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001B1 - 보드마카 - Google Patents

보드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001B1
KR101104001B1 KR1020100036713A KR20100036713A KR101104001B1 KR 101104001 B1 KR101104001 B1 KR 101104001B1 KR 1020100036713 A KR1020100036713 A KR 1020100036713A KR 20100036713 A KR20100036713 A KR 20100036713A KR 101104001 B1 KR101104001 B1 KR 10110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orage unit
remaining amount
ink storage
board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328A (ko
Inventor
이상원
심도윤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2Nib holders with ink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6Reservoirs with ink-level insp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용 보드마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마카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잉크저장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필기 시 잉크저장부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심지부와, 잉크저장부 내에 마련되며 잉크와 반응하여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잉크잔량표시부와, 잉크저장부를 수용하며 잉크잔량표시부를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투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드마카{BOARD MARKER}
본 발명은 보드마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이트보드 상에 필기구로 사용되는 보드마카에 관한 것이다.
화이트보드(whiteboard)는 수성잉크 필기구, 즉 보드마카(marker)로 필기할 수 있는 칠판으로서 근래에 들어와서 학교나 학원 또는 강의실, 사무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소형사이즈의 화이트보드는 게시판이나 업무일정표나 계획표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이트보드에 사용되는 필기구인 보드마카는 내부에 저장된 수성잉크를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흑판에 사용되는 백묵에 비해서 분진 등이 적게 발생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백묵과는 다르게 잘 부수어지지도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드마카는 바로 직접 화이트보드 상에 써보기 전에는 잉크의 잔량/사용 가능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용 보드마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마카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필기 시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잉크를 배출하는 심지부와, 상기 잉크저장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잉크잔량표시부와, 상기 잉크저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잉크잔량표시부를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투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저장부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잉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잉크잔량표시부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반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부재는 상기 잉크의 수분에 반응하여 청색 혹은 붉은 색으로 색상이 변화하며, 건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복귀하는 염화코발트 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잉크잔량표시부와 대응되도록 개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부는 상기 개구면에 투명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드마카는, 잉크가 저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심지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반응부재와, 상기 잉크저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반응부재를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투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드마카에 따르면, 잉크 수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염화코발트 용지를 잉크저장부의 내벽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케이스의 투명부를 통해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보드마카의 구조를 개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마카를 화이트보드 상에 직접 써보기 전에도 미리 잉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업무 도중 잉크를 모두 소모한 보드마카를 교체하기 위해 진행을 멈추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제품에서 구조를 크게 변경할 필요없이 활용 가능하며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마카의 결합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마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마카의 결합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보드용 보드마카(1)는 잉크저장부(10), 심지부(20), 잉크잔량표시부(30), 케이스(40) 및 보호캡(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저장부(1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성잉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저장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잉크저장부(10)는 내벽에 부착되는 후술할 염화코발트 용지(31)가 잉크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될 때 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심지부(20)는 잉크저장부(10)의 선단부와 결합되며, 화이트보드(미도시) 상에 필기 시 잉크저장부(10)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심지부(20)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첨두에 필기용 촉심(21)이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필기용 촉심(21)은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흡습재질임과 동시에 필기 시 잘 뭉개지지 않도록 다소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잔량표시부(30)는 잉크저장부(10) 내에 마련되며, 잉크와 반응하여 잉크저장부(10)의 잉크 잔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잉크잔량표시부(30)는 잉크저장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잉크저장부(10)의 내벽에 부착되며, 잉크와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잉크저장부(10)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반응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부재(31)로는, 잉크의 수분에 반응하여 청색 혹은 붉은 색으로 색상이 변화하며, 건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복귀하는 특성을 가진 염화코발트 용지(이하, 참조부호 31로 설명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코발트 용지(31)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40)는 잉크저장부(10)가 삽입되어 내부에 장착되도록 잉크저장부(10)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혹은 다각통 형상을 가진다.
케이스(40)에는 잉크저장부(10)에 부착된 잉크잔량표시부(30)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부(43)가 마련되거나, 케이스(40)를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40)의 일측면에 잉크잔량표시부(30)와 대응되도록 개구면(41)이 형성되며, 투명부(43)는 개구면(41)을 커버하도록 투명형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투명부(43)는 투명 플라스틱창 혹은 투명 유리창일 수 있다.
보호캡(50)은 필기용 촉심(21)을 보호하기 위해 심지부(20) 혹은 케이스(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드마카(1)는 케이스(40)로 보호되는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가 촉심(21)을 통해 배출되면서 화이트보드 상에 문자 혹은 그림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보드마카(1)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량은 점점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보드마카(1)를 화이트보드에 써 보기 전에 미리 잉크의 잔량 및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화이트보드용 보드마카(1)는 잉크에 반응하는 염화코발트 용지(31)가 잉크저장부(10)의 내벽에 부착된다. 여기서, 염화코발트 용지(31)는 잉크 수분에 반응하여 청색 혹은 붉은 색으로 색상이 변화하며 건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복귀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보드마카(1)를 사용함에 따라 잉크저장부(10)에 저장된 잉크량이 점점 줄어들게 되면 잉크 잔량의 높이에 대응하여 염화코발트 용지(31)의 색상도 변하면서 잉크저장부(10)의 잉크잔량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케이스(40)의 투명부(43)를 통해 염화코발트 용지(31)의 색상 변화에 의한 잉크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수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염화코발트 용지(31)를 잉크저장부(10)의 내벽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케이스(40)의 투명부(43)를 통해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보드마카(1)의 구조를 개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마카(1)를 화이트보드 상에 직접 써보기 전에도 미리 잉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업무 도중 잉크를 모두 소모한 보드마카(1)를 교체하기 위해 진행을 멈추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제품에서 구조를 크게 변경할 필요없이 활용 가능하며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보드마카 10 : 잉크저장부
20 : 심지부 30 : 잉크잔챵표시부
31 : 반응부재(염화코발트 용지) 40 : 케이스
43 : 투명부 50 : 보호캡

Claims (7)

  1.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필기 시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잉크를 배출하는 심지부;
    상기 잉크저장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잉크잔량표시부; 및
    상기 잉크저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잉크잔량표시부를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투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드마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마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잔량표시부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반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마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재는 상기 잉크의 수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며, 건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복귀하는 염화코발트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마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잉크잔량표시부와 대응되도록 개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부는 상기 개구면에 투명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마카.
  6. 잉크가 저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잉크저장부;
    상기 잉크저장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심지부;
    상기 잉크저장부의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잉크와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 잔량을 표시하는 반응부재; 및
    상기 잉크저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반응부재를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투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드마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재는 상기 잉크의 수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며, 건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복귀하는 염화코발트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마카.
KR1020100036713A 2010-04-21 2010-04-21 보드마카 KR10110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13A KR101104001B1 (ko) 2010-04-21 2010-04-21 보드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13A KR101104001B1 (ko) 2010-04-21 2010-04-21 보드마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28A KR20110117328A (ko) 2011-10-27
KR101104001B1 true KR101104001B1 (ko) 2012-01-06

Family

ID=4503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13A KR101104001B1 (ko) 2010-04-21 2010-04-21 보드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701A (ja) * 1989-07-26 1991-03-13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H08282172A (ja) * 1995-04-17 1996-10-29 Mitsubishi Pencil Co Ltd 液式筆記具
KR0173103B1 (ko) * 1996-07-12 1999-03-20 민태형 수분 접촉 변색 물질과 그 제조 방법
KR20010043725A (ko) * 1998-05-27 2001-05-25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701A (ja) * 1989-07-26 1991-03-13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H08282172A (ja) * 1995-04-17 1996-10-29 Mitsubishi Pencil Co Ltd 液式筆記具
KR0173103B1 (ko) * 1996-07-12 1999-03-20 민태형 수분 접촉 변색 물질과 그 제조 방법
KR20010043725A (ko) * 1998-05-27 2001-05-25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28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509B2 (ja) 消去具を備えた筆記具
US8408831B2 (en) Writing instrument casing and methods of use
KR101104001B1 (ko) 보드마카
KR200284033Y1 (ko) 부착식 보드 마커
CN212488905U (zh) 一种方便加注墨水的彩笔工具盒
KR102007785B1 (ko)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KR200391015Y1 (ko) 하우징이 아치형으로 구성된 화이트보드용 필기구
KR200413937Y1 (ko) 연결식 볼펜
KR101657140B1 (ko) 절단부를 표시할 수 있는 스카치 테이프 케이스
KR200446672Y1 (ko) 화이트보드용 펜
KR101430810B1 (ko) 보드 마카 고정캡
KR20120011696A (ko) 카운트 기능을 갖는 스탬프형 필기구 및 카운트 방법
CN203752735U (zh) 新型多功能水笔
CN213798963U (zh) 一种笔头及具有其的书写工具
KR200186214Y1 (ko) 지우개를 가진 3색 보드마카
KR20070000734U (ko) 다용도 필기구통
KR200345704Y1 (ko) 프린터 카트리지 보관용 케이스
CN204774284U (zh) 墨水盒盖式钢笔盒
KR20190054001A (ko) 수정 테이프가 포함된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
KR200319184Y1 (ko) 볼펜지우개가 구비된 볼펜
KR20070116209A (ko) 화이트 지우개를 부설한 각종 펜
KR200435525Y1 (ko) 화이트보드용 지우개
JP2005313398A (ja) 筆記具
JP3121396U (ja) 陳列容器
KR20240012868A (ko) 심을 통과하여 볼 수 있는 형광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