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897B1 -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897B1
KR101102897B1 KR1020100034187A KR20100034187A KR101102897B1 KR 101102897 B1 KR101102897 B1 KR 101102897B1 KR 1020100034187 A KR1020100034187 A KR 1020100034187A KR 20100034187 A KR20100034187 A KR 20100034187A KR 101102897 B1 KR101102897 B1 KR 10110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audio signal
main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837A (ko
Inventor
정영훈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10003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89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주음성 또는 음성다중의 부음성 외에 복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방송송출센터의 엔코더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되도록 하고,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변조기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로 전달되면서 변환되어 영상출력기기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 및 멀티 오디오신호가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의 방송사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에서는 상기의 방송사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에서는 상기의 엔코더에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도록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MULTI AUDIO SERVICE DEVICE AND SERVICE METHOD BASED ON ENHANCED DATA BROADCASTING FOR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주음성 또는 음성다중의 부음성 외에 복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결부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청취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를 이용한 DMB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DMB 서비스라 함은, 통상적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정 또는 휴대용/차량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DMB 서비스는,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위치 등의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이동 중에도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k)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 급의 고음질 및 고화질 방송을 제공할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즉, 상기 DMB 서비스는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휴대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수의 채널로 시청/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DMB 서비스는 상기와 같이 기존 방송 대비 이동성 기반의 방송 서비스라는 점이 큰 차이점이며, 제공 방식에 따라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된다. 상기 기존 방송 서비스와 DMB 서비스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DMB 서비스는 기존 방송 서비스에 비해 이동성을 가지며, 수신 장치가 소형화되어 있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이는 크게 지상의 송신소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상기 위성 DMB는 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DMB용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상기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 지역의 DMB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통해 방송전파를 송출하고, 휴대 단말기로 상기 송출되는 방송전파를 수신하는 뉴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수신이 가능하지만, 지하, 실내 및 전파음영 지역에서는 갭 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가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를 재전송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지상파 DMB는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며,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지상의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방송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파를 이용하여 이동 중 TV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 등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휴대 단말기의 기지국과 같은 방송 송출 시스템을 이용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DMB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은,
방송센터와, 하나 이상의 위성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이동 형태, 휴대 형태 및 고정 형태 등의 수신 장치들 예컨대, 차량용 수신기, 휴대 단말기 및 가정용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센터는 DMB 데이터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및 문자 신호 등을 압축한 후 변조하여 상기 위성 또는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상기 위성 또는 기지국은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상기 수신 장치인 차량용 수신기, 휴대 단말기 및 가정용 수신기로 방송한다.
상기 수신 장치들은 상기 위성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DMB 서비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는 고속으로 이동 중에도 잡음(Noise) 없는 깨끗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전하는 DMB 서비스에 상응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DMB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에 그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은 기존 휴대 단말기를 새로운 DMB 시청 휴대 단말기로 교체하고자 함에 있어서, DMB 서비스 휴대 단말기의 높은 가격 및 현재 휴대 단말기의 지속적인 이용 등으로 인하여 교체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로 인하여 DMB 서비스 휴대 단말기보다는 현재 소비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다 나은 서비스 및 다양한 컨텐츠 이용을 더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DMB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와의 연동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로도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2006년 06월 16일자 특허출원 제10-2006-0054551호(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의 일부를 자동 녹화하여, MMS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으로 전송 가능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자막을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및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소정 방송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자동 추가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서는, 단순하게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음성신호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만 제공받으므로 인해 하나의 화면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음성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에 하나의 화면에 대해 스테레오의 음성이나 2개 언어의 음성을 송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음성 캐리어에 또 하나의 음성 캐리어를 부가하여 스테레오 방송이나 2개 언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한국과 독일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투 캐리어(two carrier) 방식과 일본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FM-FM 방식 등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레오 방송이나 2개 언어 방송 서비스방법에 의하여서는 음성신호를 영상 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 사용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 가능하지만, 언어 중심의 음성다중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언어명이 지정되어 있어 다양한 오디오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기에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주음성과 외국어 중심의 부음성으로 구성된, 즉 외국어 중심의 서비스에 적합한 기존 음성다중 서비스와 달리 복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은,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엔코더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되도록 하고,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다수의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변조기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로 전달되면서 변환되어 영상출력기기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 및 멀티 오디오신호가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의 방송사로부터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에서는 상기의 방송사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에서는 상기의 엔코더 또는 멀티플렉서에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도록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에 의하여서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을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차별화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으며,
지상파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디지털 위성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IPTV, 웹 TV(또는 인터넷 TV) 등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서비스)이 가능한 유료방송에 적용 가능한 시청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주음성 또는 음성다중의 부음성 이외에 복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주음성(한국어)과 부음성(영어)등 여러 언어를 제공하고 이용하는데 편리한 기존 음성다중 방송의 사용환경과 달리 연동형 데이터 방송을 통해 하나의 영상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음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복수의 음성 채널을 통해 영상 중심의 방송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셋톱박스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되도록 하고,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전달되면서 변환되어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 및 멀티 오디오신호가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2)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상기의 엔코더(11)에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도록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방송사(1)는 주조정실 또는 부조정실과 같이 중계방송 또는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설비를 갖춘 곳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은,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대해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한다.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한다.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영상신호, 메인 오디오신호 그리고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로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방법으로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 및 선택된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2)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상기의 엔코더(11)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멀티플렉서(12)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및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셋톱박스(STB)(14)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런처(31)에서 모듈선택부(32)를 통하여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 제1 멀티 오디오신호 그리고 제2 멀티 오디오신호 중에서 선택하도록 영상출력기기(15)에 표시한다.
상기의 표시에 의하여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 제1 멀티 오디오신호 그리고 제2 멀티 오디오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모듈선택부(32)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오디오신호가 현재 출력 중인 신호인가를 확인하여 맞으면 계속 송출부(33)를 통하여 현재의 오디오신호가 영상출력기기(15)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택한 오디오신호가 다른 오디오신호이면, 뮤팅모듈(34)을 통하여 현재 출력 중인 오디오신호를 묵음 처리하는 동시에 현재 선택된 오디오신호가 제1 데이터 베이스(35), 제2 데이터 베이스(36) 또는 제n 데이터 베이스(37)에 있는 가를 판단하여 해당 오디오신호가 송출부(33)를 통하여 영상출력기기(15)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보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오디오신호 또는 멀티 오디오신호 중 하나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프로야구의 중계를 진행할 때, 하나의 중계 영상신호에 해설자와 캐스터가 한 팀을 이루어 공정한 해설을 하는 메인 오디오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한 팀씩의 입장에서 각각 다르게 해설하도록 하면서 이들 2종류의 음성정보를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 입력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중계 화면인 영상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2종류의 멀티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이므로 3가지의 중계가 존재하게 된다.
즉, 중간자적 해설인 메인 오디오신호와 별도로 홈팀 중심의 일방적 해설 그리고 상대팀 중심의 일방적 해설의 2가지 멀티 오디오신호가 동시에 멀티 오디오 처리기(22)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프로야구 중계가 시작되면 메인 오디오신호로는 특정팀에 기울지 않는 공정한 중계음성이 진행되고, 도 2의 모듈 선택부(32)에 의하여 화면에 시청자가 응원하는 팀을 중심으로 해설하는 중계를 선택할 수 있음을 고지하는 내용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사업자의 리모컨에 있는 컬러버튼을 활용하여 상단에 고지한다. 시청자에게 서비스를 인식시키기 위해 중계 도중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단의 고지가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활용하여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중계 중에는 언제든지 지정한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선택 가능한 중계 유형을 고지하고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해설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의 빨간 버튼을 누르면 홈팀의 팬을 위한 편파 해설을 들을 수 있고, 리모컨의 파란 버튼을 누르면 상대팀의 팬을 위한 편파 해설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중계방송 시청 중 내가 원하는 해설로 변경하고자 할 때는 컬러버튼 중 하나 또는 방송사가 지정한 버튼을 누르면 화면의 상단에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대해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한다.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한다.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영상신호, 메인 오디오신호 그리고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로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방법으로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 및 선택된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2)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상기의 멀티플렉서(12)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변조기(13)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대해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한다.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한다.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영상신호, 메인 오디오신호 그리고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로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방법으로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 및 선택된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2)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상기의 멀티플렉서(12)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변조기(13)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셋톱박스(14)에서는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와 1 이상의 멀티 오디오신호 중 선택한 오디오신호를 관리서버(40)에서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대해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는 중에 입력단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출력하면서 부호화한다.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는 중에 다수의 입력 중에서 선택된 신호만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한다.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영상신호, 메인 오디오신호 그리고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로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방법으로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 및 선택된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4)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5)에 출력하면서 멀티 오디오신호는 멀티 오디오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한다.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의 멀티플렉서(12)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변조기(13)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셋톱박스(14)를 통하여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 외에 멀티 오디오신호를 선택한 사실을 관리서버(41)에서 인지하면, 상기의 멀티 오디오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한 멀티 오디오신호 중에서 선택된 멀티 오디오신호를 관리서버(40)를 통하여 셋톱박스(14)에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에 의하여서는,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는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의 경우, 중간자적 입장의 중계와 특정 팀 혹은 특정 국가 입장에서 중계를 동시에 제공한 후, 시청자의 취향에 맞는 선택을 한 후 중계 프로그램의 시청이 가능하다.
그리고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다중 방송의 경우,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다중방송 수신이 가능한 TV 단말기를 보유해야만 시청이 가능한 반면에,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본 어플리케이션을 채택하고 채널 사용사업자가 더빙한 후 음성 채널을 제공할 경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에도 응용할 수 있다. 멀티오디오 신호 대신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고 멀티오디오 어플리케이션에 자막의 위치를 지정하는 모듈을 추가하여 자막방송을 제공한다면 청각 장애인의 시청 복지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음성다중방송과 차별화가 됨을 알 수 있다.
음성다중방송 멀티 오디오 서비스
제공 가능한
오디오 채널 수

2개

2개 이상
기술적 기반 *기존 음성 캐리어에 또 하나의 음성 캐리어를 부가하여 스테레오 방송이나 2개 국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우리나라와 독일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투 캐리어(two carrier) 방식과 일본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FM-FM 방식 등이 있다.
* 복수의 외국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서비스에만 적합(언어명을 사전에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멀티오디오 중계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하기 어려운 사용환경(유저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의 기술 규격을 따르는 연동형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 2개 이상의 복수 오디오 채널 제공 가능을 활용하여 서비스 특성에 맞는 사용환경(유저인터페이스)을 탄력적으로 구현가능.
기존 영상 신호와 관계 영상 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 사용 영상 신호와 동일 또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 사용 가능
그리고 다음의 표 2에서와 같이 지역민방 또는 케이블 방송의 편파 방송(스포츠 중계)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블 방송의 편파방송(스포츠 중계)과 차별화도 가능하게 된다.
편파 방송 멀티 오디오 서비스
음성 채널 수 1개 2개 이상 제공 가능

기술 기반
영상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공 영상신호와 동일 주파수 대역 또는 별도 주파수 대역 사용 가능

특성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 가능
디지털 방송에서만 제공 가능
그러므로 영상에 비해 제작비용이 낮은 음성 채널 확대를 통해 다양한 시청자 욕구 충족을 통해 채널사용사업자에게 사업기회 및 시청률 제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시청자 자신의 응원하는 팀 중심의 중계 등 선호도가 명확한 스포츠 중계에서 시작하여 시청자의 관심도 조기 확산이 가능하다(시청률이 높은 프로야구를 우선 적용한 후 확산 검토).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해 저변을 확산한 후,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으로 확산이 가능하다.
다문화 가족, 재한 외국인 등 한국어 이외의 언어로 프로그램 시청을 원하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부가 상품의 개발이 가능하다.
시청률 제고를 통해 광고 매출 확대 및 수신료 매출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음성을 하나의 영상에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방식은 음성다중 방식을 따르거나 별도의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1 : 방송사 10 : 방송송출센터
11 : 엔코더 12 : 멀티플렉서
14 : 셋톱박스 20 : 멀티 오디오 생성부
21 :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 22 : 멀티 오디오 처리기
23 :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 40 : 관리서버

Claims (6)

  1. 메인방송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된 1종류 이상의 멀티 오디오신호가 함께 전송되어 사용자가 하나의 영상에 대해 다수의 오디오신호 중에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스포츠 중계를 진행할 때, 해설자와 캐스터가 한 팀을 이루어 공정하게 해설하는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가 방송사(1)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해설자와 캐스터가 한 팀을 이루어 홈팀의 입장에서 해설하도록 하면서 해설자와 캐스터가 한 팀을 이루어 상대팀의 입장에서 해설하도록 한 멀티 오디오신호는 멀티 오디오 생성부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여 하나의 중계 화면에 3가지의 중계 해설이 존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방법.
  2. 삭제
  3. 방송사(1)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방송송출센터(10)의 엔코더(11)를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부호화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는 멀티플렉서(12)를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에 멀티 오디오신호가 혼합된 복합 방송신호가 변조기(13)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변조기(13)에서 변환된 복합 방송신호가 셋톱박스(STB)(14)로 전달되면서 변환되어 영상출력기기(15)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 및 멀티 오디오신호가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2)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상기의 엔코더(11)에서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도록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의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상기의 멀티플렉서(12)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변조기(13)로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의 셋톱박스(14)는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와 1 이상의 멀티 오디오신호 중 선택한 오디오신호를 관리서버(40)에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의 방송 주파수 대역정보와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멀티 오디오 생성부(20)의 멀티 오디오 컨트롤러(21)에서 멀티 오디오신호의 프로그램인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는 멀티 오디오 처리기(24)에서는 상기의 방송사(1)로부터의 메인 오디오신호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하여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5)에 출력하면서 멀티 오디오신호는 멀티 오디오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의 동기화된 상기의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는 데이터 방송 컨트롤러(23)에서는 멀티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의 멀티플렉서(12)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와 메인 오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다음의 변조기(13)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셋톱박스(14)를 통하여 사용자가 메인 오디오신호 외에 멀티 오디오신호를 선택한 사실을 관리서버(41)에서 인지하면, 상기의 멀티 오디오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한 멀티 오디오신호 중에서 선택된 멀티 오디오신호를 관리서버(40)를 통하여 셋톱박스(14)에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KR1020100034187A 2010-04-14 2010-04-14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KR10110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87A KR101102897B1 (ko) 2010-04-14 2010-04-14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87A KR101102897B1 (ko) 2010-04-14 2010-04-14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37A KR20110114837A (ko) 2011-10-20
KR101102897B1 true KR101102897B1 (ko) 2012-01-13

Family

ID=4502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87A KR101102897B1 (ko) 2010-04-14 2010-04-14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171A (ko) * 2003-05-21 2004-12-02 김종부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20080034563A (ko) * 2006-10-17 2008-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KR20080107061A (ko) * 2007-06-05 200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수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171A (ko) * 2003-05-21 2004-12-02 김종부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20080034563A (ko) * 2006-10-17 2008-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KR20080107061A (ko) * 2007-06-05 200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37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886B1 (ko)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림에 콘텐츠를 중첩하는 방법 및 장치
RU2427097C2 (ru) Мультимед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20110611A1 (en)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for television
US20080225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JP2002135809A (ja) 番組視聴率配信装置、番組受信装置及び番組視聴率配信方法
KR100775234B1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7001065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21766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296798B2 (en) Channel searching system
KR101102897B1 (ko)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KR2007001992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US7787817B2 (en) Method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using picture-in-picture function
KR100691944B1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시청 중 문자메시지 간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간편 통화방법
Vaidyanathan Accessible broadcasting in India
US88248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442272B1 (ko) 디지털 서브타이틀의 아날로그 출력장치 및 방법
JP2007158986A (ja) ケーブルテレビジョン放送配信方法および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H1132309A (ja) データ放送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100869154B1 (ko)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TW202337220A (zh) 節目接收顯示裝置及節目接收顯示控制方法
KR10084849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채널포함 비디오 표시 편집 장치
KR20060099964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도중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00779B1 (ko) 정보 제작 구성이 결합된 hd 디지털 방송 신호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71285A (ja) デジタル放送番組の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