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33Y1 -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 Google Patents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33Y1
KR200437133Y1 KR2020070009149U KR20070009149U KR200437133Y1 KR 200437133 Y1 KR200437133 Y1 KR 200437133Y1 KR 2020070009149 U KR2020070009149 U KR 2020070009149U KR 20070009149 U KR20070009149 U KR 20070009149U KR 200437133 Y1 KR200437133 Y1 KR 200437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asher
thread
incomplete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명
Original Assignee
김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명 filed Critical 김재명
Priority to KR2020070009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16B39/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with spring washers fastened to the nut or bolt-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와 와셔를 별개의 물품으로 하면서도 볼트로부터 와셔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볼트 또는 와셔 붙이 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붙이 볼트는 머리부,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불완전 나사부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머리부보다 작고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 불완전 나사부에는 상기 나사부의 숫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가 형성된 와셔가 끼워진 것이다.

Description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Bolt with washer and washer attachable Bol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와 평와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붙이 볼트에서 볼트에 평와셔를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붙이 볼트에서 평와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와셔 붙이 볼트에서 스프링 와셔가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볼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탈부착 가능한 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볼트로 대상물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체결면과 이에 맞닿는 볼트 머리부의 접촉면에 와셔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와셔를 체결면에 놓은 후에 볼트를 와셔에 관통시켜 체결하거나, 먼저 와셔 를 볼트에 삽입한 후에 볼트와 와셔를 체결 대상물에 함께 체결한다.
그러나, 와셔는 볼트에 삽입 관통되도록 볼트의 나사부의 산지름보다 큰 직경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셔를 볼트에 삽입한 후에 함께 체결하려는 경우에는 와셔가 볼트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동차의 부품 조립 공정 또는 수리 공정에서와 같이 작업 공간이 좁고 깊은 상태에서 볼트와 와셔를 체결 대상물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볼트로부터 와셔가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와셔가 볼트 머리에 형성되어 있는 와셔 붙이 볼트가 있지만, 이러한 와셔 붙이 볼트는 와셔의 종류가 평와셔로 제한되며, 특히 볼트 머리부의 크기에 따라 와셔의 직경에 제한이 생기고 별도의 제조 금형 등이 필요하게 되는 등, 와셔와 볼트를 별도의 물품으로 하고자 하는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볼트와 와셔를 별개의 물품으로 제조하면서도 볼트로부터 와셔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볼트 또는 와셔 붙이 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와셔가 부착 가능한 와셔 붙이 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머리부,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머리 부와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불완전 나사부를 갖춘 와셔 붙이 볼트로서, 상기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머리부보다 작고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 불완전 나사부에는 상기 나사부의 숫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가 형성된 와셔가 끼워지는 것인 와셔 붙이 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와셔의 암나사와 볼트의 나사부의 숫나사를 결합하여 회전시켜 가면, 와셔는 볼트의 나사부를 지나 불완전 나사부에 진입하고, 불완전 나사부에 진입한 후에는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와셔의 암나사의 산지름 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와셔를 계속 회전시켜도 암나사는 불완전 나사부에 멈추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로부터 와셔를 이탈시키기 위하여 와셔를 볼트와의 체결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볼트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와셔의 이탈 우려 없이 볼트에 의한 대상물의 체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길이를 상기 와셔의 두께 이상으로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와셔는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 내에서 안착되어 있을 수 있고, 불완전 나사부의 길이를 충분히 하면, 스프링 와셔와 같이 전체 두께가 큰 와셔도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에 수용될 수 있다.
종래의 와셔 붙이 볼트에서는 스프링 와셔를 볼트와 같이 일체로 구성할 수 없었지만,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스프링 와셔의 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을 볼트의 머리부보다 작고 상기 암나사의 산지름 또는 볼트의 나사부의 숫나사의 골지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면, 스프링 와셔는 볼트 의 나사부를 통과하여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 내에 안착되어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 와셔 붙이 볼트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갖는 와셔 붙이 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와 와셔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10)는 6각형의 머리부(11)와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2)를 갖추고 있고, 머리부(11)와 나사부(12) 사이에는 불완전 나사부(13)가 형성되는데, 나사부(12)는 비가공 상태의 원통형의 볼트축을 전조하거나 기계 가공하여 숫나사를 형성한 것이고, 불완전 나사부(13)는 원통형의 볼트축이 비가공 상태로 남아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에서 불완전 나사부(13)의 직경(D')은, 전조 가공의 경우에는 통상 나사부(12)의 골지름(d)보다는 크고 산지름(D)보다는 작은 치수를 갖게 되고, 기계 가공의 경우에는 나사부(12)의 산지름(D)과 같게 된다.
한편, 통상의 와셔(20)는 볼트의 나사부(12)의 산지름(D)보다 큰 직경의 구멍(21)이 형성됨으로써, 와셔(20)를 볼트(10)에 관통시키면, 와셔의 구멍이 볼트의 어느 부분에도 걸리는 일이 없이 볼트의 머리부(11)에 맞닿을 때가지 삽입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로 대상물을 체결할 때에 와셔는 볼트에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작업 상태에 따라 볼트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버린다.
반면, 하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붙이 볼트에서는 종래 기술의 볼트에서와 같은 와셔의 이탈 문제가 해소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와 와셔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볼트(30)도 머리부(31), 나사부(32) 및 이들 사이의 불완전 나사부(33)가 형성되어 있지만, 불완전 나사부(33)의 직경(D')은, 종개 기술에 따른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와는 달리, 나사부(33)의 숫나사의 골지름(d)에 비하여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볼트의 전조 과정에서 조절되거나 기계 가공에 의해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와셔(40)는 볼트에 끼워지는 구멍(41)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는 볼트의 나사부(32)와 물릴 수 있는 암나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와셔(40)의 암나사(42)를 볼트(30)의 나사부(32)에 체결하여 계속 회전시켜 나가면, 와셔(40)의 암나사(42)가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33)에 진입하면서 나사부(32)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와셔를 더 회전시켜도 와셔(40)는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33)에서 헛돌게 되어 결국은 도 3에서와 같이 불완전 나사부(33)에 안착된다.
이 때,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길이(L)는 와셔(40)의 두께(t)에 비해 약간 크거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와셔의 암나사와 볼트의 숫나사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될 수 있지만,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길이가 (L)가 와셔의 두께(t)보다 작아서 와셔의 암나사가 볼트의 숫나사와 맞물려 있게 되어도 와셔가 볼트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없다는 본 고안의 작용은 충분히 달성되고, 더욱이 와셔가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볼트를 대상물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와셔가 볼트의 머리부 쪽으로 후퇴하면서 와셔가 볼트의 머리부에 밀착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는 스프링 와셔가 부착된 볼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 와셔(50)의 구멍(51)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와셔(40)와 같이 암나사가 가공되어 있고, 볼트(30)의 불완전 나사부(33)의 길이(L)는 스프링 와셔(50)의 신장시의 두께(t')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와셔(50)를 볼트(30)에 결합하면, 스프링 와셔(50)가 볼트의 나사부(32)를 통과하여 불완전 나사부(33)에 이탈되지 않게 안착된다.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볼트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스프링 와셔 붙이 볼트가 제공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들 양 와셔에 암나사를 가공하고,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을 와셔의 암나사의 산지름 또는 볼트의 숫나사의 골지름 이하로 하고,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높이를 양 와셔의 두께의 합 이상으로 함으로써,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모두 부착한 와셔 붙이 볼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붙이 볼트는 와셔가 볼트의 머리부와 일체로 된 종래의 와셔 붙이 볼트에 비해, 와셔가 볼트 머리부와 별개로 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와셔를 비롯한 여러 가지 종류의 와셔가 부착될 수 있으며, 와셔에 암나사를 추가로 가공하고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 할 수 있다.

Claims (5)

  1. 머리부,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불완전 나사부를 갖춘 와셔 붙이 볼트로서,
    상기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머리부보다 작고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 불완전 나사부에는 상기 나사부의 숫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가 형성된 와셔가 끼워지는 것인 와셔 붙이 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불완전 나사부의 길이는 상기 와셔의 두께 이상인 것인 와셔 붙이 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스프링 와셔인 것인 와셔 붙이 볼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인 것인 와셔 붙이 볼트.
  5. 머리부,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불완전 나사부를 갖춘 볼트로서,
    상기 불완전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나사부의 골지름보다 이하인 것인 볼트.
KR2020070009149U 2007-06-04 2007-06-04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KR200437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149U KR200437133Y1 (ko) 2007-06-04 2007-06-04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149U KR200437133Y1 (ko) 2007-06-04 2007-06-04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957 Division 2006-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33Y1 true KR200437133Y1 (ko) 2007-11-05

Family

ID=4163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149U KR200437133Y1 (ko) 2007-06-04 2007-06-04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78B1 (ko) * 2008-03-18 2010-05-24 대구텍 유한회사 신속 교환 커터 조립체 및 그에 장착된 클램핑 스크류조립체
KR20220111923A (ko) * 2021-02-03 2022-08-10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리프트 핀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78B1 (ko) * 2008-03-18 2010-05-24 대구텍 유한회사 신속 교환 커터 조립체 및 그에 장착된 클램핑 스크류조립체
KR20220111923A (ko) * 2021-02-03 2022-08-10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리프트 핀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KR102608461B1 (ko) * 2021-02-03 2023-12-04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리프트 핀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510B2 (en) Fastener system, fastener system article, and method
US8950991B2 (en) Screw captivator
US20100098511A1 (en) Locking system and fastening elements
US20080240883A1 (en) Threaded Insert and Method of Using Same
US9416812B2 (en) Nut
KR200395383Y1 (ko) 자석을 이용한 체결구
US10989246B2 (en) Anti-vibration fastener
US7938610B2 (en) Lock nut
KR200437133Y1 (ko) 와셔 붙이 볼트 및 와셔가 부착될 수 있는 볼트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US20160245319A1 (en) Screw captivator
US20130270868A1 (en) Procedure for panel assembly and device associated thereto
US8142127B1 (en) Torque nut assembly
JP2009063070A (ja) 分割ナット
US3295579A (en) Lock bolt
US20080175687A1 (en) Double-ended mounting stud and tool
JP2006194291A (ja) 緩止座金、締結構造及び締結方法
US20180313394A1 (en) Captive fastener
JPH08232932A (ja) ボルトの緩めトルク低減構造および緩め方法
KR101395137B1 (ko) 기계 제품 조립용 볼트 셋
US20190078611A1 (en) Ball stud
EP4121662B1 (en) Locking threaded fastener assembly
US9441400B2 (en) Closure latch
KR20170052321A (ko) 볼트를 이용한 조립구조
US20040247409A1 (en) Nut member with tightness-indicating protr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