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761B1 -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가입자 국 - Google Patents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가입자 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761B1
KR101102761B1 KR1020067011932A KR20067011932A KR101102761B1 KR 101102761 B1 KR101102761 B1 KR 101102761B1 KR 1020067011932 A KR1020067011932 A KR 1020067011932A KR 20067011932 A KR20067011932 A KR 20067011932A KR 101102761 B1 KR101102761 B1 KR 10110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twork
station
user interface
devic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579A (ko
Inventor
마이클 웨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11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 특히 홈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홈 네트워크는 AV 데이터 스트림이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록 절차를 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유형의 네트워크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싱크 기기(10, 18)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10)에 대해 이미 접속이 셋업된 데이터 소스 기기(11, 16)와 기록 기기(12, 17) 간의 데이터 접속이 자동적으로 셋업된다. 데이터 접속의 자동적 셋업은, 기록 기기(12, 17)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호출된 직후에 발생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접속의 자동적 셋업은 특히 기록 기기(12, 17)의 기록 기능이 선택된 후에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은 네트워크에서 기록 기기(12, 17)의 즉시-기록 기능의 구현을 지원한다.
홈 네트워크, 데이터 접속, 즉시-기록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IEEE-1394 네트워크

Description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 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 가입자 국{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DATA CONNECTIONS BETWEEN NETWORK SUBSCRIBER STATIONS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UBSCRIBER STATION AS A USER INTERFACE APPLIAN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본 발명은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 특히 홈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 분야는 특히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 자동적 접속 셋업 분야를 포함한다.
오늘날, 가정 영역에서 가전들을 네트워크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다양한 홈 네트워크 표준들이 존재한다. 소비자 전자 기기 영역에서는, 특히 버스 표준 IEEE-1394이 확립되었다. 이 표준은,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소비자 전자 기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100, 200, 및 400 Mbit/s의 데이터 레이트가 지원된다. 그 동안, 원 표준 IEEE-1394-1995가 확장되어 왔고, 현재의 버전 IEEE-1394b는 훨씬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S800, S1200, 및 S1600을 특정한다. 이는,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후속하여 단거리를 위한 네트워크 국으로 불림)을 제어 하기 위한 비동기 데이터 패킷들과, 등시성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모두 동시에 전송하는데 충분하다. 소비자 전자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은, 타이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소스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 필름 또는 음악의 일부, 및 다른 소비자 전자 기기들로 전송될 관련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에 있어서, 해당 기기들 간의 논리적 데이터 접속이 셋업되고, 이 기기들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그 다음, 이 데이터 접속은 정규 기반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은, IEEE-1394-1995 표준에서 등시성 데이터 전송으로서 지칭되고, 이 전송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정규 기반에서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 싱크(sink) 또는 데이터 싱크들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한다.
또한, 비동기 데이터 전송도 IEEE-1394 네트워크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에, 말하자면 데이터 패킷들은 요청에 따라 송신된다. 버스를 통해 송신되는 이러한 비동기 데이터 패킷들의 양은 발생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른다. 비동기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또 다른 기기를 사용해서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식별하고 제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IEEE-1394 표준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ISO/OSI 참조 모델의 하위층, 즉, 물리층, 데이터 링크층, 및 네트워크층의 일부만을 특정한다. 그러나, 상위층, 즉, 전송층, 세션층, 프리젠테이션층, 및 애플리케이션층은 특정되지 않는다.
소비자 전자 기기 회사들의 협회는, 소비자 전자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위층들의 정의에 대해 설정하였다. 이 표준은 약자로 HAVi로 공지되어 있고, HAVi는 홈 오디오/비디오 상호운용(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준은 "상호운용 미들웨어(interoperability middleware)"를 특정하고, 이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작업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제조자로부터 생산된 제품들이 서로 이해하는 것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 전자 기기들의 네트워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통상적인 예는, AV 데이터, 즉,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소비자 전자 기기들로 송신하는 데이터 소스 기기를 포함한다. 타겟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싱크 기기로서 지칭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하는 기기, 및 네트워크내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필요가 있는 기기를 직접 선택할 수 있기를 원한다. 이러한 기기의 선택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능한 편리해야 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오늘날 매우 빈번하게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개별 메뉴 아이템들을 직접 선택하기 위해서 마우스 포인터 또는 원격 제어 키(특히 커서 제어 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키패드를 사용해서 특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영 메뉴들을 포함한다.
2개의 네트워크 국들 간의 논리적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데이터 소스 기기 및 데이터 싱크 기기를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선택한 후에만, 데이터 접속이 셋업되고, 이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예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에서 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해서 수신된 AV 데이터를 텔레비전으로 전달하기를 원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두 기기를 모두 직접 선택해야 한다. AV 데이터를 마찬가지로 기록 기기에 의해 기록하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데이터 소스 기기와 데이터 타겟 기기(즉, 기록 기기)를 다시 선택하고, 기록 기능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을 위한 데이터 접속들의 셋업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는, 데이터 싱크 기기에 대해 셋업된 데이터 접속을 이미 갖고 있는 데이터 소스 기기를 표준 방식으로 기록 기기에 대해 적절히 셋업하는 논리적 데이터 접속에 의해 수행된다.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예에서, 데이터 싱크 기기는, 기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청구항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에 매칭된다. 이 경우에, 적절한 데이터 소스 기기는 예를 들어, 상술한 디지털 셋탑 박스이고, 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위한 AV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셋탑 박스와 기록 기기 간의 데이터 접속을 즉시 셋업하는 것은, 기록 기기에서의 즉시-기록(instant-recording) 기능의 구현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종종, 자신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서 현재 시청하고 있는 것을 어떠한 큰 불편없이 가능한 빨리 기록하기를 원하고, 이는 사용자에게 현재 관심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단지, 예를 들어 주 메뉴로부터 기록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기만 하면 되고, 이에 따라, 셋탑 박스와 기록 기기 간의 데이터 접속이 셋업될 것이다. 이는, 기록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기록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서, 기록 기능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애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일반적인 예에서는, 데이터 접속이, 네트워크에서 오디오 소스 기기,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와 오디오 데이터 싱크 기기,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증폭 장치 간에 이미 셋업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위한 기록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본 발명에서는, 표준 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 소스 기기와 오디오 기록 기기 간의 데이터 접속을 셋업한다. 이에 따라, 표준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 소스로부터 나오며, 확성기를 통해 이미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기를 원한다고 가정된다. 표준 방식으로 셋업된 데이터 접속이 실제의 사용자의 기록 요구에 대응한다면, 사용자는 다시 데이터 소스 기기와 데이트 싱크 기기에 대한 어떠한 직접적인 선택도 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수단은 네트워크에서 보다 편리한 동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즉시-기록 기능의 구현을 지원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방법 및 네트워크 가입자 국의 다른 유익한 수단들 및 개선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록 기기에서 기록 기능을 활성화한 후에만, 데이터 소스 기기와 기록 기기 간의 접속을 셋업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표준 방식으로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데이터 접속들이 셋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록이 잠시 후에 개시될 수 있고, 이는 즉시-기록 기능을 엄밀히 지원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홈 네트워크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데이터 소스 기기와 기록 기기 간의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도 2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는 네트워크 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주 메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제2 실시예에 기초하여 초기 상태에서 기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제2 실시예에 기초하여, 자동적 데이터 접속 셋업에 후속하여 기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네트워크에서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기초한 자동적 접속 셋업 동안 네트워크 국들의 소프트웨어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도 10은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홈 네트워크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소스 데이터 기기와 기록 기기 간의 데이터 접속의 자동 셋업에 후속하는, 도 10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은 홈 네트워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참조 번호 10은 디지털 TV 세트를 나타낸다. 이는, 디지털 비디오 입력을 갖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텔레비전일 수 있다. 참조 번호 11은 셋탑 박스를 나타낸다. 이는, 위성 또는 지상파로, 또는 광대역 케이블을 통해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한다. 참조 번호 12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를 나타낸다. 다양한 유형의 기기들이 비디오 기록기로서 적합할 수 있다. 먼저, 이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DVHS 기록기"일 수 있다. 두번째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광 저장 디스크에 기록하는 "DVD 기록기"일 수 있다. 또한, 이는, 하드 디스크를 포함하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이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는 "HDD 기록기"일 수도 있다. 참조 번호 13은 DVD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도 1은, 모든 기기들이 공통의 버스 접속을 사용해서 서로 접속된 것을 도시한다. 버스 접속의 일 예로서 IEEE-1394 버스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 버스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IEEE-1394-1995 표준에서 허용된 버스 토폴로지는 트리 구조에 기초한다.
도 2는, 셋탑 박스(11)와 디지털 TV 세트(10) 간의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것을 제외하고, 도 1과 동일한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2는, 사용자가 디지털 TV 세트(10)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셋탑 박스(11)와 텔레비전(10) 간의 데이터 접속(14)을 셋업한다.
도 3은, 또 다른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후의 동일한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이 상황은, 사용자가, 셋탑 박스(11)를 통해 수신되는 현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를 원하는 경우의 애플리케이션의 예에 상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또 다른 데이터 접속(15)이 셋탑 박스(11)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 간에 셋업된다.
다음 문단에서는, 데이터 접속(15)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어떻게 자동적으로 셋업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제시된다.
이에 따라, 도 4는 우선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 메뉴를 도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4는,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디지털 TV 세트(10)의 비디오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픽쳐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도시된 픽쳐는 현재 데이터 접속이 네트워크에서 현재 어떻게 셋업되었는 지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점선은, 셋탑 박스와 디지털 텔레비전 간의 데이터 접속이 현재 셋업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탑 박스로부터 디지털 TV 세트로의 데이터의 흐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도 4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로부터 디지털 TV 세트로의 데이터의 흐름이 셋탑 박스로부터 디지털 TV 세트로 이동하는 점선에 의해 도시되는 것과 같이 애니메이트된 형태(animated form)가 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 주변의 점선의 테두리는, 사용자가 주 메뉴에서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를 맞추어 이동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커서 제어 키를 사용해서 이를 행할 수 있다. 디지 털 비디오 기록기 주변의 점선의 테두리는, 기기의 현재 선택이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를 지칭한다는 것의 표시로서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가 강조되는 것을 나타낸다. 확인 키(OK 키)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대한 동작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도 5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가 호출된 후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대한 동작 메뉴를 도시한다. 이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같은 것이다. 참조 번호 20은 시간 및 현재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필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1은 재생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2는 빨리 감기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23은 되감기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4는 정지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5는 일시 정지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6은 기록 키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7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필드를 나타낸다. 이 디스플레이 필드는, 현재 필름 타이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필드(28)를 포함한다. 참조 번호 29는 데이터 접속이 셋업되는 또 다른 기기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호출된 후에, 디스플레이 필드(29)는 셋탑 박스에 대해 접속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디스플레이 필드(28)는 현재 재생 또는 기록될 필름 타이틀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STOP라는 단어는, 기록 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필드(28)에 표시된다.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대한 사용자 인 터페이스가 호출되면, 셋탑 박스(11)에 대해 추가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셋업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기록 키(26)에 대한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즉시 기록을 개시할 수 있다.
도 6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가 호출된 후에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시 도시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 접속은, 존재(existing) 데이터 접속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필드(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 직접 셋업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는 대기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이제 기록 키에 대한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즉시-기록 기능을 개시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제2 실시예에 따라서, 기존 데이터 접속(14)에 있는 데이터 소스 기기에 대한 접속이 네트워크에서 자동적으로 셋업된다. 도 6에서, 기록 키에 대한 표시(26)의 선택은 점선의 테두리로서 표시된다.
도 7은 이제 이러한 즉시-기록 기능의 선택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데이터 접속에 대한 디스플레이 필드(29)에 셋탑 박스(11)가 입력된 것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는, 기록 기능을 선택할 때까지 자동적 접속 셋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현재 재생 시간에 대한 디스플레이 필드(28)는, 현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이미 3초 이상 기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접속의 자동적 셋업 절차는, 본 명세서에서 가정되는 HAVi 네트워크에 대해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 경우에, 도 8은 디지털 텔레비전(10)의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HAVi 표준에 기초해서 설계되는 네트워크이다. HAVi 상세는 공지되어 있다. 이는 현재 버전 1.1이다. 정 확한 타이틀은, 2001년 5월 15일, HAVi 상세, "홈 오디오/비디오 상호운용의 상세(HAVi 구조)", 버전 1.1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 HAVi 상세가 특별히 참조된다.
HAVi 시스템의 모든 성분들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음 문단에서는 기본적인 성분들만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AVi 소프트웨어 성분들(HAVi 스택)의 최하위 레벨에서, IEEE-1394 인터페이스(41)가 도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성분들로서 생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IEEE-1394 표준은, 물리층 및 데이터 링크층 둘 다가 하드웨어로 생성될 필요가 있다고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개별 IC들이 이를 위해 사용된다. 그 위에, 소프트웨어 성분으로서 "통신 매체 매니저(Communication Media Manager;42)"가 존재한다. 이는 네트워크층 및 전송층의 일부를 형성하고, 다른 소프트웨어 소자들과 IEEE-1394 버스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통신 매체 매니저(42)" 위에 "메시징 시스템(Messaging System;43)"이 존재한다. 이 성분은, 2개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기를 원할 때마다 "메시징 시스템"이 사용되기 때문에, HAVi 표준에서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메시징 시스템"은 ISO/OSI 참조 모델에서 네트워크층 및 전송층에 대해 독립적인 것이다.
HAVi 스택의 또 다른 모듈은 "이벤트 매니저(44)"이다. "이벤트 매니저(44)"는,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소자들에게 변경/이벤트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린다. 구체적으로, 기기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제거될 때마다 이러한 이벤트들이 발생한다. HAVi 스택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성분은 "레지스트리(registry;45)"이다. "레지스트리"는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 소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레지스트리"는 특정 소프트웨어 소자들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에서 다른 소프트웨어 소자들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소프트웨어 소자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될 필요가 있다.
HAVi 스택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소자는 "DCM 매니저(46)"이다. DCM 매니저(46)는, FAV 및 IAV 기기에서 각 네트워크 국에 대한 "DCM 코드 유닛들"을 설치한다. 풀 오디오/비디오 디바이스(FAV;Full Audio/Video Device) 기기는 더 많은 수의 HAVi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포함한다. 특별한 특징으로서, FAV 기기는 결합된 "JAVA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갖는다. 이는, 기기가 JAVA 코드를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AV 기기는, 또 다른 HAVi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DCM 코드 유닛"을 로딩하는 옵션을 갖는다. FAV 기기에 "DCM 코드 유닛"이 로딩된 후에 "DCM 코드 유닛"은 FAV 기기에 설치된다.
IAV 기기("중간 AV 기기")는, FAV 기기 보다 적은 수의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포함한다.
디지털 TV 세트(10)는 제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FAV 기기로서 고려된다.
"자원 매니저(47)"는, 네트워크에서의 특정 자원들이 요청된 각각의 작업에 대해 여전히 사용가능한 지, 또는 이 자원들이 이미 할당되었는 지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자원 매니저(47)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적절한 자원들을 할당하 고, 이 자원들은 프리인 것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성분으로서, HAVi 스택은 또한 "스트림 매니저(48)"를 포함한다. 스트림 매니저(48)는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 접속을 셋업한다. 셋업된 접속들은 AV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HAVi 스택의 소프트웨어 소자들 위에, 디지털 TV 세트(10)에 대해 도시된 "DCM 코드 유닛(49)"이 또한 존재한다. DCM 코드 유닛(49)은, 디지털 TV 세트(50)에 대한 DCM 및 FCM(AV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CM은 "장치 제어 모듈(Device Control Module)"을 나타내고, FCM은 "기본적 성분 모듈(Functional Component Module)"을 나타낸다. DCM은 기기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네트워크 국이, 튜너의 기능과, 기록 기기의 기능을 함께 포함할 수 있는 비디오 기록기와 같이, 상이한 기능들을 제공한다면, "DCM 코드 유닛"은 적절하다면 DCM을 제외한 다수의 FCM들을 포함할 것이다. HAVi 표준 자체는 다양한 유형의 FCM들의 기능들을 상세한다. 이들은, "튜너 FCM", "VCR FCM", "클럭 FCM", "카메라 FCM", "AV-디스크 FCM", "증폭기 FCM", "디스플레이 FCM", "AV-디스플레이 FCM", "모뎀 FCM", 및 "웹 프록시 FCM"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소프트웨어 성분(52)이 디지털 TV 세트(10)내에서 "DCM 코드 유닛(49)" 위에 설치된다. 이 소프트웨어 성분은, 네트워크에서 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52)에 대한 프로그램과 동일한 레벨에서 마 찬가지로, "Havlet(53 내지 55)"이 설치된다. Havlet은, 네트워크 기기가, 저장된 형태로 포함하고 있는 JAVA 바이트코드(bytecode)의 일부이다. 이 JAVA 바이트코드는 네트워크에서 FAV 기기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실제로, 이는, 상응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기 위해서 FAV 기기에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금까지 공지된 네트워크 기기가 Havlet-FAV 기기에 의해 전체 기능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 번호 53은 셋탑 박스(11)를 제어하기 위한 Havlet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54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를 제어하기 위한 Havlet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참조 번호 55는 DVD 플레이어(13)를 제어하기 위한 Havlet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3에서 도시된 자동적 접속 셋업에 관련된 기기들의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 8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나타낸다. 관련된 2개의 네트워크 국들, 즉 셋탑 박스(11) 및 비디오 기록기(12)는 BAV 기기로서 지정된다. 이들은 JAVA 바이트코드에 대한 실행 시간 환경이 결함되어 있고, 또한 자원 매니저의 또 다른 HAVi 소프트웨어 성분들, 스트림 매니저, DCM 매니저, 레지스트리, 이벤트 매니저, 메시징 시스템, 및 통신 매체 매니저가 결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국들은,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레벨에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국들은 각각, 자신들에 설치되어 있는 셋탑 박스 및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에 대한 각 DCM 코드 유닛을 갖는다. 그러나, 셋탑 박스(11)의 경우 "튜너-FCM(56)"만,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의 경우 "VCR-FCM(57)"만이 이 DCM 코 드 유닛으로부터 도시되었다. 이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고, 명료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AVi 상세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성분 "스트림 매니저(48)"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접속을 셋업 및 종료하는 기능을 행한다. 2개의 FCM들 간에는 항상 접속이 셋업된다. 따라서, 데이터 접속에 대한 개시점은 FCM이고, 종료점은 또 다른 FCM이다. HAVi 표준은 외부 및 내주 접속들을 구별한다. 내부 접속은, 기기내에 설치된 FCM들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이한 네트워크 국들에 존재하는 FCM들은 외부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 접속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접속의 개시점은 "튜너-FCM(56)"이고, 접속의 종료점은 "VCR-FCM(57)"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셋탑 박스(11)와 디지털 TV 세트(10) 사이에 이미 데이터 접속이 존재한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에 후속하여, 셋탑 박스(11)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자동적으로 셋업되고, 이는 도 3, 4, 및 5를 참조한다. 이 경우에, 연속하는 소프트웨어 성분들이 상호작용한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지털 TV 세트(10)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2)를 생성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의 제어하에서 선택된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52)은, 디지털 TV 세트(10)에 셋업된 로컬 데이터 접속들을 통해서 요청을 디지털 TV 세트(10)내의 로컬 "스트림 매니저(48)"로 보내고, 이를 단계 ①로 참조한다. 이에 대해서, "스트림 매니저(48)"는 서비스 StreamManager::GetGlobalConnectionMap를 제공한다. 단계 ②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52)에 의해 응답이 얻어진다. 또한, 응답은 네트워크내의 모든 존재 데이터 접속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디지털 TV 세트(10)에 대한 데이터 접속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데이터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52)의 제어하에서, 단계 ③에서 명령이 디지털 TV 세트(10)내의 "스트림 매니저(48)"로 보내진다. 이는 디지털 TV 세트(10)내의 "메시징 시스템(43)"을 사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명령은, 새로운 데이터 접속이 셋탑 박스(11)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12) 사이에 셋업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국, 스트림 매니저 서비스 StreamManager::FlowTo가 호출되고, 이는 2개의 FCM들 간의 점대점(point-to-point)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트림 매니저(48)는 셋탑 박스(11)내의 "튜너-FCM(56)"에 대한 접속을 셋업하고,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내의 VCR-FCM(57)에 대한 접속을 셋업한다. 이는 정의된 방식으로 "플러그 레지스터 엔트리(Plug Register entries)"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HAVi 표준에서 상세된다. 접속을 완전하게 셋업하기 위해서, "스트림(들)"을 셋업하기 위해 "스트림 매니저"가 추가의 서비스들을 호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실행은 HAVi 표준에 규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더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
새로운 데이터 접속이 셋업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52)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53)에 대한 Havlet으로 제어를 전달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 스/운용 메뉴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이제 기록 키(26)에 대한 표시를 선택하면, Havlet(53)은 적절한 코맨드를 "VCR-FCM(57)"으로 보내고, 기록이 개시된다. 데이터 접속이 사전 단계에서 이미 셋업되어 있기 때문에, 이 데이터 접속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기록 기능이 활성화된 후에 즉시 기록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기능이 선택된 후에만 데이터 접속의 셋업이 구현될 수 있어, 기록 기능이 호출된 직후의 접속의 셋업이 Havlet 자체로 프로그램되게 된다.
또 다른 선택으로서, Havlet이 실제로 개시된 직후 기록이 개시되기 전에, Havlet의 제어하에서 데이터 접속이 셋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참조 번호 16은 CD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17은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18은 오디오 신호를 위한 증폭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또한, 데이터 접속(19a)이 CD 플레이어와 증폭 장치(18) 사이에 셋업된 것을 도시한다.
이제, 미니디스크 플레이어(17)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지털 TV 세트(10)에서 호출되면, CD 플레이어(16)와 미니디스크 플레이어(17)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자동적으로 셋업된다. 이는 도 11에 도시된다. 이와 같이 셋업된 데이터 접속은 이 경우에 참조 번호 19b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이 실현된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MD 플레이어(17)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기록 기기로서 사용된다. CD 플레이어(16)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데이터 소스 기기로서 사용된다. 증폭 장치(18)에는 이미 접속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데이터 소스로부터 기록을 개시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사용자는 단지, 미니디스크 플레이어(17)를 제어하기 위해 운용 메뉴에서 기록 기능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데이터 접속을 수동으로 셋업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즉시-기록 기능이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구현된다. 이러한 솔루션은, 네트워크가 오디오 데이터 소스 기기와 오디오 데이터 싱크 기기 사이에 하나의 데이터 접속만을 가질 때, 특히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사전에 선택해야만 한다.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사전에 이미 수정되어 있는 실시예가, 기록 기능이 선택된 후에만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기들을 네트워킹하기 위해서 IEEE-1394 버스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기들 간의 무선 버스 접속을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사용자가 실제로, 접속이 자동적으로 셋업된 데이터 소스로부터 기록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자동 접속 셋업에 후속하여, 추가의 각 정정 옵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또 다른 데이터 소스를 수동으로 선택해야만 한다.

Claims (10)

  1.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 데이터 접속들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 기기 국(recording appliance station), 데이터 소스 기기 국(data source appliance station) 및 데이터 싱크 기기 국(data sink appliance station)을 포함함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상에서 상기 기록 기기 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활성화된 선택(user-activated selection)을 행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에 대해 셋업된 기존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리밍 접속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존의 데이터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에게 스트리밍하는 상기 데이터 소스 기기 국을 상기 네트워크에서 식별하는 단계;
    기록 기능의 선택시 상기 기록 기기 국의 즉시-기록 기능(instant-recording function)의 구현을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에 대한 접속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에 대한 접속이 셋업된 상기 데이터 소스 기기 국과 상기 기록 기기 국 간의 점-대-점(point-to-point) 접속을 자동 셋업하는 단계 - 상기 기록 기기 국은 상기 새로운 점-대-점 접속이 설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소스 기기 국으로부터 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기 시작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소스 기기 국과 상기 기록 기기 국 간의 데이터 접속은, 상기 기록 기기 국상의 기록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에만 셋업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은 비디오 화상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은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증폭 장치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기 국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 또는 디지털 오디오 기록기인 방법.
  6.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으로서의 네트워크 가입자 국으로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수단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은, 사용자에 의한 네트워크내의 기록 기기 국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시에 데이터 싱크 기기 국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 자체에 대해 셋업된 기존의 데이터 접속들에 대한 체크를 트리거하는 체킹 프로그램 수단을 호출하고, 그리고 상기 기록 기기 국의 제어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기록 기능의 선택시에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기록 기기 국상의 즉시-기록 기능의 구현을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에 대한 데이터 접속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들에 대한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데이터 소스 기기 국과 상기 기록 기기 국 간의 점-대-점 접속을 셋업하는 접속 설정 수단을 자동적으로 호출하는 추가 프로그램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프로그램 수단은, 상기 기록 기기 국상의 기록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에만, 상기 네트워크내의 상기 데이터 소스 기기국과 상기 기록 기기 국 간의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네트워크 가입자 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국은 비디오 화상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국.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싱크 기기 국은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증폭 장치인 네트워크 가입자 국.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기 국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기 또는 디지털 오디오 기록기인 네트워크 가입자 국.
KR1020067011932A 2003-12-19 2004-12-10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가입자 국 KR101102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60416A DE10360416A1 (de) 2003-12-19 2003-12-19 Verfahren zur automatischen Datenverbindungseinrichtung zwischen Netzwerkteilnehmerstationen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teilnehmerstation als Benutzeroberflächengerät bei de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360416.2 2003-12-19
PCT/EP2004/014055 WO2005060163A1 (en) 2003-12-19 2004-12-10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data connections between network subscriber stations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ubscriber station as a user interface applian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79A KR20060111579A (ko) 2006-10-27
KR101102761B1 true KR101102761B1 (ko) 2012-01-03

Family

ID=3467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932A KR101102761B1 (ko) 2003-12-19 2004-12-10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가입자 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95608B2 (ko)
EP (1) EP1695490B1 (ko)
JP (1) JP5204405B2 (ko)
KR (1) KR101102761B1 (ko)
CN (1) CN1894905A (ko)
DE (1) DE10360416A1 (ko)
WO (1) WO2005060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310B1 (ko) * 2009-11-23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US8782237B2 (en) * 2010-01-28 2014-07-15 Intel Corporation Audio/video streaming in a topology of devices
WO2013061364A1 (ja) * 2011-10-26 2013-05-0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信号の送受信方法、表示装置、及び送信装置
US20150067195A1 (en) * 2013-08-30 2015-03-05 Manish Sharma Hdmi source and sink device over single hdmi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1433A1 (en) * 2004-06-02 2006-02-02 Rainer Willig Rate-of-rotation sensor having frequency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343A (en) * 1988-12-01 1994-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dio/video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video cassette recorder, and so forth
US5193208A (en) * 1990-05-14 1993-03-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6021433A (en) * 1996-01-26 2000-02-01 Wireless Inter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CN1117462C (zh) * 1997-06-25 2003-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家庭网络自动树生成的装置和方法
EP0949781A1 (en) * 1998-04-08 1999-10-13 THOMSON multimedia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sing the resource sharing for audio/video/data processing devices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US6169725B1 (en) * 1998-10-30 2001-01-02 Sony Corporation Of Jap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ation of internal connections in a home audio/video system
US6618764B1 (en) *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JP2001045030A (ja) * 1999-07-29 2001-02-16 Nec Corp 接続制御装置
JP2001127776A (ja) * 1999-10-29 2001-05-11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接続方式設定方法
CN1383651A (zh) * 2000-04-04 2002-12-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通过因特网接入家庭内部网
US6907301B2 (en) * 2000-10-16 2005-06-1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devices in a home network
US6985669B1 (en) * 2000-11-13 2006-01-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apture of user-selected segments of a broadcast data signal
US20020087964A1 (en) * 2000-12-28 2002-07-04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AVi based device implementation
EP1246427B1 (en) * 2001-03-08 2008-02-27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managing isochronous files in a havi environment
AU2002256441A1 (en) 2001-05-03 2002-11-18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WO2003098623A1 (fr) * 2002-05-17 2003-1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1433A1 (en) * 2004-06-02 2006-02-02 Rainer Willig Rate-of-rotation sensor having frequency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5490B1 (en) 2013-03-13
WO2005060163A1 (en) 2005-06-30
US7995608B2 (en) 2011-08-09
DE10360416A1 (de) 2005-07-14
CN1894905A (zh) 2007-01-10
KR20060111579A (ko) 2006-10-27
US20070162618A1 (en) 2007-07-12
EP1695490A1 (en) 2006-08-30
JP5204405B2 (ja) 2013-06-05
JP2007520922A (ja)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248B1 (ko) 분산 지국의 네트워크내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네트워크 기기
JP4301731B2 (ja) デバイス制御を備えたホームオーディオ/ビデオネットワーク
JP4260366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機器のアップグレード及び拡張方法
US7412538B1 (en) Request event manager and event lists for home and office systems and networks
CN100469023C (zh) 数字电视装置和用于在数字总线中建立通信信道的方法
US83161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tation
US7432909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70136778A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edia retrieval, routing and playback
KR20010033879A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 및 이에 관련된 제어 방법
JP5898166B2 (ja) UPnPを用いてシーン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678954B1 (ko) UPnP 환경하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중지된 시점에 대한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455985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フォルトコネクションの確立方法および関連するソースデバイスおよびシンクデバイス
JPH1188865A (ja) 分散型ホームネットワーク
KR101102761B1 (ko) 분산된 국들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가입자 국들 간의데이터 접속을 자동적으로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서의 네트워크가입자 국
JP4211887B2 (ja) 電子番組ガイド画面生成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電子番組ガイド画面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72865B1 (ko) Av 세션 복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트롤 포인트
JP2003092711A (ja) 電子番組情報画面生成装置、電子番組情報画面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MXPA06006994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data connections between network subscriber stations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ubscriber station as a user interface applian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WO2001027925A1 (fr) Unit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rocede de traitement et support d'enregistrement
KR20050019805A (ko) 네트워크에서 디폴트 연결 확립 방법, 그리고 관련된 소스및 싱크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