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644B1 - 잉크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644B1
KR101103644B1 KR1020090091135A KR20090091135A KR101103644B1 KR 101103644 B1 KR101103644 B1 KR 101103644B1 KR 1020090091135 A KR1020090091135 A KR 1020090091135A KR 20090091135 A KR20090091135 A KR 20090091135A KR 101103644 B1 KR101103644 B1 KR 10110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k
printing roller
support b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585A (ko
Inventor
양민양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6Troughs or like reservoirs with immersed or partly immersed, rollers or cylinders
    • B41F31/07Troughs or like reservoirs with immersed or partly immersed, rollers or cylinders for rotograv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8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ink ejecting means, e.g. pumps, nozz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는, 인쇄 롤러가 장착된 인쇄장치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장치이고, 지지기둥이 양쪽에 세워지고, 지지기둥의 상단에 지지바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 지지바에 연결되고, 인쇄 롤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운동 프레임, 운동 프레임의 끝단에 인쇄 롤러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하도록 연결된 분사노즐, 지지바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끝단이 운동 프레임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나사기둥을 포함하고, 나사기둥을 일방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과 지지바의 거리가 증가되고, 타방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과 지지바의 거리가 감소된다.
인쇄 롤러, 지지 프레임, 운동 프레임, 분사노즐

Description

잉크 분사장치{INK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잉크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그라비아 인쇄 기술은 종이 내지 천 등의 직물에 연속이고 정밀한 인쇄 공정을 위하여 채택되었다.
최근에는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 산업분야,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에 그라비아 인쇄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이와 같은 그라비아 인쇄 기술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는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대형화된 기판의 제작을 신속하게 이루어 생산 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라비아 롤투롤 인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그라비아 롤투롤 인쇄장치는, 기능성 잉크(41)가 저장된 잉크통(40), 기능성 잉크(41)를 피 인쇄체(25) 상에 도포하는 그라비아 롤러(11), 그라비아 롤러(11)와 접촉된 채 피인쇄체(25)를 그라비아 롤(11) 방향으로 정압으로 가압하는 가압롤(30), 그라비아 롤(11) 표면의 잉 크(41)를 긁어주는 닥터블레이드(20)를 포함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그라비아 롤투롤 인쇄장치는, 잉크통(40)에 많은 양의 잉크(41)를 담아 두고, 그라비아 롤러가 잉크통(40) 안으로 일부 담궈져서 회전함으로써, 그라비아 롤러(11)에 잉크를 도포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 방법은 많은 양의 잉크(41)가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잉크(41)가 휘발성이 있는 경우에는, 공기 중으로 잉크(41)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잉크통(40)이 뚜껑이 없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 장치의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잉크를 미세하고도 광범위하게 골고루 도포시킬 수 있는 잉크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의 유량을 밸브나 공기압을 통하여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잉크를 잉크통에 담아두고 사용하는 것보다 원하는 양을 필요한 때 인쇄 롤러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는 잉크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 프레임 및 분사 노즐이 이동 자유도 또는 회전 자유도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잉크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 범위, 분사 거리, 분사 높이, 분사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잉크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는, 인쇄 롤러가 장착된 인쇄장치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장치이고, 지지기둥이 양쪽에 세워지고, 지지기둥의 상단에 지지바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 지지바에 연결되고, 인쇄 롤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운동 프레임, 운동 프레임의 끝단에 인쇄 롤러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하도록 연결된 분사노즐, 지지바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끝단이 운동 프레임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나사기둥을 포함하고, 나사기둥을 일방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과 지지바의 거리가 증가되고, 타방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과 지지바의 거리가 감소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잉크를 분사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잉크를 미세하고도 광범위하게 골고루 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기둥이 지지바를 관통하고 그 끝단이 운동 프레임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나사기둥을 일방 또는 타방으로 돌리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여 운동 프레임과 지지바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에 있어서, 운동 프레임은,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한 쌍의 암바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암바 각각이 제1 프레임의 일단 상에 결합된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홈에 나사기둥을 끼워, 너트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과 나사기둥이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를 풀어 운동 프레임을 나사기둥을 축으로 회전시키거나, 운동 프레임을 인쇄 롤러 방향 또는 인쇄 롤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에 의하면, 운동 프레임이 제1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나사기둥이 끼워지고, 너트를 이용하여 나사기둥과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너트를 풀면 운동 프레임이 나사기둥을 축으로 회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회전되거나, 인쇄 롤러 방향 또는 인쇄 롤러 반대방향으로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여 이동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에 있어서, 제2 프레임 사이에 분사노즐이 위치되고, 제2 프레임과 분사노즐을 관통하는 결합축에 의하여 제2 프레임과 분사노즐이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축을 회전시키면, 분사노즐을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잉크 분사장치에 의하면, 운동 프레임의 제2 프레임과 분사노즐이 각각을 관통하는 결합축을 통하여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결합축을 회전하여 분사노즐이 운동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잉크를 분사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잉크를 미세하고도 광범위하게 골고루 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노즐의 유량을 밸브나 공기압을 통하여 조절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를 잉크통에 담아두고 사용하는 것보다 원하는 양을 필요한 때 인쇄 롤러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 프레임 및 분사 노즐이 이동 자유도 또는 회전 자유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 범위, 분사 거리, 분사 높이, 분사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가 구동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는, 지지 프레임(100), 운동 프레임(200), 분사노즐(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분사노즐(300)은, 인쇄 롤러(미도시)가 장착된 인쇄장치(미도시)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한다. 이하, 인쇄장치의 인쇄 롤러는 분사노즐의 전면 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5 참조).
지지 프레임(100)은, 지지기둥(100a)이 양쪽에 세워지고, 지지기둥(100a)의 상단에 지지바(100b)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지지기둥(100a)은 지지바(100b)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바(100b)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끝단이 운동 프레임(200)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나사기둥(111)을 더 포함한다. 나사기둥(111)을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하여, 지지바(100b)와 운동 프레임(20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일방은 지지바(100b)의 상부에 보았을 때의 시계방향을 의미하고, 타방은 지지바(100b)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의 반시계방향을 의미한다.
운동 프레임(200)은, 지지바(100b)에 연결되고, 인쇄 롤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운동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200b)과 제2 프레임(200a)으로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200b)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이고, 그 중앙부위에 형성된 가이드 홈(201)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홈(201)은, 그 내부에서 나사기둥(11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프레임(200a)은, 한 쌍의 암바(arm-bar, 200a)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암바(220a) 각각이 제1 프레임(200b)의 일단 상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프레임(200b)의 가이드 홈(201)에 나사기둥(111)을 끼워, 너트(112)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200b)과 나사기둥(111)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너트(112)를 풀어 제1 프레임(200b)과 나사기둥(111)간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운동 프레임(200)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쇄 롤러의 표면과 분사노즐(3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사노즐(300)은, 운동 프레임(200)의 끝단에 인쇄 롤러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분사노즐(300)은, 운동 프레임(200)의 제2 프레임(200a) 사이에 위치되고, 제2 프레임(200a)과 분사노즐(300)을 관통하는 결합축(210)에 의하여 제2 프레임(200a)과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때, 결합축(210)은 외부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회전되고, 그 힘이 가해지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축(210)에 그 힘이 가해지게 되면, 결합축(210)이 회전된다. 결합축(210)이 회전되면, 그 결합축(210)에 고정된 분사노즐(300)이 제2 프레임(200a)에 대하여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0)이 회전되기 때문에, 인쇄 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노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결합축(21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너트를 풀고 볼트를 돌려 분사노즐(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는, 운동 프레임(200)과 분사노즐(300)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가며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한다.
지지바(100b)와 제1 프레임(200b)을 연결하는 나사기둥(111)을 지지바(100b)의 위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200)과 지지바(100b)의 거리가 증가되고, 지지바(100b)의 위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운동 프레임(200)과 지지바(100b)의 거리가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지지바(100b)를 관통하여 지지바(100b)의 내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기 둥(111)의 상면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나사기둥(111)은 하측방향, 즉 운동 프레임(200)과 지지바(100b)의 거리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측방향, 즉 운동 프레임(200)과 지지바(100b)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나사기둥(111)을 회전시켜 나사기둥(111)에 결합고정된 운동 프레임(200)이 z축 방향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인쇄 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나사기둥(111)과 제1 프레임(200b)의 가이드 홈(201)을 결합하는 너트(112)를 풀면 운동 프레임(200)을 나사기둥(111)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너트(112)를 풀면, 제1 프레임(200b)의 가이드 홈(201)과 나사기둥(111)의 결합이 해제되어, 운동 프레임(200)이 나사기둥(111)을 축으로 하여 B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동 프레임(200)이 B방향으로 회전 자유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인쇄 롤러의 표면으로의 분사될 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00b)와 제1 프레임(200b)의 가이드 홈(201)을 결합하는 너트(112)를 풀면 운동 프레임(200)을 인쇄 롤러 방향 또는 인쇄 롤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너트(112)를 풀면, 제1 프레임(200b)의 가이드 홈(201)과 나사기둥(111)의 결합이 해제되어, 운동 프레임(200)이 X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동 프레임(200)이 X축 방향으로 이동 자유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인쇄 롤러의 표면과 분사노즐(300)의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나사기둥(111)의 상부 표면의 곡면을 따라 원하는 각도를 맞추고, 너 트(112)로 고정함으로써 운동 프레임(200)의 회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 프레임(200)의 제2 프레임(200a)과 분사노즐(300)을 결합하는 결합축(210)을 회전시키면, 분사노즐(300)을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결합축(210)을 회전시키면, 분사노즐(300)은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축(210)은 외부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회전되고, 그 힘이 가해지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축(210)에 그 힘이 가해지게 되면, 결합축(210)이 회전된다. 결합축(210)이 회전되면, 그 결합축(210)에 고정된 분사노즐(300)이 제2 프레임(200a)에 대하여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0)이 회전되어 C방향으로 회전 자유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인쇄 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노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분사장치에 의하면, X방향, Z방향, A방향, B방향, C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회전 자유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롤러의 표면에 대한 분사 범위, 분사 거리, 분사 높이, 분사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은, 잉크 저장소(미도시), 잉크 공급구(310), 공기 주입구(320), 유량 조절 밸브(340), 스프레이 노즐(330)로 구성된다.
잉크 공급구(310)를 통하여 잉크 저장소로 잉크가 공급되고, 또한 공기 주입구(320)를 통하여 잉크 저장소로 공기가 주입된다.
또한, 잉크 저장소에 공급된 공기압을 이용하여 잉크 저장소에 공급된 잉크가 적절하게 분사되도록, 유량 조절 밸브(340)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노즐(330)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잉크는, 스프레이 노즐(330)에 의하여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에 의하면, 분사노즐의 유량을 밸브나 공기압을 통하여 조절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를 잉크통에 담아두고 사용하는 것보다 원하는 양을 필요한 때 인쇄 롤러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분사노즐의 종류와 그 분사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분사장치에 풀 콘 스프레이 노즐(Full cone spray nozzle)을 장착하여 잉크를 분사하면, 인쇄 롤러의 표면에는 잉크가 원형으로 분사되어,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분사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분사장치에 할로우 콘 스프레이 노즐(Hollow cone spray nozzle)을 장착하여 잉크를 분사하면, 인쇄 롤러의 표면에는 잉크가 중공형으로 분사되어, 도너츠 형상을 가지도록 원의 테두리 영역만 분사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분사장치에 솔리드 스트림 스프레이 노즐(Solid stream spray nozzle)을 장착하여 잉크를 분사하면, 인쇄 롤러의 표면에 는 잉크가 직분사형으로 분사되어, 원하는 소정 영역에만 분사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에지 플랫 스프레이 노즐(Tapered- edge flat spray nozzle)을 장착하여 잉크를 분사하면, 인쇄 롤러의 표면에는 잉크가 부채꼴 형으로 분사되어, 경사진 타원형과 같은 형상으로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분사된 잉크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가 그라비아 롤 인쇄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가 그라비아 롤 인쇄장치에 사용되었을 때의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 도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는 전자장치를 생산하기 위하여 잉크 인쇄가 이용되는 다른 인쇄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100~300)는, 그라비아 롤 인쇄장치의 그라비아 롤(400)의 표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된다.
가압 롤(500) 하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400)의 표면에 표시된 회색 영역(401)이, 그라비아 롤 인쇄 장치의 그라비아 롤(400)의 표면에 스프레이 노즐(300)을 이용해 도포했을 경우 예상되는 분사범위이다. 이때, 분사노즐은 일반 노즐이 아닌 부채꼴 노즐을 이용해 부채꼴 형상(301)으로 분사된 잉크가 그라비아 롤(400)의 표면에서 가로가 길고 세로가 좁은 타원형의 분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분사노즐을 장착하여 인쇄 롤러의 표면 상에 단 한 번의 분사로도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라비아 롤 인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가 구동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분사노즐의 종류와 그 분사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장치가 그라비아 롤 인쇄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4)

  1. 인쇄 롤러가 장착된 인쇄장치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쇄 롤러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장치이고,
    지지기둥이 양쪽에 세워지고,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지지바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 롤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운동 프레임;
    상기 운동 프레임의 끝단에 상기 인쇄 롤러를 향하여 상기 잉크를 분사하도록 연결된 분사노즐; 및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끝단이 상기 운동 프레임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나사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기둥을 일방으로 돌리면 상기 운동 프레임과 상기 지지바의 거리가 증가되고, 타방으로 돌리면 상기 운동 프레임과 상기 지지바의 거리가 감소되는,
    잉크 분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레임은,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한 쌍의 암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암바 각각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상에 결합된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나사기둥을 끼워,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나사기둥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를 풀어 상기 운동 프레임을 상기 나사기둥을 축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운동 프레임을 상기 인쇄 롤러 방향 또는 상기 인쇄 롤러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잉크 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분사노즐을 관통하는 결합축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분사노즐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잉크 분사장치.
KR1020090091135A 2009-09-25 2009-09-25 잉크 분사장치 KR10110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35A KR101103644B1 (ko) 2009-09-25 2009-09-25 잉크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35A KR101103644B1 (ko) 2009-09-25 2009-09-25 잉크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85A KR20110033585A (ko) 2011-03-31
KR101103644B1 true KR101103644B1 (ko) 2012-01-11

Family

ID=4393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135A KR101103644B1 (ko) 2009-09-25 2009-09-25 잉크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224B1 (ko) * 2013-02-18 2017-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311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311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85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012B1 (ko) 도포방법 및 도포장치
CN102152638B (zh) 流体喷射装置及擦拭方法
JP2007021760A (ja) 薄膜形成装置
US20070216721A1 (en) Droplet jetting applic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ated body
CN106166896A (zh) 墨水防干燥装置
KR20070097750A (ko) 폴리이미드막 도포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3644B1 (ko) 잉크 분사장치
KR101670052B1 (ko) 잉크젯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
JP4343573B2 (ja) 塗布装置および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4259107B2 (ja) 液滴吐出ヘッド清掃装置、液滴吐出ヘッド清掃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200421664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その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そ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を用いた画像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848109B2 (ja) 塗布装置
KR100975650B1 (ko) 평면 노즐의 세정 장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JP5987276B2 (ja) 画像記録装置
JP2014162135A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回復方法
KR20110137970A (ko) 스크린 프린터
JP2004314012A (ja) 塗布装置
JP2006056116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その保湿方法
JP4728629B2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塗布方法
JPH081013Y2 (ja) 基板洗浄装置
CN111376589A (zh) 喷墨打印设备及其清洁方法
CN206870611U (zh) 采用直通型角度可调喷嘴的喷墨设备
JP2009166002A (ja) 溶液の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170084814A (ko) 잔류 약액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인쇄 장치
JP2018001687A (ja) 産業用インクジェット描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