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798B1 -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798B1
KR101103798B1 KR1020090042222A KR20090042222A KR101103798B1 KR 101103798 B1 KR101103798 B1 KR 101103798B1 KR 1020090042222 A KR1020090042222 A KR 1020090042222A KR 20090042222 A KR20090042222 A KR 20090042222A KR 101103798 B1 KR101103798 B1 KR 10110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upling
coupled
dri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166A (ko
Inventor
이동현
이형석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형석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석, 이동현 filed Critical 이형석
Priority to KR102009004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7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made of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세탁물 건조대를 고정하여 공간이 협소한 베란다에서 좌.우 상.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세탁물 건조대에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건조봉의 하강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하게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하강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은,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구동에 맞춰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승강수단; 상기 권취부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를 분기시키는 분기부; 및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고,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승강수단에 전달하는 와이어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물 건조대

Description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A LAUNDRY DRY-HANGER FOR DROP PREVENTION}
본 발명은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세탁물 건조대를 고정하여 공간이 협소한 베란다에서 좌.우 상.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세탁물 건조대에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건조봉의 하강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하게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하강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및 다세대 주택 거주자는 공간이 한정된 베란다에서 세탁물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천정에 설치되어 천정에서 승강 되는 세탁물 건조대를 이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대는 자바라가 승강되어 건조봉을 승강시키는 것을 설치공간이 협소한 곳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며, 설치 후에도 세탁물을 건조하기가 여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이 협소한 베란다 및 오피스텔이나 단독주택에서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세탁물를 거치하여 세탁물를 건조할 수 있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은,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부;상기 권취부의 구동에 맞춰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승강수단;상기 권취부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를 분기시키는 분기부; 및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고,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승강수단에 전달하는 와이어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면에 형성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가 축결합되는 롤러와이어샤프트; 및 상기 기어부의 연속적인 회전을 제어하여 와이어권취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건조봉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에 축결합되 는 레칫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어부, 와이어권취부 및 레칫부가 삽입되며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권취부의 와이어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와이어인입통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파부지; 상기 파지부와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는 결합턱;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핸들샤프트; 상기 핸들샤프트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핸들기어; 상기 핸들기어와 맞물려 상기 핸들기어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서브기어; 및 롤러와이어샤프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서브기어와 맞물려 서브기어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드기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칫부는, 롤러와이어샤프트에 축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이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타면에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1회전제어턱이 형성되는 제1레칫; 상기 제1레칫의 제1회전제어턱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턱에 결합되는 제2회전턱을 갖는 제2레칫; 상기 제1,2레칫에는 상기 제1,2레칫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와셔; 및 상기 제1레칫의 일면에는, 텐션스프링 과 상기 텐션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1레칫을 유동시켜 상기 제1회전제어턱이 상기 제2회전제어턱에서 이탈되며 상기 제1레칫의 회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레칫에는,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가 축결합되도록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샤프트 전/후단부에는 상기 구동부의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핸들샤프트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는, 상기 권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와이어전달부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홀이 형성된 한 쌍의 분기몸체부; 상기 제1몸체와 분기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분기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안착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체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 상기 분기몸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 상기 제1,2결합돌기에는, 상기 제1,2결합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 및 분기몸체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바가 삽입되는 관통홈;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바는, 양단이 상기 관통홈에서 삽입되어 상기 관통홈이 안착 되는 안착바; 상기 안착바의 양단에는 상기 안착바가 상기 관통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바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홈은, 상기 이탈방지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제1관통홈; 상기 제1몸체는 제1관통홈의 상단과 상기 분기몸체부는 상기 제1관통홈의 하단에 각각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해 관통된 상기 안착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관통홈;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제1와이어삽입홀에 삽입된 와이어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제1몸체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1몸체 하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핀; 상기 제2와이어삽입홀에 삽입된 와이어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분기몸체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기몸체부 상단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안착핀;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전달부는, 일면이 볼트에 의하여 천정에 고정되도록 볼트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는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승강수단에 상기 와이어를 전달하는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몸체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롤러몸체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판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핀안착턱; 상기 고정핀안착턱에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고정핀관통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핀안착턱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과, 하단부에는, 상기 롤러몸체 상단부의 결합축이 체결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체결된 결합축이 상기 체결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홈과 결합축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승강수단은,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는 제1,2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전달부에서 전달되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고정프레임으로 전달하는 메인롤러가 형성되는 메인롤러몸체; 상기 메인롤러몸체의 하단부에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전달부에서 전달되는 와이 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와이어연결부로 전달시키는 제1서브롤러가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 상기 제2고정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몸체에서 전달되는 와이어를 전달받아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로 전달시키는 제2서브롤러가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제1,2고정몸체에는 상기 제1,2서브롤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2고정몸체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나사; 상기 제1,2고정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2고정몸체에서 전달되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통과홀 형성되며 제1,2고정몸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싱부재가 체결되는 케이싱체결턱;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제1,2고정몸체의 케이싱체결턱이 체결되는 체결홈과, 상기 제1,2몸체부의 통과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관통홈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는, 하나의 건조봉을 연결하는 결합고리부 또는 다수 개의 건조대봉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결합프레임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중 구동부 및 기어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전달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중 제1고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중 제2고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프레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의 좌/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은,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는 권취부(200)와 상기 권취부(200)의 구동에 맞춰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와이어(W)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승강수단(300) 그리고, 상기 권취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W)를 분기시키는 분기부(400) 및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고, 상기 분기부(400)에서 분기된 와이어(W)를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전달하는 와이어전달부(50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를 구성하는 구성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권취부
상기 권취부(200)는,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여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건조봉(1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하우징(200a)과, 상기 하우징(200a) 일면에 형성되는 구동부(200b)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b)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부(200c)와 상기 기어부(200c)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200d)가 축결합되는 롤러와이어샤프트(220c) 및 상기 기어부(200c)의 연속적인 회전을 제어하여 와이어권취부(200d)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건조봉(10)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는 레칫부(200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a)은, 상기 기어부(200c), 와이어권취부(200d) 및 레칫부(200e)가 삽입되며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200b)가 결합되는 제1케이스(210a)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210a)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220a) 및 상기 제1케이스(210a)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권취부(200d)의 와이어(W)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와이어인입통로(230a)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b)는, 파부지(210b)와, 상기 파지부(210b)와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200c)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20b) 및 상기 구동축(220b)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200c)에 결합되는 결합턱(230b)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b)를 사용자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W)가 권취되므로 상기 건조봉(10)이 승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210a)에는, 상기 구동부(200b)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200c)는, 상기 하우징(200a)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200b)와 연결되는 핸들샤프트(210c)과 상기 핸들샤프트(210c)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핸들기어(215c), 상기 핸들기어(215c)와 맞물려 상기 핸들기어(215c)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서브기어(230c) 및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며, 상기 서브기어(230c)와 맞물려 서브기어(230c)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드기어(225c)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샤프트(210c) 전/후단부에는 상기 구동부(200b)의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200a)에서 상기 핸들샤프트(210c)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E)이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200a)에서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E)이 각각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칫부(200e)는,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이 상기 하우징(200a)에 안착되며 타면에는 상기 기어부(200c)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1회전제어턱(215e)이 형성되는 제1레칫(210e)과 상기 제1레칫(210e)의 제1회전제어턱(215e)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턱(215e)에 결합되는 제2회전턱(225e)을 갖는 제2레칫(220e), 그리고 상기 제1,2레칫(210e,220e)에는 상기 제1,2레칫(210e,220e)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와셔(230e) 및 상기 제1레칫(210e)의 일면에는, 텐션스프링(240e)과 상기 텐션스프링(240e)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턱(245e)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시 상기 제1레칫(210e)을 유동시켜 상기 제1회전제어턱(215e)이 상기 제2회전제어턱(225e)에서 이탈되며 상기 제1레칫(210e)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레칫(210e,220e)에는,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가 축결합되도록 결합홀(216e,226e)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 레칫부(200e)는 상기 기어부(200c)의 연속적인 회전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기어부(200c)의 오작동을 방지하므로,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상기 건조봉(10)의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2) 분기부
상기 분기부(400)는, 상기 권취부(200)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를 분기 시키는 것으로, 상기 분기부(400)는, 상기 권취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홀(410a)이 형성되는 제1몸체(400a)와 상기 와이어전달 부(500)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홀(405b)이 형성된 한 쌍의 분기몸체부(400b) 그리고 상기 제1몸체(400a)와 분기몸체부(400b)가 결합되는 결합수단(400c) 및 상기 제1몸체부(400a)와 상기 분기몸체부(400b)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W)를 안착시키는 안착수단(410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400c)은, 상기 제1몸체(400a)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410c)와, 상기 분기몸체부(400b)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0c)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0c)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420c) 그리고 상기 제1,2결합돌기(410c,420c)에는, 상기 제1,2결합돌기(410c,420c)를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400a) 및 분기몸체부(400b)를 체결시키는 체결바(430c)가 삽입되는 관통홈(440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바(430c)는, 양단이 상기 관통홈(440c)에서 삽입되어 상기 관통홈(440c)이 안착되는 안착바(431c)와 상기 안착바(431c)의 양단에는 상기 안착바(431c)가 상기 관통홈(440c)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바(431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이탈방지부(432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통홈(440c)은,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제1관통홈(441c)과, 상기 제1몸체(400a)는 제1관통홈(441c)의 상단과 상기 분기몸체부(400b)는 상기 제1관통홈(441c)의 하단에 각각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홈(441c)을 통해 관통된 상기 안착바(431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관통홈(442c)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제1관통홈(441c)에 상기 체결바(430c)가 삽입된 후 상기 제1몸체(400a) 및 분기몸체부(400b)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체결바(430c)의 안착바(431c)에 상기 제2관통홈(442c)이 안착되어 상기 체결바(430c)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수단(410b)은, 상기 제1와이어삽입홀(410a)에 삽입된 와이어(W)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W)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제1몸체(400a)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1몸체(400a) 하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핀(411b)과 상기 제2와이어삽입홀(405b)에 삽입된 와이어(W)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W)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분기몸체부(400b)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기몸체부(400b) 상단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안착핀(412b)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W)가 이탈되지 아니하며, 상기 분기부(400) 및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상기 와이어(W)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3) 와이어전달부
상기 와이어전달부(500)는, 분기부(400) 및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상기 와이어(W)를 전달하는 것으로, 일면이 볼트에 의하여 천정에 고정되도록 볼트삽입홈(540)이 형성되는 고정판(510)과 상기 고정판(510)의 일면에는 상기 분기부(400) 및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상기 와이어(W)를 전달하는 롤러(532)가 결합되는 롤러몸체(53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52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고정판(510)을 관통하여 상기 롤러몸 체(530)를 고정하는 고정핀(521)이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판(510)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핀안착턱(522)과 상기 고정핀안착턱(522)에는 상기 고정핀(521)이 상기 고정판(510)을 관통하는 고정핀관통홈(523)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521)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521)이 상기 고정핀안착턱(522)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4)과, 하단부에는, 상기 롤러몸체(530) 상단부의 결합축(531)이 체결되는 체결홈(525)과, 상기 체결홈(525)에 체결된 결합축(531)이 상기 체결홈(5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홈(525)과 결합축(5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52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핀(521)은 상기 고정판(510)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롤러몸체(530)는 상기 고정핀(521)에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여,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와이어(W)를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4) 와이어승강수단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은, 상기 와이어전달부(500)에서 전달된 와이어(W)를 전달받아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와 연결된 상기 건조봉(1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는 제1,2고정프레임(310,350)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3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전달부(500)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고정프레임(350)으로 전달하는 메인롤러(312)가 형성되는 메인롤러몸체(311) 그리고, 상기 메인롤러몸체(311)의 하단부에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전달부(500)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와이어연결부(100a)로 전달시키는 제1서브롤러(314)가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313) 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제2고정프레임(3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몸체(313)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를 전달받아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100b)로 전달시키는 제2서브롤러(352)가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353)가 체결되는 체결부(351)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에는 상기 제1,2서브롤러(314,3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나사(315,354)가 구비되고,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가 통과되도록 통과홀(317,356) 형성되며 제1,2고정몸체(313,353)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싱부재(600)가 체결되는 케이싱체결턱(316,355)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케이싱부재(600)는 상기 제1,2고정몸체(310,350)를 외부 노출을 차단하게 되므로 미려함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600)는,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케이싱체결턱(316,355)이 체결되는 케이싱체결홈(610)과,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통과홀(317,356)을 통과한 와이어(W)가 통과되도록 와이어관통홈(620)이 형성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어 와이어(W) 권취되며 상기 건조대(10)을 승강시키는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는, 하나의 건조봉(10)을 연결하는 결합고리부(RI) 또는 다수 개의 건조대봉(10)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결합프레임(FR)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제조하고 사용자는 기호 에 따라 이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설명 및 도시화하였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 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 중 구동부 및 기어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전달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중 제1고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중 제2고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프레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W : 와이어
BE : 베어링
10 : 건조봉
100a : 제1와이어연결부
100b : 제2와이어연결부
RI : 결합고리부
FR : 결합프레임
200 : 권취부
200a : 하우징
210a : 제1케이스
215a : 결합홈
220a : 제2케이스
230a : 와이어인입통로
200b : 구동부
210b : 파지부
220b : 구동축
230b : 결합턱
200c : 기어부
210c : 핸들샤프트
215c : 핸들기어
220c : 롤러와이어샤프트
225c : 로드기어
230c: 서브기어
200d : 와이어권취부
200e : 레칫부
210e : 제1레칫
215e : 제1회전제어턱
216e : 결합홀
220e : 제2레칫
225e : 제2회전제어턱
226e : 결합홀
230e : 와셔
240e : 텐션스프링
245e : 스프링안착턱
300 : 와이어승강수단
310 : 제1고정프레임
311 : 메인롤러몸체
312 : 메인롤러
313 : 제1고정몸체
314 : 제1서브롤러
315 : 체결나사
316 : 케이싱체결턱
317 : 통과홀
350 : 제2고정프레임
351 : 체결부
352 : 제2서브롤러
353 : 제2고정몸체
354: 체결나사
355: 케이싱체결턱
356: 통과홀
400 : 분기부
400a : 제1몸체
410a : 제1와이어삽입홀
400b : 분기몸체부
405b : 제2와이어삽입홀
410b : 안착수단
411b : 제1안착핀
412b : 제2안착핀
400c : 결합수단
410c : 제1결합돌기
420c : 제2결합돌기
430c : 체결바
431c : 안착바
432c : 이탈방지부
440c : 관통홈
441c : 제1관통홈
442c : 제2관통홈
500 : 와이어전달부
510 : 고정판
520 : 고정수단
521 : 고정핀
522 : 고정핀안착턱
523 : 고정핀관통홈
524 : 이탈방지턱
525 : 체결홈
526 : 체결나사
530 : 롤러몸체
531 : 결합축
532 : 롤러
540 : 볼트삽입홈
600 : 케이싱부재
610 : 케이싱체결홈
620 : 와이어관통홈

Claims (19)

  1.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10);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는 권취부(200);
    상기 권취부(200)의 구동에 맞춰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에 연결된 와이어(W)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승강수단(300);
    상기 권취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W)를 분기시키는 분기부(400); 및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고, 상기 분기부(400)에서 분기된 와이어(W)를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전달하는 와이어전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200)는,
    하우징(200a);
    상기 하우징(200a) 일면에 형성되는 구동부(200b);
    상기 구동부(200b)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부(200c);
    상기 기어부(200c)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는 와이어권취부(200d)가 축결합되는 롤러와이어샤프트(220c); 및
    상기 기어부(200c)의 연속적인 회전을 제어하여 와이어권취부(200d)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건조봉(10)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는 레칫부(200e);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200c)는,
    상기 하우징(200a)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200b)와 연결되는 핸들샤프트(210c);
    상기 핸들샤프트(210c)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핸들기어(215c);
    상기 핸들기어(215c)와 맞물려 상기 핸들기어(215c)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서브기어(230c); 및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며, 상기 서브기어(230c)와 맞물려 서브기어(230c)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드기어(22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a)은,
    상기 기어부(200c), 와이어권취부(200d) 및 레칫부(200e)가 삽입되며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200b)가 결합되는 제1케이스(210a);
    상기 제1케이스(210a)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220a); 및
    상기 제1케이스(210a)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권취부(200d)의 와이어(W)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와이어인입통로(230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4. 제 1항에 있어서, 구동부(200b)는,
    파지부(210b);
    상기 파지부(210b)와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200c)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20b); 및
    상기 구동축(220b)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200c)에 결합되는 결합턱(230b);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210a)에는,
    상기 구동부(200b)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1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칫부(200e)는,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에 축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이 상기 하우징(200a)에 안착되며 타면에는 상기 기어부(200c)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1회전제어턱(215e)이 형성되는 제1레칫(210e);
    상기 제1레칫(210e)의 제1회전제어턱(215e)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제어턱(215e)에 결합되는 제2회전제어턱(225e)을 갖는 제2레칫(220e);
    상기 제1,2레칫(210e,220e)에는 상기 제1,2레칫(210e,220e)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와셔(230e); 및
    상기 제1레칫(210e)의 일면에는, 텐션스프링(240e)과 상기 텐션스프링(240e)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턱(245e)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b)의 구동시 상기 제1레칫(210e)을 유동시켜 상기 제1회전제어턱(215e)이 상기 제2회전제어턱(225e)에서 이탈되며 상기 제1레칫(210e)의 회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레칫(210e,220e)에는,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가 축결합되도록 결합홀(216e,226e)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샤프트(210c) 전/후단부에는 상기 구동부(200b)의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200a)에서 상기 핸들샤프트(210c)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E)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200a)에서 상기 롤러와이어샤프트(220c)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E)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400)는,
    상기 권취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홀(410a)이 형성되는 제1몸체(400a);
    상기 와이어전달부(500)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홀(405b)이 형성된 한 쌍의 분기몸체부(400b);
    상기 제1몸체(400a)와 분기몸체부(400b)가 결합되는 결합수단(400c); 및
    상기 제1몸체(400a)와 상기 분기몸체부(400b)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W)를 안착시키는 안착수단(410b);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0c)은,
    상기 제1몸체(400a)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410c);
    상기 분기몸체부(400b)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0c)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0c)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420c);
    상기 제1,2결합돌기(410c,420c)에는, 상기 제1,2결합돌기(410c,420c)를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400a) 및 분기몸체부(400b)를 체결시키는 체결바(430c)가 삽입되는 관통홈(440c);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430c)는,
    양단이 상기 관통홈(440c)에서 삽입되어 상기 관통홈(440c)이 안착되는 안착바(431c);
    상기 안착바(431c)의 양단에는 상기 안착바(431c)가 상기 관통홈(440c)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바(431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이탈방지부(432c);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440c)은,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제1관통홈(441c);
    상기 제1몸체(400a)는 제1관통홈(441c)의 상단과 상기 분기몸체부(400b)는 상기 제1관통홈(441c)의 하단에 각각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홈(441c)을 통해 관통된 상기 안착바(431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432c)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관통홈(442c);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410b)은,
    상기 제1와이어삽입홀(410a)에 삽입된 와이어(W)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W)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제1몸체(400a)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1몸체(400a) 하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핀(411b);
    상기 제2와이어삽입홀(405b)에 삽입된 와이어(W)가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W)를 압착고정시켜 상기 분기몸체부(400b)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기몸체부(400b) 상단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안착핀(412b);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전달부(500)는,
    일면이 볼트에 의하여 천정에 고정되도록 볼트삽입홈(540)이 형성되는 고정판(510);
    상기 고정판(510)의 일면에는 상기 분기부(400) 및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에 상기 와이어(W)를 전달하는 롤러(532)가 결합되는 롤러몸체(53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52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고정판(510)을 관통하여 상기 롤러몸체(530)를 고정하는 고정핀(521)이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판(510)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핀안착턱(522);
    상기 고정핀안착턱(522)에는 상기 고정핀(521)이 상기 고정판(510)을 관통하는 고정핀관통홈(523)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521)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521)이 상기 고정핀안착턱(522)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4)과, 하단부에는 상기 롤러몸체(530) 상단부의 결합축(531)이 체결되는 체결홈(525)과, 상기 체결홈(525)에 체결된 결합축(531)이 상기 체결홈(5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홈(525)과 결합축(5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52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승강수단(300)은,
    일면이 천정에 고정되는 제1,2고정프레임(310,350);
    상기 제1고정프레임(3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전달부(500)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고정프레임(350)으로 전달하는 메인롤러(312)가 형성되는 메인롤러몸체(311);
    상기 메인롤러몸체(311)의 하단부에 연이여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전달부(500)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와이어연결부(100a)로 전달시키는 제1서브롤러(314)가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313);
    상기 제2고정프레임(3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몸체(313)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를 전달받아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100b)로 전달시키는 제2서브롤러(352)가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353)가 체결되는 체결부(351);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에는 상기 제1,2서브롤러(314,3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나사(315,354);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에서 전달되는 와이어(W)가 통과되도록 통과홀(317,356) 형성되며 제1,2고정몸체(313,353)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싱부재(600)가 체결되는 케이싱체결턱(316,35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600)는,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케이싱체결턱(316,355)이 체결되는 케이싱체결홈(610)과, 상기 제1,2고정몸체(313,353)의 통과홀(317,356)을 통과한 와이어(W)가 통과되도록 와이어관통홈(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와이어연결부(100a,100b)는,
    하나의 건조봉(10)을 연결하는 결합고리부(RI) 또는 다수 개의 건조대봉(10)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결합프레임(FR)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KR1020090042222A 2009-05-14 2009-05-14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KR10110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22A KR101103798B1 (ko) 2009-05-14 2009-05-14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22A KR101103798B1 (ko) 2009-05-14 2009-05-14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66A KR20100123166A (ko) 2010-11-24
KR101103798B1 true KR101103798B1 (ko) 2012-01-06

Family

ID=4340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222A KR101103798B1 (ko) 2009-05-14 2009-05-14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0B1 (ko) * 2016-01-08 2016-11-02 김정숙 핸들식 구동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79A (ko) * 2001-12-15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마신 기법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75004A (ko) * 2002-03-15 2003-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349479Y1 (ko) 2004-02-05 2004-05-08 김준호 천장 빨래 건조대
KR20040044131A (ko) * 2002-11-18 2004-05-27 레프라테크니크 홀딩 게엠베하 내화성 보수 물질 뱃치
KR200375004Y1 (ko) 2004-11-19 2005-02-05 주식회사 남신테크 빨래건조대
KR20060061775A (ko) * 2006-05-15 2006-06-08 남종희 빨래건조대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79A (ko) * 2001-12-15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마신 기법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75004A (ko) * 2002-03-15 2003-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40044131A (ko) * 2002-11-18 2004-05-27 레프라테크니크 홀딩 게엠베하 내화성 보수 물질 뱃치
KR200349479Y1 (ko) 2004-02-05 2004-05-08 김준호 천장 빨래 건조대
KR200375004Y1 (ko) 2004-11-19 2005-02-05 주식회사 남신테크 빨래건조대
KR20060061775A (ko) * 2006-05-15 2006-06-08 남종희 빨래건조대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0B1 (ko) * 2016-01-08 2016-11-02 김정숙 핸들식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66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1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ation of guide rails in a lift shaft
KR101103798B1 (ko)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US8192126B1 (en) Mobile hoist system
KR100702057B1 (ko) 본체 분리형 빨래 건조대
US20070084627A1 (en) Anti-cascading suspension clamps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s
KR20100123169A (ko) 하강 방지용 세탁물 건조대
KR200454176Y1 (ko) 반자동 승/하강 장치
CN202197059U (zh) 水平桥架内敷设电缆的辅助装置
CN201010403Y (zh) 一种自升式施工升降机
CN207108333U (zh) 一种多功能的手动牵引器
CN110844798A (zh) 一种电力铁塔施工钢材用稳定提升机构
KR10100662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동 이송 장치
KR100549178B1 (ko) 공동주택용 비상탈출 발코니난간
CN203700811U (zh) 一种升降式晒衣架
US7556464B2 (en) Two-way drywall lift overload protection system
CN114352867A (zh) 一种便于安装的体育活动监控装置
CN107287864A (zh) 一种用于夹紧或松开绳索的控制器及升降式吊架
CN210973721U (zh) 一种可靠性高的装配式屋面防水结构铺设装置
CN205445453U (zh) 电动拉梯架结构
KR100941082B1 (ko) 빨래 건조대
CN106410680B (zh) 一种便于拆装的电力飞车
CN111394959A (zh) 一种循环自动化高效晾衣架装置
CN106144840A (zh) 一种绳头组合结构
CN108330655A (zh) 一种自动升降晾衣系统
KR200388621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