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153B1 -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153B1
KR101105153B1 KR1020100069757A KR20100069757A KR101105153B1 KR 101105153 B1 KR101105153 B1 KR 101105153B1 KR 1020100069757 A KR1020100069757 A KR 1020100069757A KR 20100069757 A KR20100069757 A KR 20100069757A KR 101105153 B1 KR101105153 B1 KR 10110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switch
auxiliary
electric locomotive
pow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주
문영민
김해곤
윤은상
민황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0006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4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시간을 조작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접촉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접촉편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은 물론,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시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접촉기의 보조연동에 대한 불량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운행중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오류의 고장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접촉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접촉기의 투입 또는 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시험스위치; 측정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하는 보조연동선택스위치; 상기 전원입력부에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전원투입스위치;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현시하는 LCD; 보조연동의 접점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보조연동 표시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Diagnosis apparatus for high voltage power circuit contactor of electric locomotive}
본 발명은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을 임의로 조절하여 접촉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은 물론,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시 보조연동의 동작상태를 수치화하여 접촉기의 주접촉편과 보조연동의 불량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관차는 선로 위에 전차선을 가설하고 가선(架線)으로부터 25kV의 교류 전기를 공급받아 운행하는 동력차로, 우리 나라에서는 1972. 6.에 처음 도입되어 비교적 구배가 심하고 곡선 구간이 많은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에서 운행해오던 디젤기관차를 전기기관차로 대체하여 지금까지 운행해 오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행중인 전기기관차의 대부분은 80년대에 제작된 관계로 직류 직권형 견인전동기를 사용한 사이리스터 컨버터 방식이 대부분이며, 2000년 이후 제작된 전기기관차는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인버터를 사용한 교류 견인전동기 방식의 신형 전기기관차(8200대형 전기기관차)가 운행되고 있다. 신형 전기기관차에는 동력회로 접촉기가 1량당 10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기에는 고압회로를 연결하는 주접촉편과 동작회로를 구성하는 보조연동 접점이 4개씩 구성되어 있고, 접촉기가 불량하면 운행중 고장으로 직결되어 열차 안전운행을 위협하게 되므로, 검수시 보조연동 및 접촉기의 불량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차량 고장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접촉기는 기본적으로 모터부와 주접촉편 및 보조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접촉기 차단상태에서 차량의 축전지 전원을 투입하면 차상컴퓨터인 TCU(Traction Control Unit; 견인제어장치)의 자가진단에 따라 접촉기가 투입되고 1초 후 차단되도록 되어 있고, 이때 TCU는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상태를 감시하여 투입 명령시에 투입되지 않거나 차단 명령시에 차단되지 않을 경우 고장으로 현시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 검수시 접촉기의 모터부 점검은 주변환장치 커버를 개방한 후 축전지를 투입하여 TCU의 자가진단으로 모터의 회전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있으며, 주접촉편도 축전지의 투입 및 차단시 주접촉편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있는데, 투입 후 차단 유지시간이 1초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TCU의 자가진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TCU의 자가진단으로 축전지의 투입 및 차단시 완전한 접촉 불량시에는 TCU가 고장을 현시하지만, 접촉면이 불안정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어도 TCU는 접촉기가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보조연동은 접촉기 1개당 4개가 사용되기 때문에 전기기관차 1량당 40개의 보조연동이 구비되어 있어서, 보조연동 역시 차단 시간이 1초이기 때문에 축전지 투입 및 차단을 반복하더라도 1초 내에 점검을 수행해야 하며 접촉기 1개를 검사하는데 축전지 투입 및 차단을 40번씩 반복해야 하므로 검사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TCU의 고장 현시 전까지는 보조연동의 진행성 접촉저항 발생 등 불량 진행 정도를 검사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기관차의 운행중 고장이 발생한 후 사후 정비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는 전기기관차의 정기검수시 접촉기의 모터부와 주접촉편은 크기가 크고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지만, 보조연동은 회로를 구성하는 접점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검사가 불가능하며, 검수 당시 접촉기의 불량 또는 양호만 판단할 수 있을 뿐이고 불량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없어서 불량이 상당히 진행된 보조연동의 접점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불가능하므로 접촉기에 대한 예방정비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시간을 조작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접촉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접촉편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은 물론,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시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접촉기의 보조연동에 대한 불량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운행중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오류로 인한 고장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접촉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선택한 접촉기의 투입 또는 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시험스위치; 측정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하는 보조연동선택스위치; 상기 전원입력부에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전원투입스위치;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현시하는 LCD; 보조연동의 접점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보조연동 표시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기는 주접촉기(Main Contactor), 잉여접촉기(Redundancy Contactor), 발전접촉기(Hep Contactor) 중 하나이며, LCD에는 보조연동의 접촉저항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값을 현시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는, 전기기관차의 정기검수시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시간을 작업자(검수원)가 임의로 조절하여 접촉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은 물론,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시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현시해줌으로써 접촉기의 불량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교체 또는 수리함으로써 운행중에 발생하는 접촉기의 고장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여 열차 정시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접촉기 검수시 종전에는 주접촉편 및 접촉기 동작상태만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는, 접촉기 회로를 구성하는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검사하여 접촉기의 불량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조치함으로써 완벽한 예방정비를 가능하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의 전면(前面)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의 내부 회로 개략도이다.
도 3은 보조연동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의 내부 회로 기판의 개략도이다.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에 사용되는 접촉기에서 보조연동은 DC 110V의 전원을 받아 차상컴퓨터인 TCU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NC(Normal Close)연동일 경우 110V를 입력받아 110V를 출력하고 NO(Normal Open)연동일 경우 0V를 입력받아 0V를 출력할 때가 가장 이상적인 보조연동의 접점상태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는, 접점 이상(異常)으로 접촉저항이 발생하면 입력받은 전(全)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으로, 접촉저항에 따른 전압 변동치를 수치화하여 접점의 불량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0), 접촉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20),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30), 선택한 접촉기의 투입 및 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시험스위치(40), 측정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하는 보조연동선택스위치(50), 전원입력부(10)에 전원을 투입 및 차단하는 전원투입스위치(60),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현시하는 LCD(70) 및 보조연동의 접점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보조연동 표시등(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기관차에 사용되고 있는 접촉기는 주접촉기(Main Contactor; 현장에서는 'MK'라고 부르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MK'라고만 칭한다)와, 잉여접촉기(Redundancy Contactor; 현장에서는 'RK'라고 부르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RK'라고만 칭한다) 및 발전접촉기(Hep Contactor; 현장에서는 'HK'라고 부르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HK'라고만 칭한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모터부와 주접촉편 및 보조연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MK와 RK는 구동핀의 연결방식이 동일하다.
전원입력부(10)는 외부 케이블을 꽂아 본 접촉기 진단장치로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구성으로, AC 220V가 입력되는 AC입력부(11)와 DC 110V가 입력되는 DC입력부(12)로 구성되고, 각 전원이 입력되고 본 진단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AC투입스위치(61)와 DC투입스위치(62)를 ON시켜야 한다.
케이블커넥터(20)는 접촉기와 본 진단장치를 케이블로 연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15핀(pin)을 구비하고 있는데, 케이블커넥터(20)를 통해 접촉기의 구동과 보조연동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선택스위치(30)는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토글스위치(toggle switch)로 되어 있는데, MK와 RK를 선택할 때는 토글스위치가 윗방향으로 향하고 HK를 선택할 때는 아랫방향으로 향하며(또는 토글스위치의 방향을 반대로 하더라도 상관없음), 토글스위치의 측방에는 각 접촉기가 선택되었을 때 점등되는 LED 표시등이 상하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시험스위치(40)는 선택스위치(30)로 선택한 접촉기의 투입 또는 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토글스위치로 되어 있으며, MK와 RK의 투입·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스위치(41)와 HK의 투입·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스위치(42)로 구성되며, 각 스위치(41, 42)의 측방에는 접촉기가 투입되었을 때 점등되고 차단시 소등되는 LED 표시등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연동선택스위치(50)는 측정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로터리스위치로 구성되어 4개의 단자(접점)들 중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나의 단자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로터리스위치로 6-7번 단자를 선택하면 보조연동 표시등(80)에서 좌측에 있는 LED 표시등이 점등되게 되어 6-7번 단자가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LCD(70)는 창(화면)에, 선택된 보조연동의 접촉저항을 측정하고 접촉저항에 따른 전압 변동치를 수치화한 값을 현시함으로써 접점의 불량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LCD(70) 측면에는 리셋(reset)버튼(71)을 설치하여 측정을 시작할 때 버튼을 눌러 창(화면)의 초기값을 맞춰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연동 표시등(80)은 보조연동의 접점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구성으로, 보조연동시험스위치(50)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LED 표시등(예를 들면, 빨간색 표시등)과, 보조연동의 접촉저항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LED 표시등(예를 들면, 녹색 표시등)으로 구성되며, 보조연동 표시등(80)은, 4개의 단자(접점)(6-7번, 8-9번, 12-13번, 14-15번)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진단장치를 이용한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을 하기 전에 전원입력부(10)에 외부 전원(AC 220V, DC 110V)을 연결한 후,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의 핀과 케이블커넥터(20)를 연결하고, 전원투입스위치(60)를 ON시키는 준비작업을 한다.
MK를 시험하고자 할 때는, 선택스위치(30)의 선택 위치를 MK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41)를 투입하고 보조연동시험스위치(50)를 돌려 확인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한 다음, 보조연동 표시등(80)의 LED 표시등의 점등을 확인하고, LCD(70)를 통해 보조연동의 수치화된 값을 확인한다.
RK를 시험하고자 할 때는, 선택스위치(30)의 선택 위치를 RK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41)를 투입하고 보조연동시험스위치(50)를 돌려 확인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한 다음, 보조연동 표시등(80)의 LED 표시등의 점등을 확인하고, LCD(70)를 통해 보조연동의 수치화된 값을 확인한다.
HK를 시험하고자 할 때는, 선택스위치(30)의 선택 위치를 HK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42)를 투입하고 보조연동시험스위치(50)를 돌려 확인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한 다음, 보조연동 표시등(80)의 LED 표시등의 점등을 확인하고, LCD(70)를 통해 보조연동의 수치화된 값을 확인한다.
TCU는 HIGH 또는 LOW 즉 1 또는 0의 디지털 값만 처리하며 보조연동을 거친 전압을 입력받아 동작하는데, HIGH(1)는 73V 이상, LOW(0)는 37V 이하가 입력되어야 정상이다. 만일 접촉기가 투입될 경우 HIGH(1)가 입력되어야 한다고 가정하면 73V 이상이 입력되어야 하고 73V 이하가 입력되면 TCU에 고장을 현시한다. 반대로 접촉기가 차단되어 LOW(0)가 입력되어야 한다고 가정하면 37V 이하가 입력되어야 하고 37V 이상이 입력되면 고장을 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기 진단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던 종래에는 0∼37V, 73∼110V의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는 TCU는 0V에서부터 37V까지는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또 73V에서부터 110V까지는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접점의 불량 진행 정도를 전혀 알 수 없으므로 작업자(검수원)도 접촉기 검수시 정상 또는 고장으로 밖에 판단할 수 없어서, 접촉저항이 커져서 단기간 내에 불량으로 될 접촉기도 검수시 양호한 것으로 판단 받으므로 검수 후 출고되어 운행하면서 다음 검수 주기가 도래하기 훨씬 전에 고장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접촉기 진단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검수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보조연동의 현재 접점상태를 본 진단장치로는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자체 설정한 기준값을 통해 불량의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예방정비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보조연동과 저항(10㏀)을 직렬로 연결하고 DC 110V를 전압을 인가하면 보조연동과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연동은 ON, OFF를 반복하여 전류의 흐름을 단속(斷續)하는데, 이때 연동의 접점이 ON 상태에서 완전한 접촉상태를 이룰 경우 연동의 접촉저항은 0이 되기 때문에 보조연동에 DC 110V를 흘려 주면 보조연동의 분압은 0V가 현시되고, 이 값은 작업자(검수원)가 LCD로 확인하기 쉽게 수치로 표시된다.
그런데, 보조연동의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연동에 접촉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전류를 흘려주면 이러한 접촉저항은 보조연동과 저항(10㏀) 연결시 보조연동에 저항 크기에 따른 분압을 발생시키고, 이때 분압은 접촉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면서 LCD에 현시되는 수치도 점점 커지게 된다. 본 진단장치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진단장치 내부 기판에 회로를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접촉저항을 작업자(검수원)가 볼 수 있도록 수치로 현시하고, 이렇게 현시되어지는 기준값을 통하여 보조연동 접점의 불량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CU에 입력되는 DC 110V를 기준으로 본 진단장치의 LCD에 현시되는 기준값은 0∼2,000으로 정하고, 접촉저항이 클수록 기준값의 수치도 커지도록 정한 값인데, a접점(NO 연동)은 ON시켰을 때 0∼10(기준값 10인 경우 110V를 입력받아 104.5V가 출력됨)인 경우 보조연동의 접점상태는 양호하며, 11∼2,000인 경우 보조연동의 접점상태는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b접점(NC 연동)은 ON시켰을 때 1,900(기준값 1,900인 경우 5.5V가 출력됨) 이상인 경우 보조연동의 접점상태는 양호하며, 1,900 미만인 경우 보조연동의 접점상태는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원입력부
20 : 케이블커넥터(connector)
30 : 선택스위치
40 : 시험스위치
50 : 보조연동 시험스위치
60: 전원투입스위치
70 : LCD
80 : 보조연동 표시등

Claims (12)

  1.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접촉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
    시험하고자 하는 접촉기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선택한 접촉기의 투입 또는 차단 시험을 선택하는 시험스위치;
    측정하고자 하는 보조연동을 선택하는 보조연동선택스위치;
    상기 전원입력부에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전원투입스위치;
    보조연동의 동작상태와 접촉저항을 수치화하여 현시하는 LCD;
    보조연동의 접점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보조연동 표시등;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기는 MK(Main Contactor; 주접촉기), RK(Redundancy Contactor; 잉여접촉기), HK(Hep Contactor; 발전접촉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D에는, 보조연동의 접촉저항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값을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는 토글스위치(toggle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기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스위치는 토글스위치이고, 보조연동시험스위치는 로터리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D 측면에는, 리셋(reset)버튼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동 표시등은, 보조연동시험스위치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LED 표시등과, 보조연동의 접촉저항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LED 표시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동 표시등은, 4개의 단자(접점)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는, 접촉기가 선택되었을 경우, 이를 표시해 주는 LED 표시등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스위치는, 접촉기가 투입되었을 때 점등되는 LED 표시등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69757A 2010-07-20 2010-07-20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KR10110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57A KR101105153B1 (ko) 2010-07-20 2010-07-20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57A KR101105153B1 (ko) 2010-07-20 2010-07-20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153B1 true KR101105153B1 (ko) 2012-01-17

Family

ID=4561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757A KR101105153B1 (ko) 2010-07-20 2010-07-20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64B1 (ko) 2013-04-04 2014-01-15 이알티엔지니어링(주) 전자접촉기의 접촉력 측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48Y1 (ko) 2001-08-18 2001-12-01 임종석 3단 표시형 전동기 안전진단장치
KR20020054348A (ko) * 2000-09-19 2002-07-06 요트.게.아. 롤페즈 기록에 대한 요청을 리셋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들에 대한epg로의 접속 조치
KR20030079571A (ko) * 2002-04-04 2003-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ov 현장 제어 장치
KR100952984B1 (ko) * 2009-08-18 2010-04-15 (주) 동보파워텍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348A (ko) * 2000-09-19 2002-07-06 요트.게.아. 롤페즈 기록에 대한 요청을 리셋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들에 대한epg로의 접속 조치
KR200254348Y1 (ko) 2001-08-18 2001-12-01 임종석 3단 표시형 전동기 안전진단장치
KR20030079571A (ko) * 2002-04-04 2003-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ov 현장 제어 장치
KR100952984B1 (ko) * 2009-08-18 2010-04-15 (주) 동보파워텍 전동기 제어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64B1 (ko) 2013-04-04 2014-01-15 이알티엔지니어링(주) 전자접촉기의 접촉력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040B1 (ko) 전기기관차 주회로차단기의 제어회로 시험기
CN107764142B (zh) 一种双套冗余设计全电子引信测试仪及其测试方法
CN111157841A (zh) 用于电动操作型隔离开关二次回路的故障快速定位装置
CN212410719U (zh) 室外信号设备模拟测试装置
KR101105153B1 (ko) 전기기관차 고압동력회로의 접촉기 진단장치
JP5553422B2 (ja) 車両用充電装置の携帯型検査装置
KR102375746B1 (ko) 자가 진단형 누전차단기
CN109116268A (zh) 一种备自投快速校验装置
KR101487618B1 (ko) 철도차량 고전압 검지장치 검사 장비 및 그 검사 방법
CN203894342U (zh) 一种铁路信号模拟室外设备测试装置
CN217156670U (zh) 保护装置出口回路校验装置
KR20090100964A (ko) 밀착검지기 카드시험장치
CN211826349U (zh) 一种用于tyjl-iii计算机联锁系统的测试平台
CN114460394A (zh) 城轨地铁车辆司控器疲劳寿命试验系统
KR200480615Y1 (ko) 철도 신호기 led모듈 시험장치
CN208847828U (zh) 一种电源产品测试仪
CN203241497U (zh) 一种汽车大灯线路检测装置
JP3150794U (ja) ワイヤ−ハ−ネス点検装置
RU28194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реле стартера-генератора
CN113189147B (zh) 一种风挡玻璃电性能检测方法、系统和介质
CN205175952U (zh) 齿形带检测装置、变桨装置
CN109342903A (zh) 铁路客车dc110v在线绝缘监测系统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215494078U (zh) 便携式电阻测试仪校验装置
CN202533517U (zh) 简易式老化及测试装置
KR101359018B1 (ko) 전기동차 시한계전기의 동작시간 측정 시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