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686B1 -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686B1
KR101099686B1 KR1020100007676A KR20100007676A KR101099686B1 KR 101099686 B1 KR101099686 B1 KR 101099686B1 KR 1020100007676 A KR1020100007676 A KR 1020100007676A KR 20100007676 A KR20100007676 A KR 20100007676A KR 101099686 B1 KR101099686 B1 KR 10109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connection
cab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979A (ko
Inventor
남성호
강기선
홍성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6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케이블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의 열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전선과 상기 케이블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제2전선이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검사장치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CONNECTOR FOR SENSING DEPLETE OF HIGH VOLTAGE CABLE}
본 발명은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케이블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의 열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선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며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가공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행하는 장치에는 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며, 전원 공급을 위해 각각의 공장에 고압 케이블이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케이블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의 열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전선과 상기 케이블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제2전선이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검사장치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자함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 및 상기 제2전선을 상기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의 전기적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단자를 덮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자에는 상기 연결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비교하여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의 내벽 사이에 제1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자는, 상기 제1전선이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전선이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제1연결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제2연결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패널과 상기 제2연결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검사장치의 측정잭과 연결되는 연결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블록에는 상기 노브를 눌러 상기 제1연결패널과 상기 제2연결패널을 분리시키는 조작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에는 케이블 및 접지선과 연결되는 전선이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케이블에 접근하지 않고 케이블과 접지선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상전류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고압 케이블의 열화를 감지하는 작업 중에 발생되는 감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설치된 단자함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설치된 단자함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3) 열화 감지용 커넥터(100)는 케이블(3)에 연결되는 제1전선(42)과 케이블(3)의 접지선(미도시)과 연결되는 제2전선(44)이 결합되는 고정부(10)와, 고정부(10)에 결합되어 제1전선(42)과 제2전선(44)을 검사장치(8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70)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케이블(3)에 접근하지 않고 제1전선(42)과 제2전선(44)이 연결된 고정부(10)에 연결부(70)를 결합하고 연결부(70)에 검사장치(80)를 연결하여 케이블(3)과 접지선 사이에 발생되는 이상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케이블(3)의 열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3)의 외피(3a)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피(3a)의 내측에는 얇은 도체가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시스선(미도시)이 구비되며, 시스선은 접지선과 연결되므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서 외피(3a) 외측으로 전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3)이 열화되는 경우에는 케이블(3)의 시스선과 접지선 사이에 이상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상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시스선에 제1전선(42)을 연결하고, 접지선에 제2전선(44)을 연결한 후에 제1전선(42) 및 제2전선(44)을 검사장치에 연결한다.
고정부(10)는 케이블(3)의 단자함(5)에 설치되는 본체(20)와, 본체(20)에 설치되고 제1전선(42) 및 제2전선(44)을 연결부(70)에 연결시키는 단자(30)와, 본체(20)에 설치되고 제1전선(42)과 제2전선(44)의 전기적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5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단자함(5)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된 후에 고정부재(62)에 의해 결합되고, 본체(20)를 관통하여 단자함(5)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하는 한 쌍의 홀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홀부에 단자(30)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20)의 일측 단부에는 스위치(50)와 단자(30)를 덮는 커버(6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본체(20)에 커버(60)를 결합하여 스위치(50) 및 단자(30)가 단자함(5)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단자(30)에는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접촉부(36)가 형성되고, 접촉부(36)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탄성부재(38)가 설치된다.
단자(30)는 측단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형성되고, 입구부가 좁아지는 접촉부(36)가 형성되므로 후술될 연결잭(76)이 단자(30) 내부로 삽입될 때에 접촉부(36)가 연결잭(76)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또한, 단자(30)의 내벽과 접촉부(36)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8)가 개재되어 접촉부(36)를 단자(30)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연결잭(76)이 접촉부(36)에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접촉부(36)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30)는 제1전선(42)이 연결되는 제1단자(32)와, 제2전선(44)이 연결되는 제2단자(34)를 포함하고, 제1단자(32)와 스위치(50) 사이에 제1연결패널(46)이 설치되고, 제2단자(34)와 스위치(50) 사이에 제2연결패널(48)이 설치된다.
스위치(50)가 조작되지 않으면 제1연결패널(46)과 제2연결패널(48)이 스위치(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케이블(3)의 시스선은 제1전선(42), 제1단자(32), 제1연결패널(46), 스위치(50), 제2연결패널(48), 제2단자(34) 및 제2전선(44)에 의해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스위치(50)는 본체(2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연결패널(46)과 제2연결패널(4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노브(52)와, 노브(52)와 본체(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54)를 포함한다.
노브(52)는 'ㅓ'모양으로 형성되어 외측 단부는 본체(20) 외측으로 출몰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긴 내측 단부는 제1연결패널(46)과 제2연결패널(48)을 연결하며, 외측 단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 단부는 도체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70)는 본체(20)에 결합되는 연결블록(72)과, 연결블록(72)에 설치되고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검사장치(80)의 측정잭(82)과 연결되는 연결잭(76)을 포함한다.
연결블록(72)을 본체(20)에 결합하면 연결잭(76)이 본체(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단자(30)와 연결되므로 제1전선(42) 및 제2전선(44)이 연결블록(7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잭(76)에 검사장치(80)의 측정잭(82)을 삽입하면 제1전선(42) 및 제2전선(44)이 검사장치(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블록(72)에는 노브(52)를 누르는 조작돌기(74)가 형성되므로 연결블록(72)을 본체(20)와 결합시키면 조작돌기(74)가 노브(52)를 본체(20) 내측으로 밀어 제1연결패널(46)과 제2연결패널(48)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케이블(3)의 시스선과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시스선에 연결된 제1전선(42)이 체결부재(40)에 의해 제1단자(32)에 연결되고, 제1단자(32)는 제1연결패널(46)에 의해 노브(52)와 연결된다.
또한, 접지선에 연결된 제2전선(44)은 체결부재(40)에 의해 제2단자(34)에 연결되고, 제2단자(34)는 제2연결패널(48)에 의해 노브(52)와 연결된다.
이때, 본체(20)에는 커버(6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노브(52)는 제2탄성부재(54)에 의해 본체(2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패널(46)과 제2연결패널(48)은 노브(52)에 의해 연결되어 시스선과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검사작업이 진행되면 작업자가 커버(60)를 본체(2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연결블록(72)을 본체(20)에 결합하는데, 이때, 연결잭(76)이 단자(30) 내부로 삽입되어 접촉부(36)와 밀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38)는 접촉부(36)를 단자(30)의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단자(3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잭(76)에 의해 접촉부(36)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연결블록(72)이 본체(20)와 결합되면서 조작돌기(74)가 노브(52)를 본체(20) 내부로 밀게 되므로 제2탄성부재(54)가 압축되면서 노브(52)가 제1연결패널(46) 및 제2연결패널(48)로부터 이격되어 시스선과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연결블록(72)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연결잭(76)의 홀부에 측정잭(82)을 삽입하여 시스선과 접지선이 검사장치(80)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이루도록 하고, 검사장치(80)를 구동시켜 시스선과 접지선 사이의 이상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가 케이블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의 열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공장에 설치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철공장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20 : 본체
30 : 단자 32 : 제1단자
34 : 제2단자 36 : 접촉부
38 : 제1탄성부재 40 : 체결부재
42 : 제1전선 44 : 제2전선
50 : 스위치 52 : 노브
54 : 제2탄성부재 60 : 커버
62 : 고정부재 70 : 연결부
72 : 연결블록 74 : 조작돌기
76 : 연결잭 80 : 검사장치

Claims (8)

  1.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전선과 상기 케이블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제2전선이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검사장치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단자함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 및 상기 제2전선을 상기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단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의 전기적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1전선이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전선이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제1연결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제2연결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패널과 상기 제2연결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검사장치의 측정잭과 연결되는 연결잭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접지선 사이에 발생되는 이상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단자를 덮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상기 연결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비교하여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의 내벽 사이에 제1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에는 상기 노브를 눌러 상기 제1연결패널과 상기 제2연결패널을 분리시키는 조작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KR1020100007676A 2010-01-28 2010-01-28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KR10109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6A KR101099686B1 (ko) 2010-01-28 2010-01-28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6A KR101099686B1 (ko) 2010-01-28 2010-01-28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79A KR20110087979A (ko) 2011-08-03
KR101099686B1 true KR101099686B1 (ko) 2011-12-28

Family

ID=4492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76A KR101099686B1 (ko) 2010-01-28 2010-01-28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48A (ja) 1997-06-18 1999-01-12 Taiko Denki Kogyo Kk ケーブルチェッカー及びケーブルのチェック方法
KR100354856B1 (ko) 2001-12-24 2002-10-07 (주) 피에스디테크 전력 케이블 열화 검출장치
JP2005265445A (ja) 2004-03-16 2005-09-29 Osasi Technos Inc 地滑り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48A (ja) 1997-06-18 1999-01-12 Taiko Denki Kogyo Kk ケーブルチェッカー及びケーブルのチェック方法
KR100354856B1 (ko) 2001-12-24 2002-10-07 (주) 피에스디테크 전력 케이블 열화 검출장치
JP2005265445A (ja) 2004-03-16 2005-09-29 Osasi Technos Inc 地滑り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79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3899B2 (en) Conductor wir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terminal, stato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JP5626047B2 (ja) 機器用コネクタ
EP2829432B1 (en) Portable charger
JP6317911B2 (ja) 回路導体の製造方法
GB9901641D0 (en) Crimping composite electrical insulators
JP7355081B2 (ja) レファレンス治具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CN102473548B (zh) 真空开关管
CN107452550A (zh) 继电器
CN102288789A (zh) Gis局放在线监测传感器安装支架
KR101099686B1 (ko) 고압 케이블 열화 감지용 커넥터
JP7363867B2 (ja) レファレンス治具
JP2009164018A (ja) 真空開閉装置及びその真空圧力診断方法
CN108538680B (zh) 真空断路器
CN105374618B (zh) 一种组合式固封极柱
CN213341022U (zh) 二次拆接线隔离板
JP7088216B2 (ja) レファレンス治具
CN104848979A (zh) 一种高压开关柜梅花触头插拔力检测装置及其试验方法
CN205656295U (zh) 一种上电柱及使用该上电柱的电能表调检装置
JP2010099685A (ja) 電磁成形方法
CN106206159A (zh) 一种安全可靠的交流接触器装置
CN105990046A (zh) 由多个极壳体构成的多极的开关
KR101070857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특고압 절연식 전신주
CN104201519A (zh) 三眼插头
KR20120132789A (ko) 래들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