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119B1 - 수납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납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119B1
KR101105119B1 KR1020090006238A KR20090006238A KR101105119B1 KR 101105119 B1 KR101105119 B1 KR 101105119B1 KR 1020090006238 A KR1020090006238 A KR 1020090006238A KR 20090006238 A KR20090006238 A KR 20090006238A KR 101105119 B1 KR101105119 B1 KR 10110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rcode
storage
unit
fie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812A (ko
Inventor
강성환
박형준
권의혁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1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따른 바코드를 처리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되되, 초기필드와 잔여필드로 구성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각 초기필드 값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되, 저장부에 저장된 각 물품 정보는 각 잔여 필드값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바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과, 저장부에 저장된 초기필드값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는 초기필드값이 있는 경우, 대응된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정보 내의 개별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하고, 대응하는 초기필드값이 없는 경우, 그 판단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수납물 관리를 수행하는 수납물 관리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납물 관리 시스템{ACCEPTED GOODS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따른 바코드를 처리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물을 보관하는 수단의 하나인 냉장고는 사용자에 의한 희망온도 설정 또는 취식물 보관을 위한 적정온도를 설정하여 유지케 함으로서 음식물을 상온에서보다 장시간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미 과거부터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음은 물론, 현대에 와서는 식품의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점차 대형화되고 또한 많은 기능과 편리성이 증대되어 고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냉장고는 많은 종류의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었지만, 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냉장고에 보관 중이던 음식물의 종류와 그 유통기한 등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여 유통기한을 도과한 음식물이 냉장고에 그대로 방치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처럼 유통기한이 도과된 음식물은 취식할 경우, 식중독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서, 취식하지 않고 그대로 버려질 수밖에 없으므로 개인에게 있어서는 불필요한 음식물을 구입한 결과가 되어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칫 이를 모르고 먹었을 경우 식중독에 걸리는 위험성이 있고, 나아가 사회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인해 국가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장고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종류와 유통기한 등을 세심하게 기억하고 유통기한이 도과하기 전에 미리미리 취식하여 소진해야 하지만,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서, 냉장고에 보관된 많은 종류의 음식물을 관리하기란 여간 어렵고 불편한 일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코드 인식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냉장고는 식품의 포장박스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1)와, 바코드가 없는 식품일 경우 사용자가 식품의 종류 및 유통기한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입력부(2)와, 인식부(1) 및 입력부(2)로부터 인식 또는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신호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5)가 내장되며, 냉장고 외부에 상기 저장부(5)에 기록된 데이터 신호에 기하여 소리 신호나 빛 신호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를 구비한다.
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냉장고에 보관할 식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부(1)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인식부(1)는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 예컨대 제조국가, 제조회사, 제품종류, 가격, 유통기한 등의 정보 중 제품종류와 유통기한을 취하여 저장부(5)에 저장한다.
한편, 바코드가 부착되지 않은 식품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식품의 종류와 유 통기한을 가늠하여 입력부(2)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술된 종래 냉장고의 경우, 식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1)를 구비하나, 예를 들면, 인식부(1)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바코드 체계와 다른 바코드 체계를 지닌 바코드의 경우, 바코드 자체는 인식되더라고,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냉장고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요리한 식품의 경우, 이러한 식품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직접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기를 구비해야 하는 냉장고 제조 원가를 상당히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따른 바코드에 대한 인식 및 관리를 수행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자 등이 독립적으로 정의한 바코드 정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각 장치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냉장고의 저장고 내에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물을 관리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의 결정 및 물품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그에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되되, 바코드 체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필드와, 바코드에서 초기필드를 제외한 부분인 잔여필드로 구성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와, 수납되는 수납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물품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납물 관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초기필드 값에 따른 바코드 체계가 독립 바코드인 경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물품 정보 또는 기설정된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물품 정보로 저장하고, 초기필드 값에 따른 바코드 체계가 독립 바코드가 아닌 경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납물 관리를 수행하는 수납물 관리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검색결과에 따라 바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있는 경우, 대응된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정보 내의 개별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바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없는 경우, 입력부로부터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받아,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도록 물품 정보 및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된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수납물 관리 장치는 외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 또는 잔여필드값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개별 물품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정보 수신부로부터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수납하는 저장고와, 저장고에 대한 냉각 또는 냉장을 수행하는 냉각 수단과,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냉각 수단을 제어하며, 외부 전원을 동작하여, 냉각 제어 또는 냉동 제어를 수행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납물 관리 장치에 요구되는 사용전원을 수납물 관리 장치에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로 이루어진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물 관리 장치는 메인 제어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납물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따른 바코드에 대한 인식 및 관리를 수행하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자 등이 독립적으로 정의한 바코드 정보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제조하거나 남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들에 대한 처리를 통하여, 상당한 물품들을 직접 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각 장치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냉장고의 저장고 내에 수납 및 인출되는 수납물을 관리하여, 냉각 장치에 미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의 결정 및 물품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저장된 물품 정보를 적절하게 이용하되, 저장되지 않은 물품 정보에 대하여서는 신속한 확인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그에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납물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수납물 관리각 시스템은 냉각 장치(10)와, 냉각 장치(10)에 장착되거나,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냉각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인가받아 동작하는 수납물 관리 장치(20)로 이루어진다.
냉각 장치(10)는 수납물을 저장하는 저장고와, 저장고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필요한 사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저장고를 냉각시키는 냉각 사이클(즉, 냉각 수단)(12)과, 냉각 사이클(12)을 제어하여 저장고를 냉각시키는 메인 제어부(14)를 구비한다. 이 저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먼저, 전원부(11)는 냉각 장치(1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14)와, 냉각 사이클(12) 등)와, 수납물 관리 장치(20) 등에 필요한 사용전원(예를 들면, 5V, 12V 등)으로의 정류 및 평활, 변압 등을 수행하는 소자이다. 전원부(11)는 수납물 관리 장치(20)에 사용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고정식으로 설치된 경우, 전기 배선에 의해 공급할 수 있으며, 탈착식으로 설치된 경우,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냉각 장치(10)에 장착된 경우,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접촉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사이클(12)은 수납물을 냉각시키는 방법에 따라 간냉식과 직냉식으로 구분된다.
간냉식 냉각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수납공간 또는 수납물을 냉각시키는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와, 이렇게 발생된 냉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과, 수납공간으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유입덕트와, 수납공간을 통과한 냉기를 증발 기로 유도하는 토출덕트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간냉식 냉각 사이클은 응축기, 건조기, 팽창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직냉식 냉각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면에 인접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이루어진다. 다만, 직냉식 냉각 사이클은 응축기와 팽창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제어부(14)는 기본적으로 냉각 사이클(12)을 제어하여 저장고의 냉각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 장치(10)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게 이루어지며, 별도의 입력부, 표시부 등을 구비하여, 저장고 내의 온도 설정 및 온도 표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물 관리 장치(20)는 냉각 장치(10)로부터 사용전원을 인가받아 수납물 관리 장치(20) 내의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21)와,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 등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인식부(30)와, 물품 데이터베이스(DB)와 수납물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는 저장부(22)와, 음향을 표출하거나 음향을 인식하는 음향부(23)와, USB 매체와의 접속을 위한 USB 접속부(24)와, 수납물 정보 또는 물품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5)와, 사용자로부터의 명령과, 수납물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26)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냉장 장치(10)의 저장고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는 수납물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29)로 이루어진다.
전원인가부(21)는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냉각 장치(10)에 고정되는 고정식 인 경우에는, 전원부(10)로부터 사용전원을 인가받아, 필요한 경우 감압 또는 승압 등을 수행하여 필요한 사용전원을 공급하는 소자일 수 있다. 또는, 전원인가부(21)는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탈착식인 경우, 전원부(10)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소자를 구비하고,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고정된 경우에는 인가되는 사용전원을 바로 공급하거나 충전소자에 충전된 사용전원을 공급하며,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냉각 장치(10)로부터 분리된 경우, 이 충전소자에 충전된 사용전원이 공급된다.
저장부(22)는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납하는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에 대하여 바코드 인식부(30)가 인식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 DB와, 저장고에 수납된 수납물에 대한 정보(수납물 정보)를 저장하는 수납물 DB를 저장한다.
물품 DB는 예를 들면, KAN 바코드, 도소매 유통점 등에서 사용되는 바코드(이하, '마트 바코드'라 함), 제조자 등이 독립적으로 정한 바코드(이하, '독립 바코드'라 함)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대응하는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이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예를 들면, 적어도 물품의 종류 또는 명칭 등)을 저장한다. KAN 바코드는 해당 기관(유통물류 진흥원)에 등록된 바코드에 해당되므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최신 바코드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마트 바코드의 경우, 해당 업체로부터 필요한 바코드를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업데이트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KAN 바코드는 인식되는 바코드 정보(예를 들면, KAN 바코드의 경우는 880 1234 56789 3으로 구성되며, 880은 국가코드, 1234는 제조업 체코드, 56789는 상품품목코드, 3은 체크 디지트를 의미한다)를 포함하므로, 예를 들면, 상품품목코드에 의해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마트 바코드는 인식되는 바코드 정보(예를 들면, 마트 바코드의 경우는 120963 000940 00000으로 구성되며, 120963은 고유 식별자이고, 000940은 가격정보이며, 고유 식별자를 통하여 물품의 종류 또는 명칭등이 확인될 수 있다)를 통하여, 고유 식별자가 해당 물품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 고유 식별자는 물품 명칭이나 종류를 포함할 수도 있기에, 가능한 많은 업체의 마트 바코드에 대한 정보(물품 정보)를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포함하는 경우에는 KAN 바코드와 같이, 고유 식별자에 의해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대응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마트 바코드를 구비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이 고유 식별자는 해당 물품의 식별자로만 사용되고,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 등의 물품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부(26)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기에, 하기의 독립 바코드와 같이 처리될 수도 있다.
독립 바코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만든 음식물 등에 대한 관리를 위해, 또는 바코드가 제공되지 않는 물품 등을 위해, 사용자가 이러한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 등에 인쇄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독립 바코드는 바코드 정보(예를 들면, 200 0100로 구성되며, 200은 독립 바코드를 의미하는 부분이고, 0100은 단순 일련 번호일 수 있다)를 포함하나, 물품의 명칭이나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독립 바코드의 경우에는,그 바코드 정보가 사용자가 임의로 명칭 등을 입력하거나 제어부(29)에 의 해 임의로 또는 기설정된 명칭에 대응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납물 관리 장치(20)의 초기 상태에서는, 물품 DB가 독립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이후에 사용에 의해 독립 바코드가 인식될 경우에, 이러한 독립 바코드에 대응하는 독립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게 될 것이다.
상술된 물품 DB는 상술된 바코드 정보와, 각각의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물품 DB는 바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이에 대응하는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KAN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와, 마트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와, 독립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물품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물품 정보는 개별 물품에 대한 정보인 개별 물품 정보(예를 들면, 명칭 또는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물 DB는 사용자가 냉각 장치(10)의 저정고에 수납되거나 수납되고 있는 수납물에 대한 정보(수납물 정보)를 저장한다. 이 수납물 정보는 수납물의 명칭 또는 종류(예를 들면, 사과 또는 과일 등), 수납된 수납 위치(냉장실 또는 냉동실, 자세하게는 냉장실 상단 또는 하단 등), 수납물의 알림일(사용자에 의하거나 제어부(29)에 의해 설정되며, 사용자에게 경고 표시를 하여 수납물의 경과 시간의 임박 또는 도달 등을 알리기 위한 일자), 저장일(수납물이 저장되기 시작된 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납물 DB는 각 수납물의 명칭 또는 종류에 대응하는 바코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수납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이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수납물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도 있다.
음향부(23)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명령을 획득하거나, 제어부(29)로부터의 음성 또는 음향 표출 명령에 대응하여, 그에 따른 음성 또는 음향을 표출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 또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USB 접속부(24)는 USB 매체와의 접속을 위한 USB 포트 등을 구비하며, 제어부(29)는 이러한 USB 인식을 위한 드라이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USB 접촉부(24)를 통하여, 상술된 물품 DB의 각 바코드 체계의 업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저장매체가 접속가능하고, 이에 제어부(29)가 USB 저장매체로부터 이러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부(22) 내의 물품 DB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25)는 수납물 정보 또는 물품 정보 등을 표시하되, LCD 디스플레이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6)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수납물 검색 모드, 수납물 추가 모드, 수납물 삭제 모드, 바코드 인식부(30)의 온/오프, 바코드 인식부(30)의 동작 시작 또는 종료 등)과, 수납물에 대한 정보인 수납물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이 입력부(26)는 별도의 키보드와 같이 구성되거나, 표시부(25)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형식일 수 있다.
바코드 인식부(30)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소자로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며, 인식된 광에 따라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29)로 전송한다. 이 바코드 인식부(30)은 통상적으 로 모듈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바코드 인식부(30)는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 또는 다차원 바코드 등도 인식할 수 있다.
스위치(32)는 제어부(29)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바코드 인식부(30)를 온/오프 시키거나, 제어부(29)에 연결되어, 바코드 연산부(30)에 의한 판독 과정(광의 조사 및 수광 과정)이 스위치(32)의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이러한 2가지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구현될 수 있기에 점선으로 데이터의 흐름을 표시하였다. 특히, 이 스위치(32)로부터의 입력이 획득되는 시간 동안만 바코드 연산부(30)의 판독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9)는 사용자가 저장고에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 또는 인출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에 대한 관리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수납물 관리 장치(2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현재의 시간 또는 시각 및 경과 시간, 예약된 시간 등의 연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29)는 수납물 추가 모드, 수납물 검색 모드, 수납물 삭제 모드 등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이루어진다.
수납물 추가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물품 또는 수납물을 냉각 장치(10) 내의 저장고 내에 수납하고자 하는 때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물 검색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물품 또는 수납물이 냉각 장치(10) 내의 저장고 내에 수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물 삭제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저장고에 저장 중인 수납물 또는 물품을 완전히 소모하거나 폐기하여, 저장고에 수납되지 않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수납물 정보를 삭제할 필요가 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수납물 삭제 모드는 상술된 수납물 검색 모드와 동일하게 수행되어, 검색된 수납물 정보에 대하여, 제어부(29)는 입력부(26)를 통하여 삭제 명령의 입력을 획득하고, 이 삭제 명령에 따라, 해당 수납물 정보를 수납물 DB로부터 삭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각 장치(10)의 정면도로서, 냉각 장치(1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저장실(미도시)인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공되고, 상기 저장실(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200)를 포함하여 주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어(20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210) 또는 홈바(22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21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0)의 전면에 구비되며,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00)의 내부에 구비된 제빙실(280)과 정수장치(미도시)에서 제빙된 얼음과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홈바(22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0)의 전면에 구비되며, 빈번하게 출입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 등을 상기 냉장실 도어(200)의 개방 없이 상기 홈바(220) 도어(200)의 개폐만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 장치(10)나 김치냉장고에 보관된 각종 수납물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 중, 특히 수납물의 종류와 유 통기한 또는 사용자의 희망 저장기간 등을 입력, 저장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수납물 관리 장치(20)가 구비된다.
수납물 관리 장치(20)는 도어(200) 외측에 형성된 삽입홈(201) 내부에서 인입출 되며, 상기 삽입홈(201)은 수납물 관리 장치(2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거나, 수납물 관리 장치(2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실시예는 탈착형에 대한 것으로서, 삽입홈(201) 내에 충전단자(204)가 구비되어, 수납물 관리 장치(20)의 전원인가부(21)에 구비된 충전단자(미도시)와 접촉되어, 냉각 장치(10)로부터의 사용전원이 수납물 관리 장치(20)로 인가된다.
도 5a 내지 5c는 다양한 바코드 체계의 실시예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코드 체계는 상술된 KAN 바코드이다. KAN 바코드 체계는 국가코드(3자리), 제조업체코드(4자리), 상품품목코드(5자리), 체크 디지트(1자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한민국 내에서의 경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국가코드(예를 들면, 880)이 포함된 경우, 이 바코드는 KAN 바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코드 체계는 상술된 마트 바코드이다. 마트 바코드는 고유 번호(6자리)와, 가격정보(6자리)(예비자리로 6자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고유번호 중의 일부 또는 전체를 통하여, 해당 바코드가 마트 바코드임을 또는 특정 마트 바코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코드 체계는 상술된 독립 바코드이다. 독립 바코드는 독립 고유 번호(3자리)와, 단순 일련 번호(5자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전체 바코드 정 보 중에서 독립 고유 번호가 포함되는 좌측으로부터 3자리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현재의 3자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독립 바코드임을 또는, 특정 바코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동작 순서도는 물품을 저장고에 수납하기 위한 경우와 같이, 수납물 추가 모드의 수행 시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단계(S11)에서, 제어부(29)는 스위치(32)에 의한 바코드 인식부(30)의 온 명령에 의해, 또는 스위치(32) 또는 입력부(26)로부터의 바코드 인식 수행 명령에 의해, 제어부(29)는 바코드 인식부(30)를 동작 가능상태로 하여, 바코드 인식부(30)가 바코드를 인식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29)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 중에서, 초기필드를 판독한다. 여기서, 초기필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바코드 체계를 확인할 수 있는 좌측으로부터 3자리 또는 5자리의 디지트에 해당될 수 있다.
단계(S15)에서, 제어부(29)는 판독된 초기필드에 따라,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KAN 바코드인지를 확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판독된 초기 필드가 '880'을 포함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판독된 초기 필드가 '880'을 포함하면,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KAN 바코드이므로, 단계(S17)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29)는 저장부(22)의 물품 DB에 저장된 다수의 물품 정보 중에서, KAN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9)는 이후에는 KAN 바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29)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 중에서 초기 필드를 제외한 잔여필드(예를 들면, 상품품목코드(5자리))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내에 개별 물품 정보(개별 물품의 종류 또는 명칭 등)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잔여필드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가 있으면, 단계(S33)로 진행하고,그렇지 않으면 단계(S35)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29)는 판독된 초기필드에 따라,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독립 바코드인지를 확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29)는 초기필드(예를 들면, 3자리)가 예를 들면, '200'인지를 확인하여,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독립 바코드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독립 바코드는 다수의 독립 바코드를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독립 바코드이면, 단계(S2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제어부(29)는 사용자가 입력부(26)를 통하여,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부(25)에 필요한 화면을 표시하거나, 입력부(26)로부터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단계(S23)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뿐만 아니라, 저장부(22)에 기저장된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예를 들면, '미등록 식품')로 자동 설정하여,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의 입력을 대신할 수도 있다.
단계(S25)에서, 제어부(29)는 입력부(26)를 통하여 획득된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지닌 수납물에 대한 수납물 정보로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9)는 수납물 DB에 수납물 정보를 저장하고, 인식된 바코드 정보는 수납물 정보에 포 함되거나,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에 포함되어 물품 DB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물품 DB에 저장될 때, 단계(S21) 및 (S23)을 통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독립 바코드의 잔존 필드(또는 전체 필드)와, 입력된 물품 정보를 독립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물품 DB에 저장될 때, 단계(S31) 및 (S23)을 통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초기 필드(예를 들면, 5자리)(또는 잔여 필드 또는 전체 필드)와, 입력된 물품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마트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S31)에서, 제어부(29)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에 따라,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KAN 바코드도 아니고, 독립 바코드도 아니기에, 제어부(29)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마트 바코드인 것으로 일단 판단하여, 물품 DB 내에서 마트 바코드 체계에서 대응하는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대응하는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가 있으면 단계(S3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21)에서 단계(S31)로 진행되는 경우, 마트 바코드뿐만 아니라, KAN 바코드 체계 및 독립 바코드 체계가 아닌 바코드에 대한 물품 정보의 입력 및, 수납물 정보로의 저장 및,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개별 정보)로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S33)에서, 제어부(29)는 잔여필드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수납물 DB에 저장한다.
단계(S35)에서, 제어부(29)는 잔여 필드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가 없기에, 이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부(25)에 표시한다.
다만, 단계(S19)에서, 제어부(29)는 잔여 필드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가 없는 경우, 단계(S23)로 진행하여, 입력부(26)를 통하여,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S25)에서, 물품 DB에 저장될 때, 단계(S19) 및 (S23)을 통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잔여 필드와, 입력된 물품 정보를 즉, KAN 바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동일한 잔여 필드에 대해서는, 기저장된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에 따라, 인식되는 동일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단계들에서,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독립 바코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1)과, 단계(S15)는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술된 단계(S15), (S19), (S21), (S31)은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검색하여, 결정하는 과정이다.
도 7a 내지 7e는 수납물 관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들이다.
도 7a는 사용자가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부(25)가 제어부(29)에 의해 표시한다. 화면 정보는 문자입력부(40)와, 문자삭제부(42)와,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표시부(46)과,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를 표시하는 명칭 표시부(48)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문자입력부(40)는 터치패드 형태의 입력부(26)의 일부로서, 입력가능한 문자(예를 들면, 자음과, 쌍자음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에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29)는 접촉된 문자를 문자표시부(46)에 표시한다. 또한, 문자입력부(40)는 자음 버튼들과, 자음을 쌍자음으로 변환시키는 쌍자음 버튼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자음 이외에도 모음의 입력을 위한 모음 버튼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22)는 추가적으로 물품 정보인 물품의 명칭 또는 종류를 저장하는 추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제어부(29)는 추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접촉된 문자에 대응하는 명칭 또는 종류들을 물품 표시부(48)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명칭 표시부(48)에 표시되는 명칭 또는 종류들 중에서 원하는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명칭 표시부(48) 상에도 역시 터치패드 형태의 입력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는 문자입력부(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가능하거나 입력가능한 초성(또는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된다. 다만, 현재의 경우, 초기 입력모드이므로, 제어부(29)는 모든 자음이 입력가능한 것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물품 정보 또는 수납물 정보를 검색하여, 각 명칭 또는 종류의 첫 음절의 초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초성만이 문자입력부(40)에 표시되거나, 입력가능한 초성과, 입력불가능한 초성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7a의 화면 정보는 상술된 단계(S23)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b는 사용자가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부(25)가 제어부(29)에 의해 표시한다. 제어부(29)가 사용자가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물품의 종류 또는 명칭을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터치패드 형식인 입력부(26)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여, 이 획득된 정보(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어패류, 과일/야채, 기타 등)를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b의 화면 정보는 상술된 단계(S23)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c는 바코드가 인식된 이후에, 바코드 정보에 따라 물품 정보가 제어부(29)에 의해 기설정된 명칭으로 결정된 경우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물품인 '미등록 식품'은 상술된 단계(S23)에 의해 설정된 물품 정보(또는 개별 물품 정보)에 해당된다. 또한,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칭 '코코아', '음용유' 등이 표시된다. 아울러, 제어부(29)는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산정된 시각 또는 시간에 의해 저장일을 결정한다. 도 7c의 보관 위치, 명칭, 저장일, 경과일, 알림일 등이 수납물 정보로 수납물 DB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d는 단계(S35) 또는 단계(S31)에서, 제어부(29)가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가 검색되지 않고, 즉 저장부(22)의 어떠한 DB에도 저장되고 있지 않을 때, 표시부(25)에 표시하는 화면 정보이다. 특히, 단계(S31) 또는 (S35)에서,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가 없을 경우, 도 7d의 화면을 표시한 후, 단계(S23)로 모두 진행할 수도 있다.
도 7e는 도 7c의 화면 정보에서, 사용자가 명칭 '미등록 식품'을 선택한 경 우, 표시부(25)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이다. 도7e에서, 제어부(29)는 물품 명칭 '미등록 식품'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5)의 표시에서, 사용자는 보관위치, 물품 명칭의 상세 입력, 알림일의 수정, 삭제, 화면 닫기 등을 선택 입력가능하도록, 입력부(26)가 설치된다. 즉, 입력부(26)가 표시부(25) 상에 형성된 터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코드 인식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방법이 적용된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물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다양한 바코드 체계의 실시예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7e는 수납물 관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들이다.

Claims (9)

  1.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되되, 바코드 체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필드와, 바코드에서 초기필드를 제외한 부분인 잔여필드로 구성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와, 수납되는 수납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물품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납물 관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초기필드 값에 따른 바코드 체계가 독립 바코드인 경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물품 정보 또는 기설정된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물품 정보로 저장하고,
    초기필드 값에 따른 바코드 체계가 독립 바코드가 아닌 경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납물 관리를 수행하는 수납물 관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검색결과에 따라 바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있는 경우, 대응된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정보 내의 개별 물품 정보를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바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부에 없는 경우, 입력부로부터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받아,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도록 물품 정보 및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된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개별 물품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되지 않은 개별 물품 정보를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납물 관리 장치는 외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초기필드값에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개별 물품 정보, 또는 잔여필드값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의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을 기준으로 하여 개별 물품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정보 수신부로부터 초기필드 또는 잔여필드값에 대응하는 개별 물품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개별 물품 정보를 수납물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수납물 관리 시스템은 수납물 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수납하는 저장고와, 저장고에 대한 냉각 또는 냉장을 수행하는 냉각 수단과,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냉각 수단을 제어하며, 외부 전원을 동작하여, 냉각 제어 또는 냉동 제어를 수행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납물 관리 장치에 요구되는 사용전원을 수납물 관리 장치에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로 이루어진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관리 시스템.
KR1020090006238A 2009-01-23 2009-01-23 수납물 관리 시스템 KR10110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38A KR101105119B1 (ko) 2009-01-23 2009-01-23 수납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38A KR101105119B1 (ko) 2009-01-23 2009-01-23 수납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812A KR20100086812A (ko) 2010-08-02
KR101105119B1 true KR101105119B1 (ko) 2012-01-16

Family

ID=4275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238A KR101105119B1 (ko) 2009-01-23 2009-01-23 수납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17A (ko) * 2000-04-12 2001-11-07 김진태 바코드를 사용하여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78939A (ko) * 2006-01-31 2007-08-03 박성미 주방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17A (ko) * 2000-04-12 2001-11-07 김진태 바코드를 사용하여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78939A (ko) * 2006-01-31 2007-08-03 박성미 주방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812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8616C (zh) 具有动画显示操作的冰箱
CN102564053B (zh) 冰箱及该冰箱的控制方法
RU2307296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ил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US20190353421A1 (en) Inventory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A2365047C (en) Chiller control system
CN108224896A (zh) 冰箱管理设备、系统、冰箱及移动终端
JP2008037561A (ja) 物品保管位置管理システム
KR20120116751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60119580A (ko) 냉장고 물품관리제어 시스템
EP0142688B1 (en) Improved refrigerating device
JP2005037086A (ja) 冷蔵庫並びに冷蔵庫の食品管理方法
JP2003114075A (ja) 食品トレイと個室食品保管庫及び食品管理システム
KR101105119B1 (ko) 수납물 관리 시스템
KR100635990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냉장고의 물품정보관리시스템
CN110892217A (zh) 用于组装冷却设备的方法、实施该方法的组装线以及所述冷却设备的隔室
US20060090482A1 (en) Blood products freezer with event log
KR20100097527A (ko) 냉장고용 rfid 시스템
KR20060104364A (ko) 지능형 냉장고
JP2006329599A (ja) 冷蔵庫
CN100494838C (zh) 一种冰箱食品管理方法
KR101048180B1 (ko) 수납물 관리 시스템
KR20100086802A (ko) 수납물 관리 방법
KR20100086807A (ko) 수납물 관리 시스템
KR20100086809A (ko) 수납물 관리 방법
KR20100086810A (ko) 수납물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