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124B1 -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124B1
KR101100124B1 KR1020110094167A KR20110094167A KR101100124B1 KR 101100124 B1 KR101100124 B1 KR 101100124B1 KR 1020110094167 A KR1020110094167 A KR 1020110094167A KR 20110094167 A KR20110094167 A KR 20110094167A KR 101100124 B1 KR101100124 B1 KR 10110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odorant
weight
sulfuric ac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주)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071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01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케이 filed Critical (주)비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24B1/ko
Priority to CN201280001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228582A/zh
Priority to PCT/KR2012/001989 priority patent/WO20130428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정수 슬러지와,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10~40%의 함수율을 갖는 건조물 및,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로 혼합되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악취제거방법은 상기의 탈취제를 준비하고,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탈취제를 혼합한 다음,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여 하수슬러지를 용이하게 재활용 가능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EODORIZER AND DEODORIZER MANUFACTURED THEREBY, AND METHOD FOR REMOVING MALODOORS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하수슬러지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슬러지는 인간이 집단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2000년대 초까지도 주로 해양배출과 매립에 의존하여 처리하였다.
하지만 중금속으로 인한 토양오염, 유기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 및 침출수 발생 등으로 2003년 매립이 전면 금지되면서 해양배출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으나, 런던협약에 따라 2012년부터 해양배출을 전면 금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하수슬러지의 육상처리를 위한 기반을 구축 중에 있다.
하수슬러지는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으로 인해 재활용에 제약을 많이 받고 있다. 중금속을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고안되지 않는 한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앞으로도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임을 감안하면 그나마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이면서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바로 하수슬러지를 연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하수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 및 다량으로 포함된 유기물 등이 주요 악취유발요인으로 작용하여 하수슬러지의 처리, 운반, 사용과정에서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탈취방법으로 마이크로파 열원 및 생석회첨가제를 이용한 석탄화력 발전소 혼합연소용 하수 슬러지의 건조 및 악취발생억제방법 및 장치(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484호)과 하수슬러지 고화시 발생되는 악취 제거용 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된 탈취제(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2602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발생 악취원인물질은 다양한데 비해 암모니아를 주된 탈취대상으로 삼고 있어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이 미미하고, 탈취제를 생산하는 비용이 너무 높고 2차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 장치(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2602호),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1793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기존 습식탈취방식을 장치적으로 응용한 것에 불과하여 근본적으로 탈취가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으며, 대량으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어렵고 운전을 세심하게 해야 효율을 올릴 수 있어 불안전한 시스템을 갖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484호 "마이크로파 열원 및 생석회 첨가제를 이용한 석탄화력 발전소 혼합연소용 하수 슬러지의 건조 및 악취발생 억제방법 및 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2602호 "하수슬러지 고화시 발생되는 악취 제거용 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된 탈취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1793호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0165호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하수슬러지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정수 슬러지와, 인산 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10~40%의 함수율을 갖는 건조물 및,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로 혼합되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은 상기 유용미생물의 중량대비 10~100배로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에,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의 황산 또는 인산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에, 황산과 인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탈취제는 분말 또는 펠렛 및 조개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정수슬러지에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이상을 5~20중량%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1단계, 상기 반응물을 숙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10~4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건조물에,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로 혼합되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혼합한 후, 2~7일 동안 방치하는 제4단계 및, 분말 또는 펠렛 및 조개탄 중 어느하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5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악취제거방법은, 상기와 같은 탈취제를 준비하는 제1단계,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탈취제를 혼합하는 제2단계 및,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제3단계로 구성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악취제거방법으로, 정수슬러지에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이상을 5~20중량%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1단계, 상기 반응물을 숙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10~4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여 건조물을 얻는 제3단계,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건조물과, 0.01~1㎖의 유용미생물 및 유용미생물 중량대비 10~100배의 물을 혼합하는 제4단계 및,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하수슬러지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원인물질인 황화수소, 암모니아, 아민, 케톤류, 알데하이드류 등이 제거되어 하수슬러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 악취발생으로 인한 작업자의 불편, 민원발생요인 차단, 활용범위 확장 등 다양한 경제적, 환경적, 산업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른 탈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시간경과에 따른 건조 하수 슬러지의 탈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건조물, 유용미생물,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와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특히 10~40%의 함수율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함수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완전 분말 상태가 되어 제품 사용 시 20~40%의 제품 손실이 발생하고, 비산으로 인한 민원유발우려 및 작업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며, 함수율이 40%를 초과하게 되면 높은 함수율로 인해 탈취기능 저하, 성형상의 어려움, 재슬러리화 우려 등의 문제가 발생되므로 10~40%의 함수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에,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의 황산 또는 인산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거나, 정수 슬러지에, 황산과 인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황산이나 인산은 반드시 고가의 인산이나 황산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저가의 재활용 인산이나 황산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산 농도가 60~90%인 것이면 폐인산, 재생인산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반도체 제조공정 등에서 에칭액으로 사용 후 나오는 폐인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황산 공급원은 황산 농도 30~70%인 것이면 폐황산, 재생황산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산 또는 인산 각각의 사용량 또는 황산과 인산을 혼합한 혼합물의 사용량은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5 중량% 미만 사용될 경우 탈취능에 영향을 미쳐 탈취제로서 부적합한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탈취효과에 별다른 차이가 없는데 반해 산의 과다 투입으로 인한 중화공정이 별도로 필요하고,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함량은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용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은 광합성 세균, 효모균, 방선균, 유산균 중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조합하여 공존 공생하면서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하고 다른 생명체에 무해유익한 역할을 하며, 예전부터 식품의 발효 등에 이용해 왔다.
이러한 유용미생물(EM)은 0.01㎖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유용미생물(EM) 혼합에 따른 시너지를 기대할 수 없으며, 0.1 ㎖ 초과로 혼합될 경우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을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유용미생물(EM)은 수분과 접촉하면서 그 성능을 더욱 잘 발휘하는 특성이 있다.
특히 고상(그래뉼, 펠렛, 조개탄 등)타입의 건조물과 적절하게 융합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유용미생물(EM)이 빠른 시간 안에 탈취제 속에 안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탈취제에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함께 함유하며 이때, 물은 유용미생물(EM)의 함량을 기준으로 10~100배로 혼합하여 후숙시키게 되면 보다 우수한 탈취능을 가진 기능성 탈취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취제는 흔히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는 펠렛 및 조개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탈취제는 흔히 분말형태로 이루어지며 특히 그래뉼 타입의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그래뉼 타입의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건조과정에서 디스크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 함수율을 조정해 줌으로써 그래뉼 타입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그래뉼 타입의 탈취제는 비산문제 해결, 민원유발차단, 작업환경개선 및 사용 후 효과가 20~30%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펠렛 타입으로 성형된 탈취제는 90%이상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강하여 수중에 있는 이물질 내지 악취원인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액상, 가스상, 고상 등 성상을 가리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조개탄(중공형원통) 타입으로 성형된 탈취제는 경도가 30~50%정도로 분뇨류와 혼합 후 3~10일 경과하면서 서서히 형상이 녹게 돼, 지속적인 탈취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악취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기 때문에 분뇨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펠렛 타입보다 조개탄 타입의 형상이 적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취제를 사용하여 하수슬러지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탈취제를 혼합하고 1~10일간 발효시킴으로써 단순절차만으로 우수한 악취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수슬러지에 본 발명의 탈취제라는 하나의 제품자체를 바로 넣어 악취를 제거하거나, 하기에 전술한 대로 시행하여 하수슬러지의 악취를 제거하기도 한다.
설명하면, 정수슬러지에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이상을 5~20중량%로 혼합하여 반응시키고 이를 숙성한 다음, 이 숙성된 반응물을 10~4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건조물을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를 넣고 별도로 0.01~1㎖의 유용미생물 및 유용미생물 중량대비 10~100배의 물을 혼합한 다음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기도 한다.
이렇게 악취가 제거된 하수슬러지는 시설재배농가, 발전소, 소각로, 보일러 등에 저렴한 에너지로도 공급가능하며 연료, 복토재, 녹생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탈취제 및 악취제거방법에 대해 세부적인 설명을 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전술한 실시예는 대표적인 예이므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음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슬러지 탈취제 제조
정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재생인산을 5중량%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때 상기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쿠션현상이 완전히 소멸되고, 고액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정화를 시켰다.
이렇게 숙성된 반응물을 건조장치를 통해 20% 정도의 함수율을 가진 그래뉼타입의 파우더로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물 1000kg 당 EM 10㎖와 물(10ℓ)를 혼합하였다.
그 다음 이 결과물을 5일 정도 안정화시켜 본 발명의 슬러지 탈취제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입상 탈취제1 제조
정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재생황산을 10중량%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때, 상기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쿠션현상이 완전히 소멸되고 고액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정화를 시켰다.
이렇게 숙성된 반응물을 건조장치를 통해 30% 정도의 함수율을 가진 그래뉼타입의 파우더로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물을 압출성형하여 본 발명인 페렛타입의 입상 탈취제1로 만들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입상 탈취제2 제조
정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인산을 20중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쿠션현상이 완전히 소멸되고 고액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정화를 시켰다.
이렇게 숙성된 반응물을 건조장치를 통해 40%정도의 함수율을 가진 그래뉼타입의 파우더로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물을 압출성형하여 조개탄타입의 입상탈취제2로 만들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탈취제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실시예 1의 슬러지 탈취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슬러지 탈취제를 건조된 하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를 정량 혼합하였다.
혼합이 끝난 후 10일간 악취를 제거하고 발효를 촉진시켜 하수슬러지 특유의 악취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악취제거방법
정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황산을 15중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쿠션현상이 완전히 소멸하고 고액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정화를 시켰다.
이렇게 숙성된 반응물을 건조장치를 통해 30%정도의 함수율을 가진 파우더로 건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하수슬러지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건조물을 20중량%, EM 10㎖, 물 50ℓ를 정량 혼합하였다.
혼합이 끝난 후 10일간 악취를 제거하고 발효를 촉진하여 악취를 제거하였다.
<실험예 1> 주요 악취 종목별에 대한 탈취율 확인
본 발명의 탈취제(실시예 1)에 대해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건설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주요 악취 종목별에 대한 탈취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도 1과 같이 나타났다.
항목 탈취율%
0분 경과 30분 경과 60분 경과 90분 경과 120분 경과
암모니아 0.0 90.0 95.9 100.0 100.0
트리메틸아민 0.0 100.0 100.0 100.0 100.0
황화수소 0.0 80.0 100.0 100.0 100.0
메틸머캅탄 0.0 60.0 96.7 100.0 100.0
포름알데하이드 0.0 80.0 95.9 100.0 100.0
벤젠 0.0 90.0 98.0 100.0 100.0
톨루엔 0.0 90.0 93.9 95.9 97.9
자일렌 0.0 70.0 75.5 79.6 83.3
아세트산 0.0 70.0 84.7 91.8 95.8
아세트알데하이드 0.0 84.0 100.0 100.0 100.0
상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탈취제(실시예 1)은 산성 및 염기성 악취를 구분하지 않고 탈취하는 것은 물론, VOC에 대해서도 우수한 탈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그 자체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하수구 악취, 냉장고 악취, 새집증후군 등에 대한 제거제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슬러지 탈취제의 건조 하수슬러지의 탈취성능 평가
슬러지탈취제의 건조 하수슬러지 탈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복합악취를 희석배수방식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조건
1. A탈취제(실시예 1)
2. B탈취제(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되, 함유되는 EM의 함량이 150 ㎖임)
3. 건조 하수슬러지 : 산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를 전남 소재 M기업에서 함수율 10%로 건조한 슬러지로 2011년 3월경에 채취함
4. 희석배수 : 각 실험구에서 발생하는 복합악취를 정해진 시간마다 정량 포집하여 무취상태가 될 때까지 무취공기를 주입하여 희석배수를 결정함
5. 실험구는 다른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희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상태에서 주사기를 통해 복합악취를 포집함
1번 실험구(탈취제 비투입구)는 건조 하수슬러지 1kg만 투입하여, 복합악취에 대한 희석배수를 최초부터 10일 경과 시까지 측정하였으며, 2번 실험구(EM만 투입)는 건조 하수슬러지 1kg와 EM 10㎖를 혼합하여 희석배수를 측정하였고, 3번 실험구(실시예 1의 탈취제1 사용)는 건조 하수슬러지 1kg과 A탈취제 200g을 혼합하여 희석배수를 측정하였으며, 4번 실험구(EM 150㎖)는 건조 하수슬러지 1kg과 B탈취제 200g을 혼합하여 희석배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도 2와 같이 나타났다.
경과시간 탈취제 비투입구 EM(0.01㎖) A탈취제(200g) B탈취제(200g)
최초측정 4000 3800 4000 3900
12시간 경과 3900 3900 3600 3600
24시간 경과 3900 3600 2300 2200
2일 경과 4100 3300 1400 1000
4일 경과 4000 3100 750 700
6일 경과 4000 2500 360 500
8일 경과 3800 2400 140 450
10일 경과 3800 2400 30 300
상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1번 실험구는 복합악취농도가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2번 실험구는 6일까지 탈취율이 증가하다가 이후 더 이상 탈취가 되지 않았다.
10일 경과 후 측정값인 희석배수 2400배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의 부지경계에서 맡을 수 있는 수준의 악취이다.
3번 실험구는 4일까지 급격한 탈취율을 보이다가 이후 10일을 경과하면서 발효가 끝난 퇴비수준으로 복합악취가 감소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10일까지 정리하게 된 기준 실험구이다.
4번 실험구는 4일까지 가장 우수한 탈취능을 보였으나 이후 탈취율이 감소하면서 3번 실험구보다 탈취율이 저조하였다. 참고로 희석배수 300배 수준은 하수종말처리장의 부지경계에서 맡을 수 있는 수준의 악취농도이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단순히 EM만 사용해서는 건조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4번 실험구처럼 EM을 많이 사용할 경우 오히려 탈취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탈취제를 사용할 경우 탈취율이 시간이 경과되어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실용적인 수준(탈취과정이 단순하고 탈취로 인해 2차 오염문제가 없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탈취가 가능함과 동시에 유기물의 발효를 촉진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에서 탈취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함수율을 낮춘 하수슬러지를 연료로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악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시설재배농가 등에서 자유롭게 저렴한 열원을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 소각로업체 등에서 하수슬러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때 하수슬러지의 운반, 보관, 사용 시 발생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작업환경개선, 민원유발요인 차단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한 사업장에 열원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전쟁시대에 광산개발에 버금가는 산업적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정수 슬러지와,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10~40%의 함수율을 갖는 건조물 및,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로 혼합되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유용미생물의 중량대비 10~100배로 포함되는,
    탈취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에,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의 황산 또는 인산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탈취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은 정수 슬러지에, 황산과 인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정수 슬러지 중량대비 5~2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탈취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분말 또는 펠렛 및 조개탄 중 어느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탈취제.
  6. 정수슬러지에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5~20중량%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1단계;
    상기 반응물을 숙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10~4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건조물에, 상기 건조물 1 kg당 0.01~0.1 ㎖로 혼합되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혼합한 후, 2~7일 동안 방치하는 제4단계; 및
    분말, 또는 펠렛 및 조개탄 중 어느하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탈취제를 준비하는 제1단계;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탈취제를 혼합하는 제2단계; 및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제거방법.
  8. 정수슬러지에 정수슬러지 중량대비 인산 또는 황산 중 어느 하나이상을 5~20중량%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1단계;
    상기 반응물을 숙성하는 제2단계;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10~4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여 건조물을 얻는 제3단계;
    하수슬러지에, 하수슬러지 중량대비 10~30 중량%의 상기 건조물, 0.01~1㎖의 유용미생물 및 유용미생물 중량대비 10~100배의 물을 혼합하는 제4단계; 및
    1~10일간 발효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제거방법.
KR1020110094167A 2011-05-19 2011-09-19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110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013227A CN103228582A (zh) 2011-09-19 2012-03-20 除味剂的制备方法及由其制备的除味剂和利用其去除恶臭的方法
PCT/KR2012/001989 WO2013042851A1 (ko) 2011-05-19 2012-03-20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7157 2011-05-19
KR1020110047157 2011-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124B1 true KR101100124B1 (ko) 2011-12-29

Family

ID=4550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167A KR101100124B1 (ko) 2011-05-19 2011-09-19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0124B1 (ko)
WO (1) WO20130428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87B1 (ko) * 2012-03-13 2012-08-20 (주)비케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343914B1 (ko) 2012-05-30 2013-12-20 (주)비케이 새로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고열량의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0080B (zh) * 2017-11-03 2018-12-11 济南芯乐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冰箱去异味杀菌消毒的方法和装置
CN109010883A (zh) * 2018-06-14 2018-12-18 深圳清谷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微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345A (ja) 1998-12-07 2000-06-20 Mitsubishi Jushi Engineering Kk 生物脱臭剤および生物脱臭装置
KR100301377B1 (ko) 1999-03-13 2001-09-22 손달수 탈취제 조성물
JP2003261863A (ja) 2002-03-11 2003-09-19 Ryoka Nogei Kk 粒状炭化組成物
KR100895003B1 (ko) 2007-11-16 2009-04-24 박상규 암모니아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탈취제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407B1 (ja) * 2003-02-14 2004-03-29 和利 野口 堆肥、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345A (ja) 1998-12-07 2000-06-20 Mitsubishi Jushi Engineering Kk 生物脱臭剤および生物脱臭装置
KR100301377B1 (ko) 1999-03-13 2001-09-22 손달수 탈취제 조성물
JP2003261863A (ja) 2002-03-11 2003-09-19 Ryoka Nogei Kk 粒状炭化組成物
KR100895003B1 (ko) 2007-11-16 2009-04-24 박상규 암모니아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탈취제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87B1 (ko) * 2012-03-13 2012-08-20 (주)비케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7536A1 (ko) * 2012-03-13 2013-09-19 (주)비케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343914B1 (ko) 2012-05-30 2013-12-20 (주)비케이 새로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고열량의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2851A1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283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3914B1 (ko) 새로운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고열량의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CN104087323B (zh) 一种利用食用菌废料制备生物炭的方法及应用
KR101100124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탈취제,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1175287B1 (ko)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CN101143721B (zh) 用牛粪和锯末制备活性炭的方法
CN102179160A (zh) 一种污泥高温脱水产生的恶臭废气的净化方法
Liu et al. A review of practices and technologies forodor control in swine production facilities
CN102358861A (zh) 生物质污泥再生燃料炭的制备方法
KR20240032800A (ko) 수열탄화 반응을 이용하여 악취가 저감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및 고형연료
KR100741696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JP2014062155A (ja) 乾燥可燃物質の製造方法及び乾燥可燃物質
KR20120073608A (ko) 정수시설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다목적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891776A (zh) 一种适应剩余污泥进行焚烧处理工艺的污泥脱水复合调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80042060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2071928B1 (ko) 방취제 조성물
Pavliukh et al. Resource potential for biogas production in Ukraine
KR101347930B1 (ko) 돈분과 이탄을 주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94628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슬러지용 기능성 고화재
KR101200538B1 (ko) 피톤치드 제조 장치
Sayara et al. Gaseous Emissions from the Composting Process: Controlling Parameters and Strategies of Mitigation. Processes 2021, 9, 1844
Halder et al. A Review on Techniques to Control and Mitigate Odors in Swine Facilities
KR20110080454A (ko)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가공방법 및 탈취제
CN106540537A (zh) 带有双歧杆菌鱼腥草活化剂的复合除臭剂
JP4424702B2 (ja) コンポスト臭気の脱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20

Effective date: 201603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