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80B1 -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80B1
KR101099080B1 KR1020100036616A KR20100036616A KR101099080B1 KR 101099080 B1 KR101099080 B1 KR 101099080B1 KR 1020100036616 A KR1020100036616 A KR 1020100036616A KR 20100036616 A KR20100036616 A KR 20100036616A KR 101099080 B1 KR101099080 B1 KR 10109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color
parabolic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928A (ko
Inventor
홍기태
Original Assignee
메디럭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럭스(주) filed Critical 메디럭스(주)
Priority to KR102010003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2Lighting for medical use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대상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치과 진료 의자에 장착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 진료의자와 결합된 장착 아암에 지지되게 설치되되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포물곡면을 갖는 포물반사경과,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모듈을 구비하고, 발광모듈은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제1발광다이오드와, 시안 색상의 광을 출사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청색 광을 출사하는 제3발광다이오드와, 제3발광다이오드에 도포된 황색 형광체와, 제1 내지 제3 발광다이오드들이 어레이된 기판을 구비하고, 제1 발광다이오드, 제2발광다이오드, 제3발광다이오드들 상호 간의 색혼합을 위한 적용 개수의 비율은 색상별 각 발광다이오드가 동일 정격 출력을 갖을 때 1 : 1 내지 1.2 : 3.8 내지 4.2의 비율로 적용된다. 이러한 치과 의자의 진료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자연광에 가까운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어 치아 색상의 선택에 있어서의 광원에 의해 발생되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of dental chair}
본 발명은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조사하는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치아 보철 색을 적절히 선택하기 위하여 색상을 비교할 수 있는 쉐이드 가이드(shade guide)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적용하고자 하는 보철색을 판단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를 쉐이드 가이드 세트와 수동적으로 비교하여 최상의 매칭이 되는 색을 결정하면 된다.
이러한 보철 색의 결정과정에서 색상 매칭여부에 대한 시각적인 판단에 있어서 치과 병원 내의 조명 및 시술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오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색선택의 오차는 인공치아 시술 후 외부 환경 즉, 자연광에 노출되었을 때 자연치아와의 색일치성이 떨어져 환자들의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된 치과 진료 의자에 환자의 진료 대상 구강부분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광원은 대부분 할로겐 램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연광과는 달라 환자에 적용하고자 하는 의치의 색상을 쉐이드 가이드를 이용하여 환자 고유의 치아와 가장 일치되는 색상을 선택하고자 할 때 자연광을 기준으로 할 때와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일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연광에 가까운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는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는 환자의 진료대상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치과 진료 의자에 장착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 진료의자와 결합된 장착 아암에 지지되게 설치되되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포물곡면을 갖는 포물반사경과; 상기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모듈은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제1발광다이오드와; 시안 색상의 광을 출사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청색 광을 출사하는 제3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에 도포된 황색 형광체와;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다이오드들이 어레이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 제2발광다이오드,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들 상호 간의 색혼합을 위한 적용 개수의 비율은 색상별 각 발광다이오드가 동일 정격 출력을 갖을 때 1 : 1 내지 1.2 : 3.8 내지 4.2의 비율로 적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630 내지 660nm이고, 상기 제2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490 내지 510nm이고,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450 내지 470nm인 것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황색형광체는 상기 청색광에 여기되어 550 내지 565nm의 황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에 의하면, 자연광에 가까운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어 치아 색상의 선택에 있어서의 광원에 의해 발생되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적용된 치과 진료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광모듈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들의 바람직한 배열 패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적용된 치과 진료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치과진료 의자(100)는 시트(110), 지지프레임(112), 베이스 프레임(114), 조명장치(200)를 구비한다.
시트(110)는 좌판(110a)과 등받이(110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12)은 시트(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베이스 프레임(114)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 프레임(121) 상에는 진료시 이용하기 위한 기구들을 수납하거나 거치 및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유니트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진료의자(100)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명장치(200)는 수직프레임(121)으로부터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관절 구조로 된 장착 아암(123)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장착 아암(123)의 종단은 상하 회동에 대한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자브라 형태로 된 것이 적용되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른 각도 조절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 물론이다.
조명장치(200)는 지지브라켓(210), 포물 반사경(230), 발광모듈(250)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210)은 장착아암(123)과 결합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210)은 장착 아암(123)과 접속되어 포물 반사경(230)의 배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211)와, 제1지지부(211)로부터 포물 반사경(230)의 반사면(232) 중앙에 대해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ㄷ' 자 형태로 연장되게 제1지지부(211)와 결합된 제2지지부(21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2지지부(213)는 포물 반사경(230)의 초점거리 및 그 부근에 후술되는 발광모듈(250)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포물 반사경(230)의 반사면(232)에 대한 차폐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물 반사경(230)은 지지브라켓(210)에 구속되어 지지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포물 반사경(230)의 배면부분이 제1지지부(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포물 반사경(230)은 반사면(232)이 포물곡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반사면(232)을 통해 반사되는 빔이 사각빔이 될 수 있도록 포물 곡면에 대해 사각 형태로 절단한 형상의 윤곽선을 갖는 것을 적용하였다.
포물 반사경(230)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소재로 형성하거나, 반사면(232)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발광모듈(250)은 포물 반사경(230)의 반사면(232)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포물 반사경(230)의 반사면(232)과 대향되는 제2지지부(213)에 장착되어 있다.
발광모듈(250)은 고연색성의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색상을 달리하는 제1 내지 제3발광다이오드들(261)(262)(263)이 기판(251)상에 상호 조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색(color rendering)은 조명광이 물체색의 보임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고, 광원이 조명된 피사체의 색 재현 충실도를 나타내는 광원의 성질을 연색성이라 한다.
또한, 빛이 색에 미치는 효과인 연색성을 평가하는 단위는 연색지수(Ra)로 나타내며 연색지수는 물건의 색이 자연광 아래서 본 경우와 어느 정도 유사한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연색지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발광모듈(250)은 출사되는 광의 연색지수가 높으면서도, 적용하는 형광체를 최소화 하여 발광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제1발광다이오드(R)(261)는 적색광을 출사하며, 바람직하게는 피크 파장이 630 내지 660nm인 것을 적용한다.
제2발광다이오드(C))(262)는 시안(cyan)광을 출사하며, 바람직하게는 피크 파장이 490 내지 510nm인 것을 적용한다.
제3발광다이오드(B)(263)는 청색광을 출사하며, 바람직하게는 피크 파장이 450 내지 470nm인 것을 적용한다.
제3발광다이오드(263) 위에는 청색광에 여기되어 황색광을 출사하는 황색 형광체(264)가 도포되어 있다.
황색형광체(264)는 550 내지 565nm의 황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체는 화학식이 (Ba, Sr, Ca)xSiO4: Eu 또는 Mn인 오르토실리케이트 계열의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Ba, Sr, 및 Ca의 배합비율, (Ba, Sr, Ca)xSiO4:Eu와 (Ba, Sr, Ca)xSiO4:Mn의 배합비율, Ba, Sr, Ca, Mn, 및 Eu의 배합비율에 따라 원하는 파장대의 발광 피크를 가지는 형광체를 형성할 수 있다.
550 내지 565nm의 황색광을 출사하는 황색 형광체(264)는 황색 형광물질을 실리콘에 혼합한 것을 적용하는데 이 때 실리콘 100중량부에 대해 황색형광물질을 10 내지 15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적용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발광다이오드(261), 제2발광다이오드(262), 제3발광다이오드(263)들 상호 간의 색혼합을 위한 적용 개수의 비율은 색상별 각 발광다이오드가 동일 정격 출력을 갖을 때 1 : 1 내지 1.2 : 3.8 내지 4.2의 비율로 적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색지수 95 이상을 얻을 수 있도록 동일 정격출력에 대해 제1 발광다이오드(261) : 제2발광다이오드(262) : 제3발광다이오드(263)의 적용 개수 비율은 1 : 1 : 4가 적용된다.
일 예로서, 정격 출력 1와트(Watt)인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하는 경우 제1 발광다이오드(261)를 2개 적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발광다이오드(262) 2개, 제3발광다이오드(263) 8개가 기판(251)에 일체로 어레이 되게 실장되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261 내지 263)가 실장되는 영역에서 중앙에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261)(262)가 열을 지어 어레이되고, 제3발광다이오드(263)는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261)(262)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열을 지어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3발광다이오드(263)에 대해서만 형광체를 적용하기 때문에 발광효율의 저하는 억제되면서, 적색 및 시안 색상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261)(262)에 의해 자연광에 가까운 스펙트럼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발광다이오드(261)(262)(263)는 상호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게 배선되고, 휘도는 조절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다.
200: 조명장치 210: 지지브라켓
230: 포물 반사경 250: 발광모듈

Claims (4)

  1. 환자의 진료대상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치과 진료 의자에 장착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 진료의자와 결합된 장착 아암에 지지되게 설치되되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포물곡면을 갖는 포물반사경과;
    상기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포물 반사경의 반사면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모듈은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제1발광다이오드와;
    시안 색상의 광을 출사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청색 광을 출사하는 제3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에 도포된 황색 형광체와;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다이오드들이 어레이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 제2발광다이오드,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들 상호 간의 색혼합을 위한 적용 개수의 비율은 색상별 각 발광다이오드가 동일 정격 출력을 갖을 때 1 : 1 내지 1.2 : 3.8 내지 4.2의 비율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의자의 진료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630 내지 660nm이고, 상기 제2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490 내지 510nm이고,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의 파장은 450 내지 47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의자의 진료용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색형광체는 상기 청색광에 여기되어 550 내지 565nm의 황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의자의 진료용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3발광다이오드의 동일 정격출력에 대해 적용 개수 비율은 1 : 1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의자의 진료용 조명장치.
KR1020100036616A 2010-04-20 2010-04-20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KR10109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616A KR101099080B1 (ko) 2010-04-20 2010-04-20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616A KR101099080B1 (ko) 2010-04-20 2010-04-20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928A KR20110116928A (ko) 2011-10-26
KR101099080B1 true KR101099080B1 (ko) 2011-12-26

Family

ID=4503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616A KR101099080B1 (ko) 2010-04-20 2010-04-20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793A (ja) *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吉田製作所 医科用照射器
KR20200058982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에이치디엑스윌 치과 의자용 조명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457A (ja) 2005-04-06 2006-10-26 Morita Mfg Co Ltd 歯科用照射装置
KR100746901B1 (ko) 2005-09-22 2007-08-07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치과용 조명장치
JP2009536440A (ja) 2006-05-05 2009-10-08 クリー エル イー ディー ライティング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457A (ja) 2005-04-06 2006-10-26 Morita Mfg Co Ltd 歯科用照射装置
KR100746901B1 (ko) 2005-09-22 2007-08-07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치과용 조명장치
JP2009536440A (ja) 2006-05-05 2009-10-08 クリー エル イー ディー ライティング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928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1950B2 (ja) 照明装置および投影装置
US10113698B2 (en) Lighting assembly emitting a portion of UV light
JP4861328B2 (ja) 照明システム
ES2299260T5 (es) Sistema de iluminación.
JP6484981B2 (ja) 照明装置及び灯具
CN110686173A (zh) 使用led的牙科灯
JP2007529861A (ja) 非コヒーレントな半導体光源を有する高輝度照明装置
JP2009510678A (ja) 照明装置
JP2012522349A (ja) Led平行化光学モジュール及び該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照明器具
JP2015035373A (ja) 照明ユニット及び医療用照明装置
JP2007514454A (ja) Led治療用ライト
JP2012134154A (ja) 歯科医療用処置照明器具
JP2007088377A (ja) 照明装置
KR101099080B1 (ko)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JP4140157B2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用光源および照明装置
EP1936261B1 (en) Illuminating device
JP2009080993A (ja) 面発光装置
TW200946820A (en) Lighting system
JP6852775B2 (ja) 照明器具
WO2013118571A1 (ja) 半導体発光装置
JP2012048975A (ja) 間接照明装置
JP2020155265A (ja) 壁面照射用の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3084178U (ja) 無影灯
FR2988806A1 (fr) Dispositif d'eclairag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et a fibres optiques, appareil d'eclairage
JP2008305785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