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171B1 -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 Google Patents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171B1
KR101103171B1 KR1020090026135A KR20090026135A KR101103171B1 KR 101103171 B1 KR101103171 B1 KR 101103171B1 KR 1020090026135 A KR1020090026135 A KR 1020090026135A KR 20090026135 A KR20090026135 A KR 20090026135A KR 101103171 B1 KR101103171 B1 KR 10110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molded
bolt
loosening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048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이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09002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1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인서트 풀림방지너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결합공, 나선홈이 형성된 면에 볼트결합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에 개방되는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성형체, 합성수지성형체가 볼트결합공의 길이방향으로 밀림이 저지되는 밀림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는 상기 나선홈이 형성된 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성형체도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밀림저지수단은, 상기 다수의 합성수지성형체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의 상기 외부에 개방되는 쪽에 위치하는 환형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풀림방지너트의 내측에 볼트가 결합되어 회전시 진행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에 손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고, 나선홈이 형성되지 않은 합성수지성형체를 부착시킴으로써 볼트와 체결시에 유격없는 체결이 되어 확실한 풀림 방지 효과가 있으며, 사용한 풀림방지너트에서 손쉽게 합성수지성형체를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풀림방지너트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너트, 볼트, 풀림방지, 나사산, 도금, 합성수지성형체

Description

인서트 풀림방지너트{Insert locking nut}
본 발명은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성형체를 삽입하여 볼트와 너트의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풀림이 방지되고, 사용한 합성수지성형체의 교체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이다.
볼트와 너트는 기계장치 등의 부재를 정밀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해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계요소이다. 그러나 볼트의 나사산과 너트의 나사산 간에는 상호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약간의 유격이 반드시 존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볼트와 너트는 순간적으로 헐거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어 기계장치 등의 조립 및 고정이 견고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방지너트(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너트의 내측에 나사산이 없는 나일론링(30)을 넣고 프레스 가공으로 너트의 상부가 나일론링(30)을 덮어 나일론링(30)을 고정시킨 풀림방지너트가 개발되었고, 볼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10)가 체결되 면서 상기 나일론링(30)에 유격 없이 나사산을 형성시켜 체결됨으로써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상기 풀림방지너트(10)는 체결 후 풀어버리면 상기 나일론링(3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시 체결할 때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 질 수 없으므로 반드시 새 풀림방지너트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너트(10)는 외부 노출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도금처리가 되어야 하나 종래 기술의 풀림방지너트(10)는 나일론링(30)을 넣고 프레스 가공을 통해 압입고정을 시킨 후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상기 나일론링(30)이 도금시의 온도에 의해 변형 및 손상이 야기되어 외부 노출용으로 사용이 힘든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와의 체결시 확실한 풀림방지 기능을 가지면서도 너트의 도금이 용이하고, 사용한 풀림방지너트에 합성수지성형체(150,150')의 교체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풀림방지너트(100)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너트는,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결합공, 상기 나선홈이 형성된 면에 상기 볼트결합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성형체, 상기 합성수지성형체가 상기 볼트결합공의 길이방향으로 밀림이 저지되는 밀림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는 상기 나선홈이 형성된 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성형체도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밀림저지수단은 상기 다수의 합성수지성형체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의 상기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 측에 위치하는 환형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의 상기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 측에 상기 환형링이 들어가 안착되기 위한 환형링 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성형체는 나일론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의 내측에 형성된 합성수지성형체 안착 부(150,150’)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나선홈이 형성되지 않은 합성수지성형체(170)를 부착시킴으로써 볼트와 체결시에 유격없는 체결이 되어 확실한 풀림 방지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한 풀림방지너트(100)에서 손쉽게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의 재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재사용을 통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합성수지성형체에 환형링이 형성됨으로써 너트에서 합성수지성형체를 탈부착시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므로 합성수지성형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볼트결합공으로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는 작은 크기의 너트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셋째,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탈착 후 부식방지 도금을 하고 나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부착하면 되므로 도금 공정이 용이하고, 도금 후 프레스 가공 등에 따른 도금탈락의 위험이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풀림방지 너트(100)는 나선홈(110)이 형성된 볼트결합공(130)과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와 막힘부(155) 및 합성수지성형체(170)로 구성된다.
나선홈(110)은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의 내주면인 볼트결합공(130)에 형성되고, 볼트결합공(130)을 통해 볼트와 결합된다. 나선홈(110)이 형성된 면에는 볼트가 결합되어 회전할 때 진행하는 볼트결합공(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을 만들어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를 형성한다. 이하 “볼트결합공(130)의 길이방향”은 볼트의 회전과 동시에 볼트가 진행하는 볼트결합공(130)의 회전축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합성수지성형체(170)는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에 삽입되는 것으로,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형태로 성형된다. 볼트와 합성수지성형체(170)가 체결되면서 블록형태의 합성수지성형체(170)에 유격 없이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합성수지성형체(170)와 볼트의 나사산이 풀리지 않게 체결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볼트와 풀림방지너트(100)는 진동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높은 체결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는 나사산과 같거나 약간 높은 높이로 성형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의 일단부에는 막힘부(155)를 형성한다. 이는 합성수지성형체(170)가 볼트와 체결될 때 볼트와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합성수지성형체(170)가 밀려나올 수 있으므로 볼트를 체결할 때는 막힘부(155)가 형성된 방향으로 볼트가 진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막힘부(155)는 밀림 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막힘부(155)로 인해 상기 볼트와 체결시 밀림이 저지되므로 합성수지성형체(170)에 나사선이 원활히 생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성형체(170)를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에 위치시킬 때에는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가 안착부(150)에서 저절로 탈락되지 않을 정도만 고려(예를 들어, 안착부에 약한 억지끼움 등으로 고정)하면 되고, 밀림 저지수단(15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볼트 체결시 볼트의 압입력을 이기고 합성수지성형체(170)를 안착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없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교체 할 때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해 둘 수 있는 것이다(예를 들어, 강한 억지끼움과 같이 합성수지 성형체를 압입고정하게 되면 나중에 너트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와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풀림방지의 강도 조절은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가 부착된 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도금할 때는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금을 실시하고 도금이 완료된 후에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를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에 안착시켜 풀림방지너트(100)를 완성한다.
내식성을 높이기 위한 다크로 도금의 경우에 도금시의 온도가 450℃에 달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너트(100)는 합성수지성형체(170)를 삽입 전에 도금처리 하여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의 소재는 나일론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열 및 내충격성이 강한 나일론66이 적절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풀림방지너트(100)는 나선홈(110)이 형성된 볼트결합공(130)과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결합공(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이 형성되어 합성수지성형체(170)가 안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가 환형링(175)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하고 있는 실시예와 동일하나 합성수지성형체(170)의 형태와 부착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서 합성수지성형체(170)는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형태의 다리 부분(170)과, 그 일단을 부착시켜 일체형성한 환형링(175)으로 구성되며, 풀림방지너트(100)의 상단 즉,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에 개방되는 단부 측에는 환형링(175)이 안착되는 환형링 안착부(160)를 형성한다.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에 환형링(175)이 포함됨으로 인해 상기 환형링(175)을 잡고 너트에 합성수지성형체(170)를 탈부착 할 수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합성수지성형체(170)가 블록형태로만 있을 때 보다 더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본 실시에 있어서 밀림을 저지하는 수단은 상기 환형링(175)이며, 환형링(175)에 붙어 있는 블록형태의 합성수지성형체(170)들이 볼트와 체결될 때 밀리는 것을 환형링(175)이 잡아줄 수 있다.
볼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100)가 체결할 때는 상기 환형링(175)을 통과하여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밀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풀림방지강도를 높이기 위해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와 합성수지성형체(170)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도 도 2의 막힘부(155)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의 말단에 막힘부(155′)를 추가로 형성시켜 막힘부(155′)를 밀림 저지수단에 포함시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나일론 너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나일론 너트 30 : 나일론링
100 : 풀림방지너트 110 : 나선홈
130 : 볼트결합공 150,150' :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
155 : 막힘부 160 : 환형링 안착부
170 : 합성수지성형체 175 : 환형링

Claims (2)

  1. 내주면에 나선홈(110)이 형성되어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결합공(130),
    상기 나선홈(110)이 형성된 면에 상기 볼트결합공(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성형체(170), 및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가 상기 볼트결합공(130)의 길이방향으로 밀림이 저지되는 밀림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는 상기 나선홈(110)이 형성된 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도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밀림저지수단은 상기 다수의 합성수지성형체(170)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의 상기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 측에 위치하는 환형링(175)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합성수지성형체 안착부(150,150')의 상기 외부에 개방되는 일단부 측에 상기 환형링(175)이 들어가 안착되기 위한 환형링 안착부(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성형체(170)는 나일론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KR1020090026135A 2009-03-26 2009-03-26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KR10110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35A KR101103171B1 (ko) 2009-03-26 2009-03-26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35A KR101103171B1 (ko) 2009-03-26 2009-03-26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890A Division KR100901105B1 (ko) 2009-01-29 2009-01-29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048A KR20100088048A (ko) 2010-08-06
KR101103171B1 true KR101103171B1 (ko) 2012-01-04

Family

ID=4275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35A KR101103171B1 (ko) 2009-03-26 2009-03-26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20B1 (ko) 2021-11-02 2022-09-19 주식회사 지스 연료전지 스택용 풀림방지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11B1 (ko) * 2021-01-11 2022-06-27 (주)진합 레이저를 이용한 체결나사의 플라스틱 접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4A (ja) 1999-02-04 2000-08-08 Hamanaka Nut Kk ねじの緩み止め構造
JP2002081430A (ja) 2000-09-07 2002-03-22 Amachi:Kk 押し込み式プラスチックナ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4A (ja) 1999-02-04 2000-08-08 Hamanaka Nut Kk ねじの緩み止め構造
JP2002081430A (ja) 2000-09-07 2002-03-22 Amachi:Kk 押し込み式プラスチックナ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20B1 (ko) 2021-11-02 2022-09-19 주식회사 지스 연료전지 스택용 풀림방지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048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105B1 (ko)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CN107781270B (zh) 带垫圈的螺钉
AU2017327702B2 (en) Hammerless solution
US20130121786A1 (en) Screw assembly element
KR101103171B1 (ko)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JP2011017352A (ja) ゆるみ止めナット
KR102016761B1 (ko) 풀림방지를 위한 탈착형 와셔
KR20140126412A (ko) 툴스탑을 구비하는 편평형 스탠드오프
CN103687699A (zh) 用于松开用于壳体中的单元的锁紧螺丝的装置
US20210239147A1 (en) Fastener assembly
US20070007816A1 (en) Non-axisymmetrical wheel cover retention apparatuses and assemblies
US20090166506A1 (en) Engine Mount With Two Piece Core
US20190153707A1 (en) Faucet mounting mechanism
EP3802302B1 (en) Axle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length
CN108757696A (zh) 一种永不松动的螺栓和螺母紧固组件
US20150003930A1 (en) Fastening system including removable stud and retaining plate
KR20090117974A (ko) 도어용 핸들의 부착 구조체
CN201071867Y (zh) 自锁螺母防松结构
US20170145987A1 (en) Wind turbine blade manufacture
US9845904B2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KR200437133Y1 (ko)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JP6935096B2 (ja) ノブナット本体
KR20200039397A (ko) 풀림방지용 너트
JP4208708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WO2018008482A1 (ja) 固定部材の離脱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