정하는 고정부(또는 고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된 화장지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사용자는 배출구(211)로부터 배출된 화장지(221)를 절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화장지를 배출하기 위한 절단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의 개괄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화장지 디스펜서(300)는 하우징(310), 화장지 수납부(320), 구동부(330), 인터페이스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화장지 수납부(320), 구동부(330), 인터페이스부(340) 및 제어부(35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그 내부에 화장지 수납부(320), 구동부(330), 인터페이스부(340) 및 제어부(35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지 수납부(320)는 화장지를 수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지가 롤용지 타입인 경우, 롤용지의 심지에 끼워질 수 있는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장지가 핸드타올 타입인 경우, 핸드타올 타입의 화장지를 수납할 수 있는 박스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330)(driving unit)는 화장지 수납부(320)의 수납된 화장지를 화장지 디스펜서(300)(또는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330)는 화장지 수납부(320)의 화장지를 일정량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330)는 화장지 수납부(320)의 화장지를 일정량 배출하고 절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330)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도 2에서 설명된 바 있다.
인터페이스부(340) 입력 인터페이스로서의 스위치(3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341)는 기계식 버튼 스위치, 터치 스위치, 또는 전자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34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화장지 디스펜서(300)는 화장지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341)는 화장지 디스펜서(300)의 관리자가 화장지 디스펜서(300)의 사용에 필요한 결정사항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스위치(341)에 대한 조작을 통하여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40)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디스플레이(342), 발광부(343), 스피커(3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2)는 화장지 디스펜서(300)의 사용을 안내하는 텍스트 정보, 및 기호 정보 등을 그래픽 표현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2)는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잔여 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또는 배출 가능 횟수 등을 시각화할 수 있다.
발광부(343)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의 개수, 배치, 구조, 및 색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발광부(34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LED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상, LED가 지시하는 기호, LED를 점멸하는 방식(예를 들어, 점멸 횟수, 시간 길이 등)을 통해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잔여 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또는 배출 가능 횟수 등을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43)는 6개의 LED램프(예: 도 1의 131)를 포함하고, 그 3개의 LED램프를 발광 시킴으로써,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이 50%남아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발광부(343)는 사용자가 스위치(341)에 대한 입력으로 화장지를 바로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를 LED램프를 지속적으로 발광 시킴으로써 나타내고, 스위치(341)에 대한 입력으로도 화장지가 배출되지 않고 대기해야 하는 상태를 LED램프를 반복적으로 점멸 시킴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스피커(344)는, 약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잔여 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또는 배출 가능 횟수를 안내하는 비프음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340)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기능 가능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구동부(330) 및 인터페이스부(3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인터페이스부(340)의 스위치(34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장지를 배출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구동부(330)의 작동으로 화장지가 일정량 배출된 후 일정시간 동안에는 스위치(34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도 불구하고, 화장지가 배출되지 않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350)는 구동부(330)에 의하여 화장지가 배출된 이후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만 구동부(330)를 다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50)는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관리자의 입력에 의하여 이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입력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스위치(341)를 이용하여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또는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50)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36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외부 장치(360)과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수립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외부 장치(360)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을 수립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잔여 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또는 배출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36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외부 장치(360)로부터 화장지의 배출을 다시 요청하는데 필요한 일정시간, 배출되는 화장지의 일정량을 설정하는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즉, 외부 장치(360)는 화장지 디스펜서(300)의 인터페이스부(34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화장지가 수납되는 화장지 수납부;
    상기 화장지의 상기 화장지 수납부로부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화장지 조절부로 하여금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게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화장지를 배출하되, 상기 화장지가 배출된 후에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다시 화장지를 배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장지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화장지를 개재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여, 상기 화장지를 아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 화장지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 수납부는
    롤타입의 화장지가 끼워지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에 끼워진 두루마리 화장지를 풀리도록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축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장치에서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일정시간, 상기 일정시간 중 잔여 시간, 상기 화장지의 배출량, 상기 화장지 전체의 잔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LED 램프,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디스펜서.
KR1020210176646A 2021-12-10 2021-12-10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KR20230087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646A KR20230087949A (ko) 2021-12-10 2021-12-10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646A KR20230087949A (ko) 2021-12-10 2021-12-10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949A true KR20230087949A (ko) 2023-06-19

Family

ID=8698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646A KR20230087949A (ko) 2021-12-10 2021-12-10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9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011A (ko) 1997-12-29 1999-07-15 이동환 절약형 두루마리 휴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011A (ko) 1997-12-29 1999-07-15 이동환 절약형 두루마리 휴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6570C1 (ru) Гигиен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CA2703574C (en) Electro-manual dispenser
US7044421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ll towel dispenser with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832977B1 (ko) 롤 페이퍼 공급 장치
US9248988B2 (en) Multi-function dispenser for dispensing paper sheet material
US20140103072A1 (en) Low cost and low power automatic liquid dispensers
US7527215B1 (en) Automatic tissue dispenser apparatus
US20140209631A1 (en) Energy saving electric soap dispenser
US20200281420A1 (en) Automated wetted or dry sheet product dispensers
US8960514B2 (en) Dispenser
US11051663B1 (en) Dispensing assembly for paper products
JP2004154580A (ja) 脱臭装置を備えた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
KR20230087949A (ko) 절약형 화장지 디스펜서
US11230452B1 (en) Smart toilet paper dispenser
KR200418028Y1 (ko) 공중 화장실용 화장지 케이스
KR101996365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KR101105553B1 (ko) 디스펜서
US9408507B2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with dynamic braking
JP5551729B2 (ja) 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CN111787835A (zh) 分配器
JP2007159891A (ja) 電動ロールペーパー供給装置
US20100108798A1 (en) Towe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JP2003125972A (ja) 電動式ペーパーホルダ
JP5769433B2 (ja) 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JP4064737B2 (ja) ディスペンサ内のトイレットペーパー又はハンドタオルの交換時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