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113B1 -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113B1
KR101102113B1 KR1020100108119A KR20100108119A KR101102113B1 KR 101102113 B1 KR101102113 B1 KR 101102113B1 KR 1020100108119 A KR1020100108119 A KR 1020100108119A KR 20100108119 A KR20100108119 A KR 20100108119A KR 101102113 B1 KR101102113 B1 KR 10110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thod
pests
pest
natural
gree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자
Original Assignee
조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자 filed Critical 조성자
Priority to KR102010010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 공동주택의 정원, 조경시설, 가로수 등 녹지공간에 발생하는 병·해충을 화학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녹지공간의 가로수나 가로등에 포충기를 설치하여 모기, 나방 등의 해충을 포집하는 물리적 방제방법과; 상기 녹지공간의 정원 근처에 소형 비닐하우스 형태의 천적 증식집을 설치하여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으로 방제가 불가능한 응애류, 진딧물류의 해충을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방법과; 상기 물리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방제하지 못한 해충이 발생된 곳에만 국부적으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는 화학적 방제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녹지공간의 병·해충 방제 방법에 의하면 화학농약의 살포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The system and the method of managing the green field environmentally-friendly}
본 발명은 공원, 공동주택의 정원, 조경시설, 가로수 등 녹지공간에 발생하는 병해충을 화학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과 천적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방법 및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사용한 화학적 방제방법을 결합하여 녹지공간에 발생되는 병·해충을 친환경적이고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분야의 기술과 관련된다.
공원, 공동주택의 정원, 학교, 가로수, 기타 조경시설이 되어 있는 녹지공간에는 병·해충이 심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녹지공간에서 발생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살충제, 살균제 등과 같은 화학농약을 살포한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는 화학농약은 환경호르몬을 유발하고, 잔류 농약성분이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생태계를 파괴한다. 또한 화학농약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에 흡수, 축적되어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해충 뿐만 아니라 여타 다른 곤충과 식물에 작용하여 생태계 먹이사슬 균형을 파괴하고, 토양 및 수질오염 유발원이 되는 등 환경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살충제의 살포로 인해 오히려 살충제 해충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대부분의 천적들이 죽기 때문에 먹이사슬 균형이 깨져 반복적인 살충제 살포를 해야 하므로 공원관리업체의 입장에서는 관리 비용상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 과도한 농약살포로 인해 입주자들의 민원이 야기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병·해충을 방제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78170은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유인트랩에 관한 것으로 해충과 이 해충의 알에서 기생하는 천적을 함께 유인하는 유인트랩과; 상기 유인트랩과 함께 공급되는 상기 해충의 불활성화된 알;을 포함하는 해충 및 천적의 유인트랩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인트랩을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은 환경 독성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농약 살포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유인트랩은 단순히 해충과 천적을 유인하여 죽이는 것으로 고안되었는데 오히려 보호해야할 천적을 유인하여 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단절시키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의 방제효과가 의문시된다. 또한 천적이 없는 해충 들 예를 들면 나방이나 모기 등과 같은 곤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별도의 화학 농약을 살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써 포충기를 활용한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795435는 해충을 생리 교란시키는 파장의 광선을 주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부의 광선은 청색과 보라색 중 적어도 어느 한 계열의 가시 광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를 제 1 설정시간 동안 소등하는 소등모드와, 상기 광원부를 제 2 설정시간 동안 점등과 소등을 순간적으로 반복하는 점등모드를 야간에 교번되게 반복하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포충기로 인해 야간에 주광성을 띤 모기 및 기타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포충기는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하는 데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상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한 포충기로 포집하기 곤란한 해충 이를테면 진딧물이나 응애 등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므로 별도로 화학농약을 살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78170, 등록특허 10-0795435
없음
본 발명은 상기한 유인트랩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방법과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물학적 방제방법, 물리적 방제방법 및 유기농자재를 활용한 화학적 방제방제 방법의 장점만을 결합한 새로운 병·해충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은 하기와 같다.
녹지공간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해충 방제 방법은 물리적 방제방법과 생물학적 방제방법을 결합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은 녹지공간의 가로수나 가로등에 포충기를 설치하여 모기, 나방 등의 해충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물학적 방제방법은 상기 녹지공간의 정원 근처에 소형 비닐하우스 형태의 천적 증식집을 설치하여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으로 방제가 불가능한 응애류, 진딧물류의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녹지공간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위한 제1의 수단으로 채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지 공간의 병·해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상기 물리적 방제방법과 생물학적 방제방법 이외에 농약이 아닌 화학적 방제방법을 결합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학적 방제방법은 해충이 발생된 곳에만 국부적으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천적 증식집은 천적을 유지하기 위하여 천적 유지식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적 유지식물은 보리, 옥수수, 해바라기, 조뱅이 또는 기타 식물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리적 방제방법을 통해 모기, 나방 등의 해충 을 방제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천적을 활용한 생물적방제 방법을 결합하여 물리적 방법으로 해결되는 않는 조경수의 중요 해충인 진딧물류, 응애류, 깍지벌레류를 함께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태계를 유지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개념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천적 증식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보리에 증식된 진딧물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진디벌이 진딧물에 기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C는 기생당한 진딧물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D는 보리잎에 천적이 증식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천적 유지식물인 강낭콩에 점박이 응애가 증식된 모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포충기의 빛에 유인되어 포집된 주광성 곤충들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녹지공간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녹지공간이란 도시의 공원, 학교의 정원이나 잔디밭, 아파트 주상복합건물 등 공동주택의 정원, 조경시설, 가로수 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녹지 공간에 현재 우리나라에 식재되어 있는 조경수종은 약 300여종이고 화초류는 120여종이다. 식재되는 식물이 다양함에 따라 일반 곤충과 해충들 그리고 발생되는 병 또한 매우 다양하다. 녹지공간에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진딧물류, 응애류, 깍지벌레류, 나방류, 방패벌레류, 딱정벌레류 등 약 160여종이고, 병은 균핵병류, 탄저병류, 마름병류등 140여종에 이른다.
상기와 같은 병·해충은 특정 공간에서 동시에 모두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주요 병·해충만이 문제된다. 해충의 경우 녹지공간의 먹이사슬이 깨져 있거나 불균형적인 상태가 되었을때 특정 해충들이 발생된다. 또한 자연적 현상으로 어느 특정 시기에 해충 번식환경이 최적화 되었을때 대량 발생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상태에서 먹이사슬이 균형을 찾을 때 쯤이면 식물은 이미 해충의 피해를 심각하게 입은 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시점의 먹이사슬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해충에 대한 천적의 밀도가 증가되려는 초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식물의 피해가 심각하므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살충제를 대량으로 살포하게 되는 데, 그러면 천적은 완전히 소멸하게 된다. 해충의 경우 살충제의 영향으로 일부만 죽고 살아남은 해충은 저항성을 만들어내 또 다시 번식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의 인위적 살충제에 의한 간섭행위 때문에 먹이사슬은 항상 무너져 있고, 해충이 더 잘 살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화학농약의 과다살포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개념을 간략히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친환경적으로 녹지공간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과 천적을 증식하여 이를 통한 병·해충을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방법 및 친환경유기농자재를 활용한 화학적 방제방법의 3가지 방제방법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각의 방제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물리적 방제방법이란 포충기를 활용하여 모기와 같은 보건해충 또는 나방과 같은 산림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포충기는 밤에 주광성을 띤 벌레들을 유인시켜 살충시키는 물리적 방제 수단이다. 포충기에 내장된 전등 불빛의 파장은 320nm~400nm 범위로 산림해충 나방류 성충, 깔다구류, 모기류, 기타 주광성을 띤 벌레들을 유인할 수 있다. 상기한 포충기를 녹지공간의 크기와 형태 및 방제하고자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녹지공간의 가로수, 가로등, 광원 근처에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끈끈이 주걱이나 페로몬 향등을 배치해서 해충을 유인해도 무방하다.
생물학적 방제방법은 천적을 이용한 특정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 자연법칙에서 해충과 천적의 개체군 동태 변화를 살펴보면 초봄이 되면서 해충(초식성)이 먼저 출현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해충의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된 후에야 천적(기생성, 포식성, 병원성)이 번식되기 시작한다. 시간이 경과한 후 어느 정도 정점에 도달하게 되면 해충과 천적의 개체수가 역전되면서 천적이 해충을 완전히 제압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식물은 이미 심각하게 피해를 입은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적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생물학적인 방제를 위하여 특정 해충의 출현시기를 인지하여 미리 증식한 천적을 특정 해충의 출현시점에 방사시켜 식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적 증식집과 천적 유지식물(Banker Plants)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천적 증식집은 천적을 보존, 증식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소형 비닐하우스 형태를 취한다. 상기 천적 증식집은 상기 녹지공간의 정원이나 식물 근처에 설치되며 내부에 천적 유지식물을 포함하고 있다.
천적 유지식물(Banker Plants)은 며칠밖에 살지 못하는 기생성 천적을 수개월 유지시켜 해충방제 효과를 높이는 식물로서 보리, 옥수수류, 해바라기류, 조뱅이, 강낭콩 및 잎에 털이 없는 콩류 및 밀원식물 등이 사용된다. 이 중 보리는 시설하우스 농업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천적 유지식물로써 천적 회사들이 상업화하여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야외에서 천적유지식물을 활용하는 사례는 현재까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지에서 활용 가능한 천적 유지식물로 옥수수류, 해바라기류, 강낭콩 및 잎에 털이 없는 콩류 및 밀원식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옥수수는 6월 중순이후부터 가을까지 옥수수테두리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차응애, 점박이응애가 잘 번식할 수 있는 특성이 있고, 이를 잘 증식시킨 후 포식성 천적들을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밀원식물은 꽃등에류를 불러들이는 효과 및 지속적 서식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 특히 옥수수에서 증식된 진딧물과 응애류에 대한 천적으로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꼬마무당벌레, 진디혹파리, 응애혹파리, 꽃등에류, 이리응애류, 기생벌류등이 증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과 천적 증식집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방법을 통해 방제되지 않는 소수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화학적 방제방법을 결합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 화학적 방제방법에 사용되는 화학제품은 기존의 화학농약이 아닌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환경유기농자재로써 작물병해관리용자재, 작물충해관리용자재, 미생물제제, 유기농산물해충관리용자재 등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숭아나무 계통의 공깍지벌레류, 미국흰불나방의 애벌레류 및 기타 나방류 애벌레류, 나무 줄기를 가해하는 하늘소류 및 유리나방류등의 해충들이 발생할 때는 미생물제제 또는 유기농산물해충관리용 자재를 사용하여 해충이 발생된 부위에 부분적 방제를 실시한다.
조경수에 주로 발생하는 병은 향나무, 독일가문비나무등의 녹병, 느티나무, 은행나무등의 점무늬병, 잦나무등의 마름병, 벚나무등의 갈반병, 사철나무등의 탄저병등이 있다. 이러한 병들이 발생하는 시기는 모두 다르며, 조기에 예찰을 실시하여 발생초기에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여 병발생의 진전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탄저병, 마름병, 갈반병, 녹병, 점무늬병 등은 곰팡이계통의 포자들이 분산하여 병에 걸리는데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작물병해관리용자재중 미생물제제와 유황을 물에 희석하여 살포 또는 목초액등을 살포하여 확산을 예방한다.
[실시예 1: 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
2월 하순에 공원 녹지공간의 정원에 가로 80cm, 세로 3M, 높이 80cm인 소형 온실형태의 천적 증식집을 설치하였다. 여기에 그 이전 11월에 파종된 보리를 옮겨 심고 천적 증식집 위에 비닐을 덮어 씌움과 동시에 기장테두리진딧물을 접종시켰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2~3주 후에 진딧물의 개체수는 급격하게 증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기장테두리진딧물의 천적인 진디벌류를 접종을 시켰다. 천적들은 먹이가 충분한 조건에서 번식을 하게 되는데, 도 3의 D에서 확인되듯이 4월 중순경에 최초 접종시킨 수 대비 100배 이상으로 번식되었다. 5월 중순경 진디벌이 대량 증식된 소형 온실의 양쪽 문을 개방하고 천적이 붙어 있는 보리의 밑둥을 잘라 공원의 곳곳에 분산시켰다.
[실시예 2: 잎응애류에 대한 방제효과]
3월 하순경 약 5cm 정도의 싹이난 강낭콩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된 천적 증식집에 옮겨 심었다. 그런 다음 1주일 후 점박이응애를 소량 접종시켜 2~3주간 경과한 후, 점박이응애가 대량 증식시켰다. 이를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점박이응애에 대한 천적으로 꼬마무당벌레를 접종시킨후 2~3주간 증식을 시켰다. 그런 다음 4월 하순경 천적 증식집 문을 개방시켜 강낭콩 식물을 잘라 조경수에 골고루 분산 시켰다.
[실시예 3: 포충기와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이용한 해충의 방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녹지공간의 정원수에 포충기 20개를 설치하였고 미생물제제(입수처:동부하이텍 상표명:토박이)를 2000배 희석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였다.
[실시예 4: 포충기와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이용한 해충의 방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녹지공간의 정원수에 포충기 50개를 설치하였고 미생물제제(입수처:동부하이텍 상표명:토박이)와 100중량 대비 유황 5중량 첨가하여 1000배 희석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의 병·해충 박멸 효과를 하기의 표 1을 통해 나타내었다.
실시 예 1~4의 병·해충 박멸률(%)
진딧물 나방애벌레 응애류 모기·나방성충 탄저병
실시예1 80 80 15 5 3
실시예2 20 20 90 4 5
실시예3 80 80 15 40 35
실시예4 20 70 85 40 35
상기 표에서 확인되듯이 진딧물과 응애류의 해충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천적 증식집과 천적 유지식물 등을 활용하면 용이하게 방제할 수 있으나, 모기·나방성충과 같은 산림해충이나 주광성 벌레들은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을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5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을 결합해서도 방제가 곤란한 탄저병의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농촌진흥청에서 고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여 방제하면 보다 효과적인 방제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녹지공간의 병·해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적 증식집 및 천적 증식을 위한 천적 유지식물의 재배를 통한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 방법과 상기 생물학적 방제방법으로 방제가 곤란한 산림해충 등을 포집하기 위한 포충기를 활용한 물리적 방제방법을 결합한 것을 주로 하고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 및 생물학적 방제방법으로도 방제가 어려운 탄저병, 마름병, 갈반병, 녹병등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장이 고시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국부적으로 살포하여 녹지공간의 생태계를 유지 및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없음

Claims (4)

  1. 삭제
  2. 녹지공간의 병ㆍ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ㆍ해충 방제 방법은 물리적 방제방법과 생물학적 방제방법과 화학적 방제방법을 결합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은 녹지공간의 가로수나 가로등에 포충기를 설치하여 모기, 나방과 같은 해충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물학적 방제방법은 상기 녹지공간의 정원 근처에 소형 비닐하우스 형태의 천적 증식집을 설치하여 상기 물리적 방제방법으로 방제가 불가능한 응애류 및 진딧물류의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학적 방제방법은 해충이 발생된 곳에만 국부적으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천적 증식집은 천적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리, 옥수수, 해바라기, 조뱅이, 강낭콩 및 밀원식물 중에서 선택되는 천적유지식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친환경유기농자재는 화학농약이 아닌 작물병해관리용자재, 작물충해관리용자재, 미생물제제, 유기농상물해충관리용자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녹지공간의 병ㆍ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00108119A 2010-11-02 2010-11-02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0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19A KR101102113B1 (ko) 2010-11-02 2010-11-02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19A KR101102113B1 (ko) 2010-11-02 2010-11-02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113B1 true KR101102113B1 (ko) 2012-01-02

Family

ID=4561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119A KR101102113B1 (ko) 2010-11-02 2010-11-02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4698A (zh) * 2013-08-06 2013-12-18 黑龙江省农业科学院齐齐哈尔分院 用赤眼蜂防治向日葵螟试验方法及其实施方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319A (ko) * 2002-06-29 2004-01-07 김기수 죽염 간 갈치 제조방법
KR200402319Y1 (ko) 2005-07-08 2005-11-29 김욱 흡입식 포충기
KR20070043492A (ko) * 2005-10-21 2007-04-25 김창식 친환경 감귤 깍지벌레 방제 약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72945A (ja) * 2006-09-21 2008-04-03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ウス栽培における天敵昆虫による害虫防除方法
KR20100078170A (ko) * 2008-12-30 201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의 행동적 방제와 생물적 방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319A (ko) * 2002-06-29 2004-01-07 김기수 죽염 간 갈치 제조방법
KR200402319Y1 (ko) 2005-07-08 2005-11-29 김욱 흡입식 포충기
KR20070043492A (ko) * 2005-10-21 2007-04-25 김창식 친환경 감귤 깍지벌레 방제 약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72945A (ja) * 2006-09-21 2008-04-03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ウス栽培における天敵昆虫による害虫防除方法
KR20100078170A (ko) * 2008-12-30 201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의 행동적 방제와 생물적 방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유인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4698A (zh) * 2013-08-06 2013-12-18 黑龙江省农业科学院齐齐哈尔分院 用赤眼蜂防治向日葵螟试验方法及其实施方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ttrell Integrated pest management
Finch Ec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 management of Delia pest species in vegetable crops
Tello et al. Biotic urban growing conditions—threats, pests and diseases
Abd-Elgawad The mediterranean fruit fly (Diptera: Tephritidae), a key pest of citrus in Egypt
Pinnamaneni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in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KR101102113B1 (ko)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Thurmond Defining and mitigating the impacts of Acanthococcus lagerstroemiae (Hemiptera: Eriococcidae) management on pollinators
Kelly et al. Problems and pests of Agave, Aloe, cactus and Yucca
Witmer et al. Vole problems, management options, and research needs in the United States
Rahman MM Rahman
Flint et al. A history of pest control
CN114144063B (zh) 害虫防治套盒和方法
Addis et al. Biology, geographical distribu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enset root mealybug, Cataenococcus ensete (Homoptera: Pseudococcidae) in Ethiopia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KR101070143B1 (ko) 천적을 이용한 가로수의 해충방제방법
Quarles Global warming means more pathogens
Day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for Vegetable Gardens
Verma Chapter-3 Integrated Pest Management: An Op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CN118104686A (zh) 害虫防治套盒和方法
Smith Small Mammal and Invertebrate Seed Predation on Five Functionally Important South Sound Prairie Plants
Landis et al. Problem prevention and holistic pest management
De Lima Area wide management of Mediterranean fruit fly in Australia
Frodsham et al. Fungus Gnats: Common and Damaging!
Gunn et al. Managing Voles in Idaho Crops and Landscapes
Pereira et al. Imported fire ants and thei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