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751A -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751A
KR20120116751A KR1020110034383A KR20110034383A KR20120116751A KR 20120116751 A KR20120116751 A KR 20120116751A KR 1020110034383 A KR1020110034383 A KR 1020110034383A KR 20110034383 A KR20110034383 A KR 20110034383A KR 20120116751 A KR20120116751 A KR 2012011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efrigerator
information
storag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희
오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751A/ko
Publication of KR2012011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식품이 수납되며, 수납된 식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품 관리를 수행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관리를 위하여,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인식된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 및 기준 보관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 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된 식품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도록 구성되어, 장기간 저장된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식품이 수납되며, 수납된 식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품 관리를 수행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관리를 위하여,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인식된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 및 기준 보관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보관기간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식품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에 오랜기간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여 소비 또는 폐기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내에는 신선한 상태의 식품만을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 내의 위생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준 보관기간 이상 저장된 식품의 섭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강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플레이부의 메인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관기한이 설정(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플레이부의 메인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 또는 식품의 관리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10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일정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영역 표시부(110) 및 제 2 영역 표시부(1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영역 표시부(110)에는, 냉장고의 저장 공간 모습을 도시하는 냉장고 표시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고 표시부(115)에는, 식품의 냉장 저장이 가능한 냉장실 영역을 나타내는 냉장실 표시부(116)와, 식품의 냉동 저장이 가능한 냉동실 영역을 나타내는 냉동실 표시부(117)와,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영역을 나타내는 도어 표시부(118) 및 식품의 간편 취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홈바(매직 스페이스) 영역을 나타내는 홈바 표시부(119)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에는 선반 및 야채실이 포함되며, 상기 냉동실에는 선반, 급속 냉동실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홈바 영역에는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홈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냉장실, 냉동실, 도어 및 홈바는 식품이 수납이 가능한 저장공간(수납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표시부(120)에는, 냉장고에 저장 가능한 식품 목록이 표시되는 식품목록 표시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식품목록 표시부(125)는 식품이 냉장고에 입출되는 빈도에 따라 정렬되는 제 1 표시부 및 식품이 구별되는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되는 제 2 표시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제 2 표시부의 화면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빈도별" 버튼을 터치하면 입출 빈도에 따라 정렬되는 식품목록 표시부(125)가 디스플레이 되고, "카테고리별" 버튼을 터치하면 화면이 전환되어 식품의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식품목록 표시부(125)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식품목록 표시부(125)에 표시되는 식품은 소정 방법에 의하여, 상기 냉장고 표시부(115)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 방법에 의하여, 냉장고에 저장될 식품의 보관 위치가 매칭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방법에는,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방식, 상기 식품목록 표시부(125)의 일지점 선택후 상기 냉장고 표시부(115)의 일지점을 선택하여 매칭하는 방식 또는 매칭될 내용(식품명, 저장위치)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표시부(115)에는, 저장될 식품에 관련한 소정 정보가 표시되는 식품 표시부(115a)가 포함된다. 상기 식품 표시부(115a)에는, 식품명 또는 식품에 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방법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식품과 저장위치가 매칭되면 상기 식품 표시부(115a)에는 저장될 식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디스플레이부(10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홈 버튼(131)과, 소정 메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메뉴 버튼(132)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이전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전 버튼(133)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구성이 메인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부(135)가 표시된다. 현재 시간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CLOCK(220, 도 3 참조)에서 측정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냉장고 외부의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아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 장치, 일례로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휴대폰 정보 업데이트" 선택부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이용하여 조리 가능한 조리법(recipe)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조리법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레시피" 선택부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 구매할 리스트를 확인 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쇼핑 리스트" 선택부 및 저장된 식품 목록을 삭제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휴지통" 선택부가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냉장고에 저장될 또는 저장되고 있는 식품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상세정보 표시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식품 표시부(115a)의 일 영역을 선택(터치, 버튼 방식등에 의하여)하면, 상기 메인 화면으로부터 전환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선택된 해당 식품에 관한 상세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가 이미지로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151)와, 상기 정보가 텍스트로 표시되는 텍스트 표시부(152) 및 해당 식품의 보관량을 설정할 수 있는 보관량 입력부(155)가 포함된다.
상기 보관량 입력부(155)에는, 보관량을 조절할 수 있는 "+" 및 "-" 입력부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를 선택함으로써 식품의 보관량, 특히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해당 식품의 보관기관과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관기간 표시부(1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보관기간 표시부(160)에는, 보관기간 정보가 그래프로 표시되는 그래프 표시부(161)와, 식품의 보관기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준시점을 표시하는 다수의 기준시점 표시부(163,165,167)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기준시점 표시부(163,165,167)에는, 식품의 보관시작 시점으로서 규정되는 제 1 기준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기준시점 표시부(163)와, 현재 시점으로서 규정되는 제 2 기준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제 2 기준시점 표시부(165) 및 보관기간 만료시점으로서 규정되는 제 3 기준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기준시점 표시부(167)가 포함된다. 물론, 상기 보관기간 만료시점(유통기한)은 식품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보관시작 시점은 식품이 냉장고에 입고되는 시점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즉, 보관시작 시점은 식품이 냉장고에 입고됨과 동시에 설정(입력)될 수도 있고, 입고 이후 또는 입고 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관시작 시점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텍스트 또는 음성 입력방식으로 보관시작 시점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보관시작 시점은 컨슈머블 리더(Consumable reader)에 의하여 자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식품은 소비되는 물품으로서 "Consumable"로서 이해되며, 리더(reader)는 이러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이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 리더에는, 촬영장치, RFID, 바코드 리더 또는 무게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소정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식품 구매정보가 상기 냉장고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달된 시점이 상기 보관시작 시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식품을 구매한 구매처의 서버로부터 냉장고로 식품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식품의 실제 입고시점보다 보관시작 시점이 더 빠를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상기 제 1 기준시점 및 제 2 기준시점을 인식하고, 상기 제 1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제 2 기준시점까지의 보관 경과기간이 산출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 경과기간"은 식품 관리를 위한 "기준 보관기간"의 일 실시예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준시점 및 제 2 기준시점이 10월 1일 및 10월 5일로 인식되고, 상기 제 1 기준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4일이 경과하였다는 경과기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표시부(161)에는, 상기 제 1 기준시점으로부터 제 2 기준시점까지 경과한 보관기간이 표시(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경과한 보관기간은 그래프 내에서 별도의 색상 또는 명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냉장고에 저장될 식품의 보관기간과 관련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보관기한 설정부(168)가 포함된다. 상기 보관기한 설정부(168)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기준시점 또는 제 3 기준시점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보관기간과 관련하여 특정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조건검색 입력부(169)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건검색 입력부(169)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기준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시점 및 보관기간과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냉장고(10)에는, 식품에 관한 정보 또는 식품관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10)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터치 스크린 입력부 또는 버튼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는 일례로, 식품 종류, 식품명 또는 식품 무게와 같은 식품 자체에 관한 정보(이하, 식품자체 정보)로서 이해되며, 상기 식품관리에 관한 정보는 식품의 보관위치, 보관량, 보관기간 또는 입출고 히스토리와 같은 정보(이하, 식품관리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자체 정보 및 식품관리 정보를 합하여, "식품 정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현재시간을 카운팅 하는 클락(CLOCK,220) 및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 또는 식품관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30)가 포함된다. 상기 클락(220)은 상기 제 2 기준시점을 규정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0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건검색 입력부(169)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식품의 보관 경과기간(보관 경과일)과 관련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기준 경과기간(기준 경과일)을 입력할 수 있는 기준 경과기간 설정부(158)가 포함된다. 상기 기준 경과기간 설정부(158)를 통하여 기준 경과기간을 1일씩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들 중 상기 제 1 기준시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준시점까지 경과된 보관 경과기간이 3일 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입력부(159)를 입력하면,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식품정보에 기초하여, 보관 경과기간이 3일 이상된 식품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 된 식품정보는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일례로,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보관 경과기간이 3일 이상된 식품으로서 쇠고기, 김치, 치즈 및 우유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관리 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이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는, 상기 경과기간이 큰 순서대로 차례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대상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시점 및 보관시작 시점을 인식하는 단계와, 보관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시점까지의 보관경과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경과 기간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의하여, 식품관리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관경과 기간과 관련한 특정 조건이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특정 조건에 따라 식품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식품관리에 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내용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상기 제 2 기준시점 표시부(165) 및 제 3 기준시점 표시부(167)이 표시된다.
상세히,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상기 제 2 기준시점 및 제 3 기준시점을 인식하고, 상기 제 2 기준시점으로부터 제 3 기준시점까지의 잔여 보관기간(잔여 보관일)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잔여 보관기간"은 식품 관리를 위한 "기준 보관기간"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준시점 및 제 3 기준시점이 10월 5일 및 10월 10일로 인식되고, 상기 제 2 기준시점으로부터 제 3 기준시점까지 잔여 보관일이 3일 남았음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표시부(161)에는, 상기 제 2 기준시점으로부터 제 3 기준시점까지 잔여 보관기간이 표시(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잔여 보관기간은 그래프 내에서 별도의 색상 또는 명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건검색 입력부(169)를 선택하면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보관 잔여일과 관련하여 기준 잔여기간(기준 잔여일)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 잔여기간 설정부(171)가 포함된다.
일례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중 "보관 잔여일이 3일 이하인 식품"이 검색될 수 있다. 상기 기준잔여일 설정부(171)에 숫자 3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도 8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보관 잔여일이 3일 이하인 식품으로서 시금치, 토마토, 사과, 우유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관리 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이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는, 상기 보관 잔여일이 작은 순서대로 차례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대상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시점 및 보관만료 시점을 인식하는 단계와,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보관만료 시점까지의 보관잔여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잔여 기간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의하여, 식품관리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관잔여 기간과 관련한 특정 조건이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특정 조건에 따라 식품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식품관리에 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검색을 수행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세정보 표시부(150)에는, 기준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시점 설정부(181) 및 기준 보관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 보관기간 설정부(183)가 포함된다.
상기 기준시점 설정부(181)는, 제 1 기준시점(보관시작 시점), 제 2 기준시점(현재시점) 및 제 3 기준시점(보관만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시점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보관기간 설정부(183)는, 특정 기간(일수)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검색하고자 하는 식품의 조건에는, 다수의 기준시점 중 어느 하나의 기준시점 및 특정 기준 보관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조건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선택된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세히,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들 중, 선택된 기준시점을 기초로 특정 기준 보관기간을 만족하는 식품이 인식되며, 인식된 식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는, 기준시점으로서 제 2 기준시점(현재시점)이 설정되고, 기준 보관기간이 3일 이상으로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결과가 도시된다. 즉, "현재시점으로부터 3일 이상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식품에는, 돼지고기, 닭고기, 무 및 우유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명과 각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 관리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식품은 기준 보관기간이 큰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오랜시간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여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0에는, 기준시점으로서 "제 2 기준시점(현재시점)"이 설정되고, 기준 보관기간이 "3일 이상"으로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결과가 도시된다.
기준시점에 관한 제 1 조건(현재시점) 및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제 2 조건(3일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기준 보관기간만큼 역산되어 해당 식품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시점으로부터 3일 이상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식품에는, 돼지고기, 닭고기, 무 및 우유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명과 각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 관리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식품은 기준 보관기간이 큰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오랜시간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여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에는, 기준시점으로서 "제 1 기준시점(보관시작 시점)"이 설정되고, 기준 보관기간이 "4일 이상"으로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결과가 도시된다.
기준시점에 관한 제 1 조건(보관시작 시점) 및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제 2 조건(4일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보관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기준 보관기간만큼 순산되어 해당 식품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시작 시점으로부터 4일 이상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식품에는, 치즈, 오리고기, 우유 및 멸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명과 각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 관리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식품은 기준 보관기간이 큰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오랜시간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여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2에는, 기준시점으로서 "제 3 기준시점(보관기간 만료시점)"이 설정되고, 기준 보관기간이 "3일 이내"인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결과가 도시된다.
상기 기준시점 설정부(181)를 통하여 상기 보관기간 만료시점을 선택한 경우, 상기 기준 보관기간 설정부(183)에 입력되는 내용은 특정 기간 "이내" 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시점 설정부(181)를 통하여 상기 현재시점 또는 보관시작 시점을 선택한 경우, 상기 기준 보관기간 설정부(183)에 입력되는 내용은 특정기간 "이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기준시점에 관한 제 3 조건(보관기간 만료시점) 및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제 2 조건(3일 이내)이 입력되면, 상기 보관기간 만료시점을 기준으로 기준 보관기간만큼 역산되어 해당 식품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기간 만료시점으로부터 3일 이내인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식품에는, 우유, 배추, 젓갈 및 고등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명과 각 식품에 대응하는 식품 관리정보(저장실, 경과일)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식품은 기준 보관기간이 작은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유통기한이 얼마남지 않은 식품을 확인하여 우선 처리(소비 또는 폐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관기한이 설정(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보관기한 설정표시부(190)가 포함된다. 상기 보관기한 설정표시부(190)는 도 2에 도시되는 보관기한 설정부(168)를 입력하는 경우 전환되는 화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보관기한 설정표시부(190)를 통하여, 사용자는 냉장고에 저장할 식품의 보관기한을 설정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식품의 보관기한을 변경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관기한 설정표시부(190)에는, 식품에 관한 제 1 기준시점(보관시작 시점)을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보관시작 시점 설정부(191) 및 식품에 관한 제 3 기준시점(보관기간 만료시점)을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보관만료 시점 설정부(195)가 포함된다.
상기 보관시작 시점 설정부(191) 및 보관만료 시점 설정부(195)에는, 년,월,일을 조절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완료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식품에 관한 보관기간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한 번 입력된 식품의 보관기간 정보는 추후 수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품의 보관기간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식품 관리에 대한 신뢰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냉장고 100: 디스플레이부
150: 상세정보 표시부 160 : 보관기간 표시부
161 : 그래프 표시부 163 : 제 1 기준시점 표시부
165 : 제 2 기준시점 표시부 167 : 제 3 기준시점 표시부
168 : 보관기한 설정부 169 : 조건검색 입력부

Claims (16)

  1. 식품이 수납되며, 수납된 식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품 관리를 수행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관리를 위하여,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인식된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 및 기준 보관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에는,
    식품의 보관시작 시점을 규정하는 제 1 기준시점;
    현재시간을 규정하는 제 2 기준시점; 및
    상기 식품의 보관기간 만료시점을 규정하는 제 3 기준시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점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 1,2 및 3 기준시점 중 2개의 기준시점을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보관기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상기 2개의 기준시점 사이의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준시점과 제 2 기준시점 사이의 기간으로서, 식품의 보관 경과기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보관 경과기간과 관련하여, 기준 경과기간이 인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보관 경과기간이 상기 기준 경과기간을 초과하면, 초과한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준시점과 제 3 기준시점 사이의 기간으로서, 식품보관의 잔여기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보관 잔여기간과 관련하여, 기준 잔여기간이 인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보관 잔여기간이 상기 기준 잔여기간보다 작으면,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수납될 식품의 입고시점이 인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입고시점은 상기 제 1 기준시점과 동일한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입고시점은 소비자 입력 또는 컨슈머블 리더에 의하여 인식 가능한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슈머블 리더에는,
    촬영장치, RFID, 바코드 리더 또는 무게센서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점은 현재시점이며,
    상기 기준 보관기간은 상기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점은 식품의 보관시작 시점이며,
    상기 기준 보관기간은 상기 보관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순산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점은 식품의 보관기간 만료시점이며,
    상기 기준 보관기간은 상기 보관기간 만료시점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보관기간이 큰 순서대로 또는 작은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10034383A 2011-04-13 2011-04-13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20116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83A KR20120116751A (ko) 2011-04-13 2011-04-13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83A KR20120116751A (ko) 2011-04-13 2011-04-13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51A true KR20120116751A (ko) 2012-10-23

Family

ID=4728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83A KR20120116751A (ko) 2011-04-13 2011-04-13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7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867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4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6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5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9972284B2 (en) 2014-02-12 2018-05-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4193A (ko) * 2017-05-10 2018-1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관리를 위한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시스템
KR101991424B1 (ko) * 2018-02-09 2019-06-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284B2 (en) 2014-02-12 2018-05-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24007B2 (en) 2014-02-12 2019-03-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8867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4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6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865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4193A (ko) * 2017-05-10 2018-1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관리를 위한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시스템
KR101991424B1 (ko) * 2018-02-09 2019-06-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751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005511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CN108027912B (zh) 基于库存的追踪、菜肴推荐、食物新鲜度通知以及来自个人食物库存的消耗通知
KR2014013973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9639823B2 (en) Electric product
TWM527082U (zh) 智慧型冰箱
KR2012011746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20118376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605214B1 (ko) 냉장고의 생활정보 제공장치
JP2024038399A (ja) 食材管理システムおよび食材管理方法
KR20140088325A (ko) 냉장고
KR20120118641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3251738A (zh) 食材管理系统
CN110177977A (zh) 用于准备和/或执行自动烹饪过程的系统
KR20180124193A (ko) 식품 관리를 위한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30010980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JP20211285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7039427B2 (ja) 冷蔵庫システム
JP2022071658A (ja) 食材管理システム
KR20150061045A (ko) 식품 재고 관리 및 조리법 검색 시스템
KR100660698B1 (ko) 식품 관리형 냉장고
KR20060111006A (ko) 식단 제공형 냉장고
KR20180006719A (ko) 바코드인식을 통해 유통기한과 칼로리 안내 기능을 갖는 다기능 주방용 디스플레이장치
WO2018134072A1 (en) System for preparing and/or performing an automatic cooking process
CN113642878B (zh) 食材贮存设备的食材管理系统及食材采购的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