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374B1 -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374B1
KR101101374B1 KR1020090072760A KR20090072760A KR101101374B1 KR 101101374 B1 KR101101374 B1 KR 101101374B1 KR 1020090072760 A KR1020090072760 A KR 1020090072760A KR 20090072760 A KR20090072760 A KR 20090072760A KR 101101374 B1 KR101101374 B1 KR 10110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substrate
solar cell
opening
etch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76A (ko
Inventor
우태기
김성일
김용태
김춘근
김영환
안효석
조승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7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태양 전지는 실리콘 기판을 포함한다. 실리콘 기판은, i) 광이 입사되는 제1 표면, 및 ii) 제1 표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제1 표면에는 제2 표면을 향하여 뻗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1 개구부가 뻗은 방향은 제1 표면에 대해 경사진다.
태양 전지, 에칭, 결함, 광반사 방지막, 실리콘 기판

Description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SOLAR CELL WITH A SURFACE STRUCTURE OF REDUCING REFLECTION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반사율을 저감시켜서 광전변환효율을 높이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원 고갈 및 자원 가격 상승으로 인해 청정 에너지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청정 에너지로는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 조력 에너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태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태양 전지의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 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태양 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태양 전지의 광흡수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다시 말하면, 태양 전지의 광반사율을 최소화해야 한다.
광반사율을 저감시켜서 광전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술한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실리콘 기판을 포함한다. 실리콘 기판은, i) 광이 입사되는 제1 표면, 및 ii) 제1 표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제1 표면에는 제2 표면을 향하여 뻗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1 개구부가 뻗은 방향은 제1 표면에 대해 경사진다.
실리콘 기판이 <100>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개구부는 (111)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제1 표면이 이루는 각은 5˚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제1 표면이 이루는 각은 54˚ 내지 55˚일 수 있다.
제1 표면에는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개구부와 연통되는 또다른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제1 표면에 복수의 개구부들 중 둘 이상의 개구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에칭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은 도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실리콘 기판 위에 위치한 반사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i) 실리콘 기판을 제 공하는 단계, ii)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 및 iii) 기계적으로 연마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실리콘 기판이 <100>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표면 중 (111) 면에 에칭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에서 실리콘 기판을 일방향으로 기계적 연마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하여 에칭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10초 내지 60분 동안 에칭할 수 있다.
등방성 에칭 용액은 HF 및 HNO3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방성 에칭 용액은 CH3COO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에서 (111) 면에 결정학적 결함이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결정학적 결함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다.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등방성 에칭 용액을 이용하므로 단결정 실리콘 및 다결정 실리콘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조직화함으로써 광전변환효율이 높은 광의 파장 대역에서 태양 전지의 광반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의 파장에 관계없이 태양 전지의 광반사율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태양 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표면"이라는 용어는 실리콘 기판의 최외각면 및 최외각면으로부터 그 하부로의 일정한 깊이를 가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 길이의 측정 기준점이 되는 경우, 표면은 실리콘 기판의 최외각면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100)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 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확대원에는 태양 전지(100)를 xz 평면을 따라 자른 (111) 면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의 태양 전지(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100)는 실리콘 기판(10)을 포함한다. 실리콘 기판은 제1 표면(101) 및 제2 표면(103)을 포함한다. 제1 표면(101)은 +z축 방향을 향하고, 제2 표면(103)은 -z축 방향을 향한다. 즉, 제2 표면(103)은 제1 표면(101)의 반대 방향을 향한다. 광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1 표면(101)에 입사된다.
실리콘 기판(10)은 도핑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리콘 기판(10)에 도핑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자유전자 및 정공을 잘 생성시킬 수 있다. 도핑 영역은 p형 영역, 진성 영역 및 n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핑 영역에서 생성된 자유전자 및 정공은 태양 전지(100)로 입사된 광에 의해 여기되어 이동하면서 태양 전지(100)에 전력을 발생시킨다. 자유전자 및 정공은 pn 접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pn 접합을 통해 광에 의해 여기된 전자와 이에 상응하는 정공이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태양 전지(100)는 전기를 발생시킨다. 도핑 영역의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확대원을 통하여 실리콘 기판(10)의 표면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면(101)은 제1 개구부(1011) 및 제2 개구부(1013)를 포함한다. 제2 개구부(1013)는 제1 개구부(1011)와 연통된다. 제1 개구부(1011)는 제2 표면(103)을 향하여 뻗어 있다. 여기서, 제2 개구부(1013)는 제1 개구부(1011)가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제1 개구부(1011)와 연통된다. 즉, 제1 개구부(1011) 및 제2 개구부(1013)는 상호 뻗은 방향이 다르다. 그 결과, 제1 개구부(1011)를 향하여 입사된 광은 제1 개구부(1011)로부터 잘 반사되지 못하고, 제2 개구부(1013)에 의해 갇힌다. 따라서 광은 제1 표면(101)으로부터 잘 반사되지 않는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011)가 뻗은 방향은 제1 표면(101)에 대해 경사져서 각도(θ)를 이룬다. 여기서, 각도(θ)는 5˚ 내지 7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는 54˚ 내지 55˚일 수 있다. 각도(θ)는 실질적으로 54.74˚일 수 있다. 각도(θ)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개구부(1011)로 광이 입사되지 못하므로 태양 전지(100)의 광흡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각도(θ)가 너무 큰 경우, 제1 개구부(1011)로 입사된 광이 다시 제1 개구부(1011)로부터 외부로 반사된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011) 및 제2 개구부(1013)는 (111) 면 위에 형성된다. 기계적 연마에 의해 (111) 면에는 결정학적 결함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결정학적 결함은 전위(dislocation) 또는 적층 결함(stacking fault) 등이다. 실리콘 기판(10)을 에칭하는 경우 전술한 결정학적 결함들이 선택적으로 에칭된다. 즉, 다른 부분에 비해서 결정학적 결함들이 좀더 집중적으로 에칭된다. 따라서 제1 표면(101)의 (111) 면이 빠르게 에칭되면서 제1 개구부(1011)가 (111) 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1 표면(101)에는 제2 개구부(1013)가 형성된다. 결정학적 결함은 (111) 면 이외에 다른 결정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구부(1013)는 (111) 면 위에 형성된 제1 개구부(1011)로부터 연장되어 (111) 면 주위의 다른 결정면에 존재하는 결정학적 결함을 에칭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개구부(1013)는 제1 개구부(1011)가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개구부(1013)는 제1 개구부(1011)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 개구부(1011)로 입사된 후 제2 개구부(1013)로 반사된 광은 제2 개구부(1013)에 의해 갇힌다. 따라서 태양 전지(100)의 광흡수율이 증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200)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의 확대원에는 태양 전지(200)를 zx 평면 방향을 따라 자른 (110) 결정면의 단면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2의 태양 전지(200)의 구조는 도 1의 태양 전지(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200)의 광흡수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태양 전지(200)는 반사 방지막(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막(22)은 개구부(2011)를 덮어서 형성된다. 반사 방지막(22)은 실리콘 기판(20) 위에 위치하여 실리콘 기판(20)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의 태양 전지(100)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태양 전지의 제조 공정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i) 실리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S10), ii)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S20), 및 iii)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다른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S10)에서는 실리콘 기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으로서 단결정 또는 다결정으로 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기판으로서 서브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20)에서는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한다.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패드를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을 그라인딩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규칙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단계(S20)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의 표면에 x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들(3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실리콘 기판(10)을 기계적으로 연마함으로써 실리콘 기판(10)의 표면에 일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홈들(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기판(10)에 기계적 결함을 인위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면, 단계(S30)에서는 기계적으로 연마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한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이 에칭되면서 광이 포획되어 반사를 줄이는 광반사 방지 영역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단계(S30)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을 에칭하여 실리콘 기판(10)의 표면 위에 꾸불꾸불한 다수의 에칭 영역들(32)을 형성한다. 에칭 영역들(32)은 둘 이상의 제1 개구부들(1011)(도 1의 확대원에 도시)을 상호 연결한다. 에칭시 결함 부분이 제거되면서 실리콘 기판(10)의 표면을 조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기판(10) 위에는 결함이 존재하는 부분과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에칭 속도의 차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실리콘 기판(10)의 표면에 거친 표면이 형성되면서 표면 조직화가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면, 단계(S30)에서는 에칭 용액으로서, HF 및 HNO3를 포함하는 에칭 용액 또는 HF, HNO3 및 CH3COOH를 포함하는 에칭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칭 용액들은 등방성 에칭 특성을 가지며, 실리콘 기판의 표면 위의 결함을 제거한다.
전술한 에칭 용액의 농도, 온도, 교반 시간 또는 에칭 시간에 따라 실리콘 기판의 표면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개구부들의 크기, 밀도, 깊이 또는 형상을 조절할 수 있고, 개구부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거나 랜덤하게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5분 내지 10분 동안 에칭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에칭하는 경우, 태양 전지의 광흡수율 향 상에 필요한 표면 구조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너무 긴 시간 동안 에칭하는 경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이 과에칭된다. 한편, 0℃ 내지 200℃의 온도를 가지는 에칭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에칭한 실리콘 기판을 열처리할 수도 있다. 에칭한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는 산화물이 잔존한다. 또한, 에칭한 실리콘 기판의 표면 하부에는 산소 원자가 존재한다. 산화물 및 산소 원자는 태양 전지의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주므로, 실리콘 기판을 열처리하여 산화물을 제거한다. 전술한 열처리 공정 이외에 추가 에칭 공정 및 열산화막 성장 공정(thermal oxidation)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산화물 및 산소 원자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칭한 실리콘 기판에 플라스마 이온 도핑, 확산 도핑 또는 이온 주입을 실시함으로써 실리콘 기판의 내부에 도핑 영역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실리콘 기판에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반사 방지막, 보호층 또는 전극을 실리콘 기판에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조직화하는 경우, 광반사율이 태양 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의 향상에 기여하는 광파장의 범위에서는 균일하지 못하였다. 또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잘 조직화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복잡한 공정을 실시하므로, 공정 비용이 비싸고, 공정 시간이 길었다. 더욱이, 실리콘 기판 표면의 조직화 한계로 인해 반사 방지막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낮으며, 태양 전지의 광반사율이 균일하면서 매우 낮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제1 실험예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 연마, 즉 샌드 페이퍼(sand paper)로 그라인딩(grinding)하였다. 실리콘 기판에 한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여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을 형성하였다. 실리콘 기판을 그라인딩함으로써 효율이 최적화된 두께로 실리콘 기판을 얇게 갈아낼 수 있다. 실리콘 기판에 대한 기계적인 한계가 허용되는 범위하에서 회전수 및 그릿(grit) 크기 등을 조절하여 표면 조직화에 유리한 충분한 양의 결함을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HF, HNO3 및 H2O를 10:1:12의 질량비로 배합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25도에서 1분 동안 에칭하였다. 에칭시에는 등방성 에칭 용액을 교반하여 실리콘 기판이 균일하게 에칭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등방성 에칭 용액 이외에 HF, HNO3, CH3COOH 및 H2O를 10:1:3:14의 질량비로 배합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험예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패드(diamond pad)로 그라인딩하였다. 그리고 HF, HNO3 및 H2O를 1:4:8의 질량비로 배합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였다. 나머지 실험 조건은 전술한 제1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전술한 등방성 에칭 용액 이외에 HF, HNO3, CH3COOH 및 H2O를 1:4:1:5의 질량비로 배합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교예
실리콘 기판을 연삭 및 에칭하지 않고 그 양면을 경면으로 폴리싱하였다. 실리콘 기판을 연삭하지 않았으므로, 실리콘 기판에는 기계적 결함이 생성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조직 사진
도 6은 전술한 제1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은 흑색을 가지는 기판으로 단순히 관찰되었다. 이는 실리콘 기판의 광반사율이 매우 낮으므로, 그 표면이 흑색으로 보인다.
도 7은 도 6의 실리콘 기판 표면을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에칭 영역들을 좀더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에칭 영역들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다소 구불구불 한 형태를 가졌다. 에칭 영역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었다. 실리콘 기판이 에칭되면서 기계적 연마에 의해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홈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는 미세한 에칭 영역들이 생성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 표면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그 하부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들이 형성되었다. 또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이 에칭되면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었다. 복수의 개구부들 중 일부는 개미굴 형상을 가졌다. 여기서, 개구부는 하부 방향을 따라 뻗어서 형성되었지만, 그 뻗은 방향은 다소 변화될 수 있다. 즉, 개구부가 뻗은 방향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5˚ 내지 70˚의 각이 되도록 하면서 경사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 표면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의 에칭 조건은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의 에칭 조건과 다소 상이하므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은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의 실리콘 기판의 표면과 상이한 형태로 에칭되었다.
단결정 실리콘이 <100>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실리콘 기판의 표면과 54.14˚를 이루는 (111) 면에 기계적 결함이 형성되었고, (111) 면이 빠르게 에칭되면서 도 9에 흰색으로 표시한 개구부가 형성되었다. 즉, 개구부는 (111) 면상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111) 면상에 형성된 결함이 선택적으로 빠르게 에칭되면서 개구부 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결함은 (111) 면에만 생성되지 않고, 다른 면에도 형성되었으며, 결함이 성장하여 크랙으로 형성되기도 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에 따른 또다른 실리콘 기판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과 54.14˚를 이루는 (111) 면에 기계적 결함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 결함을 따라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었다.
도 11은 도 9의 실리콘 기판 표면을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미세한 선형의 에칭 영역들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리콘 기판이 에칭되면서 기계적 연마에 의해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홈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는 미세한 에칭 영역들이 생성되었다. 한편, 에칭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의 에칭 영역이 도 7의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의 에칭 영역과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반사율 실험 결과
전술한 제1 실험예, 제2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에 광을 비추어 그 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실리콘 기판의 광반사율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제1 실험예 및 제2 실험예의 실리콘 기판의 광반사율은 비교예의 실리콘 기판의 광반사율보다 훨씬 작았다. 따라서 제1 실험예 및 제2 실험예에 따 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에서는 대부분의 광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는 제2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의 광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실선은 제2 실험예를 나타내고, 점선은 비교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의 반사율은 확산 반사율 및 스펙트럼 반사율을 합한 반사율, 즉 광학적인 반사와 흩어진 광을 포함하는 모든 반사광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의 실리콘 기판의 광의 파장은 평균적으로 30% 내지 40%이다. 반면에, 제2 실험예의 실리콘 기판은 광전자 생성에 기여하는 파장대에서 평균 5% 정도의 매우 낮은 반사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광전변환효율이 큰 광파장 영역에서 태양 전지의 광흡수율을 매우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중 각 단계들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실리콘 기판 표면을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 표면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에 따른 실리콘 기판 표면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험예에 따른 또다른 실리콘 기판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도 9의 실리콘 기판 표면을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기판에서 광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5)

  1. 실리콘 기판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로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광이 입사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표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에는 상기 제2 표면을 향하여 뻗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가 뻗은 방향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실리콘 기판이 <100>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상기 개구부는 (111) 면에 형성된 태양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상기 제1 표면이 이루는 각은 5˚ 내지 70˚인 태양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상기 제1 표면이 이루는 각은 54˚ 내지 55˚인 태양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는 상기 개구부가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또다른 개구부가 형성된 태양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에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둘 이상의 개구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에칭 영역이 형성된 태양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도핑 영역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 위에 위치한 반사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9. 실리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으로 연마된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리콘 기판이 <100>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상기 표면 중 (111) 면에 에칭 영역을 형성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리콘 기판을 일방향으로 기계적 연마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등방성 에칭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에칭 영역을 형성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10초 내지 60분 동안 에칭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에칭 용액은 HF 및 HNO3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에칭 용액은 CH3COOH를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는 단계에서 상기 (111) 면에 결정학적 결함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에서 상기 결정학적 결함이 선택적으로 에칭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090072760A 2009-08-07 2009-08-07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60A KR101101374B1 (ko) 2009-08-07 2009-08-07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60A KR101101374B1 (ko) 2009-08-07 2009-08-07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76A KR20110015176A (ko) 2011-02-15
KR101101374B1 true KR101101374B1 (ko) 2012-01-02

Family

ID=4377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60A KR101101374B1 (ko) 2009-08-07 2009-08-07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771B1 (ko) * 2000-12-13 2003-11-07 주식회사 한국닛소 식물성 테르펜정유 추출방법
KR100411746B1 (ko) * 2000-12-13 2003-12-18 주식회사 한국닛소 식물성 테르펜정유 추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7371A (ja) 1999-06-17 2001-0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3229584A (ja) * 2002-01-31 2003-08-15 Nippon Sheet Glass Co Ltd 光電変換装置用ガラス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装置
KR20060018033A (ko) * 2004-08-23 2006-02-28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태양전지 dlc 반사 방지막의 제조방법
JP2008047792A (ja) 2006-08-21 2008-02-28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部材および太陽電池部材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7371A (ja) 1999-06-17 2001-0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3229584A (ja) * 2002-01-31 2003-08-15 Nippon Sheet Glass Co Ltd 光電変換装置用ガラス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装置
KR20060018033A (ko) * 2004-08-23 2006-02-28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태양전지 dlc 반사 방지막의 제조방법
JP2008047792A (ja) 2006-08-21 2008-02-28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部材および太陽電池部材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771B1 (ko) * 2000-12-13 2003-11-07 주식회사 한국닛소 식물성 테르펜정유 추출방법
KR100411746B1 (ko) * 2000-12-13 2003-12-18 주식회사 한국닛소 식물성 테르펜정유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76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1110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solar cell
US8329046B2 (en) Methods for damage etch and texturing of silicon single crystal substrates
Yoo Reactive ion etching (RIE) technique for application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US7128975B2 (en) Multicrystalline silicon substrate and process for roughening surface thereof
JP5537101B2 (ja) 結晶シリコン系太陽電池
AU2006243111A1 (en)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solar cell
JP2005150614A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Zheng et al. High-efficient solar cells by the Ag/Cu-assisted chemical etching process on diamond-wire-sawn multicrystalline silicon
KR100677374B1 (ko) 박판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다공성 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제조방법
WO2005117138A1 (ja) 太陽電池用半導体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
Gabriel et al. PECVD intermediate and absorber layers applied in liquid-phase crystallized silicon solar cells on glass substrates
TWI513021B (zh) Solar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401810B (zh) 太陽能電池
JP6144778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101374B1 (ko)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표면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44106A1 (en) Perovskite/silicon tandem photovoltaic device
Duerinckx et al. Large‐area epitaxial silicon solar cells based on industrial screen‐printing processes
US20110180132A1 (en) Texturing and damage etch of silicon single crystal (100) substrates
JP3602323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11181620A (ja) 結晶シリコン系太陽電池
KR101029331B1 (ko)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의 텍스쳐링 방법, 이에 의하여 텍스쳐링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JP2005209726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Li et al. Facile fabrication of Si nanowire arrays for solar cell application
Schmiga et al. 17.6% efficient tri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with spatially uniform texture
JP2014143272A (ja) 基板の粗面化方法、光起電力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