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233B1 - 환봉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봉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233B1
KR101105233B1 KR1020090030214A KR20090030214A KR101105233B1 KR 101105233 B1 KR101105233 B1 KR 101105233B1 KR 1020090030214 A KR1020090030214 A KR 1020090030214A KR 20090030214 A KR20090030214 A KR 20090030214A KR 101105233 B1 KR101105233 B1 KR 10110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round bar
loading hole
workpie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818A (ko
Inventor
정호연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6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gravity,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이 이루어진 환봉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된 환봉이 굴러오면 이를 수용하여 설정된 장소로 자동으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장치로, 환봉이 굴러들어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이 선택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디귿자 모양의 열린 부분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을 바라보게 설치되는 적재구와; 상기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을 연결한 적재구 축과; 상기 적재구 축 양쪽에 설치되어 적재구 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베어링과;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과 위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실린더와;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위를 바라보고 있을 때 그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수직 실린더와; 상기 수직 실린더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재구의 디귿자 모양의 간격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구에 적재되어 있는 환봉을 잡기위한 2쌍 이상의 이동구와; 상기 이동구를 간격을 조절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이동구로 잡은 환봉을 선택된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류, 환봉, 나사산, 이송, 적재,

Description

환봉 자동 이송장치{AUTOMATED TRANS MACHINE}
본 발명은 가공이 이루어진 환봉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된 환봉이 굴러오면 이를 수용하여 설정된 장소로 자동으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쇼바 등 기타 여러 장치를 생산하기 위하여 금속봉 양 끝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상기 나사산에 여러 부가장치를 추가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쇼바의 경우 쇼바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앙은 중공봉을 사용하고 양 끝에 환봉을 마찰압접을 통해 용접하고 용접된 부위를 별도로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환봉부위에 스크류 공정을 추가하여 나사산을 형성시키게 되면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최종적으로 가벼운 쇼바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여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찰압접의 경우 고속 회전하는 하나의 금속 물체를 정지되어 있는 또 다른 금속물체를 접촉시켜 두개의 물체 사이에 고도의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회전체를 정지한후 두 개의 금속 사이의 접촉면에 압력을 가하면 고온에 의하여 용융된 금속이 서로 한몸처럼 붙게 되는 특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마 찰압접의 특징이다.
일반 용접의 경우 물체의 표면만을 접합시키나 마찰압접의 경우 물체의 내부 전체를 접합시키므로 외부를 가공하여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생산된 환봉 또는 일반 환봉의 양끝에 스크류 작업을 통해 나나산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나사산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에 인간 작업자가 하나씩 직접 환봉을 투입하였다가 꺼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는 여러면에서 시간 및 비용을 과도하게 요구하고 있으므로 적절히 개선하여 환봉을 공급하여 두면 자동으로 나사산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에 환봉을 적재하여 두면 자동으로 환봉을 이송하여 스크류 작업을 수행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를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공이 이루어진 환봉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된 환봉이 굴러오면 이를 수용하여 설정된 장소로 자동으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가공된 환봉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환봉이 굴러들어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이 선택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디귿자 모양의 열린 부분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을 바라보게 설치되는 적재구와; 상기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을 연결한 적재구 축과; 상기 적재구 축 양쪽에 설치되어 적재구 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베어링과;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과 위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실린더와;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위를 바라보고 있을 때 그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수직 실린더와; 상기 수직 실린더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재구의 디귿자 모양의 간격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구에 적재되어 있는 환봉을 잡기위한 2쌍 이상의 이동구와; 상기 이동구를 간격을 조절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이동구로 잡은 환봉을 선택된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이동구에 전달하기 위한 체인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실린더의 이동동작을 파악하기 위한 수직 센서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구가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수평 센서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가 환봉을 잡았을 때 환봉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돌기 형태로 튀어나온 이동구 턱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에 의하여 선택된 장소로 이동하여온 환봉을 적재하기 위한 이동 적재함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가공된 환봉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적재함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의 경우 다량의 환봉 즉 가공물(20)을 적재장치(10)에 적재하여 두고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여 나사산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먼저 적재장치(10)에는 적재함(11)이 설치되게 되고 상기 적재함에는 다량의 환봉 즉 가공물(20)을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함의 경우 상기 가공물이 중력에 의하여 굴러갈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경사의 경우 과도하게 상기 가공물이 이동하지 않고 적절한 속도와 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경사를 따라 굴러가 환봉 즉 가공물(20)은 경사의 끝단에 설치된 벽에 부딪혀 정지하게 하게 되는데 상기 벽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달기(12)로 상기 전달기의 특성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움직이는 동작을 실린더를 통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상기 전달기의 표면 즉 상기 전달기(12)가 하단으로 내려갔을 때 적재함(11)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내려가게 되면 가공물이 중력에 의하여 굴러와 전달기 표면 즉 전달기의 상단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를 위로 올렸을 때 가공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기의 표면은 적재함 바닥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처럼 상기 적재함 바닥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고 있도록 하여 전달기 위로 올라온 가공물(20)이 다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경사의 끝에는 적재함 벽이 위치하고 상기 전달기의 동작 거리는 적재함 바닥부터 적재함 끝부분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가 공물을 적재함 바닥으로 부터 적재함을 넘겨 가공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보조 전달기(12a)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전달기의 역할은 전달기를 통해 공급되는 환봉 즉 가공물이 전달기의 경사에 따라 보조 전달기로 굴러가고 보조 전달기에 올라온 가공물은 보조 전달기에 상하 이동에 의해 윗부분으로 이동한 후 굴러가게 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 전달기 없이 보조 전달기 만으로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하겠다.
이와 함께 상기 가공물의 위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지 아니하고 적재함에 일정한 방향으로 산재해 있기 때문에 보조 전달기(12a) 또는 보조 전달기가 없을 경우에는 전달기(12) 위로 올라왔을 때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물을 한쪽 방향으로 밀어서 보조 전달기 또는 보조 전달기가 없을 경우에는 전달기(12)의 한쪽 끝에 가공물의 한쪽 면이 접촉하도록 하여야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가공물을 전달하여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전달기(12a) 또는 보조 전달기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달기(12) 상단에 정렬기(13)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정렬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정렬기에는 정렬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렬실린더와 연결되어 정렬구(15)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정렬구의 위치 즉 실린더를 가장 길게 뺐을 때 정렬구의 위치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보조 전달기의 맨 끝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와 정렬구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실린더를 동작하게 되면 정렬구는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전 후로 동작하여 상기 정렬기(13)가 가공물(20)을 밀어서 보조 전달기의 한쪽 끝에 위치하게 되어 항상 동일한 위치에 가공물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보조 전달기의 동작 범위를 살펴보면 상기 전달기가 맨 위로 올라 갔을 때에는 전달기의 표면이 적재함 끝단의 표면과 같거나 더 높게 올라가게 되어 전달기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에 의하여 상기 가공물이 경사져 있는 경사 바닥(33)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게 된다.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는 가공물은 적재함 상단에 위치하여 있는 경사구(30)의 위를 굴러가게 되는데 여기에서 경사구의 역할은 가공물 즉 환봉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환봉이 굴러갈 수 있도록 하며 경사구의 설치는 적재함 바닥 또는 전달기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경사 방향을 하게 되는게 바람직 하고 경사 바닥 전체를 감싸고 있는 구조가 아니고 군데군데 떨어져서 바의 형태로 경사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는 것이며 경사구의 끝 부분에는 돌출되어 있는 정지턱(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정지턱은 상기 경사구의 표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로 내려가거나 경사구의 표면 높이보다 높이 올라갈 수 있도록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공물이 경사구를 따라 굴러올 때 이를 정지시키거나 더 나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정지턱의 동작은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고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측면으로 길게 설치된 사각 파이프에 정지구를 다수 설치하고 이를 하나의 실린더로 동작하도록 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 정지턱에 가공물이 걸려 있는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턱 앞에 정지턱 센서(32)가 부착되게 되어 상기 센서 위에 가공물이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가공물 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정지턱(31)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정지턱에 걸려 있던 환봉 즉 가공물(20)이 경사를 따라 굴러서 이동하여 가공물 받이(40)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가공물 받이의 효과적인 구조는 가공물의 높이와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브이자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또한 상기 가공물 받이에 떨어진 가공물을 스크류장치(5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압력기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압력기에는 압력실린더(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압력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압력구(43)가 가공물을 스크류 장치(50)로 압력을 가하여 밀게 되고, 가공물이 무리없이 스크류 장치 쪽으로 밀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물 받이의 연장선상에 상부롤러(44)가 설치되게 되고 상기 상부 롤러의 구조는 브이 블록 구조의 연장선과 같이 소정의 지지대에 롤러가 브이자 각도를 유지하여 군데군데 설치되는 구조이면 효과적이고 필요에 따라 단지 롤러의 홈 부분에 가공물이 올라타서 롤러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려 갈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효과적 가공물이 압력을 받아 스크류 장치 쪽으로 이동하여 환봉 즉 가공물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공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과정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가공물은 가공물 받이를 빠져 나오게 되며 이때 가공물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상부 롤러의 가공물 받이 쪽이 아래 부분으로 내려와 상부 롤러(44)가 경사진 형태로 변하게 되고 이렇게 경사진 형태의 상부롤러를 따라 가공물이 경사를 따라 내려오게 되면, 하부 롤러(45)가 상부 롤러의 경사와 동일하게 유지되어 가공물을 받게 되고 가공물이 상부 롤러를 완전히 빠져나와 하부 롤러에 도착하게 되면 가공물의 자중에 으하여 하부 롤러의 경사가 수평인 상태로 내려오게 되는데, 상기 가공물이 하부 롤러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구(46)가 하부롤러의 맨 끝에 작은 격벽처럼 서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물이 하부 롤러에 도착하여 가공물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 롤러의 경사가 사라지게 되어 수평인 상태가 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롤러(45)로 가공물(20) 공급되어 하부 롤러가 수평 상태로 되면 가공물이 경사를 따라 굴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롤러의 각 롤러 사이마다 방범창의 철창과 같이 소정의 간격마다 봉이 설치되어 있는 모양으로 상기 하부롤러의 각 롤러 사이마다 가공물이 굴러가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하부롤러 경사구(47)가 설치되게 되며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는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가공물이 경사를 따라 굴러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 롤러가 하부롤러 경사구를 따라 튀어나오거나 하부롤러 경사구 밑으로 들어가는 것은 하부롤러의 특징에서 찾을 수 있는데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의 사이마다 설치되며 하부롤러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부롤러바(45b)에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하부롤러 바의 경우 수평이 바닥에 세워 두었을 때 하부롤러 바의 높이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각기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되며 하부 롤러의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롤러바의 밑단은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게 되고, 상기 하부 롤러바는 상기 하부 롤러를 하부롤러 경사구(47)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 바 밑단에 설치된 하나의 축을 경사지게 하면 상기 하부롤러 바가 하부롤러 경사구 사이로 튀어나오므로 하부롤러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롤러 바가 하부롤러 경사구 하단으로 내려갈 경우 상기 하부롤러 또한 경사구 하단으로 내려가므로 상기 하부롤러에 위치한 가공물은 하부롤러 경사구에 걸려서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고 하부롤러 경사구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롤러 경사구를 따라 굴러가는 가공물은 더욱 진행하여 받음 경사구(48) 쪽으로 굴러가게 되는데 상기 받음 경사구의 경우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의 기능을 연장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겠고, 받음 경사구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간 가공물은 종단에 적재구(60)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적재구(60)는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이 상기 받음 경사구(48) 사이마다 설치되게 되고 디귿자 모양의 봉의 열린 부분이 받음 경사구 또는 하부롤러 경사구 쪽으로 향하게 되도록 구성되며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의 열린 부분을 통해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의 내부로 사용자가 설정한 양 만큼 들어가게 되면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은 상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의 하단 즉 디귿자 모양중 막혀 있는 부분 밑 부분에 다수개의 상기 디귿자 모양의 봉을 하나로 연결하는 축인 적재구 축(63)이 설치되게 되고, 상기 적재구 축 양 끝에는 적재구 베어링(61)이 설치되게 되며 상기 적재구 내지는 적재구 축을 동작시켜 적재구의 디귿자 모양중 열린 방향이 하부롤러 쪽을 향하거나 윗쪽을 바라볼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적재구 실린더(62)가 부착되게 된다.
더불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구의 경우 디귿자모양중 열린 방향이 하부 롤러 쪽을 향할 때 적재구의 윗쪽 부분이 적재구의 아래쪽 부분보다 작고 적재구의 아래쪽은 하부롤러를 향하고 있을 때 받음 경사구 또는 받음 경사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롤러 경사구의 사이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적재구의 회전에 문제가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가공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장치의 특성을 살펴보면 가공물 받이(40)으로 공급된 가공물 즉 환봉을 압력실린더로 밀어서 스크류 장치(50)에 공급하게 되면 가공물이 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로부터 압력기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가공물의 자중에 의하여 상부롤러(44)가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고, 하부 롤러(45)는 하부롤러 경사구(47)사이로 빠져나와 경사를 이룬 상태에서 상부롤러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오는 가공물을 받게 되고 상부롤러로부터 가공물이 하부롤러로 옮겨지는 과정에 멈춤구(46)에 걸려서 정지하게 되면 가공물은 완전히 하부롤러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이때 상부롤러의 가공물의 자중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부롤러는 다시 경사가 해제되어 원상태로 복원되고 하부롤러는 가공물의 자중에 의하여 수평인 상태로 경사가 줄어들다 종단에는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가공물(20)은 하부롤러 경사구에 걸려서 멈추게 된 후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게 되는데,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가 길게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하부롤러 경사구 사이사이 설치되어 있는 받음 경사구(48)를 따라 이동하며, 종단에는 상기 디귿자 모양의 적재구(60) 내부로 굴러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적재구(60) 내부로 가공물이 일정량 들어오게 되면 상기 적재구의 열린 부분을 윗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는 상기 적재구 소정의 위치에 적재 회전구(64)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적재 회전구의 특징은 적재구와 직각인 방향으로 일정량 튀어나온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적재 회전구에 적재구 실린더(62)를 설치하여 실린더를 동작시키면 적재구를 지면과 수평 또는 수직인 상태로 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상부롤러에는 이탈 방지홀(44b)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이탈 방지홀의 역할은 압력구를 통해 환봉 즉 가공물을 밀 때 상기 가공물 즉 환봉이 상기 이탈 방지홀을 통과하여 스크류 장치까지 전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나사산 형성과정에 상기 환봉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 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부 롤러와 하부롤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먼저 상부롤러의 경우 상부롤러 하부에 상부롤러 스프링(44a)을 설치하고 스프링 하부에 스프링 압력을 받아 줄 수 있는 스프링판(49)을 설치하고, 하부 롤러의 경우 하부롤러 밑단에 하부롤러스프링(45a)을 설치하고 스프링의 압력을 받아 줄 수 있는 스프링판(49)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경우 각도 변화 발생의 초기지점 인근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 이외에 비틀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이송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적재구(60)에 일정량의 환봉이 적재되게 되면 이동구(70)가 동작하여 상기 적재구에 적재된 환봉 즉 가공물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구의 구조를 살펴보면 디귿자 모양의 이동구의 열린 부분이 아래 부분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린 부분의 간격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도록 수평 실린더(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 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이동구의 입구가 크게 벌어지거나 작게 닫히게 되어 입구를 연 상태에서 가공물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입구를 작게 닫게 되면 가공물을 자중에 의하여 이동구에 걸리게 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는 이동구의 입구부분에는 작은 돌기가 튀어나와 있는 형태의 이동구 턱(76)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구 턱에 가공물이 걸려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상기 이동구는 2개 이상의 이동구 턱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최소 4개 이상의 이동구 턱을 구비하여야 봉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이동구 마주보는 이동구 턱은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구의 디귿자 모양의 사이로 들어가게 되어 이동구와 적재구의 충돌은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적재구(60)의 열린 부분이 윗 방향을 향하게 되면 상기 이동구의 수평실린더(71)가 동작하여 이동구의 이동구 턱과 이동구 턱 사이의 간격을 벌리게 되고, 수직 실린더(72)가 동작하여 이동구의 위치를 아래 방향으로 내려보내게 되는데, 이때 이동구에는 센서구(7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구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센서(74)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구가 내려왔다고 판단하여 수직 실린더의 동작을 멈추게 되며 다시 수평 실린더(71)를 동작하여 이동구 턱과 이동구 턱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되어 가공물 즉 환봉을 이동구 턱 내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다시 수직 실린더(72)를 동작하여 이동구의 위치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모터(90)를 동작하게 되면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체인(91)에 의하여 이동구 자체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하는 거리가 목적하는 위치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는 수평센서(75)를 어떤 물체가 가렸는지 즉 이동구가 가렸는지의 여부를 통해 판단하게 되며 이후 다시 수직 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이동구를 아래로 내려보내게 되고 이동구가 내려가는 아래에는 이동 적재함(80)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동 적재함에 도착한 이동구의 수평 실린더를 동작하여 이동구 턱과 이동구 턱 사이의 간격을 넓혀 가공물 즉 환봉을 이동 적재함에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의 압력고정구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상기 가공물 받이(40)로 떨어진 가공물을 압력기(41)로 스크류 장 치(50) 쪽으로 밀때 상기 가공물 받이 끝을 벗어나 상부 롤러로 진입하는 과정에 가공물 받이를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가공물의 자중에 의하여 상부롤러가 동작하여 정확한 스크류 장치의 동작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기와 가공물이 접촉하는 압력기 부위에 관의 형태를 갖는 압력 고정구(43a)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압력고정구 내부로 가공물의 일부분이 인입되도록 하면 상기 압력 고정구의 역할에 의하여 가공물에 발생하는 자중이 상부롤러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각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화하여 생산하게 될 경우 국 내외적으로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효과에 있어서 큰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적재함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가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이송장치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의 압력고정구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적재장치 11: 적재함 12: 전달기 13: 정렬기 14: 정렬실린더 15: 정렬구
20: 가공물 30: 경사구 31: 정지턱 32: 정지턱 센서 33: 경사 바닥
40: 가공물 받이 41: 압력기 42: 압력실린더 43: 압력구 43a: 압력 고정구
44: 상부롤러 44a: 상부롤러스프링 44b: 이탈 방지홀 45: 하부롤러
45a: 하부롤러스프링 45b: 하부롤러바 46: 멈춤구 47: 하부롤러 경사구
48: 받음경사구 49: 스프링판 50: 스크류장치 60: 적재구 61: 적재구 베어링
62: 적재구 실린더 63: 적재구 축 64: 적재회전구 70: 이동구
71: 수평 실린더 72: 수직 실린더 73: 센서구 74: 수직센서 75: 수평센서
76: 이동구 턱 80: 이동 적재함 90: 모터 91: 체인

Claims (5)

  1. 환봉 이송장치에 있어서,
    환봉이 굴러들어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이 선택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디귿자 모양의 열린 부분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을 바라보게 설치되는 적재구와;
    상기 다수개의 디귿자 모양의 봉을 연결한 적재구 축과;
    상기 적재구 축 양쪽에 설치되어 적재구 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베어링과;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환봉이 굴러오는 방향과 위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구 실린더와;
    상기 적재구의 열린 방향이 위를 바라보고 있을 때 그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수직 실린더와;
    상기 수직 실린더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재구의 디귿자 모양의 간격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구에 적재되어 있는 환봉을 잡기위한 2쌍 이상의 이동구와;
    상기 이동구를 간격을 조절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이동구로 잡은 환봉을 선택된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이동구에 전달하기 위한 체인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의 이동동작을 파악하기 위한 수직 센서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구가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수평 센서;
    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가 환봉을 잡았을 때 환봉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돌기 형태로 튀어나온 이동구 턱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에 의하여 선택된 장소로 이동하여온 환봉을 적재하기 위한 이동 적재함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이송장치.
KR1020090030214A 2009-04-08 2009-04-08 환봉 자동 이송장치 KR10110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14A KR101105233B1 (ko) 2009-04-08 2009-04-08 환봉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14A KR101105233B1 (ko) 2009-04-08 2009-04-08 환봉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18A KR20100111818A (ko) 2010-10-18
KR101105233B1 true KR101105233B1 (ko) 2012-01-13

Family

ID=4313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214A KR101105233B1 (ko) 2009-04-08 2009-04-08 환봉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990A (zh) * 2014-06-22 2014-09-24 薛炎 换热器芯体集成机组的翅片分层出片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54B1 (ko) 2018-02-26 2021-11-11 아신유니텍 (주) 환봉 소재 이송을 위한 고정 밴딩기
KR20190102367A (ko) 2018-02-26 2019-09-04 아신유니텍 (주) 환봉 소재 이송을 위한 고정 밴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775U (ko) * 1985-12-26 1987-07-09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실린더를 이용한 선반용 자동 이송 공작물 받이
KR930004025A (ko) * 1991-08-24 1993-03-22 박원배 파이프 자동공급 장치
JPH09108984A (ja) * 1995-10-12 1997-04-28 Nissei Urawa:Kk 被加工長尺材補給装置
KR20070013838A (ko) * 2005-07-27 2007-01-31 (주)에스콘 베어링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775U (ko) * 1985-12-26 1987-07-09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실린더를 이용한 선반용 자동 이송 공작물 받이
KR930004025A (ko) * 1991-08-24 1993-03-22 박원배 파이프 자동공급 장치
JPH09108984A (ja) * 1995-10-12 1997-04-28 Nissei Urawa:Kk 被加工長尺材補給装置
KR20070013838A (ko) * 2005-07-27 2007-01-31 (주)에스콘 베어링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990A (zh) * 2014-06-22 2014-09-24 薛炎 换热器芯体集成机组的翅片分层出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18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67B1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KR101029779B1 (ko) 환봉 자동 스크류 장치
KR101105233B1 (ko) 환봉 자동 이송장치
CN206500918U (zh) 一种单根棒料自动下料装置
US9540196B2 (en) Device for handling workpieces, in particular processing products of a cutting metal sheet processing operation, and mechanical arrangements having such a device
KR100992195B1 (ko) 환봉 절단 장치
CN110103065B (zh) 一种钢管下料装置
KR101933007B1 (ko) 전산볼트 성형장치
US3392813A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CN103964248A (zh) 集装箱角柱生产线的自动翻面装置
KR101726426B1 (ko) 롤러 컨베이어용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
CN102897647A (zh) 一种曲柄滑块式自动起吊吊具
CN204384002U (zh) 圆柱形物品料架结构
CN101531280A (zh) 凸焊螺母筛选装置
CN209889790U (zh) 两级自动提升装置
CN208471344U (zh) 一种新型物料提升机进料门装置
CN220804478U (zh) 一种成品变形度尺寸检测设备
JP4852847B2 (ja) 鋼管の搬送設備
CN105800096A (zh) 一种圆柱形物品料架结构
CN205763470U (zh) 一种芯板自动落料装置
CN216377356U (zh) 叉车货篮
CN109969754A (zh) 一种环类零件排料机构
CN211255183U (zh) 一种工件升降翻转装置
JP7237780B2 (ja) ワークストッカー
CN216911543U (zh) 穿孔机管坯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