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918B1 -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918B1
KR101100918B1 KR1020090101261A KR20090101261A KR101100918B1 KR 101100918 B1 KR101100918 B1 KR 101100918B1 KR 1020090101261 A KR1020090101261 A KR 1020090101261A KR 20090101261 A KR20090101261 A KR 20090101261A KR 101100918 B1 KR101100918 B1 KR 10110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ltodextrin
soybean
beverage composition
bal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534A (ko
Inventor
김수희
하월규
김희선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9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대두단백,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및 콜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과 정제수에 구연산칼륨, 구연산삼나트륨을 용해시키고, 젤란검 또는 카라기난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및 슈가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과당,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비타민믹스, 미네랄믹스, L-카르니틴, 콜린 등을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조성물은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가 가능토록 하여 식사대용식이 되며, 또한 지속적인 섭취로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고, 균형잡힌 영양을 제공함으로써 당뇨 환자 또는 경계성 당뇨인의 건강한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당뇨, 혈당,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 말토덱스트린, 과당

Description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Liquid composition for balanced nutrition of the diabetes patient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대두단백,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및 콜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과 정제수에 구연산칼륨, 구연산삼나트륨을 용해시키고, 젤란검 또는 카라기난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및 슈가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과당,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비타민믹스, 미네랄믹스, L-카르니틴, 콜린 등을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사 습관에 의해서 국내 당뇨 환자는 지난 90년 이후 해마다 약 15%씩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당뇨 추정인구는 약 240~380 명에 달한다. 또한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다.
대한 당뇨학회와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이 펴낸 07년 한국인 당뇨병 연구보고서를 보면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당뇨 환자수는 무려 6배가 넘게 증가했다. 또한 당뇨병은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으며, 합병증은 높은 혈당으로 기인한다. 정상인의 혈당은 공복시, 100mg/dL 미만이며,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이다. 공복시 126mg/dL 이상이고 식후 2시간 200mg/dL 이상일 때 당뇨병으로 본다. 당뇨병 치료약에는 경구용 약과 인슐린 주사가 있다. 인슐린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액 속 포도당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당뇨병의 경우 이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치 않거나, 또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베타세포의 이상 또는 사멸로 인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거나 아예 분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당뇨병관리의 기본은 혈당 조절로,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약물요법을 통하여 혈당조절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여러 역학조사에서는 식후 갑작스러운 혈당상승은 당뇨로 인한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의 합병증이나 뇌혈관질환, 과낭동맥질환과 같은 대혈관의 만성합병증으로 진행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식후 급격히 상승하는 혈당이 심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라는 연구결과는 당뇨병환자들뿐만 아니라, 당뇨병이 없는 정상 성인들과 경계형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나타났다. 따라서 식후 혈당이 급속히 상승하지 않도록, 그리고 갑작스런 혈당의 감소로 인한 저혈당증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혈당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실제로, 식후혈당조절을 효과적으로 실천한, 경계형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심혈관계와 관련된 합병증 유병율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제 2형 당뇨병에서 식후 급격한 혈당 변화를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사요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겠다.
1921년 이전까지는 당뇨 환자의 식사 치료는 굶는 방법 이외에는 혈당 조절의 방법이 없는 것처럼 알려졌었다. 그러나 1950년 미국 당뇨학회(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 저 탄수화물 고지방 식이가 당뇨 환자의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단 포화지방의 섭취는 10% 미만)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현재는 섭취 총칼로리의 50~60%의 탄수화물, 10~20% 단백질, 30%의 지방 비율 섭취 비율에 대한 ADA 권고안이 일반화어 있으며,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는 위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소장에서의 탄수화물 흡수를 더디게 하여,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눌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등 수용성 식이섬유의 경우 설탕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긴 글루코스 흡수 억제 및 장관 글루카곤 같은 물질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랫트 및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당부하 시험에 있어서 혈당 상승 및 인슐린 분비를 완만하게 억제하는 효과(내당등 개선 효과)가 확인 되었고, 고지혈증, 내당능 장애 및 체지방 축적이 경감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며, 당뇨병의 예방 및 식사 요법에 대응되는 기능성 식품 소재이다.
현재 시중에는 당뇨 환자들이 식사의 전부 또는 일부로 사용할 수 있는 특수 용도 식품이 시판되고 있다. 유통 식품의 제조 기준 및 규격을 정하고 있는 식품 공전은 당뇨 환자용 식품에 대해 (1) 비타민 A, B1, B2, B6, C, D, E, 나이아신, 엽산, 단백질, 칼슘, 철, 아연을 섭취 1000 Kcal 당 영양소 기준치의 50% 이상, (2) 포화지방은 10% 미만, (3) 콜레스테롤은 100mg/1000kcal 이하 (4) 단당류 및 이당류는 총열량의 10% 미만의 규격을 설정하고 있으나, 식후 당질의 흡수 속도를 반영하는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의 개념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뇨환자 또는 경계성 당뇨인에게 식후 혈당 관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단백질 및 지질의 조성 및 탄수화물의 종류가 혈당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성 및 탄수화물의 원료 선정에 따라 제조된 균형 영양 음료가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소를 고루 갖춘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로서의 역할과 혈당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당뇨병 질환 개선용 식품조성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이며, 이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분리대두단백,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및 콜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에 구연산칼륨, 구연산삼나트륨을 용해시키고, 젤란검 또는 카라기난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및 슈가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과당,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비타민믹스, 미네랄믹스, L-카르니틴, 콜린 및 피넛후레바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료조성물은 식사를 대체하는 기능으로,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가 가능토록 하며, 또한 섭취 후에도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지 않도록 영양소를 조합하여, 식후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지속적인 섭취로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고, 균형잡힌 영양을 제공함으로써 당뇨 환자 또는 경계성 당뇨인의 건강한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대두단백,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및 콜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카제인나트륨, 말토덱스트린, 과당, 채종유, 유화제, 비타민, 미네랄, 구연산칼륨, 구연산삼나트륨, 젤란검, L-카르니틴, 피넛후레바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정제수에 산도 조절제를 용해시키고, 젤란검 또는 카라기난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로 제조된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및 슈가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로 제조된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과당,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비타민, 미네랄, L-카르니틴, 콜린 및 피넛후레바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1) 정제수 70~80중량%에 산도 조절제인 구연산칼륨 0.1~0.3중량%, 구연산삼나트륨 0.06~0.10중량%를 넣고 pH 6.0~7.5 로 조절 한 후, 젤란검 0.01~0.1중량% 또는 카라기난 0.01~0.2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 상기 1)의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1~5중량%, 분리대두단백 1~5중량%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 3.5~4.5중량% 또는 고올레잇유 3.5~4.5중량%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0.01~0.5중량% 및 슈가에스테르 0.01~0.5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며, 3) 상기 2)의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6~9중량%, 과당 1~3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2~4중량%, 이눌린 0.1~1.0중량%, 대두화이바 0.5~1.0중량%, 비타민 0.1~0.2중량%, 미네랄 0.5~1.0중량%, L-카르니틴 0.01~0.03중량%, 염화콜린 0.05~0.1중량% 및 피넛후레바 0.01~0.02중량%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균형영양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 말토덱스트린, 과당, 채종유, 콜린, 이눌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화이바졸-2L), 대두화이바, 대두레시틴, 비타민 프리믹스, 미네랄 프리믹스, 산도 조절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조성물은 제품 200ml 당 200kcal의 열량을 가지며, 43%는 탄수화물로부터, 20%는 단백질로부터, 37%는 지방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탄수화물성분에 있어서, 당뇨환자식 한 캔(200 mL)에 포 함된 총 탄수화물의 양은 25g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말토덱스트린(DE 9~16,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이 3% 미만)의 섭취로 인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관능을 좋게 하기 위해 말토덱스트린과 과당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된 고순도 과당은 자사인 대상에서 생산되며 혈당지수가 20이여서 혈당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당질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식이섬유는 혈당조절과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있는 이눌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대두화이바가 첨가될 수 있다. 식이섬유 총량은 총 탄수화물의 25%를 차지하며, 열량섬유소의 조성비율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대두화이바, 이눌린이 각각 61%, 21%, 18% 정도이다. 수용성 섬유소와 불용성 섬유소의 비율은 79: 21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단백질은 카제인나트륨(단백질 함량 90%, 유당함량 1% 미만의 식품첨가물로서 구입 가능)과 분리대두단백(솔레 사)을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분리대두단백의 경우 카제인에 비해, 여러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섭취시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을 억제하며, 인슐린 민감도를 좋은 영향을 끼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지방은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 함량이 높은 채종유(불포화지방함량 90% 이상으로 마트에서 구입 가능)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화제인 대두레시틴(식품 첨가물로서 구입 가능)과 슈가에스테르 p-1670(미쯔비시 공업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그밖의 성분으로는, 침전 개선 및 성분 균일화를 위하여 미네랄믹스(Potitech 사: 조성은 표 1 참조) 및 비타민믹스(DSM 사: 조성은 표 1 참조)를 사전에 프리블랜딩한 제품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지방 대사에 도움을 주는 L-카르니틴(식품 첨가물로 구입 가능)과 콜린(식품 첨가물로 구입가능)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에 있어서, 음료의 관능성 향상을 위해 과당으로 단맛을 줄 수 있고, 합성착향료인 피넛후레바(삼양 에프엔에프사)를 사용하여, 마시기에 좋도록(관능성 향상)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정제수 70~80중량%에 구연산칼륨 0.1~0.3중량%, 구연산삼나트륨 0.06~0.10중량%를 용해시키고, 젤란검 0.01~0.1중량% 또는 카라기난 0.01~0.2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상기의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1~5중량%, 분리대두단백 1~5중량%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 3.5~4.5중량% 또는 고올레잇유 3.5~4.5중량%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0.01~0.5중량% 및 슈가에스테르 0.01~0.5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며; 상기의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6~9중량%, 과당 1~3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화이바졸-2L) 2~4중량%, 이눌린 0.1~1.0중량%, 대두화이바 0.5~1.0중량%, 비타민믹스 0.1~0.2중량%, 미네랄믹스 0.5~1.0중량%, L-카르니틴 0.01~0.03중량%, 염화콜린 0.05~0.1중량% 및 피넛후레바 0.01~0.02중량%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80~85℃ 온도의 정제수 75.55중량%에 구연산삼나트륨 0.08중량%, 구연산칼륨 0.2중량%를 용해하고, 젤란DS 0.02중량%를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카제인나트륨 1.7중량%와 분리대두단백 3.47%를 용해 하여 1000~3600rpm 으로 믹싱한 후, 채종유 4.08중량%와 대두레시틴 0.1중량% 및 슈가에스테르 0.15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말토덱스트린 7.5중량%, 과당 2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3.1중량%, 이눌린 0.5중량%, 대두화이바 0.7중량%, 비타민믹스 0.17중량%, 미네랄믹스 0.74중량%, L-카르니틴 0.02중량%, 염화콜린 0.07중량% 및 피넛후레바 0.01중량%를 더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뒤 100~500bar 로 1~3회 균질화 시키고, 120~130℃에서 10~20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
80℃ 온도의 정제수 75.55중량%에 구연산삼나트륨 0.08중량%, 구연산칼륨 0.2중량%를 용해하고, 젤란검 0.02중량%를 더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3600rpm으로 5분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카제인나트륨 1.7중량%와 분리대두단백 3.47%를 용해하여 3600rpm 으로 믹싱한 후, 채종유 4.08중량%와 대두레시틴 0.1중량% 및 슈가에스테르 p-1670(미쯔비시 공업사) 0.15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말토덱스트린 7.5중량%, 과당 2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화이바졸-2L:마쯔다니 공업사) 3.1중량%, 이눌린 0.5중량%, 대두화이바 0.7중량%, 비타민믹스(DMS) 0.17중량%, 미네랄믹스(Potitech) 0.74중량%, L-카르니틴 0.02중량%, 염화콜린 0.07중량% 및 피넛후레바(삼양에프엔에프) 0.01중량%를 더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뒤 200bar로 균질 시킨 후, 다시 300bar로 2차 균질하여 캔에 담고, 123℃에서 17분간 동안 멸균하여 음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음료조성물의 영양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조성물의 영양분석을 하여 이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성분 함량 % 권장섭취량 성분 함량 % 권장섭취량
열량(kcal) 200 - 비타민B6(mg) 0.28 19
탄수화물(g) 25 - 비타민B12(㎍) 0.48 20
식이섬유(g) 6 - 비타민C(mg) 28 28
당류(g) 1.7 - 엽산(㎍) 80 20
단백질(g) 10 16 나이아신(mg) 3.2 20
지방(g) 8 - 비오틴(㎍) 6 -
포화지방(g) 1 - 이노시톨(mg) 180 -
트랜스지방(g) 0 - 판토텐산(mg) 1 -
콜레스테롤(mg) 0 - 콜린(mg) 180 -
나트륨(mg) 190 - 칼슘(mg) 154 22
타우린(mg) 80 - 인(mg) 140 20
L-카르니틴(mg) 30 - 철(mg) 2.4 24
비타민A(RE) 150 20 아연(mg) 2.4 24
비타민D(㎍) 1 - 마그네슘(mg) 68 20
비타민E(mg-TE) 2 - 칼륨(mg) 700 -
비타민K1(㎍) 15 - 요오드(㎍) 30 20
비타민B1(mg) 0.26 22 망간(㎍) 400 -
비타민B2(mg) 0.3 20 구리(㎍) 160 20
% 영양권장량:20~29세 성인남성기준, 2005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KRDIs)참고
<시험예 1>
1. 시험방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하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검사 3개월 내에 당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품 (비만 치료제, 항우울제, 피임약, 스테로이드제제, 여성 호르몬제, 안지오텐신수용체 억제제, Statin 계 의약품 등)이나 건강식품을 복용한 경우를 제외했으며, BMI 10.5 이하 또는 30 이상인 경우, 알코올 또는 흡연자, 임산부 또는 수유부, 과도한 운동인, 신장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혈청 크레아티닌이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 및 기타 본 시험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였다.
피험자는 실험전 12시간 금식했으며, 실험 DATA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 날 저녁 식사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고, 금주 및 금연하도록 하였다.
GI를 측정하기 위해서 OGTT 용 식용 포도당 50G 용액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100ml을 5~10 분 이내에 섭취한 뒤 섭취 시작 0분 15, 30, 45, 60, 90,120, 180 분에 각각 혈당을 측정한다. 일주일의 Wash out 기간을 거친 후 상시 실시 예1에서 제조한 당뇨 환자 또는 당뇨의 경계인을 위해 조제된 균형 영양식 음료 526.32g 을 섭취하게 한 뒤 동일한 방법으로 혈당을 측정한다.
시험 물질 섭취 후 정해진 시간에 혈당 수준을 측정하여 식품별 AUC (Area Under the Curve), Peak height, Peak Time 을 관찰하여 각 군의 평균과 표준 오차를 구하였다. 섭취 후 최고 혈당치와 최저 혈당치의 차이를 계산한 Excursion 도 구하여 각 혈당 반응 곡선의 Peak height, Peak Time 을 비교하였다. 포도당 용액과 상기 실시 예1에서 제조한 당뇨 환자 또는 당뇨의 경계인을 위해 조제된 균형 영양식 음료 섭취에 따른 IAUC, Excursion, Peak Time 및 Peak height의 차이는 P=0.05 수준에서 분산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모든 통계는 SAS program 으로 처리되었다.
2. 시험결과
(1) 혈당측정 결과
[표 2] OGTT 용 식용 포도당 50G 용액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섭취결과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1
[표 3]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조성물 섭취결과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2
(2) 혈당반응곡선 면적측정 결과
[표 4] 혈당 반응 곡선 면적(IAUC)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3
상기 표 4에서 표준식품은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을 말한다.
(3) 최고혈당과 최저혈당의 차이측정 결과
[표 5] 최고혈당과 최저혈당의 차이(Excursion)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4
상기 표 5에서 표준식품은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을 말한다.
(4) 최고혈당을 나타내는 시간측정 결과
[표 6] 최고혈당 시간(Peak Time)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5
상기 표 6에서 표준식품은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을 말한다.
(5) 최고혈당 높이측정 결과
[표 7] 최고혈당 높이(Peak Height)
Figure 112009065092353-pat00006
상기 표 7에서 표준식품은 '디아솔에스액 (주)태준제약' 을 말한다.
상기의 표준식품(대조구) 또는 상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조성물을 섭취시켜 얻은 혈당 반응 곡선으로부터 IAUC, Peak Time, Peak Height 및 Excursion 을 계산한 후, 각 군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 IAUC 는 glucose에 비해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조제된 음료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최고혈당과 최저혈당의 차이를 나타내는 Excursion 은 glucose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최고 혈당이 나타나는 시간인 Peak Time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Peak Height의 경우에는 glucose에 비해 유의적 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나타난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조성물의 Glycemic Index 는 32.92로 당뇨인 또는 당뇨의 경계인을 대상으로 한 균형 영양식 음료는 저 GI 식품으로 조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음료조성물은 균형있는 영양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다수의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켜 주며, 생산자의 이윤창출에도 도움이 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기능성 식품산업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1) 정제수에 산도 조절제를 용해시키고, 젤란검 또는 카라기난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로 제조된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및 슈가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로 제조된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과당,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대두화이바, 비타민, 미네랄, L-카르니틴, 콜린 및 피넛후레바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1) 정제수 70~80중량%에 산도 조절제인 구연산칼륨 0.1~0.3중량% 및 구연산삼나트륨 0.06~0.10중량%를 넣고 pH를 6.0~7.5로 조절한 후, 젤란검 0.01~0.1중량% 또는 카라기난 0.01~0.2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 상기 1)의 용해물에 카제인나트륨 1~5중량%, 분리대두단백 1~5중량%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채종유 3.5~4.5중량% 또는 고올레잇유 3.5~4.5중량%와 유화제인 대두레시틴 0.01~0.5중량% 및 슈가에스테르 0.01~0.5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며,
    3) 상기 2)의 용해물에 말토덱스트린 6~9중량%, 과당 1~3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2~4중량%, 이눌린 0.1~1.0중량%, 대두화이바 0.5~1.0중량%, 비타민 0.1~0.2중량%, 미네랄 0.5~1.0중량%, L-카르니틴 0.01~0.03중량%, 염화콜린 0.05~0.1중량% 및 피넛후레바 0.01~0.02중량%를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101261A 2009-10-23 2009-10-23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61A KR101100918B1 (ko) 2009-10-23 2009-10-23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61A KR101100918B1 (ko) 2009-10-23 2009-10-23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34A KR20110044534A (ko) 2011-04-29
KR101100918B1 true KR101100918B1 (ko) 2012-01-02

Family

ID=4404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261A KR101100918B1 (ko) 2009-10-23 2009-10-23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74A (ko) 2020-04-20 2021-10-28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고령층 맞춤형 편이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0975A (ko) 2022-05-17 2023-11-27 하월규 안정성이 개선된 영양 음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2124B (zh) * 2013-12-04 2015-07-01 晋城市伊健食品有限公司 一种红色豆谷复合早餐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173441B1 (ko) * 2014-02-04 2020-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CN116369513B (zh) * 2023-03-15 2024-03-01 江南大学 一种不添加额外稳定剂的特殊医学用途全营养乳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389A (ko) * 1996-05-28 1997-12-10 이명희 체중 감량을 위한 조성물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231A (ko) * 2007-03-29 2008-10-02 (주)네오뉴트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및 이를 포함하는 컵 용기
KR20090102499A (ko) * 2008-03-26 2009-09-30 최석규 체중조절용 케이크의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크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389A (ko) * 1996-05-28 1997-12-10 이명희 체중 감량을 위한 조성물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231A (ko) * 2007-03-29 2008-10-02 (주)네오뉴트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및 이를 포함하는 컵 용기
KR20090102499A (ko) * 2008-03-26 2009-09-30 최석규 체중조절용 케이크의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크의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74A (ko) 2020-04-20 2021-10-28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고령층 맞춤형 편이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4071A (ko) 2020-04-20 2022-11-21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고령층 맞춤형 편이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0975A (ko) 2022-05-17 2023-11-27 하월규 안정성이 개선된 영양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34A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2399B (en) Nutrition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blood sugar level
US20220125093A1 (en) Nutritional supplements including meal replacements and related methods
Konings et al. Effect of polydextrose and soluble maize fibre on energy metabolism, metabolic profile and appetite control in overweight men and women
EP2011500B1 (en) Fat accumulation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CN104286849A (zh) 一种糖尿病专用型肠内营养多聚合剂
KR101100918B1 (ko) 당뇨 환자용 균형영양 음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010357B1 (en) Administration of a food composition product
US9066915B2 (en) Meal replacement compositions and weight control method
US20150025143A1 (en) Beta-hydroxy-beta-methylbutyric acid for improving glucose tolerance
JP2008247748A (ja) 透析患者用栄養組成物
Nouri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whey protein supplementation effects on human glycemic control: A mechanistic insight
KR20200016608A (ko)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Dorchy Dietary manage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mellitus: personal experience and recommendations
EP2294932B1 (en) Carbohydrate mixture and the use thereof for preparing a product for oral or enteral nutrition
WO2015009225A1 (en) Food composition product
WO2017176199A1 (en) A macronutrient composition for use in a method for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JP2015164900A (ja) 満腹感持続剤および満足感を維持する方法
Aggarwal et al. Trending nutrition controversies# 3: top controversies in 2021
US20130219987A1 (en) Novel Glucose Tolerance Test and Composition for Use
Blaauw et al. Nutritional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US11328621B2 (en) Dietary regime for treatment of acne and other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Astina Development of nutritionally complete oral nutritional supplement using tapioca maltodextrin as a carbohydrate source
Guess Dietary Management of Diabetes
CN118077904A (zh) 一种特殊医学用途流质配方食品及制备方法和应用
Gowan et al. Disease state management: Obesity-sugar, fat or car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