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622B1 - 개폐기의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개폐기의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622B1
KR101098622B1 KR1020100043904A KR20100043904A KR101098622B1 KR 101098622 B1 KR101098622 B1 KR 101098622B1 KR 1020100043904 A KR1020100043904 A KR 1020100043904A KR 20100043904 A KR20100043904 A KR 20100043904A KR 101098622 B1 KR101098622 B1 KR 10109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n
plates
operation plates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793A (ko
Inventor
요헤이 야마모토
히로시 도토리
다케아키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6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Patch Board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한 쌍의 조작판의 외측으로의 돌출을 억제하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를 얻는다.
[해결 수단] 지지축(32)에 지지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작판(31),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관통 장착된 핀(33) 및,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내면에 맞닿는 한 쌍의 내측 맞닿음 부와,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외면에 맞닿는 동시에, 핀이 관통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31)의 관통 구멍(31b)을 막는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을 가지는 유지구(34)를 구비하고, 핀이 관통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31)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한 쌍의 조작판(31)으로부터의 핀(33)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했다.

Description

개폐기의 조작 기구{Switchgear oper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전류의 차단이나 개폐를 행하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에서는, 동일한 지지축(예를 들면, 투입 레버축)을 가지는 한 쌍의 조작판(예를 들면, 투입 레버)끼리를 고정하는 경우, 조작판 사이에 지지축과 다른 부분에 핀을 배치한다. 이때, 스냅 링(snap ring) 홈을 가지는 핀을 한 쌍의 조작판에 관통시켜서, 그 핀을 스냅 링 등으로 빠짐 방지를 행하고, 더욱이, 한 쌍의 조작판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조작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구조로서 각각의 부품을 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로서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핀의 빠짐 방지에 관계되는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는 특허 문헌 1이 있다.
특개2007-298147호공보(요약과도5)
종래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에서는, 하나의 구조체를 얻는데, 지지축, 한 쌍의 조작판, 조작판을 고정하는 핀, 핀의 빠짐 방지를 위한 2개의 스냅 링(snap ring), 조작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더욱이, 이 조작 기구의 구조체를 조립하려면, 한 쌍의 조작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운 상태로, 조작판의 구멍과 스페이서에 핀을 통과시키고, 핀에 스냅 링(snap ring)를 2개 끼워야 한다고 하는 수고가 걸리는 작업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의 수고가 적은 개폐기의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작판,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관통 장착된 핀, 및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의 내면에 맞닿는 한 쌍의 내측 맞닿음 부와, 상기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의 외면에 맞닿는 동시에, 상기 핀이 관통 장착된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관통 구멍을 막는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을 가지는 유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핀이 관통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한 쌍의 조작판으로부터의 핀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는, 핀이 관통하여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대해서, 한 쌍의 조작판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별개의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 링(snap ring)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의 수고의 적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지구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작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선행 기술에 있어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투입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선행 기술에 있어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선행 기술로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는, 동일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9-252522)으로 출원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형상이 다른 2매의 프레임(1a,1b) 사이에, 투입 구동력을 전달하는 캠(2)이 고착된 캠축(3)이 설치되어 있다. 캠축(3)의 상방에는, 구동판(4)이 고착된 제 1 래치(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축(3)의 후방에는, 투입 레버(6)가 고착된 투입 레버축(7)이 설치되어 있다. 캠축(3)의 전방에는, 바깥으로 끌어당기는 당김 레버(8)가 축지지된 당김 레버 회동축(9)이, 또한 후부 하방에는, 출력 레버(10)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출력 레버축(11)이, 그리고, 전방 하부에는 구동판(12)이 고착된 제2 래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축 및 각 래치는 2매의 프레임(1a,1b)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a)의 외측으로 돌출한 캠축(3)의 단부에는, 대치차(大齒車)가 고착되어 있고, 대치차(14)에는 이 회전에 수반하여 크랭크 운동하는 크랭크 로드(1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이 프레임 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크랭크 로드(1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신축하여서 대치차(14)에 대해 투입 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투입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 레버(10)에는, 출력 링크(17)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고, 이 출력 링크(17)의 타단측은 진공 차단기의 진공 밸브 등의 가동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도 9는 캠축(3)의 상방 및 후방에 있으며, 주로 투입 구동력의 축세(蓄勢) 기구가 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2매의 프레임(1a,1b) 중, 우측의 프레임(1b)을 제외하고 내부를 표시하고 있다. 대치차(14)가 연결되어 투입 스프링(16)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캠축(3)에는 캠(2)이 고착되어 있다. 캠(2)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캠(2)을 끼우는 형태로, 2매의 투입 레버(6)가 배치되며, 투입 레버(6)의 일단부 측에는 걸어 맞춤부(6a)가 형성되고, 타단부측은 투입 레버축(7)에 고착되어, 투입 레버축(7)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투입 레버축(7)에는 토션 스프링(18)이 설치되고 있으며, 그 일단을 투입 레버(6)에 걸고 타단을 프레임(1b) 측에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써, 투입 레버(6)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단, 도면의 위치 위쪽으로는, 반시계 방향 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입 레버(6)에는 2매의 투입 레버(6)를 연결하도록 핀(19)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핀은 캠축(3)이 회동했을 때에 캠(2)이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캠축(3)의 상방에는, 제 1 래치(5)가 프레임(1a,1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래치(5)의 일부에는 래치부가 되는 절결부(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5a)와 투입 레버(6)에 마련된 걸어 맞춤부(6a)가 맞물림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맞물림 시키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면과 같이 투입 레버(6)의 걸어 맞춤부(6a)와 제 1 래치(5)의 절결부(5a)는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가지는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토션 스프링(1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투입 레버(6)가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걸어 맞춤부(6a)와 절결부(5)가 결합한다. 제 1 래치(5)에는 맞물림을 해제하는 구동력이 부여되는 부분이 되는 구동판(4)이 리벳이나 볼트 등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 10은 투입 레버(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일단부 측에 제 1 래치(5)와 맞물림 하는 걸어 맞춤부(6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 측에는 투입 레버축(7)에 고착되는 축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 맞춤부(6a)와 축 구멍(6b)의 사이에서 축 구멍(6b)에 가까운 위치에는, 핀(19)이 고착되는 핀 구멍(6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6d)는 토션 스프링(18)의 걸어 맞춤용이다. 또한, 도 8에서 나타내는 선행 기술인 개폐기의 조작 기구 외 부분의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
이상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선행 기술에 있어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의 구성의 개략을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일례로서 나타낸 개폐기의 조작 기구로 말하면, 한 쌍의 투입 레버(한 쌍의 조작판)(6)와 투입 레버축(지지축)(7)과 핀(19)을 유지하는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다. 한 쌍의 조작판과 지지축과 핀을 유지하는 구조체이면, 개폐기의 조작 기구 외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개폐기의 조작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그 우측면도, 도 4는 그 후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서 사용되는 유지구의 사시도, 도 6은 그 유지구의 후면도, 도 7은 도 1에서 사용되는 조작판의 사시도이다.
조작판(31)에는,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32)을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31a)과, 핀(33)을 관통 장착시키는 관통 구멍(31b)이 형성되며, 유지구(34)와 맞물림 하는 절결(31c)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31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판(31)의 하단부는 요철부로 되어 있다. 조작판(31)은 평판으로서 표시하고 있지만, 도 10에 일례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적에 따른 복잡한 형상인 강재제의 평판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가 접어 구부러져 있어도 괜찮다. 조작판(31)은 2매가 세트로 된 통상, 동일 형태의 한 쌍의 조작판(31)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시킨다.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관통 구멍(31a)에는 한 개의 지지축(32)이 직교하여 관통되어 있고, 한 쌍의 조작판(31)은 소정의 간격(클리어런스)으로 지지축에 고착되어 있지만, 소정의 간격(클리어런스)을 유지하여 고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관통 구멍(31b)에는, 핀(33)이 직교하여 관통 장착되어 있다. 핀(33)은 평행 핀이라고 칭하는 표준 핀이다. 핀(33)의 길이는 소정의 간격(클리어런스)으로 설치된 한 쌍의 조작판(31)의 관통 구멍(31b)에 핀(33)이 관통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판(31)의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길이이며, 또한 조작판(31)의 각각의 외측을 유지구(34)로 덮었을 경우에는 핀(33)이 한쪽 단으로 치우치는 일이 있어도, 소정의 간격의 한 쌍의 조작판(31)의 사이로부터 여유를 가지고 빠지지 않는 길이이다.
소정 간격의 한 쌍의 조작판(31)과 핀(33)을 유지하는 유지구(34)는 도 5에 도시된다. 유지구(34)는 강판을 형(形)뜨는 프레스 가공(휨가공)하여 형성된 일체 형성 부재이다. 도 5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부(34a)의 상부에서(도면에서 양측 전방으로) 직교하도록 절곡된 한 쌍의 내측 맞닿음 편(34b)은,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을 소정, 즉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내면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내측 맞닿음 편(34b)의 외면 사이의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유지구(34)의 기판부(34a)의 중간부의 양단(도 5의 좌우단)도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내면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중간부의 양단 간의 길이가 결정되어져 있다.
저판부(34c)가 기판부(34a)의 하부에서(도면에서 전방으로)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이 저판부(34c)로부터 양측으로 신장하여(도면에서 양측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의 내면은 각각 한 쌍의 조작판(31)의 외면에 맞닿고, 일정 간격의 한 쌍의 조작판(31)이 외측으로 넓어지지 않게 유지함과 동시에, 한 쌍의 조작판(31)의 외면의 관통 구멍(31b)을 덮는, 즉 막는 것으로써, 핀(33)이 취출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저판부(34c)와 외측 맞닿음 편(34d) 사이의 가늘어진 헤드부(34e)에는 조작판(31)의 절결(31c)이 맞물림 한다. 이 경우의 맞물림은 오히려 결합상태가 바람직하다. 맞물림 또는 결합 상태에서는, 저판부(34c)의(도면에서 좌우 전후부의) 양단이 한 쌍의 조작판(31)의 내면에 각각 맞닿는다. 그 때문에, 저판부(34c)의 양단의 길이도 한 쌍의 조작판(31)이 일정 간격이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한 쌍의 조작판(31)의 내면과 유지구(34)가 맞닿는 개소는, 한 쌍의 내측 맞닿음 편(34b)의 양쪽 외면과, 기판부(34a)의 중간부의 양단과, 저판부(34c)의 양단이며, 이것들을 총칭하여 내측 맞닿음 부라고 칭한다. 내측 맞닿음 부와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의 내면 사이에는, 각각 조작판(31)을 삽입할 수 있는 만큼의 조작판(31)의 판두께 분(分)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맞닿음 부는 한 쌍의 조작판(31)의 일단부(도면에서 상부)와 타단부(도면에서 하부)에 각각 맞닿고 있으므로,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과 공동으로 하여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 부품의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유지구(34)의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의 각각의 관통 구멍(34f)은, 한 쌍의 조작판(31)을 유지구(34)에 장착한 상태로, 한 쌍의 조작판(31)의 관통 구멍(31a)과 각각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맞닿음 편(34d)의 관통 구멍(34f)은 외측 맞닿음 편(34d)이 지지축(32) 부분을 우회하는, 즉, 지지축(32)을 둘러싸는 대략 C자형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생략할 수도 있다.
조립 방법은,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에 핀(33)을 관통 장착하고,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한 조체(組體)를 유지구(34)의 정면의 상방 앞 가까이로부터 비스듬하게 조립하고, 한 쌍의 조작판(31) 각각의 절결(31c)을 유지구(34)의 헤드부(34e)에 맞물림시키고, 한 쌍의 조작판(31) 각각의 내면에 유지구(34)의 내측 맞닿음 부를 맞닿게 하고, 한 쌍의 조작판(31) 각각의 외면에 유지구(34)의 외측 맞닿음 편(34d)을 맞닿음 시켜 장착한다.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조작판(31)의 각각의 관통 구멍(31a)과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34d)의 각각의 관통 구멍(34f)은 일치하므로, 지지축(32)을 그들의 관통 구멍(34f, 31a)에 관통시킨다. 지지축(32)과 한 쌍의 조작판(31)을 고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핀(33)이 관통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31)은, 유지구(34)에서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어서, 핀(33)의 관통 구멍(31b)으로부터의 빠짐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조작판(31)은 지지축에 필요에 따라서 고착된다. 유지구(34)의 저판부(34c)의 헤드부(34e)에는, 조작판(31)의 절결(31c)이 맞물림 또는 결합하므로, 조작판(31)은 지지축(32)을 회전 중심으로 단독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판(31)이 어긋나는 일 없이 한 쌍의 조작판(31)과 핀(33)과 유지구(34)가 일체가 되어서, 지지축(3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유지구(34)를 사용하여 핀(33)의 빠짐 방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판(31)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은 유지구(34)의 판두께 분(分) 만큼을 고려하면 좋고, 종래와 같이 홈이 형성된 핀을 이용한 방법보다 조작판(3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그것을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등의 개폐기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또한 돌출부가 억제되는 것에 의해서, 그 조립 구조체가 구동되는 영역에 있어서, 다른 부위와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1에 의해서, 한 쌍의 조작판(31) 사이에 배치하는 핀(33)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여, 진공 차단기 등의 개폐기를 소형화함에 있어서는, 핀(33)은 홈이 형성된 핀이나 계단이 형성된 핀이 아니고, 예를 들면 평행 핀과 같이 염가의 표준 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립 작업으로서는, 박판의 굽힘판, 즉, 유지구(34)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조작판(31)의 유지나 핀(33)의 빠짐 방지를 달성할 수 있어서, 핀(33)으로의 스냅 링(snap ring) 설치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개폐기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는, 부품 점수의 삭감 및 그것에 따르는 비용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부품 점수가 삭감하는 것에 의해서, 조립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 미스에 따른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개폐기로서의 품질 향상에 관련한다.
31:조작판, 31a:관통 구멍, 31b:관통 구멍, 31c:절결, 32:지지축, 33:핀, 34: 유지구, 34a:기판부, 34b:내측 맞닿음편, 34c:저판부, 34d:외측 맞닿음편, 34e:헤드부, 34f: 관통 구멍

Claims (6)

  1.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작판,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관통 장착된 핀, 및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의 내면에 맞닿는 한 쌍의 내측 맞닿음 부와, 상기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각각의 외면에 맞닿는 동시에, 상기 핀이 관통 장착된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관통 구멍을 막는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을 가지는 유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핀이 관통 장착된 한 쌍의 조작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한 쌍의 조작판으로부터의 핀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한 개폐기의 조작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측 맞닿음 편에는 각각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상기 지지축이 관통하고 있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일단부는 상기 유지구와 맞물림 또는 결합하고 있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맞닿음 부는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맞닿아 있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맞닿음 부는 상기 한 쌍의 조작판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맞닿아 있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는 강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개폐기의 조작 기구.
KR1020100043904A 2010-02-19 2010-05-11 개폐기의 조작 기구 KR101098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4677A JP5538645B2 (ja) 2010-02-19 2010-02-19 開閉器の操作機構
JPJP-P-2010-034677 2010-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93A KR20110095793A (ko) 2011-08-25
KR101098622B1 true KR101098622B1 (ko) 2011-12-23

Family

ID=4446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904A KR101098622B1 (ko) 2010-02-19 2010-05-11 개폐기의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38645B2 (ko)
KR (1) KR101098622B1 (ko)
CN (1) CN102163506B (ko)
TW (1) TWI437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0339B2 (ja) * 2016-03-29 2020-08-12 ライフロボティクス株式会社 直動伸縮機構及びロボットアーム機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877A (ja) 2000-07-14 2002-01-29 Max Co Ltd ホッチキスの倍力機構
KR100424897B1 (ko) 2001-08-22 2004-04-03 승림전기주식회사 전력개폐장치용 조작기
JP2007298147A (ja) 2006-05-02 2007-11-15 Max Co Ltd 軸ピンの抜け止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17Y2 (ja) * 1987-10-02 1994-03-09 日新電機株式会社 レバー装置
JP2928602B2 (ja) * 1990-07-25 1999-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線用遮断器
CN2114885U (zh) * 1992-03-07 1992-09-02 苏州燎原电器厂 低压隔离开关操动机构
JP2006066288A (ja) * 2004-08-27 2006-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877A (ja) 2000-07-14 2002-01-29 Max Co Ltd ホッチキスの倍力機構
KR100424897B1 (ko) 2001-08-22 2004-04-03 승림전기주식회사 전력개폐장치용 조작기
JP2007298147A (ja) 2006-05-02 2007-11-15 Max Co Ltd 軸ピンの抜け止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3506A (zh) 2011-08-24
CN102163506B (zh) 2014-03-12
JP2011171152A (ja) 2011-09-01
KR20110095793A (ko) 2011-08-25
TW201130003A (en) 2011-09-01
JP5538645B2 (ja) 2014-07-02
TWI437600B (zh) 201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0719A1 (en) Rack bar support device of a steering gear
EP1895080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20170114892A1 (en) Shift lever device
KR101300979B1 (ko) 개폐장치의 조작기구
JP6206978B2 (ja) スイッチコンタクトブリッジ及びコンタクトブリッジ保持部材を有するスイッチコンタクトサブアセンブリ
JP4879335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JP2006218560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101098622B1 (ko) 개폐기의 조작 기구
JP2015510236A5 (ko)
CN114801907A (zh) 座椅滑动装置及制造座椅滑动装置的方法
KR101219218B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패널장치
JP4760429B2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
US8122784B2 (en) Cov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gearshift assembly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US11686423B2 (en) Tool for removing and installing bearings and method for changing a bearing
KR100452602B1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핀 조립구조
US10622173B2 (en) Rocker switch device
US11420300B2 (en) Component fitting structure and automatic assembly system having disengagement prevention function
JP6221080B2 (ja) コントロールシャフトの取付構造
KR101291094B1 (ko) 실린더리칼 도어록용 래치볼트 어셈블리의 백셋조절장치
JP2014195022A (ja) 電源装置
KR20090027064A (ko)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조립체의 장착구조
KR101243780B1 (ko) 리모트 컨트롤러 어셈블리용 케이블 고정부재
JP4847211B2 (ja) 係入ボルト用ストライク
CN113757233A (zh) 扣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