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346B1 -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 Google Patents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346B1
KR101103346B1 KR1020090064080A KR20090064080A KR101103346B1 KR 101103346 B1 KR101103346 B1 KR 101103346B1 KR 1020090064080 A KR1020090064080 A KR 1020090064080A KR 20090064080 A KR20090064080 A KR 20090064080A KR 101103346 B1 KR101103346 B1 KR 10110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eel
cold rolled
steel sheet
ro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445A (ko
Inventor
이주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플랜텍
Priority to KR102009006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을 연속으로 이송하여 정형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의 이송경로를 확보하면서 일직선 상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30);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32) 상에 힌지(34)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티어링 프레임(35);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35) 상에 장착되고, 냉연 강판의 이송을 유도하면서 장력과 조향을 조절하는 STBR 롤(42)과, 이탈을 방지하는 스너버 롤(44)을 구비하는 롤러수단; 및 상기 롤러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냉연 강판을 이송하도록 유니버설 커플링(52)을 개재하여 STBR 롤(42)을 구동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냉연 강판을 설정된 규격으로 정형하는 공정에서 전체적 라인 길이와 롤러 수를 축소하여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냉연, 강판, 스트립, 텐션, 스티어링, 프레임

Description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Processing line apparatus for cold rolled steel strip}
본 발명은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연 강판을 설정된 규격으로 정형하는 공정에서 전체적 라인 길이와 롤러 수를 축소하여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연 강판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통상적으로 냉연 강판을 프로세싱하는 라인은 전방프레임(12), 후방프레임(14), 중간프레임(16) 상에 텐션 브리들 롤(22), 스티어링 롤(24), 사이드 트리머(26), CPC 센서(28) 등을 구비하고 강판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며 정형하고 권취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중간프레임(16) 상에 스티어링 롤(24)을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는 폐단을 초래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3514호에 의하면 중앙게이지(301), 두께게이지(205), 두께제어시스템(221), 두께제어기(222), 두께벤더부(224), 벤더제어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냉연강판의 두께 편차에 따라 벤더의 압하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36873호에 의하면 산출된 관성부하의 관성이 입력되어 라인의 가감속구간에 대한 관성 보상제어신호를 보조롤 구동모터 전류제어기로 출력하여 라인에서의 강판의 가감속에 따라 속도제어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냉간 강판 스트립의 정형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기술을 요지로 하므로 생산성 향상을 고려한 비용절감의 측면이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3514호 "냉연강판의 두께편차 제어장치"
[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36873호 "냉연연속처리라인에서의 강판장력 제어장치 및 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연 강판을 설정된 규격으로 정형하는 공정에서 전체적 라인 길이와 롤러 수를 축소하여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을 연속으로 이송하여 정형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의 이송경로를 확보하면서 일직선 상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고정프레임 상에 힌지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티어링 프레임;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냉연 강판의 이송을 유도하면서 장력과 조향을 조절하는 STBR 롤과, 이탈을 방지하는 스너버 롤을 구비하는 롤러수단; 및 상기 롤러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냉연 강판을 이송하도록 유니버설 커플링을 개재하여 STBR 롤을 구동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는 냉연 강판을 설정된 규격으로 정형하는 공정에서 전체적 라인 길이와 롤러 수를 축소하여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을 연속으로 이송하여 정형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에 관련된다. 통상 텐션 브리들 롤(22)이 6∼10유니트, 스티어링 롤(24)이 8∼10유니트로 구성되고 롤 특성별 교체주기가 6∼12개월이다. 전술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중간프레임(16)을 별치하고 스티어링 롤(24)를 설치하는 것은 비경제적 라인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연 강판의 이송경로를 확보하는 베이스 프레임(30)이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30)은 냉연 강판 스트립을 연속으로 이송하며 정형하도록 후술하는 주요 기구들이 장착되는 지지체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은 냉연 강판을 일직선 상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종래와 같이 중간프레임(16)을 별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32) 상에 힌지(34)를 개재하여 스티어링 프레임(Steering Frame)(35)이 장착된다. 고정프레임(32)은 스티어링 프레임(35)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힌지(34)를 기준점으로 좌우로 일정 각도범위에서 조향하는 기능을 가진다. 힌지(34)는 롤 프레임이 스티어링하기 위한 기준점이며, 설치 위치는 스트립 진행의 일측으로 정한다. 그리고 롤 프레임의 중량과 스트립의 중량을 합한 총 부하를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한다.
한편, 롤 프레임이 라인 센터와 직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브라켓을 설치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브라켓은 롤 프레임의 중량과 스트립 장력을 합한 총 부하를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냉연 강판의 이송을 유도하는 롤러수단이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35) 상에 장착된다. 냉연 강판 스트립이 다수의 롤러를 통과하며 정헝되는 과정에서 공정별로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품질과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롤러수단은 냉연 강판의 장력과 조향을 조절하는 STBR 롤(42)과, 냉연 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너버 롤(Snubber Roll)(44)을 구비한다. STBR(Steering Tension bridle Roll) 롤(42)은 냉연 강판 스트립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피딩하는 역할을 하며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롤경이 결정된다. STBR 롤(42)은 냉연 강판 스트립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라인의 진행 방향으로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력의 크기에 따라 2롤형과 4롤형이 있고 각각의 롤에는 동력 전달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STBR 롤(42)은 스트립이 라인의 방향으로 진행 시 스트립의 사행을 방지한다. 통상 1롤형과 2롤형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롤은 무동력 상태로 사용되며, 정밀한 스티어링 동작을 위해 전후로 일정한 양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스너버 롤(44)은 라인 운전중에 STBR 롤(42)이 정지하거나 스레딩(threading)으로 운전될 때 주로 사용하며, 냉연 강판 스트립이 전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러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냉연 강판을 이송하도록 구동수단(5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50)은 유니버설 커플링(52)을 개재하여 STBR 롤(42)을 구동한다. 유니버설 커플링(52)은 스티어링 프레임(35)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이외에 롤러수단의 하류측으로 일직선 상에 CPC 센서(48)가 설치되어 냉연 강판 스트립의 사행을 감지한다.
유압실린더와 함께 설치되는 리니어형 게이지(Lineal Gauge)(54)는 CPC 센서(48)와 일체로 사용되며, 스트립의 사행을 감지한 후 본 장치를 통해 사행하는 스트립을 자동 센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는 냉연 강판 스트립이 STBR 롤(42)을 거쳐 장력과 조향이 유지된 상태로 일직선 상으로 이송되는 구성이고, 도 5(b)는 STBR 롤(42)을 거쳐 장력과 조향이 유지된 스트립이 수직으로 하향하여 이송되는 구성이며, 도 5(c)는 STBR 롤(42)을 거쳐 장력과 조향이 유지된 스트립이 수직으로 상향하여 이송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연 강판 스트립이 일단 STBR 롤(42)을 거친 후에는 후속되는 이송 경로의 방향에 무관하게 설정된 텐션을 유지하면서 설정된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연 강판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라인장치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베이스 프레임 12, 14, 16: 프레임
22: 텐션 브리들 롤 24: 스티어링 롤
26: 사이드 트리머 28: CPC 센서
30: 베이스 프레임 32: 고정프레임
34: 힌지 35: 스티어링 프레임
42: STBR 롤 44: 스너버 롤
48: CPC 센서 50: 구동수단
52: 유니버설 커플링 54: 게이지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 상을 연속으로 이송하여 정형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의 이송경로를 확보하면서 일직선 상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30);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32) 상에 힌지(34)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티어링 프레임(35);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35) 상에 장착되고, 냉연 강판의 이송을 유도하면서 장력과 조향을 조절하는 STBR 롤(42)과, 이탈을 방지하는 스너버 롤(44)을 구비하는 롤러수단; 및
    상기 롤러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냉연 강판을 이송하도록 유니버설 커플링(52)을 개재하여 STBR 롤(42)을 구동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64080A 2009-07-14 2009-07-14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KR10110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80A KR101103346B1 (ko) 2009-07-14 2009-07-14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80A KR101103346B1 (ko) 2009-07-14 2009-07-14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45A KR20110006445A (ko) 2011-01-20
KR101103346B1 true KR101103346B1 (ko) 2012-01-11

Family

ID=4361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080A KR101103346B1 (ko) 2009-07-14 2009-07-14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59B1 (ko) * 2016-08-03 2019-06-13 주식회사 포스코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CN107497866A (zh) * 2017-09-26 2017-12-22 肇庆宏旺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转向侧导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138A (ja) * 1995-01-25 1996-08-06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の蛇行制御装置
KR19990007799A (ko) * 1995-04-25 1999-01-25 퀴르비쉬프리츠 롤 스탠드
KR20040039254A (ko) * 2004-04-20 2004-05-10 (주)버팔로 견뢰도가 우수한 포토 프린트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1565A (ko) * 2002-07-26 2005-03-07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의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39254Y1 (ko) 2006-12-29 2008-03-2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개량된 브라이들 로울에 연접되는 스너버 로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138A (ja) * 1995-01-25 1996-08-06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の蛇行制御装置
KR19990007799A (ko) * 1995-04-25 1999-01-25 퀴르비쉬프리츠 롤 스탠드
KR20050021565A (ko) * 2002-07-26 2005-03-07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의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39254A (ko) * 2004-04-20 2004-05-10 (주)버팔로 견뢰도가 우수한 포토 프린트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39254Y1 (ko) 2006-12-29 2008-03-2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개량된 브라이들 로울에 연접되는 스너버 로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45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4807B1 (en) Rolling installation for and rolling method of continuous cast strip
US9694403B2 (en) Reduction of the strip tension of rolling stock between two rolling units to a minimum
JP4976291B2 (ja) 金属のストリップを圧延するための圧延機
CN201111501Y (zh) 浮动式板带转向夹送装置
CN201735640U (zh) 金属条料拉弯矫直机
KR101103346B1 (ko) 냉연 강판의 프로세싱 라인장치
CN204714169U (zh) 一种橡胶带剪切机上的输送带纠偏装置
US9776226B2 (en) Tension and guidance device, and method of rolling strip material
CN113695454A (zh) 串联冲压生产线及串联冲压生产线用的中间传送装置
CN103072369A (zh) 多色印刷机的纸材输送装置
CN113371421A (zh) 一种石膏板成型皮带机
CN107000004B (zh) 用于引导坯料的辊引导机构以及方法
JP2846168B2 (ja) ストリップの蛇行修正装置
WO2010092837A1 (ja) カレンダ設備
CN201596719U (zh) 一种轧机的板带输送装置
KR101344331B1 (ko) 소재 상향 제어 장치
KR101879584B1 (ko)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KR10122576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US20150144288A1 (en) Continuously operating strip casting and rolling system
KR20130059878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5755541U (zh) 一种适用于纸张印刷的调整装置
KR101204836B1 (ko) 소재 이송장치
CN216763728U (zh) 浮动辊、拉伸辊组及使用该拉伸辊组的薄膜拉伸机
CN212831879U (zh) 裁断机卷曲定中装置及裁断机
CN216397799U (zh) 一种送料机的导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