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517B1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517B1
KR101102517B1 KR1020110101455A KR20110101455A KR101102517B1 KR 101102517 B1 KR101102517 B1 KR 101102517B1 KR 1020110101455 A KR1020110101455 A KR 1020110101455A KR 20110101455 A KR20110101455 A KR 20110101455A KR 101102517 B1 KR101102517 B1 KR 10110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r
work machine
frame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석
Original Assignee
(주)송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현 filed Critical (주)송현
Priority to KR102011010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517B1/ko
Priority to EP11844136.9A priority patent/EP2647275A4/en
Priority to PCT/KR2011/008395 priority patent/WO201207420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specially adapted for enabl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controlled from the driver's seat
    • A01B59/06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specially adapted for enabl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controlled from the driver's seat the connection comprising a rigid interface frame on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와 같은 작업기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로더 선단부에 커플러를 매개로 장착된 메인프레임과; 그 메인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걸림봉과 결속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본체와; 상기 슬라이더본체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본체에 연결되는 폭조절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와 작업기 간에 마련되는 작업기연결구;를 포함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구는, 상기 슬라이더본체에 탈부착하도록 후방 일측에 슬라이더커넥터가 설치된 한쌍의 연결구몸체와, 그 연결구몸체의 전방 일측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작업기커넥터와,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중공의 프레임결합관과, 상기 연결구몸체 간 상,하부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결합관에 삽입되는 중공의 습동프레임과, 그 습동프레임의 내부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결합관에 고정된 이동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본 발명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게 등의 작업기 탈부착이 용이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전방에는 관절운동을 통해 전후,상하동작을 하기 위한 로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더의 선단부에는 작업기가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로더와 작업기는 제작사에 따라서 규격 및 체결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호환(互換)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농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동일한 제작사의 로더 및 작업기를 구입해야 하거나, 또는 부득이하게 로더와 작업기를 별도의 개조작업을 통해서 사용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 로더와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출원되었으며, 본 출원인도 등록특허 제1034668호(발명의 명칭: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등록일: 2011.05.04)와 같은 연결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등록기술은 작업기의 연결시 정확한 진입 없이도 브라켓고정구와 작업기브라켓을 원활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버켓과 같이 분리되지 않은 작업기 외에 집게 등 좌우 분리된 작업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집게의 하중 및 응력과 함께 작업과정에서 각 집게에 작용하는 압력이 작업기브라켓에 집중되면서 작업기브라켓의 파손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폭조절실린더의 작동으로 집게의 폭을 조절하는 경우 하중 등 각 집게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집게가 미세하게 흔들리는 등 유동현상이 발생되어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집게 등의 작업기를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기를 지면에 놓아둔 채 로더의 작동만으로 작업기를 연결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손수 작업기를 들어서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탈거한 작업기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등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기연결구의 구조개선으로 유연한 습동은 물론 작업기연결구를 보강함으로써 작업시 휨 발생 등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로더 선단부에 커플러를 매개로 장착된 메인프레임과; 그 메인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걸림봉과 결속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본체와; 상기 슬라이더본체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본체에 연결되는 폭조절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와 작업기 간에 마련되는 작업기연결구;를 포함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구는, 상기 슬라이더본체에 탈부착하도록 후방 일측에 슬라이더커넥터가 설치된 한쌍의 연결구몸체와, 그 연결구몸체의 전방 일측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작업기커넥터와,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중공의 프레임결합관과, 상기 연결구몸체 간 상,하부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결합관에 삽입되는 중공의 습동프레임과, 그 습동프레임의 내부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결합관에 고정된 이동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습동프레임의 내부에 부합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습동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결합관을 관통하는 안내로드와, 그 안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어 프레임결합관에 안내로드를 고정하는 로드고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본체에는 결속부에 이격되어 결속구멍을 갖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몸체의 후방 타측에는 상기 결속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갖는 제2고정부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커넥터의 하부 일측에는 측벽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일측벽에 접촉되게 마련된 분리안내바와; 상기 분리안내바를 접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동작시키는 스프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결합관의 단부 일측에는 고정수단으로 각 연결구몸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따르면, 작업기를 원활히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작업기연결구의 구조개선을 통해 작업기의 폭 조절시 유연한 습동으로 안정적인 동작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강으로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 사용상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가 로더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작업기연결구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작업기연결구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분리안내바 및 스프링의 탄성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연결구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편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가 로더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분리도로서, 로더(100) 선단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200)과, 그 메인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본체(300)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본체에 연결되는 폭조절실린더(400)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와 작업기(150) 간에 마련되는 작업기연결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상기 로더(100)에 커플러(210)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커플러(210)는 메인프레임과 로더 선단 간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한 것으로, 상기 커플러의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340)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본체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걸림봉(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작업기연결구(500)와의 결속을 위해 결속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에는 상기 결속부(320)에 이격된 위치에 작업기연결구를 결속시키기 위해 결속구멍(332)을 갖는 제2결속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320)는 상기 슬라이더커넥터에 형성된 고정부와 서로 결속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부와 결속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함에 따라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로서, 슬라이더커넥터에 형성된 고정부를 돌기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결속부는 돌기형태의 고정부와 결속되게 돌기에 부합되는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폭조절실린더(400)는 슬라이더본체를 서로 연결한 채 그 사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본체를 메인프레임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폭조절함은 물론 슬라이더커넥터의 고정부에 결속부를 결속 또는 해제시켜 슬라이더본체를 슬라이더커넥터에 탈부착시키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본체에 슬라이더커넥터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집게 등의 작업기에 슬라이더커넥터를 연결한 상태로 작업기를 지면에 놓아두고, 작업자가 로더를 작동시켜 슬라이더본체가 연결된 메인프레임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올리면서 슬라이더본체의 걸림봉을 슬라이더커넥터의 고리부에 걸리게 한 후 폭조절실린더를 작동시켜 슬라이더본체를 이동시키면서 그 폭을 좁게 하여 슬라이더커넥터의 고정부에 슬라이더본체의 결속부를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트랙터를 작업기(150)에 정확하게 진입시키지 않고도 상기 걸림봉(310)의 길이 범위내에서는 상기 폭조절실린더(400)를 이용하여 슬라이더커넥터를 슬라이더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보다 단시간내에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00)에는 슬라이더본체를 메인프레임상에서 좌우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더본체에 연결되는 위치조절실린더(4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더본체의 위치가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변할 수 있어 작업상황 및 여건에 따라 슬라이더본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작업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작업기연결구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서 작업기연결구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작업기연결구(500)는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에 탈부착하도록 후방 일측에 슬라이더커넥터(512)가 설치된 한쌍의 연결구몸체(510)와, 그 연결구몸체(510)의 전방 일측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작업기커넥터(520)와, 상기 연결구몸체(510)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중공의 프레임결합관(530)과, 상기 연결구몸체(510) 간 상,하부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결합관에 삽입되는 중공의 습동프레임(540)과, 그 습동프레임(540)과 프레임결합관(5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안내부(5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몸체에 설치된 슬라이더커넥터(512)는 상기 슬라이더본체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슬라이더커넥터(512)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봉(310)에 걸려지게 고리부(513)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커넥터(512)의 하부에는 상기 결속부(320)에 결속되게 고정부(514)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14)에는 그 고정부(514)와 결속부(320)의 결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속유지수단(515)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514)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결속부에 끼워져 결속되는 돌기이고, 상기 결속유지수단은 그 돌기를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는 핀 또는 핀방식의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작업기커넥터(520)는 작업기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예로서 연결구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결합관(530)의 어느 선택된 부위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작업기커넥터에는 작업기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연결핀(155)이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도록 연결공(52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522)은 작업기의 연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기커넥터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관(530)과 습동프레임(540)은 내부에 상기 이동안내부(550)가 마련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된다. 그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습동프레임은 단부가 프레임결합관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상기 이동안내부(550)의 일단이 습동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안내부의 타단이 상기 프레임결합관의 내부를 통해 프레임결합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안내부(550)는 상기 습동프레임(540)의 내부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552)과, 상기 이동판(55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습동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결합관(530)을 관통하는 안내로드(554)와, 그 안내로드(554)의 타단에 결합되어 프레임결합관에 안내로드를 고정하는 로드고정수단(5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로드고정수단에 의해 안내로드의 타단이 프레임결합관에 고정된 채 안내로드의 일단에 결합된 이동판이 상기 습동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폭조절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더본체가 이동되는 경우에 슬라이더본체와 연결된 연결구몸체도 이동되어 지는데, 연결구몸체가 습동프레임으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판이 습동프레임의 내부에서 습동프레임제 지지되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구몸체가 유동되지 않은 채 유연하게 습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로드의 타단에는 안내로드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결합관의 내부에서 안내로드가 유동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결합관을 관통시키는 작업을 하는 경우 보다 손쉽고 원활히 관통시키도록 프레임결합관의 내부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안내판(55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와 결속부의 결속고정을 통해 슬라이더본체와 슬라이더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때 슬라이더커넥터의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하중 또는 응력으로 인해 연결부분에 모든 압력이 집중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2고정부(5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560)는 상기 연결구몸체(51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구멍(332)에 끼워져 결속되도록 끼움돌기(5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몸체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와 연결구몸체의 후방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부가 슬라이더본체에 결속되면서 슬라이더커넥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고정부와 결속부에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유지수단(515)을 해제한 후 상기 작업기연결구를 슬라이더본체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폭조절실린더를 작동시켜 슬라이더본체를 서로 반대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속부에서 고정부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기연결구의 하중에 의해 결속부에서 고정부가 원활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커넥터의 하부 일측에는 분리안내바(570)와 스프링(575)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안내바(570)는 상기 슬라이더커넥터(512)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의 일측벽에 접촉되게 마련되어 있고, 양단부가 각각 단턱지게 돌출되게 형성되어져 슬라이더커넥터의 측벽을 관통한 상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진다.
상기 스프링(575)은 상기 분리안내바(570)를 접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동작시키도록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은 분리안내바에 관통된 채 슬라이더커넥터와 슬라이더본체의 사이에 마련되어져 분리안내바를 탄성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기연결구를 슬라이더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더커넥터를 슬라이더본체로부터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분리시 원활히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안내바와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연결구몸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하여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작업기연결구로부터 슬라이더본체가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결합관(530)의 단부 일측에는 고정구멍(537)이 형성된 고정편(5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535)의 고정구멍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끼움결합시켜 각 연결구몸체(51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구멍을 통과하는 볼트 및 그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지 않고 상기 결속유지수단을 고정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작업기연결구를 슬라이더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유지수단을 고정부로부터 분리시켜야 함에 따라 고정부로부터 분리된 결속유지수단을 상기 고정구멍에 끼워넣어 각 연결구몸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집게와 같은 작업기를 로더에 연결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손수 들어 슬라이더본체에 작업기연결구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작업기를 트랙터의 로더와 연결시키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을 해소한 것으로, 작업기연결구의 구조개선을 통해 작업기를 직접 들지 않고도 로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본체에 작업기연결구를 연결시키도록 하여 작업기를 손쉽게 로더와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작업기 보관시에도 보관장소로 트랙터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로더의 작동을 통해 작업기를 분리한 후 분리된 그 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기의 손상 없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로더 150: 작업기 155: 연결핀
200: 메인프레임 210: 커플러 300: 슬라이더본체
310: 걸림봉 320: 결속부 330: 제2결속부
332: 결속구멍 340: 슬라이더 400: 폭조절실린더
410: 위치조절실린더 500: 작업기연결구 510: 연결구몸체
512: 슬라이더커넥터 513: 고리부 514: 고정부
515: 결속유지수단 520: 작업기커넥터 522: 연결공
530: 프레임결합관 535: 고정편 537: 고정구멍
540: 습동프레임 550: 이동안내부 552: 이동판
554: 안내로드 556: 로드고정수단 558: 안내판
560: 제2고정부 562: 끼움돌기 570: 분리안내바
575: 스프링

Claims (5)

  1. 로더(100) 선단부에 커플러(210)를 매개로 장착된 메인프레임(200)과; 그 메인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걸림봉(310)과 결속부(320)가 형성된 슬라이더본체(300)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본체에 연결되는 폭조절실린더(400)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와 작업기(150) 간에 마련되는 작업기연결구(500);를 포함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연결구(500)는,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에 탈부착하도록 후방 일측에 슬라이더커넥터(512)가 설치된 한쌍의 연결구몸체(510)와, 그 연결구몸체(510)의 전방 일측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작업기커넥터(520)와, 상기 연결구몸체(510)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중공의 프레임결합관(530)과, 상기 연결구몸체(510) 간 상,하부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결합관에 삽입되는 중공의 습동프레임(540)과, 그 습동프레임(540)의 내부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결합관(530)에 고정된 이동안내부(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550)는 상기 습동프레임(540)의 내부에 부합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552)과,
    상기 이동판(55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습동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결합관(530)을 관통하는 안내로드(554)와,
    그 안내로드(554)의 타단에 결합되어 프레임결합관에 안내로드를 고정하는 로드고정수단(5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에는 결속부(320)에 이격되어 결속구멍(332)을 갖는 제2결속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몸체(510)의 후방 타측에는 상기 결속구멍(33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562)를 갖는 제2고정부(5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커넥터(512)의 하부 일측에는 측벽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본체(300)의 일측벽에 접촉되게 마련된 분리안내바(570)와; 상기 분리안내바(570)를 접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동작시키는 스프링(575)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결합관(530)의 단부 일측에는 고정수단으로 각 연결구몸체(51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고정구멍(537)이 형성된 고정편(5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20110101455A 2010-11-30 2011-10-05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110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55A KR101102517B1 (ko) 2011-10-05 2011-10-05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EP11844136.9A EP2647275A4 (en) 2010-11-30 2011-11-07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PCT/KR2011/008395 WO2012074209A2 (ko) 2010-11-30 2011-11-07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455A KR101102517B1 (ko) 2011-10-05 2011-10-05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517B1 true KR101102517B1 (ko) 2012-01-05

Family

ID=4561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55A KR101102517B1 (ko) 2010-11-30 2011-10-05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5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490A (ko) * 2003-06-13 2003-08-21 배경율 인터넷 기반의 전략적 활동기준원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6175A (ko) * 2002-10-23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회의실 실시간 속기 시스템
KR200368490Y1 (ko) 2004-09-09 2004-11-20 임형석 트랙터 로우더용 목초 그립
KR100613250B1 (ko) 2006-02-17 2006-08-22 오대석 트랙터용 다기능 적재기
KR200436175Y1 (ko) 2006-11-22 2007-06-21 오대석 트랙터용 적재기
KR20100079702A (ko) * 2008-12-31 2010-07-08 김문수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175A (ko) * 2002-10-23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회의실 실시간 속기 시스템
KR20030068490A (ko) * 2003-06-13 2003-08-21 배경율 인터넷 기반의 전략적 활동기준원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0368490Y1 (ko) 2004-09-09 2004-11-20 임형석 트랙터 로우더용 목초 그립
KR100613250B1 (ko) 2006-02-17 2006-08-22 오대석 트랙터용 다기능 적재기
KR200436175Y1 (ko) 2006-11-22 2007-06-21 오대석 트랙터용 적재기
KR20100079702A (ko) * 2008-12-31 2010-07-08 김문수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77B2 (en) Slide rail assembly and bracket device thereof
US20090146356A1 (en) Swing Clamp Apparatus
KR101102516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CN111313321A (zh) 一种j型线夹电动拆装工具以及拆装方法
EP2647275A2 (en)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KR101102517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9873998B2 (en) Mast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a tool unit to a mast carriage of a mast arrangement
CA2690598A1 (en) Fastening device for coupling ploughing elements in agricultural cultivation machines
CN204957824U (zh) 一种自动码砖夹具的限位结构
KR20090026326A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CN111101699B (zh) 稳定设备
KR20120016633A (ko) 캐리어에 장착되는 고정 장치 및 그 용도
KR200463378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1034668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6939099B1 (en) Hook attachment device
KR101524835B1 (ko) 베일집게
KR101247750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CN209871547U (zh) 固定装置及具有其的皮带机
KR101809406B1 (ko) 굴삭기용 다기능 집게장치
CN208375206U (zh) 一种弹簧压装架
KR101102515B1 (ko)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90026325A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KR101679558B1 (ko) 기능성 작업기 연결장치
CN216713865U (zh) 钢筋绑扎工具
CN208196648U (zh) 加油铁管压配软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