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769B1 -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769B1
KR101104769B1 KR1020100098396A KR20100098396A KR101104769B1 KR 101104769 B1 KR101104769 B1 KR 101104769B1 KR 1020100098396 A KR1020100098396 A KR 1020100098396A KR 20100098396 A KR20100098396 A KR 20100098396A KR 101104769 B1 KR101104769 B1 KR 10110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housing
alarm
sensing switc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규
Original Assignee
유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규 filed Critical 유인규
Priority to KR102010009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부판(11,12), 측판(13), 후면판(14)으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여닫이타입의 도어(15)가 구비된 보관함에 있어서, 외부측 경보 부저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온/오프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1감지스위치(20)와; 상기 제1감지스위치(20)로부터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방상태에 따라 제1감지스위치의 접점을 단락시키는 작동체(3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내측으로부터 작동체(30)와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폐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2감지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보관함 내부에 간단히 부착 설치하여 보관함을 사용하는 시간 외의 통제시간에는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무단으로 도어의 개방이나 보관함의 본체 측 후면판을 파손하는 경우, 제1감지스위치, 제2감지스위치의 상호 유기적인 접점 단락 동작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여 보안물품의 도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Warning sign occurrence unit for goods storage box}
본 발명은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에 있어, 보관함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강제적인 개방시 혹은 보관함의 취약한 후면부위 파손시 경보를 발생시켜 물품 도난을 방지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함은 그 내부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철재 타입의 케비넷, 가정용 혹은 사무용, 열람용, 사물용 등의 가구 타입으로 목재로 제작한 보관함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보관함의 종류는 다양하며, 물품도난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없는 제품이거나, 물품도난에 대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디지털 타입 내지 수동식 자물쇠 타입)가 적용 설치되어 안전하게 보안서류, 물품을 보관하는 두 가지 타입의 보관함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는 노출된 잠금장치를 쉽게 다른 열쇠 도구 등으로 조작하여 무단으로 잠금을 해제하거나, 특히 가구 타입의 경우 비교적 취약한 후면판의 강제 파손이나, 도어의 잠금장치를 강제로 파손시켜 보관함 내부에 보관된 물품의 도난되는 사례가 있었다.
통상적으로 보관함에 마련되는 잠금장치의 경우, 사용상에 따라 보관함의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과 도난의 위험성이 많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일 예로 보안서류 등을 관리하는 기타 관공서 등에서도 보안통제의 기술은 고가의 PC네트워크, CCD카메라 등의 보안장비를 시설하여 사용되고 있는바, 이들 구성에 의한 보안 시스템은 고가장비의 보안설비 비용에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가의 장비는 건물 내외의 통로 상에 시설되고, 현장은 각 카메라 촬영을 통해 녹화된 자료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순 무인경비시설에 적합하다.
일반적인 보관함은 상기와 같은 장비의 설비 외에 통제시간만을 중점적으로 지역통제로서 보안할 수 있지만, 그 외에는 보안서류의 도난방지에 어려움이 있고 내부자에 의한 도난사건이 발생시 범인 색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에 있어, 보관함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강제적인 개방시 혹은 보관함의 취약한 후면부위 파손시 경보를 발생시켜 물품 도난을 방지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 하부판, 측판, 후면판으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여닫이타입 도어가 구비된 보관함에 있어서,
외부측 경보 부저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 부착되어 온/오프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1감지스위치와; 상기 제1감지스위치로부터 접촉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라 제1감지스위치의 접점을 단락시키는 작동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내측으로부터 작동체와 접촉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2감지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체는,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와, 상기 제1하우징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축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형성되고, 타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암나사부에는 나사조절봉이 체결되어 상기 관통과 반대되는 관통공에 돌출되는 작동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단차축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1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감지스위치는,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와, 양측으로 돌기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관통공에 안내되는 가압축 및 접점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안내되어 가압축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2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감지스위치는 본체를 이루는 후면판 내측에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은, 보관함 내부에 간단히 부착 설치하여 보관함을 사용하는 시간 외의 통제시간에는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무단으로 도어의 개방이나 보관함의 본체 측 후면판을 파손하는 경우, 제1감지스위치, 제2감지스위치의 상호 유기적인 접점 단락 동작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여 보안물품의 도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경보발생유닛이 적용된 보관함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발생유닛의 작동체와 감지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도어 개방시 경보발생유닛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 하부판(11,12), 측판(13), 후면판(14)으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여닫이타입의 도어(15)가 구비된 보관함에 있어서,
외부측 경보 부저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온/오프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1감지스위치(20)와; 상기 제1감지스위치(20)로부터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방상태에 따라 제1감지스위치의 접점을 단락시키는 작동체(3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내측으로부터 작동체(30)와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폐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2감지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보 부저 및 제1감지스위치 및 제2감지스위치에 연결되는 전선은 도면상에서 생략하기로 하며, 무선방식의 전자감응에 의해 동작 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제작은 대략 직육면체 형으로 대다수의 보관함 형태를 이루며, 도어(15)는 여닫이 타입으로 기술하였지만 서랍형태의 도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보발생유닛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체(30)는, 양측에 관통공(31a)(31b)이 형성된 제1하우징(31) 및 제1하우징(31)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32)와, 상기 제1하우징(31)의 관통공(31)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축(33a)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형성되고, 타측에 암나사부(33b)가 형성되며, 암나사부(33b)에는 나사조절봉(33)이 체결되어 상기 관통공(31a)과 반대되는 관통(31b)에 돌출되는 작동축(34)과, 상기 제1하우징(31) 내에 단차축(33a)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1압축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조절봉(33)은 본체(10)의 전면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2감지스위치(40)의 설치위치에 따라 작동체(30)가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나사조절봉을 작동축(34)의 암나사부(33b)로 조절하여 후술하는 제2감지스위치(40)의 접점축(44)의 단부에 소정간격 이격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감지스위치(40)는, 양측에 관통공(41a)(41b)이 형성된 제2하우징(41) 및 제2하우징(41)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42)와, 양측으로 돌기축(43a)(43b)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41)의 관통공(41a)(41b)에 안내되는 가압축(43) 및 접점축(44)과, 상기 제2하우징(41) 내에 안내되어 가압축(43)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2압축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체(30) 및 제2감지스위치(40)의 덮개(32)(42)에 고정부를 마련하여 별도의 체결부재로서 본체(10)의 상부판(11) 저면에 이들을 고정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덮개에 도포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작동체(30)의 나사조절봉(33)의 체결로서 제2감지스위치(40)와의 접점축(44)과 나사조절봉(33)의 단부의 밀착 정도로서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가압축의(43) 돌출정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스위치(20)는 본체(10)를 이루는 후면판(14) 내측에 부착 설치되어 후면판의 파손시 접점의 단락에 의한 오프되어 경보발생 부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의 적용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관함의 본체(10)의 상부판(11)의 저부에 경보발생유닛을 설치하되, 제2감지스위치(40)의 가압축(43) 단부는 본체(10)의 전면보다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하여 도어(15)의 배면 상부가 가압축(43)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발생유닛을 이루고 있는 제1감지스위치(20) 및 제2감지스위치(40)는 메인 제어에 의해 건물 내부에서의 통제시간 외에는 오프 된 상태에서 경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보관함의 보안이 이루어진다.
만약 보관함의 본체로부터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이면, 보관함의 개방상태를 알 수 있어 이를 인지하여 해당 보관함의 도어(15)를 닫아 줌으로써, 하나 또는 다수개의 보관함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보관함에 보관되는 서류나 기타, 중요 기자재, 보안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일률적인 통제시에는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메인 제어로 인해 경보발생 모드로 전환되어 이를 해제 않는 상태에서는 보관함의 보안이 작동중인 상태이다.
가령 보관함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무단으로 인출하기 위해 도어(15)를 개방시키면, 먼저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도어(15)의 닫힘에 의해 제2감지스위치(40)의 가압축(43)은 제2하우징(41) 내부에서 슬라이딩 동작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작동체(30)의 나사조절봉(33)으로부터 제2감지스위치(40)는 제2압축스프링(45)의 압축력 해제로서 접점축(44)이 단락되어 경보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경보음의 발생은 현재 해당하는 보관함이 허가없이 무단으로 개방된 상태를 통제실에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물품 도난에 바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측에 마련된 도어(15)가 아닌 후면판(14)을 강제로 파손시키는 경우, 후면판(14) 내측에 부착된 제1감지스위치(20)가 작동체(30)로부터 그 접촉이 이격되어도 상기와 같이 경보 부저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함으로써 보관함의 무단 개방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작동체(30)의 단차축(33a)은 제2감지스위치(40)의 가압축(43)에 의해 전반적으로 작동축(34)에 의해 단차축(33a)이 제1압축스프링(35)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후면판(45)이 파손되더라도 경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관함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별도의 통제시간에 무단으로 개방되거나 후면판측이 파손되는 상태에서는 무조건 경보가 발생함으로써 보안 하고자 하는 물품보관의 도난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4: 후면판
15: 도어 20: 제1감지스위치
30: 작동체 31: 제1하우징
32: 덮개 33: 나사조절봉
34: 작동축 35: 제1압축스프링
40: 제2감지스위치 41: 제2하우징
42: 덮개 43: 가압축
44: 접점축 45: 제2압축스프링

Claims (4)

  1. 상, 하부판(11,12), 측판(13), 후면판(14)으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여닫이타입의 도어(15)가 구비된 보관함에 있어서,
    외부측 경보 부저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온/오프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1감지스위치(20)와;
    상기 제1감지스위치(20)로부터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방상태에 따라 제1감지스위치의 접점을 단락시키는 작동체(3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내측으로부터 작동체(30)와 접촉 설치되어 도어(15)의 개폐에 따라 경보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제2감지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30)는,
    양측에 관통공(31a)(31b)이 형성된 제1하우징(31) 및 제1하우징(31)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32)와, 상기 제1하우징(31)의 관통공(31)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축(33a)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형성되고, 타측에 암나사부(33b)가 형성되며, 암나사부(33b)에는 나사조절봉(33)이 체결되어 상기 관통공(31a)과 반대되는 관통(31b)에 돌출되는 작동축(34)과, 상기 제1하우징(31) 내에 단차축(33a)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1압축스프링(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스위치(40)는,
    양측에 관통공(41a)(41b)이 형성된 제2하우징(41) 및 제2하우징(41)의 개방된 일방향을 덮는 덮개(42)와, 양측으로 돌기축(43a)(43b)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41)의 관통공(41a)(41b)에 안내되는 가압축(43) 및 접점축(44)과, 상기 제2하우징(41) 내에 안내되어 가압축(43)에 탄력을 부여하는 제2압축스프링(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스위치(20)는 본체(10)를 이루는 후면판(14) 내측에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KR1020100098396A 2010-10-08 2010-10-08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KR10110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96A KR101104769B1 (ko) 2010-10-08 2010-10-08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96A KR101104769B1 (ko) 2010-10-08 2010-10-08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769B1 true KR101104769B1 (ko) 2012-01-12

Family

ID=456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396A KR101104769B1 (ko) 2010-10-08 2010-10-08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337B1 (ko) 2018-04-02 2019-09-30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비상물품 보관함용 경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793A (ja) * 1992-07-25 1994-02-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回収装置
KR20090001732A (ko) * 2007-05-15 2009-01-09 (주) 호미인터랙티브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지식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793A (ja) * 1992-07-25 1994-02-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回収装置
KR20090001732A (ko) * 2007-05-15 2009-01-09 (주) 호미인터랙티브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지식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337B1 (ko) 2018-04-02 2019-09-30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비상물품 보관함용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2664B2 (en) Refrigerated container
EP2776650B1 (en) Electromechanical lock for cabinets, showcases and drawers
WO2009057613A1 (ja) 鍵付保管庫及び電子キー
US20200095801A1 (en) Door-locking device with safety system
WO2006056424A3 (de) Schliessanordnung
KR101104769B1 (ko) 물품 보관함용 경보발생유닛
US10858863B2 (en) Self-locking lock for merchandise security
KR20100011837A (ko) 범죄예방을 위한 홈네트워크 연동형 가구 일체형 서랍식금고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961130B1 (ko) 산업용 도어락의 도어 키 감지용 키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도어 키 감지기
CN206091723U (zh) 智能保险箱
CN105184933B (zh) 一种指纹锁
CN105491828B (zh) 一种具有防盗报警功能的新型机箱
EP3323755B1 (en) Electronic seal and electronic sealing system
EP1770735B1 (en) Safety switch
CN112211527B (zh) 一种财务重要文件管理装置
KR200380748Y1 (ko) 도어 천공 감지 센서를 이용한 무단 해정 방지용 디지털도어락
KR102113881B1 (ko)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CN203515128U (zh) 一种带有电子锁的涉密介质销毁设备
JP400595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CN105155934B (zh) 一种锁具
KR101498256B1 (ko)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NL2012381B1 (en) Locking device with tampering detection, lock plug for such locking device, cabinet provided with such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of a locking device.
US20150228138A1 (en) Locking apparatus
KR200198574Y1 (ko) 귀중품 보관함의 도난 방지장치
JP3114083U (ja) ノート型pc収納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