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038B1 -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 Google Patents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3038B1 KR101103038B1 KR1020090045542A KR20090045542A KR101103038B1 KR 101103038 B1 KR101103038 B1 KR 101103038B1 KR 1020090045542 A KR1020090045542 A KR 1020090045542A KR 20090045542 A KR20090045542 A KR 20090045542A KR 101103038 B1 KR101103038 B1 KR 101103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upled
- connector
- socket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덩굴 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1개의 상부소켓(12)과 2개의 하부소켓(13)이 몸체(11)를 중심으로 삼각구조로 형성되는 연결구(10)와; 2개의 봉이 한 쌍을 구성하여 각기 연결구(10)의 하부소켓(13)에 삼각형상으로 결합되는 지주(20)와; 지주(20)가 결합된 연결구(10)의 상부소켓(12)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대(30)와; 지주의 양측 면 공간부에 결합되는 그물망(40);을 포함하여, 작물이 식재된 두둑(100)의 길이 방향으로 지주(20)와 연결구(10)가 결합된 상태의 지주프레임(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프레임(50) 상부에 상부연결대(30)가 결합되고, 지주프레임(50)과 지주프레임(50) 및 상부연결대(30) 사이의 양 측면 공간에 상기 그물망(40)이 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supporting a vine plant, one upper socket 12 and two lower sockets 13 are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around the body (11) (10); Two poles constitute a pair of struts 20 coupled to the lower socket 13 of the connector 10 in a triangular shape, respectively; An upper connector 3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n upper socket 12 of the connector 10 to which the support 20 is coupled; Nets 4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lumn space of the support; including, the support frame 50 in the state that the support 20 and the connecto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nted planted steep 100 is coupled It is installed, the upper connecto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50, the mesh 40 is continuous in both side spaces between the support frame 50 and the support frame 50 and the upper connector 3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덩굴식물, 덩굴손, 지지대, 그물망, 수직마름모꼴 Vine Plant, Creeper, Support, Mesh, Vertical Loze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낭콩, 오이, 더덕, 사삼 등의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1개의 상부소켓과 2개의 하부소켓이 삼각구조로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구와, 연결구의 하부소켓에 결합되어 연결구를 중심으로 삼각형상으로 결합되는 2개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연결구의 상부소켓에 결합되어 지주와 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상부연결대와, 지주프레임과 상부연결대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공간에 결합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작물이 식재된 두둑의 길이 방향으로 지주프레임과 연결대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설치되고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 및 연결대 사이의 양 측면 공간에 상기 그물망이 연속 설치됨으로써 두둑에 식재된 덩굴식물이 그물망을 타고 성장하도록 구성된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vine plant cultivation, such as kidney beans, cucumbers, deodeok, samsam, and in particular, one upper socket and two lower sockets are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and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lower socket of the connector A plurality of struts composed of two legs which are triangularly coupled to the center, a plurality of upper stems coupled to the upper socket of the connector and connecting the struts and the upper ends of the struts, and both spaces formed by the strut frame and the upper stems. The vines are planted on the tortillas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strut frame and the connecting rod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ads where the crops are planted. It relates to a support for growing vine plants in which plants are grown in a net.
덩굴식물은 다른 식물이나 물체에 지탱하여 위로 자라는 식물로서 만경식물(曼莖植物)이라고도 하고, 줄기로 다른 식물을 감싸거나, 덩굴손을 만들어 덩굴손으 로만 감싸면서 자라거나 또는 자기 스스로 잘 움직이지 않는 곁가지, 가시, 뿌리 또는 털 등의 흡기(吸器)를 만들어 다른 식물에 달라붙어 자라는 식물이며, 청미래덩굴·으아리·갈퀴나물·다래·호박, 으름·댕댕이덩굴·오미자·칡·등·머루·나팔꽃·인동, 담쟁이덩굴·송악·마삭줄·새삼, 사삼, 강낭콩, 더덕, 오이 등이 있다.A vine plant is a plant that grows up by supporting other plants or objects, also called mangyeong plant, and grows by wrapping other plants with stems or by making vines with only vines, A plant that grows by making intakes such as thorns, thorns, roots, or hairs, and sticks to other plants. Indong, Ivy, Songak, Mahjong, Saengsam, Samsam, Kidney Beans, Deodeok, and Cucumber.
작물용 또는 관상용으로 식재되는 덩굴식물은 덩굴손이 다른 물체를 감싸면서 성장하는 특성 때문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덩굴손이 상부 공간으로 뻗어 오르도록 함으로써 잎이 분산되고, 투광량이 증가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다.Vine plants that are planted for crops or ornamentals can be distributed because the vines grow while surrounding other objects, so that the vines are extended to the upper space by dispersing the leaves, an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increases to increase the yield per unit area. have.
이러한 이유로 강낭콩, 더덕 등 덩굴 식물 재배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가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For this reason, various types of supports are known and used for growing vine plants such as kidney beans and deodeok.
지지대의 일반적인 형태는 자연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대나무나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상단은 묶고 하부는 삼각형으로 벌여 2줄 식재된 작물의 옆에 꽂아주고 각지지대의 상부는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끈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다.The general form of the support is made of bamboo or twigs, which can be easily collected from nature. The top is tied, the bottom is triangulated, and two rows of crops are placed next to each other. That's how.
이것은 작물의 덩굴손이 인접 지지대를 감아 올라가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줄기를 분산시키고 옆면의 투광량을 늘려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증가를 가져 왔지만 한 작물당 하나의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지지대의 소요량이 매우 많고, 그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파생되었다.This is designed to allow crop vines to grow by rolling up adjacent supports, increasing the output per unit area by dispersing the stems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side projections, but the use of one support per crop is very high. This has led to many problems.
즉, 강낭콩을 예로 들면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강낭콩 하나당 하나의 지지대를 사용하며, 대략 15cm 간격마다 2개의 막대를 삼각형태로 꽂기 때문에 100 ㎡당 대략 740개의 막대를 설치함으로써 설치하는데 따른 노동력이 많이 들고, 자재보관을 위한 대량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며, 노후화에 의해 대략 3년마다 교체하여야 함으로 자원부족과 자연훼손이 심각하였다. That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kidney beans use one support for each kidney bean, and two bars are inserted in a triangular shape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5 cm, and thus the labor for installing by installing approximately 740 bars per 100 m 2 is increased. Due to the heavy lifting, large storage spaces for material storage, and replacement every three years due to aging, resource shortage and natural damage were severe.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대한민국 실용신안1986-0000183호는 합성수지나 금속 파이프의 상부를 볼트 등으로 결합하고 몸통에 소정 간격의 횡공을 뚫어 넝쿨안내줄을 결속하고 측방에는 횡연결대를 연결하는 넝쿨작물 재배용 지주를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실용등록 20-0410894호는 땅에 매설하게 된 좌우 한 쌍의 지주 상단부와 가로대의 하단 연결부에 연결부를 끼워 체결핀으로 고정 결합하고 가로대의 중앙부에 고리를 형성하여 여기에 줄을 매어 지주를 감아 타고 올라가는 넝쿨이 상부의 줄에 지지되는 오이 지주대를 제시하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No. 1986-0000183 proposes a vine planting prop for joining the upper part of synthetic resin or metal pipe with bolts, piercing the vines with a certain interval through the body, and connecting the vines to the side. In Korea Utility Registration No. 20-0410894, a pair of left and right pillars buried in the ground and a connection part are fitted to the bottom connection part of the crossbar to be fixed and fastened with fastening pins, and a loop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rossbar. The vine that winds up the prop is presented with a cucumber prop that is supported by the upper row.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의 구조는 기존의 나무막대나 대나무로 된 지주를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대체하고, 연결대나 줄을 사용하여 넝쿨 줄기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천연 자재의 자원을 절약하고 자연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연자재에 비하여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설치하는데 노동력이 많이 들고, 대량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는 기존 천연자재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더욱이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여 엽면 분산에 의한 투광량 증가와 그에 따른 생산량 증가에 한계가 있었다.The structure of the support as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to replace the existing wooden rod or bamboo props with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to support the vine stem by using connecting rods or strings to save natural resources and prevent natural damage.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durability compared to natural materials. However,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existing natural materials, which require a lot of labor to install and require a large storage space, and furthermore,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is not fully utiliz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foliar dispersion and There was a limit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본 발명은 덩굴식물의 지지대를 제시함에 있어서, 합성수지나 금속 소재의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천연소재인 나무나 대나무 사용에 따른 자연훼손과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할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o solve the problems of natural damage and lack of resources due to the use of wood or bamboo as a natural material by using a support of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in presenting the support of the vine plant and have a high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에 그물망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구성하고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지대 설치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감소시키며, 엽면을 공간상에서 고르게 분산시켜 투광량 증대에 따른 수확량을 향상할 수 있는 덩굴 식물지지구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net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to configure a wide enough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can be configur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can save time and effort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In addition, it has a purpose to propose a vine plant support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space for the storage of materials, and evenly distribute the foliar in the space to improve the yiel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를 땅에 꽂고, 상부연결대를 연결하며, 그물망을 설치하는 설치작업과 사용 후 분리작업을 1인 또는 2인의 작업자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덩굴 식물지지구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ne plant support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carried out by one or two workers to install the support and plugging the upper connecting rod, the installation of the net and the separation after use. Has a purpos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개의 상부소켓과 2개의 하부소켓이 몸체를 중심으로 삼각구조로 형성되는 연결구와; 2개의 봉이 한 쌍을 구성하여 각기 연결구의 하부소켓에 삼각형상으로 결합되는 지주와; 지주가 결합된 연결구의 상부소켓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대와; 지주의 양측 면 공간부에 결합되는 그 물망;을 포함하여, 작물이 식재된 두둑의 길이 방향으로 지주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의 지주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프레임 상부에 상부연결대가 결합되고,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 및 상부연결대 사이의 양 측면 공간에 상기 그물망이 연속 설치되는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upper socket and two lower sockets are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around the body; Two poles constitute a pair and each strut is coupled to the lower socket of the connector in a triangular shape; An upper connecting ro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n upper socket of the connecting connector to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A water n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space space; including,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in the state of the land and the connector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nted planted pike, the upper connecting rod is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A support for vine plant cultiva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net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both side spaces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또한,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과 상부연결대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몸체 상부에 상부연결대 결합을 위한 상부소켓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에 상기 몸체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는 2개의 하부소켓이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ocket for coupling the upper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 a connector for coupling the holding frame and the upper connector, the lower lower body is hinged to the body coupled to the configuration Present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물망을 상부연결대 및 지주에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지주프레임 및 상부연결대에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양단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그물망 결속구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eel wire having an elastic force in order to fix the net to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support, the clip portion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by the ring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both ends of the clip portion. Present the net tie that is made.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금속 소재로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천연소재인 나무나 대나무 사용에 따른 자연훼손과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s of natural damage and lack of resources caused by the use of wood or bamboo as a natural material by configuring the support with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and having a high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연속된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그물망을 형성함으로써 지주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구성할 수 있고, 작물의 상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대 설치 소요량이 현저히 감소 됨으로써 지지대 설치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의 구입비용을 절감하고 자재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wide enough space between the holding frame by forming a net in the space between the continuous holding frame and the holding fra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upper space of the crop. As a result, the requirement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the material and reducing the space for storing the material.
또한, 덩굴손이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그물망을 자연스럽게 감고 성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발육이 향상되며, 엽면이 상부 공간상에서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투광량 증대에 따른 수확량 향상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endril tends to be naturally wound and grows at regular intervals in a uniform and regularly arranged net, thereby improving development without stress, and foliar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upper space, thereby improving yield by increasing light emission.
또한, 지주 및 상부연결대가 소켓구조의 연결구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되고 또한, 분해도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함으로 기존 지지대 구조에 비하여 높은 노동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oupled to the connector of the socket structure, and also easy to disassemble and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thereby exhibiting high labor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existing supporting structure.
또한, 그물망결속구는 클립구조로 이루어져 지주 및 상부연결대에 대고 압박함으로써 자체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고리는 그물망의 테두리끈을 간편하게 결속함으로써 그물망 설치 또한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sh binding sphere is made of a clip structure is firmly fixed by its elasticity by pressing against the strut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the hook is also easy to install the net by easily binding the rim of the ne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는 1개의 상부소켓(12)과 2개의 하부소켓(13)이 몸체(11)를 중심으로 삼각구조로 형성되는 연결구(10)와; 2개의 봉이 한 쌍을 구성하여 각기 연결구(10)의 하부소켓(13)에 삼각형상으로 결합되는 지주(20)와; 지주(20)가 결합된 연결구(10)의 상부소켓(12)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대(30)와; 지주의 양측 면 공간부에 결합 되는 그물망(40);을 포함하여, 작물이 식재된 두둑(100)의 길이 방향으로 지주(20)와 연결구(10)가 결합된 상태의 지주프레임(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프레임(50) 상부에 상부연결대(30)가 결합되고, 지주프레임(50)과 지주프레임(50) 및 상부연결대(30) 사이의 양 측면 공간에 상기 그물망(40)이 연속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Figure 1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or vine plant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상기 연결구(1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주(20)를 삼각구조로 결합하여 지주프레임(50)을 구성하고, 상부연결대(30)를 두둑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두둑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지지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이다.The
상기 연결구(10)는 몸체(11)를 중심으로 상부에 상부소켓(12)이 형성되고, 하부에 2개의 하부소켓(13)이 몸체에 대하여 각기 힌지(14) 구조로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소켓에 지주(20)가 결합됨으로써 두둑에 식재되는 작물에 따라 양 지주의 벌어지는 각도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연결구(30)는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구성할 경우에는 태양광선 및 자외선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합성수지 예를 들면 ABS수지 등으로 구성하고, 금속은 가볍고 내 부식성을 갖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구성한다.The
상기 연결구(10)는 결합되는 상부연결대(30) 및 지주(20)에 대하여 간단한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 상태에서 작물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이 유지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는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몸체(11) 와 상부소켓(12)이 한 몸을 이루고, 하부소켓(13)은 상기 몸체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힌지(14) 구조를 갖는다.2 to 4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the
연결구(10)를 구성하는 상부소켓(12) 및 하부소켓(13)은 각기 결합되는 상부연결대(30)의 결합공(31)과 지주(20)의 결합부(21)와 대응된다.The
상부연결대(30)의 결합공(31)을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 상기 상부소켓(12)의 형상도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연결대의 결합공을 사각, 육각형 등 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부소켓의 형상도 각형으로 구성된다.When the
마찬가지로 지주(20)의 결합부(21)를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 상기 하부소켓(13)의 결합부 형상도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지주(20)의 결합부(21)를 사각, 육각형 등 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부소켓(13)의 형상도 각형으로 구성된다.Similarly, when the
도시된 실시 예는 상부연결대(30)의 결합공(31)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부소켓(12)을 원형으로 구성하고, 지주(20)의 결합부(21)를 원형으로 구성하여 이에 대응되는 하부소켓(13)의 결합부를 원형으로 구성한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는 조립 상태에서 각형에 비하여 길이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는 작으나 길이방향의 뒤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연결구가 파손되는 것은 방지하며, 지지구조의 전체적인 유연성이 증가되어 외력에 대하여 보다 높은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ircular coupling part has a smaller effect of suppressing the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square in the assembled state, but flexibly absorbs the stress generated by the dist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or from being broken and increasing the overall flexibility of the supporting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xhibit higher rigidity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s.
도시된 연결구는 연결구(10)를 구성하는 몸체(11)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중심부에 원형의 결합부(12a)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소켓(12)이 몸체(11)와 일체로 형 성된다.The illustrated connector has a
하부소켓(13)은 상기 몸체에 대하여 볼트에 의한 힌지(14)구조로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2개의 하부소켓지지대(14a)가 형성되고, 하부소켓(13)의 상부에 상기 하부소켓지지대에 맞춤결합되는 포크부(14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소켓지지대(14a)와 하부소켓의 포크부(14b)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중심부에 체결볼트(14c)가 관통결합됨으로써 체결볼트를 풀고 조임에 따라 몸체에 대한 하부소켓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결국 하부소켓에 결합된 지주(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하부소켓(13)에는 지주(20)를 끼워맞춤 결합하기 위한 원형의 결합부(13a)가 형성된다.The
상부소켓(12)의 결합부(12a)에는 상부에 테이퍼단(12b)이 형성되고, 하부는 직선부가 형성되어 상부연결대(30)의 결합공(31)을 테이퍼단(12b)을 이용하여 쉽게 끼우고, 직선부에서 맞춤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된다.A
하부소켓(13)의 결합부(13a)도 상부에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테이퍼단(13b)이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지주(20)의 상부 결합부(21)를 쉽게 끼우고, 직선부는 이를 밀착 끼워 맞춤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하부소켓(13)의 포크부(14b)는 결합부(13a)보다 외경을 크게 구성하고, 지주(20)의 상단 테두리 접부에 원형홈(15)을 형성함으로써 지주(20)와 하부소켓(13)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고, 조립상태에서 지주(2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작용하여 빗물 등이 지주 내부로 스며들어 부식시키는 것을 효 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10)는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구성한 것으로, 열에 의한 균열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에 각기 구멍(16)을 형성하고, 몸체에는 원형 홈(17)과 리브(18)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The
또한, 하부소켓지지대(14a)를 관통하는 볼트공(14d) 둘레와 테두리는 일정한 두께의 보강살(14e)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살이 하부소켓의 포크부 내면에 접촉하고, 체결볼트(14c)를 조여 체결할 때 적절한 압력과 탄력을 갖고 체결됨으로써 지주 각도를 벌이거나 오므릴 때 적당한 저항이 유지되도록 하여 조립 및 설치 상태에서 지주 각도가 너무 쉽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ce and the rim of the
지주(20)는 상부연결대(30)와 함께 그물망(4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작물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구(10)의 좌우 하부소켓에 각기 결합되는 2개의 지주(20) 한쌍을 구성한다.The
상기 지주(20)는 작물에 따라 적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몸체(22)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부소켓에 맞춤 결합되는 결합부(21)와, 상기 몸통의 하부에 형성되는 땅에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뾰쪽하게 형성되는 꽂음부(2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지주(20)는 사각 또는 육각형과 같이 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성이 크고 내구성이 크며 가볍고 다루기 용이한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또한, 꽂음부(23)를 제외하고 결합부(21)와 몸체(22)를 동일 형상으로 연속 된 중공 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가볍고 다루기 쉬운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상부연결대(30)는 2개의 지주(20)가 연결구(10)에 결합된 지주프레임(50)의 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하여 줌으로써 전체적으로 견고한 틀체를 구성하는 작용을 하고, 지주프레임(50)과 지주프레임(50) 및 상부연결대(30) 사이의 공간을 형성시켜 작물 지지를 위한 그물망(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upper connecting
상기 상부연결대(30)는 몸체(32)와, 몸체(32)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결합공(31)에 지주프레임(50)의 상부에 노출되는 연결구(10)의 상부소켓(12)을 끼움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The
상부연결대의 도시된 실시 예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원형 파이프의 양단을 프레싱하여 평면의 결합부(33)를 구성하고, 그 중심에 상부소켓결합을 위한 결합공(31)을 형성한 구성이며, 결합공(31)이 형성되는 결합부(33)는 상부연결대를 두둑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나가는 구조로 지지구조를 설치할 때 결합부가 상부소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upper connecting rod is configured to form a
그물망(40)은 작물의 덩굴손에 일정하고 규칙적인 지지물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 없이 성장할 수 있게 하고, 덩굴손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엽면이 상부공간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채광량을 증가시켜 생산량을 늘리는 작용을 하며, 지지대의 사용량을 경감시켜 노동량을 줄이고, 자재 구입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상기 그물망(40)은 면화·대마·아마·마닐라삼·사이잘삼 같은 식물성 섬유나 나일론·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등의 인조섬유 등으로 된 올을 직조·편물·코바늘뜨기로도 만들어 마름모꼴 형태의 그물코(41)를 갖고, 상하 테두리에는 굵은 테두리끈(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반복적인 시험에 따르면 덩굴손이 스트레스 없이 성장하는데 가장 적합한 그물코의 크기는 15~25cm가 적합하고, 4~5가닥의 올(43)을 꼬아 그물을 짬으로서 덩굴손이 보다 쉽게 감아 올라가는 결과를 얻었다. According to repeated tests, the best size of the net for growing tendrils without stress is suitable for 15-25 cm, and 4 to 5 strands (43) are twisted to obtain a tendency for tendrils to be easily wound up.
또한, 강낭콩에 대하여 반복 실험한 결과 그물코의 크기가 15cm 이하이면 덩굴손이 1회 감는 길이보다 그물코의 길이가 짧아 스트레스에 의한 성장 지체되고, 25cm 이상이면 바람이 불 때 안정적이지 못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성장 지체가 발생되며, 그물코의 길이를 20cm로 하였을 때 덩굴손이 해당 그물코를 한 바퀴 감은 후 자연스럽게 그 위 그물코로 이행하여 성장 지체 없이 최적의 상태를 보여 가장 적합한 그물코의 크기이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with kidney beans, if the size of the net is less than 15 cm, the length of the ne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endril tender, and the growth is caused by stress. If the size is more than 25 cm, it is not stable when the wind blows. When the length of the mesh is 20 cm, the tendril tends to wrap around the mesh one time, and then naturally shifts to the upper mesh, showing the optimum state without growth delay, which is the most suitable size of the mesh.
덩굴손은 지지물이 매끈할 때보다 약간 거친 경우에 더 쉽게 부착하고 감아올라가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물코의 올(43)을 여러 가닥으로 구성하고, 이를 꼬아 구성함으로써 한 가닥으로 구성할 때보다 지지효과가 높다. It is known that tendril tends to be attached and rolled up more easily when the support is slightly rougher than the smooth one. The effect is high.
한편, 그물코가 팽팽한 상태의 수직마름모꼴 구조가 되도록 결속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덩굴손이 작물에 따라 왼방향 또는 오른방향으로 규칙적으로 그물줄을 감고 상승하면서 성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re effective growth environment by binding the mesh to be a vertical lozenge structure of the taut state, the tendril tend to grow while winding the net regularly in the left or right depending on the crop.
본 발명은 상기 그물망의 결속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그물망결 속구를 아울러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sh fastening fastener so that the binding of the net can be easily and firmly.
그물망결속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지주(20) 및 상부연결대(30)에 탄력으로 고정되는 원호형의 클립부(61)와 상기 클립부의 양단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고리부(6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클립부(61)는 지주(20) 및 상부연결대(30)에 억지로 끼워 넣으면 강선의 자체 탄력에 의해 지주 및 상부연결대에 밀착고정된다.When the
고리부(62)는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대에서는 좌우 그물망(40)의 테두리끈(42)을 균형있게 걸어줌으로써 그물망의 상부를 상부연결대(30)에 걸어 고정할 수 있고, 지주와 그물망의 결합은 테두리끈(42)을 좌우 고리부(62)에 끼워 돌려줌으로써 클립부에서의 자체탄력과 그물망을 당기는 긴장력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그물망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지지대를 강낭콩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I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kidney beans as follows.
강낭콩의 신장을 고려하여 지주프레임의 길이를 대략 210cm로 하고 그중 꽂음부가 대략 30cm가 되도록 하며, 상부연결대의 길이도 대략 250cm가 되도록 구성한다.Considering the height of kidney beans, the length of the holding frame is approximately 210cm, of which the insertion part is approximately 30cm, and the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rod is also configured to be approximately 250cm.
상부연결대를 결합공이 일치하도록 두둑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하고, 결합공 위치에 대략 15°내외의 각도로 벌어지도록 2개의 지주를 연결구에 결합한 상태로 지주프레임(50)을 조립해 배열해 놓고, 상부소켓에 상부연결대의 한쪽 결합공을 결합한 상태로 두둑에 양측 지주프레임의 꽂음부를 30cm 정도 박히도록 땅에 꽂아 지주프레임을 고정하고, 다음 위치에서 지주프레임을 땅에 꽂아 고정하 면서 동시에 결합부가 중첩된 상부연결대를 꽂아 고정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두둑의 전 길이에 걸쳐 지주프레임과 상부연결대의 조립을 완료한다(도7a, 도7b). The upper connecting rod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to match the coupling hole, and the
이때, 지주프레임의 하단에 그물망결속구(60)를 결합하고, 상부연결대(30)에도 일정간격으로 그물망결속구를 미리 결합함으로써 그물망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120cm 내외의 폭으로 이루어진 그물망을 두둑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에 펼친 상태에서 그물망의 상부테두리끈을 미리 상부연결대에 결합하여둔 그물망결속구의 한쪽 고리에 연속적으로 걸어 올리고(도7c) 아래로 쳐진 하부테두리끈은 지주프레임에 미리 결합하여둔 고리에 감아 팽팽하게 당겨 결합한다(도7d), Next, in a state in which the network of about 120cm wide spread out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rso, the upper edge of the mesh was continuously hooked up to one loop of the mesh binding hole which was previously join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Fig. 7c) The lower rim strap is wound around the pre-bonded ring to the holding frame and pulled tightly (Fig. 7d),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기면 그물망의 폭이 대략 180cm크기로 늘어나며, 상하가 긴 수직마름모꼴 형태의 그물코가 형성된다(도7e).When the mesh is pulled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mesh increases to about 180 cm in size, and a vertical rhombus-shaped mesh is formed (Fig. 7e).
그물코의 상부 연결끈은 대략 180cm 높이에 위치한 그물망결속구의 일측고리에 걸어주기만 하면 그물망의 상부 결속이 이루어짐으로 키가 작은 사람이라도 걸개 등의 보조구를 사용함으로써 그물망의 상부 고정이 가능하다.The upper connecting strap of the mesh can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net by using an auxiliary tool such as a hook even if a short person is hooked on one side hook of the net binding strap located at about 180cm high.
지지대의 설치는 묘종을 두둑에 미리 식재한 상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지지대의 설치 후 묘종을 식재할 수 있다.The support can be installed even when the seedlings have been planted in the head in advance, and the seedlings can be planted after the support is installed.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지지대가 설치되면 강낭콩 묘종이 자라면서 덩굴손이 그물코를 오른쪽으로 감으면서 그물코의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감으면서 상승하여 엽면이 그물코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분산되는 형태로 성장한다(도7f).When the support is installed by this process, kidney beans seedlings grow, the tendril tends to wind up as the zigzag is wou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mesh while winding the mesh to the right, and the leaf surface grows to be distributed almost uniformly throughout the mesh (Fig. 7f). ).
또한, 기존의 막대를 이용한 강낭콩지지대의 경우 거의 15cm 간격으로 지지대를 설치하더라도 한 지지대에 몇 개의 덩굴손이 동시에 감으면서 상승함으로 지지대 주위에만 엽면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그물망은 덩굴손을 지그재그로 분산시켜줌으로써 밀식도를 높일 수 있고, 엽면의 분산효과가 크며, 덩굴손이 비어있는 그물코를 따라 성장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그만큼 덜 받게 되므로 수확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kidney bean support using the conventional rods, even though the support is installed at intervals of about 15 cm, several tendrils are wound up at the same time while the support tends to wind up, so the foliar surface is formed around the support but th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zigzag By dispers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sophagus, the foliar dispersing effect is large, and the tendril grows along the empty meshes so that the stress is less that much.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upport for vine plant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두둑의 길이 방향에서 본 지주와 연결구 및 상부연결대의 설치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of installation of the support and the connector and the upper connector as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의 조립 구성도3 is an 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의 조립 상태 단면도Figure 4 is an assembled stat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물망결속구의 구성도 5 is a block diagram of a net bind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물망결속구의 그물망 결속상태도Figure 6 is a net binding state of the net bind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를 강낭콩 재배에 적용한 설치 과정과 강낭콩의 생육 상태도Figure 7a to 7f is a growth state of the kidney process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applying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kidney culture beans
도 8은 종래 대나무 가지로 지지대를 구성한 설치 상태도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consisting of the support of conventional bamboo branches
*. 주요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Major Codes
10: 연결구 11:몸체 12: 상부소켓10: connector 11: body 12: upper socket
12a:결합부 12b:테이퍼단 12a:
13:하부소켓 13a:결합부 13b:테이퍼단13:
14: 힌지 14a: 하부소켓지지대 14b: 포크부14: hinge 14a:
14c: 체결볼트 14d: 볼트공 14e: 보강살14c:
15: 원형홈 16: 구멍 17: 리브15: groove 16: hole 17: rib
20: 지주 21:결합부 22:몸체20: prop 21: coupling part 22: body
23: 꽂음부 30: 상부연결대 31: 결합공23: inserting portion 30: upper connector 31: coupling hole
32: 몸체 33: 결합부 40: 그물망32: body 33: coupling portion 40: mesh
41: 그물코 42: 테두리끈 43: 올41: mesh 42: lanyard 43: all
50: 지주프레임 60: 그물결속구 61: 클립부50: holding frame 60: net binding port 61: clip portion
62: 고리부 100: 두둑 62: collar 100: bos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542A KR101103038B1 (en) | 2009-05-25 | 2009-05-25 |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542A KR101103038B1 (en) | 2009-05-25 | 2009-05-25 |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038A KR20100127038A (en) | 2010-12-03 |
KR101103038B1 true KR101103038B1 (en) | 2012-01-05 |
Family
ID=4350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5542A KR101103038B1 (en) | 2009-05-25 | 2009-05-25 |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303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4949A (en) | 2021-02-09 | 2022-08-17 | 최인철 | Equipment for cultivation of vine plants that are easy to mainta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664Y1 (en) * | 2011-06-10 | 2013-11-04 | 이경룡 | Climbing guide apparatus for vine crops |
KR200476868Y1 (en) * | 2013-12-05 | 2015-04-09 | (주) 고려인삼해가림 | Attachable sun shade fixture |
KR200476867Y1 (en) * | 2013-12-05 | 2015-04-09 | (주) 고려인삼해가림 | Coil type sun shade fixture |
KR101983325B1 (en) * | 2017-06-02 | 2019-05-28 | 농업회사법인(주)유니크파트너 | Cultivation system for watermelon and watermelon cultivated by the same |
KR101983324B1 (en) * | 2017-06-02 | 2019-05-28 | 농업회사법인(주)유니크파트너 | Cultivation system for watermelon and watermelon cultivated by the same |
CN110366994A (en) * | 2019-08-08 | 2019-10-25 | 云南农业大学 | A kind of outdoor arc built method of pumpkin |
KR102642225B1 (en) * | 2021-10-05 | 2024-02-29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Biodegadable eco-friendly supporting net and eco-friendly disposal method of vine by-product using the same |
CN117958056A (en) * | 2024-03-18 | 2024-05-03 | 吉林农业大学 | Folding top winding type crop climbing rac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6840A (en) * | 1987-08-24 | 1989-06-08 | Henkel Kgaa | Production of ehther carboxylic acid |
KR900004656Y1 (en) * | 1987-10-28 | 1990-05-25 | 황예근 | Tree support |
JP2007166949A (en) * | 2005-12-21 | 2007-07-05 | Daiichi Vinyl Kk | Plant cultivation opening/closing support, and connecting tool for mutually connecting support composing the same |
-
2009
- 2009-05-25 KR KR1020090045542A patent/KR10110303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6840A (en) * | 1987-08-24 | 1989-06-08 | Henkel Kgaa | Production of ehther carboxylic acid |
KR900004656Y1 (en) * | 1987-10-28 | 1990-05-25 | 황예근 | Tree support |
JP2007166949A (en) * | 2005-12-21 | 2007-07-05 | Daiichi Vinyl Kk | Plant cultivation opening/closing support, and connecting tool for mutually connecting support compo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4949A (en) | 2021-02-09 | 2022-08-17 | 최인철 | Equipment for cultivation of vine plants that are easy to mainta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038A (en) | 201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3038B1 (en) | Support for Cultivating Vine Plants | |
KR20100127039A (en) | Vertical lozenge net for supporting vine plants and growing method of vine plants using the same | |
US20120159844A1 (en) | Adjustable stake assembly and method of use | |
CN101589682A (en) | The fruit tree of a kind of Y shape moulding and the fixing rack of branch thereof | |
KR200457513Y1 (en) | A prefabricated pillar for agriculture | |
KR200466260Y1 (en) | Support of the crops multipurpose | |
CN106258445B (en) | Typhoon-resistant cowpea field cultivation method and typhoon-resistant cultivation frame thereof | |
RU2366160C1 (en) | Device for cucumber cultivation on round beds | |
CN205454928U (en) | Trailing plant strutting arrangement | |
CN204994351U (en) | Vine cane plant plants frame | |
KR20200000646A (en) | Supporting frame of the crops | |
KR102451258B1 (en) | Y-type pepper supportr main bod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13951045B (en) | Fruit tree strutting arrangement | |
KR20190003193U (en) | Multifunctional support for crops | |
KR200410894Y1 (en) | Cucumber holding stand | |
CN214102562U (en) | Anti-bird grape planting frame | |
JP3100273U (en) | Support for various nets and plant cultivation | |
KR20110114822A (en) | Supporting system for fixing crops for field farming | |
CN218278043U (en) | Frame is planted to kiwi fruit | |
CN213187363U (en) | Climbing rope frame for soilless culture vine crops in greenhouse | |
CN215122677U (en) | Citrus tree supporting device | |
CN217850456U (en) | Simple wind-resistant greenhouse | |
US20210345557A1 (en) | Vining Plant Support via Posts and Modular Braces | |
JPH0965771A (en) | Reinforcing bar supporting implement for plant raising | |
CN210094188U (en) | A protection canopy for blueberry orch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