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00B1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Google Patents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4400B1 KR101104400B1 KR1020090048676A KR20090048676A KR101104400B1 KR 101104400 B1 KR101104400 B1 KR 101104400B1 KR 1020090048676 A KR1020090048676 A KR 1020090048676A KR 20090048676 A KR20090048676 A KR 20090048676A KR 101104400 B1 KR101104400 B1 KR 101104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sample
- inclined surface
- biomaterial
- rea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부가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생체물질에 대한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과 상기 생화학 반응 결과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검출장치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전달 전극을 구비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생체물질과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분석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시료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이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은 사용하는 기판이 실질적으로 두께가 있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시료 도입구에 시료를 도입할 때 손가락이 시료 도입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이오센서를 구성하는 기판이 실질적인 두께를 가지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시료 도입구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여 시료를 도입할 때 시료 도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biosensor)는 생물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질 등을 조사하는 측정 장치를 말하며, 생체 물질을 탐지소자로 사용하므로 감도와 반응 특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의료/의약 분야에서의 임상화학분석, 바이오산업의 공정계측, 환경계측, 화학물질의 안정성 평가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 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의약 진단 분야에서는 시료를 포함한 생체 시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오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센서는 탐지 소자의 종류에 따라 효소 분석법과 면역 분석법이 있고, 생체 시료 내 목적 물질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에 따라 광학적 바이오센서와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가 있다.
효소분석법 바이오센서는 효소와 기질, 효소와 효소 저해제의 특이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고, 면역분석법 바이오센서는 항원과 항체의 특이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다.
광학적 바이오센서는 광투과도, 흡광도 또는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목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방법이다. 분석하고자 하는 다양한 물질들의 반응 메커니즘이 이미 밝혀져 있고, 충분한 시간동안 반응이 이루어진 후에 측정하므로 측정 시간에 대한 편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비해 측정 시간이 길고 많은 양의 시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료의 혼탁도에 의해 측정 결과가 영향을 받고 광학부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는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목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는 극소량의 시료로도 신호 증폭이 가능하고 소형화가 쉬우며 측정 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정보통신기기 등과 쉽게 융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극 공정이 필요하고 생산 비용이 높으며 측정 신호가 반응 시간에 매우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료 도입을 위해 모세관 구조를 갖는 기존의 일회용 바이오센서는 시료 도입구가 직선인 경우 혈액 도입을 위해 손가락 등을 가져다 대면 시료 도입구가 완전히 막혀 시료 도입이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로쉬(Roche)가 제작한 바이오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도입구(12)에 만입(Indentation)과 노치(Notch)를 형성하여 시료 도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아크레이(Arkray)가 제작한 바이오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도입구(14, 16)를 형성하는 부분을 뾰족하게 만들어 손가락에 의해 시료 도입구(14, 16)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바이오센서는 모두 얇은 필름을 사용하는 평면적인 구조이므로 평면 가공만 가능하여 평면상에서 노치를 구현한다. 그러나 바이오센서의 제작에 사용하는 기판이 실질적으로 두께가 있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시료 도입구에 노치를 구현하는 것만으로는 시료 도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또한 기존의 바이오센서는 손가락을 가져다 댄 후 모세관에 혈액이 충분히 채워지기 전에 손가락을 떼는 경우 시료가 충분히 모세관 공간을 채우지 못해서 측정 결과가 일정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하는 기판이 실질적으로 두께가 있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시료 도입구에 시료를 도입할 때 시료 도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세관 공간에 시료가 충분히 채워지기 전에 손가락을 떼는 경우 시료가 모세관 공간을 충분히 채워주지 못하여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부가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생체물질에 대한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과 상기 생화학 반응 결과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검출장치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전달 전극을 구비하는 제2 기판 - 여기서,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시료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이 상기 오 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됨 - 과,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생체물질과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분석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시료 도입구와 반응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되는 제2 기판과, 상기 반응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제2 기판에 부착되는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과, 상기 반응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생체물질과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분석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은 사용하는 기판이 실질적으로 두께가 있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시료 도입구에 시료를 도입할 때 손가락이 시료 도입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은 시료를 추가적으로 보유함으로써 모세관 공간에 시료가 충분히 채워지기 전에 손가락을 떼는 경우에도 시료가 모세관 공간을 충분히 채우도록 하여 동일한 시료에 대해 일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이오센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은 바이오센서의 측면도이고, 도 3(b)은 바이오센서의 평면도이며, 도 3(c)은 바이오센서의 전면도이다.
접합기판(105)은 물리적 지지 역할을 하며, 시료 도입구(101)를 구비하는 오목부(110)가 일 측면에 형성된다. 반응기판(104)은 기준전극(102)과 작동전극(103)과 전달 전극(112, 113)을 구비한다. 분석시약(도시되지 않음)은 기준전극(102)과 작동전극(103)을 가로질러 반응기판(104)에 고정되어 오목부(110) 내에 위치한다. 분석시약과 시료와의 생화학 반응은 분석시약이 고정된 기준전극(102)과 작동전극(103) 주위에서 일어난다. 전달 전극(112)은 기준전극(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달 전극(113)은 반응전극(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써 분석시약과 시료 사이의 생화학 반응 결과 기준전극(102)과 작동전극(103)에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검출장치로 전달한다. 여기에서는 기준전극 및 작동전극과 같이 생화학 반응에 관련되는 전극을 총칭하여 '반응 전극'이라고 하여, 생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신호 를 측정 장치에 전달하는 전달 전극과 구별하여 사용한다.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은 이 기술분야에서 흔히 대응전극(counter electrode)이라고도 불린다.
도 3에서 시료 도입구(101)는 전면이 개방된 오목부(110)를 구비하는 접합기판(105)과 전극들이 형성된 평면 구조의 반응기판(104)을 접합하므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전면이 개방되지 않은 오목부의 일부만을 반응기판이 덮고 나머지 일부의 오목부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시료 도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기판(105)과 반응기판(104)은 접합되면서 모세관 구조의 반응챔버(reaction chamber)를 형성한다. 반응기판(104)은 기준전극(102)과 작동전극(103)이 오목부(110)를 향하도록 하면서, 오목부(110)가 반응기판(104)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면(109)과 벤트 슬릿(vent slit)(107)을 형성하도록 접합기판(105)에 부착된다. 벤트 슬릿(107)은 시료 도입구(101)와 연속하여 바이오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이오센서(100)의 길이 방향은 시료가 오목부(110) 또는 반응챔버에 도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응기판(104)에서 오목부(110)를 향하는 측면에는 기준전극(102) 및 작동전극(103)이 형성되고, 반대 면에는 기준전극(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달 전극(112)과 작동전극(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달 전극(113)이 형성된다. 전달 전극(112, 113)은 반응기판(104)을 관통하는 전도체(114)를 통해 기준전극(102) 및 작동전극(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 전극(112, 113)이 반응기판(104)에서 기준전극(102) 및 작동전극(103)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나, 동일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료 도입구(101)의 반대쪽에서 접합기판(105)에 벤트 호울(vent hole)(106)이 형성되어 있으나, 벤트 호울은 반응기판(104)에 형성되거나 어느 기판에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반응챔버 내로 도입되며, 이러한 모세관은 오목부(110)를 향하는 반응기판(104)의 측면과 접합기판(105)의 오목부(110)의 바닥면 사이에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또한 반응기판(104)의 모서리 면(109)과 오목부(110)의 벽면(111) 사이에서도 형성된다. 즉, 벤트 슬릿(107)은 시료가 도입됨에 따라 반응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공기 출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반응챔버 내로 시료가 도입되도록 하는 모세관을 형성하므로 시료가 반응챔버 내로 아주 빠르게 유입되도록 한다.
시료가 분석시약과 반응하는 공간에서 반응기판(104)은 물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즉, 기존의 바이오센서들과는 달리 반응기판(104)은 벤트 슬릿(107)에 의해 다른 어떤 기판과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에에서 벤트 슬릿(107)은 특정 기판을 별도로 가공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응기판(104)과 접합기판(105)의 위치 관계의 결과로서 3차원적으로 형성된다. 벤트 슬릿(107)의 공간은 반응기판(104)의 두께에 의해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시료 도입구에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구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의 점선 부분(A)을 확대한 것이다.
도 4(a)는 시료 도입구(406)를 향한 높이 방향의 경사면(408)이 반응기판(402)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시료 도입구(406)는 반응기판(402)과 접 합기판(404)에 의해 형성되며, 반응기판(402)과 접합기판(404)은 끝 부분이 일치한다. 도 4(b)는 시료 도입구(414)를 향한 높이 방향의 경사면(416)이 접합기판(412)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시료 도입구(414)는 반응기판(410)과 접합기판(412)에 의해 형성되며, 반응기판(410)과 접합기판(416)은 끝 부분이 일치한다.
도 4(c)는 시료 도입구(422)를 향한 높이 방향의 경사면(424)이 반응기판(418)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시료 도입구(422)는 반응기판(418)과 접합기판(420)에 의해 형성되며, 경사면(424)이 형성된 반응기판(418)의 끝 부분은 접합기판(420)의 끝 부분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d)는 시료 도입구(430)를 향한 높이 방향의 경사면(432)이 접합기판(428)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시료 도입구(430)는 반응기판(426)과 접합기판(428)에 의해 형성되며, 경사면(432)이 형성된 접합기판(428)의 끝 부분은 반응기판(426)의 끝 부분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c)와 도 4(d)와 같이 반응기판과 접합기판의 끝 부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손가락에 의해 시료 도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나, 짧은 쪽을 기준으로 전극이 형성되어 전극 면적이 좁아지는 약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도입구를 정의하는 접합기판 또는 반응기판 부분에 시료 도입구를 향하는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면 시료 도입을 위해 손가락을 가져다 댔을 때 손가락이 시료 도입구를 막지 않아 시료 도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경사면은 저장소(reservoir)와 같이 시료를 추가적으로 보유하므로써 모세관이 충분히 채워지도록 하여 시료에 따라 측정 결과가 일정하도록 한다.
도 5는 경사면에 원형의 돌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접합기판(502)의 끝 부분에 경사면(504)이 형성되고, 경사면(504)의 중앙 부분에 원형의 돌기(506)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04)에 형성된 돌기(506)는 시료 도입구(508)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료가 돌기(506)에 걸리도록 하여 시료를 추가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5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경사면에 원형의 돌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하나의 원형 돌기(602)가 경사면(604)에 형성된 경우이고, 도 6(b)는 복수개의 원형 돌기가 한 줄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이며, 도 6(c)는 복수개의 원형 돌기가 어레이 형태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이다. 원형 돌기가 경사면에 많이 형성될수록 시료 도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시료를 보유하는 능력이 큰 경향이 있다. 도 6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경사면에 띠 형태의 돌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하나의 띠 형태의 돌기(702)가 경사면(704)에 형성된 경우이고, 도 7(b)는 복수개의 띠 형태의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이며, 도 7(c)는 복수개의 띠 형태의 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이다. 띠 형태의 돌기가 경사면에 많이 형성될수록 시료 도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시료를 보유하는 능력이 큰 경향이 있다. 도 7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면이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b)와 같이 복수개의 띠 형태의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시료 보유 능력이 크며, 도 7(c)와 같이 띠 형태의 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띠 형태의 돌기가 시료 도입의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모세관 공간으로 시료를 도입하는 능력이 크다.
도 8은 경사면의 모서리에 돌기 또는 노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경사면(802)의 하단 모서리(803)에 돌기(804)가 있는 경우이다, 도 8(b)는 경사면(806)의 하단 모서리(807)에 노치(808)가 형성된 경우이다. 이러한 돌기(804)와 노치(808)는 경사면(802, 806)과 함께 시료 도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경사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노치와 경사면 내부에 형성된 원형 또는 띠 형태의 돌기가 조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경사면(902)의 모서리에 형성된 노치(904)와 경사면(902)의 내부에 형성된 어레이 형태의 원형 돌기(906)가 조합된 경우이고, 도 9(b)는 경사면(908)의 모서리에 형성된 노치(910)와 경사면(908)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태의 돌기(912)가 조합된 경우이다. 도 9에는 경사면 내부에 원형 또는 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응 전극과 전달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판(1402)의 일 측에 형성된 전달 전극(1406)은 반응기판(1402)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전도성 클램핑 부재(conductive clamping member)(1408)를 통해 반응 전극(1404)과 전기적으로 연 결될 수 있다. 전달 전극(1406)과 반응 전극(1404)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전도성 클램핑 부재(1408)로는 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위 실시예는 2 전극계를 대상으로 하나, 본 발명은 3 전극계를 포함한 모든 전극 형태에 적용된다.
도 1은 만입(indentation)과 노치(notch)를 구비한 종래 바이오센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시료 도입구를 돌출 형태로 갖는 종래 바이오센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이오센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시료 도입구에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구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경사면에 원형의 돌기 또는 홈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경사면에 원형의 돌기 또는 홈을 복수개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경사면에 띠 형태의 돌기 또는 홈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경사면의 모서리에 돌기 또는 노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경사면의 모서리에 노치를 구비하고 경사면 내부에 원형 또는 띠 형태의 돌기 또는 홈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반응 전극과 전달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0)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오목부가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기판;상기 생체물질에 대한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복수의 반응 전극과 상기 생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전극을 구비하는 제2 기판; 및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생체물질과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분석시약을 포함하며,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시료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반응 전극이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되고,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제1 기판;시료 도입구와 반응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되는 제2 기판;상기 반응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제2 기판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 및상기 반응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생체물질과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분석시약을 포함하며,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시료 도입구를 향해 높이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시료 도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오목부가 상기 제2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면과 벤트 슬릿(vent sli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돌기 또는 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돌기 또는 홈은 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돌기 또는 홈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계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판 또는 제2 기판은 노치(notc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수직 방향으로 띠 형태의 돌기 또는 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띠 형태의 돌기 또는 홈은 상기 노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물질 측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676A KR101104400B1 (ko) | 2009-06-02 | 2009-06-02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EP10783522A EP2439523A2 (en) | 2009-06-02 | 2010-04-30 | Biosensor for measuring biomaterial |
PCT/KR2010/002738 WO2010140773A2 (ko) | 2009-06-02 | 2010-04-30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CN201080029854.2A CN102460138B (zh) | 2009-06-02 | 2010-04-30 | 测量生物材料的生物传感器 |
JP2012513858A JP5343258B2 (ja) | 2009-06-02 | 2010-04-30 | 生体物質を測定するバイオセンサ |
BRPI1010026A BRPI1010026A2 (pt) | 2009-06-02 | 2010-04-30 | biossensor para medir biomaterial |
US13/375,331 US20120067722A1 (en) | 2009-06-02 | 2010-04-30 | Biosensor for measuring biomateri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676A KR101104400B1 (ko) | 2009-06-02 | 2009-06-02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028A KR20100130028A (ko) | 2010-12-10 |
KR101104400B1 true KR101104400B1 (ko) | 2012-01-16 |
Family
ID=4329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8676A KR101104400B1 (ko) | 2009-06-02 | 2009-06-02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67722A1 (ko) |
EP (1) | EP2439523A2 (ko) |
JP (1) | JP5343258B2 (ko) |
KR (1) | KR101104400B1 (ko) |
CN (1) | CN102460138B (ko) |
BR (1) | BRPI1010026A2 (ko) |
WO (1) | WO201014077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398B1 (ko) * | 2009-06-02 | 2012-01-16 |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436150B1 (ko) * | 2011-09-23 | 2014-09-01 |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 |
WO2016073395A1 (en) * | 2014-11-03 | 2016-05-12 | Roche Diabetes Care, Inc. | Electrode arrangements for electrochemical test elem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KR101777509B1 (ko) * | 2015-04-16 | 2017-09-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세포 배양 실시간 모니터링 바이오센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33989A (ko) * | 2003-12-04 | 2006-12-27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혈액 성분의 측정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센서 및 측정장치 |
KR20090010510A (ko) * | 2007-07-23 | 2009-01-30 |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 유체분석용 칩 |
KR100890988B1 (ko) * | 2007-10-29 | 2009-03-31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일정 소량의 시료를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는 시료도입부를구비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98031A (en) * | 1997-05-12 | 1998-08-25 | Bayer Corporation | Electrochemical biosensor |
EP1167538A1 (de) * | 2000-06-30 | 2002-01-02 | Schibli Engineering GmbH | Biosensor und Herstellverfahren dafür |
US6721586B2 (en) * | 2001-06-12 | 2004-04-13 | Lifescan, Inc. | Percutaneous biological fluid sampling and analyte measurement devices and methods |
US6755949B1 (en) * | 2001-10-09 | 2004-06-29 | Roche Diagnostics Corporation | Biosensor |
US6942770B2 (en) * | 2002-04-19 | 2005-09-13 | Nova Biomedical Corporation | Disposable sub-microliter volume biosensor with enhanced sample inlet |
JP2004020465A (ja) * | 2002-06-19 | 2004-01-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バイオセンサ |
JP4619359B2 (ja) * | 2003-06-20 | 2011-01-26 |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 フレア状に形成された試料受入チャンバーを持つ試験片 |
JP4345885B2 (ja) * | 2003-07-24 | 2009-10-14 | グンゼ株式会社 | バイオセンサ |
JP2007504438A (ja) * | 2003-09-01 | 2007-03-01 | インバーネス・メデイカル・スウイツツアーランド・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毛管現象を用いるサンプリング装置 |
JP4501793B2 (ja) * | 2005-06-24 | 2010-07-1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バイオセンサ |
US7797987B2 (en) * | 2006-10-11 | 2010-09-21 | Bayer Healthcare Llc | Test sensor with a side v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2009
- 2009-06-02 KR KR1020090048676A patent/KR1011044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4-30 BR BRPI1010026A patent/BRPI1010026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4-30 CN CN201080029854.2A patent/CN10246013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4-30 WO PCT/KR2010/002738 patent/WO201014077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4-30 JP JP2012513858A patent/JP53432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4-30 US US13/375,331 patent/US201200677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4-30 EP EP10783522A patent/EP2439523A2/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33989A (ko) * | 2003-12-04 | 2006-12-27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혈액 성분의 측정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센서 및 측정장치 |
KR20090010510A (ko) * | 2007-07-23 | 2009-01-30 |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 유체분석용 칩 |
KR100890988B1 (ko) * | 2007-10-29 | 2009-03-31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일정 소량의 시료를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는 시료도입부를구비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PI1010026A2 (pt) | 2019-09-24 |
WO2010140773A3 (ko) | 2011-01-27 |
CN102460138B (zh) | 2014-06-11 |
US20120067722A1 (en) | 2012-03-22 |
JP5343258B2 (ja) | 2013-11-13 |
WO2010140773A2 (ko) | 2010-12-09 |
KR20100130028A (ko) | 2010-12-10 |
EP2439523A2 (en) | 2012-04-11 |
CN102460138A (zh) | 2012-05-16 |
JP2012529041A (ja) | 201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5074B1 (ko) | 미세유로형 센서 복합 구조물 | |
US8614087B2 (en) | Multiple-analyte assay device and system | |
US20040040868A1 (en) | Microfabricated sensor arrays for multi-component analysis in minute volumes | |
KR101363020B1 (ko) | 다중 반응 바이오센서 | |
US8409413B2 (en) | Sampling device for liquid samples | |
EP2467699B1 (en) | Analysis device with transducer stiffening elements | |
KR101104400B1 (ko)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 |
WO2013042877A2 (ko) |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 | |
WO2017145420A1 (ja) | バイオセンサ | |
KR101104391B1 (ko) | 검출기와 함께 사용되어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KR101464028B1 (ko) | 모듈형 바이오센서 | |
CA3082898C (en) |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101104398B1 (ko) |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01573B1 (ko) | 검출기와 함께 사용되어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KR20190093442A (ko) | 비침습 혈당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