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157B1 -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 Google Patents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157B1
KR101098157B1 KR1020110089927A KR20110089927A KR101098157B1 KR 101098157 B1 KR101098157 B1 KR 101098157B1 KR 1020110089927 A KR1020110089927 A KR 1020110089927A KR 20110089927 A KR20110089927 A KR 20110089927A KR 101098157 B1 KR101098157 B1 KR 10109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height
support
fram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실리기업 주식회사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기업 주식회사,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 덮개를 도로 노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조절 가능하며 구형의 맨홀 덮개를 도로 굴착없이 맨홀 덮개만 제거하여 교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맨홀이 개시된다. 상기 맨홀은 맨홀 몸체,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배열된 지지틀,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 배열되며, 높이 가변 몸체 및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를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 및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신형 맨홀 덮개(겉뚜껑)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맨홀 몸체 및 상기 지지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고, 상기 맨홀의 높이가 상기 맨홀 외부의 블록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가 안착된다.

Description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MANHOLE INCLUDING MULTI-FUNCTIONAL MANHOLE COVER FOR EXCHANGING AN OLD MANHOLE COVER WITHOUT DIGGING A ROAD AND ADJUSTING HEIGHT OF A MANHOLE}
본 발명은 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 덮개를 도로 노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조절 가능하며 구형의 맨홀 덮개를 도로 굴착없이 맨홀 덮개만 제거하여 교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아래의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많은 맨홀들을 오수 시설, 하수 시설, 도로 포장 등에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노후된 겉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고, 겉뚜껑(102)은 맨홀 본체(100) 중 제 1 지지부(110) 상에 안착되며, 속뚜껑(104)이 제 2 지지부(112) 위에 안착된다. 즉, 맨홀은 이중 덮개 구조로 구현된다.
이러한 맨홀이 설치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102)이 파손되거나 겉뚜껑(102)의 표면이 훼손되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102)이 마모되어 그의 두께가 얇아진다.
현재, 이러한 노후된 겉뚜껑(102)을 교체하기 위하여 맨홀 전체를 제거하고, 그런 후 맨홀 본체를 다시 설치한 후 상기 맨홀 본체 위에 새로운 겉뚜껑을 안착시킨다. 이렇게 맨홀 전체를 교환하면(맨홀 본체(100)를 제거하면) 맨홀 본체(100) 주변의 포장된 도로(또는 보도)를 일부 개착하여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특히, 전국에는 많은 겉뚜껑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겉뚜껑들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당히 큰 비용을 소요하여야 했다.
또한, 도로가 시간이 경과하는 등의 이유로 파손되기 때문에 도로 보수 공사가 자주 이루어지며, 특히 콘크리트가 재도포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콘크리트가 다시 도포되었기 때문에 도로, 즉 블록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맨홀을 초기에 블록의 높이와 일치시켜 설치하였더라도, 상기 콘크리트 공사(도로 재포장 공사) 등으로 인하여 상기 맨홀의 높이가 상기 블록의 높이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로상에서 도로 블록과 맨홀의 높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진행하는 차량에 승차감 저하 및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고, 보도상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의 경우 보행자들이 지나가다 상기 맨홀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인명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맨홀 덮개(겉뚜껑)가 노후되어 두께가 얇아지거나 맨홀 덮개로써 도로 또는 보도를 진행하는 차량 또는 사람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교체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맨홀 본체를 제거하고, 신규 맨홀 본체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도로의 포장을 일부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맨홀 본체를 제거하지 않고, 지지틀을 설치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해결하고 추가적으로 지지틀을 사용하여 구형의 맨홀 덮개를 교체하고자 할 때, 도로 노면 또는 보도 노면의 재포장 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맨홀 덮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설치하여 비용 절감 및 이탈방지 기능과 잠금장치 기능이 구비된 맨홀 덮개 및 높이 조절 맨홀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 사용되는 맨홀 본체는 맨홀 몸체;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 배열되며, 높이 가변 몸체 및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를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맨홀 몸체 및 상기 지지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겉뚜껑)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맨홀 몸체;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배열된 지지틀;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 배열되며, 높이 가변 몸체 및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를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 및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신형 맨홀 덮개(겉뚜껑)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맨홀 몸체 및 상기 지지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고, 상기 맨홀의 높이가 상기 맨홀 외부의 블록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덮개의 교체가 가능하며, 맨홀 덮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덮개는 구형의 맨홀 덮개를 교체할 때 구형의 맨홀 틀을 제거하지 않아 불필요한 도로 굴착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구형의 맨홀 덮개를 교체하면서 높이 조절 장치를 추가함으로 맨홀 덮개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여 시공의 편리함과 함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도로 노면과 정밀하게 일치하여 도로를 진행하는 차량이 맨홀 뚜껑을 지나갈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상쇄하기 때문에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노후된 겉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및 맨홀 덮개 설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높이 조절 과정 및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맨홀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구현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맨홀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구형 맨홀 덮개가 제거되고 신형 맨홀 덮개가 안착되는 맨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맨홀 본체에 높이 조절 맨홀 틀을 설치하여 높이 조절 및 맨홀 덮개를 안착시킨다.
이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신형 맨홀 덮개가 안착되는 맨홀의 구조, 높이 조절 및 신형 맨홀 덮개 설치 방법 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겠다.
우선, 본 발명의 맨홀의 구조를 살펴보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은 맨홀 본체(300) 및 신형 맨홀 덮개(302, 겉뚜껑)를 포함한다.
맨홀 본체(300)는 맨홀 몸체(310), 지지틀(312) 및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포함한다.
맨홀 몸체(310)는 지중에 매설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콘크리트(아스팔트) 블록(304)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맨홀 몸체(310)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맨홀 몸체(310)의 내측면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틀(312)은 예를 들어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맨홀 몸체(3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열되며, 일단 설치되면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틀(312)은 구형 맨홀 덮개 대신 신형 맨홀 덮개(302)를 안착시키는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틀(312)은 상부 및 하부가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틀(312)의 상단부에 상부 돌출부(3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 돌출부(324)가 형성된다. 상부 돌출부(322)는 맨홀 몸체(310)의 안착부(310a) 상에 안착되며, 하부 돌출부(324)는 받침부 위에 안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틀(312)은 맨홀 몸체(3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이하, "상하 방향"이라 함) 움직여서 맨홀 본체(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재로서, 지지틀(312)의 내측면에 배열된다. 즉,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지지틀(312)의 내측면에 배열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인다. 물론,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절 장치의 제어하에 움직인다. 또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302)가 안착되고,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 위에는 속뚜껑이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맨홀 몸체(310), 지지틀(312) 및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맨홀 덮개(302)가 안착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몸체(310), 지지틀(312), 높이 조절 맨홀 틀(314) 및 맨홀 덮개(302)의 상면들은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지지틀(312)의 바닥부 상에 안착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높이 지지부(3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높이가 조절된 후 높이 조절 맨홀 틀(314)에 맞는 사이즈의 지지틀(312)이 삽입될 수도 있다. 다만, 설치 편의를 고려하면 높이 지지부(316)를 사용하여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높이 가변 몸체(330),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및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가변 몸체(330)는 지지틀(312)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는 높이 가변 몸체(33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높이 가변 몸체(330)로부터 길이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위에는 신형 맨홀 덮개(302)가 안착된다.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는 높이 가변 몸체(33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높이 가변 몸체(330)로부터 길이 연장된다. 또한,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는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속뚜껑(미도시)이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 상에 안착된다.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로 설치되고, 필요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다. 물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시키거나 더 높이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이 파손되어 보수 공사의 일환으로서 콘크리트(아스팔트)가 다시 도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블록(304)과 맨홀의 높이를 초기에 일치시켰더라도 상기 새롭게 도포된 콘크리트로 인하여 블록(304)과 맨홀 덮개(302) 사이에 단차가 생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록(304)과 맨홀 덮개(302)의 높이 차로 인하여 재산상 또는 인사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맨홀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도로 보수 공사 등이 이루어지더라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높이와 블록(304)의 높이를 일치시킨다. 결과적으로, 재산상 또는 인사상 피해 등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움직여서 맨홀 본체(300)가 원하는 위치로 배열되면 높이 지지부(316)를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하부에 배열하여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움직임 정도가 맨홀 설치 및 보수 공사의 상황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지지부(316)는 복수의 높이 지지 부재들(316a 및 316b)을 결합시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높이 지지 부재(316a 및 316b)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하나의 높이 지지 부재(316a)의 돌출부는 다른 높이 지지 부재(316b)의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C)에는 2개의 높이 지지 부재들(316a 및 316b)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나의 높이 지지 부재(316a 또는 316b)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높이 지지 부재들이 결합된 높이 지지부(316)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은 맨홀 본체(300)에 지지틀(312)을 배열하고 지지틀(312)의 내측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설치하여 상기 맨홀의 높이를 예를 들어 블록(304)과 동일한 높이로 일치시킨다. 그런 후,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위에 신형 맨홀 덮개(302)를 안착시킨다.
일반적으로 맨홀이 설치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맨홀 덮개가 부식되어 교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맨홀 본체를 지중으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맨홀 본체를 지중에 매설한 후 새로운 맨홀 덮개를 상기 맨홀 본체 위에 안착시켰다. 따라서, 상기 맨홀 본체를 제거하는 비용, 새로운 맨홀 본체를 매설해야 하는 비용 등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국에 걸쳐서 많은 노후된 맨홀 덮개들이 존재하므로, 상기 맨홀 덮개들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맨홀에서는, 맨홀 본체(300)를 지중에 매설한 상태에서 지지틀(312) 및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배열시킨 후 새로운 맨홀 덮개(302)를 안착시키므로, 맨홀 본체(300)를 지중에서 제거하는 과정 및 새로운 맨홀 본체를 매설하는 과정 등이 전혀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맨홀 덮개를 교체하는 비용이 감소하며, 특히 많은 맨홀 덮개들을 교체하는 경우 상당히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도로 보수 공사 등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맨홀의 높이를 블록(304)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신형 맨홀 덮개(302)로 구형 맨홀 덮개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맨홀 본체(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및 높이 조절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높이 조절 장치(500)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상 편리성을 고려하여 유압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높이 조절 장치(500)는 유압 실린더(미도시), 지지 부재(510), 높이 조절 부재(512), 액츄에이터(actuator, 514) 및 승강 부재(516)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510)는 높이 조절 부재(512)를 고정 및 지지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부재들(512)이 지지 부재(510)의 홀들로 삽입된 후 너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3개의 높이 조절 부재들(512)이 지지 부재(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기름 등과 같은 유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 제어에 따라 유체가 이동된다.
액츄에이터(514)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 변화에 응답하여 승강 부재(516)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승강 부재(516)는 지지 부재(510)에 고정되고, 액츄에이터(514)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514)에 의해 승강 부재들(516)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지지 부재(510)도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높이 조절 부재들(512)이 지지 부재(5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높이 조절 부재들(512)도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즉, 지지 부재(510) 및 높이 조절 부재들(512)은 액츄에이터(514)의 동작에 따라 동시에 함께 움직인다.
높이 조절 부재(512)는 높이 조절 몸체(520) 및 높이 조절 몸체(5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길이 연장된 높이 조절 지지부(522)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지지부(5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를 지지하며, 그 결과 높이 조절 부재(51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정리하면, 액츄에이터(514)에 의해 승강 부재(516)가 움직이면 높이 조절 부재(512)가 움직이게 되며, 그 결과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상승하거나 하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512)의 높이 조절 지지부(522)가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를 지지하는 것이 아닌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를 지지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유압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높이 조절 부재(512)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움직일 수 있는 한 유압 방식 외에도 공압 방식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높이 조절 과정 및 신형 맨홀 덮개(302)를 설치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및 맨홀 덮개 설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맨홀 설치 작업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맨홀 본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본체를 그라인딩하여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본체를 평탄하게 만든다(S700).
이어서, 상기 작업자는 지지틀(312) 및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맨홀 몸체(310)의 내측에 설치한다(S702).
계속하여, 상기 작업자는 높이 조절 장치(500)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몸체(310), 지지틀(312) 및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가지는 맨홀 본체(300)에 설치한다(S704). 다만, 도 9에서는 높이 조절 장치(500)의 설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맨홀 본체(310)를 지상에 배열하였으나, 실제 공정에서는 맨홀 본체(310)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높이 조절 장치(5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조절 장치(500) 중 높이 조절 부재(512)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를 지지하도록 지지 부재(510) 및 높이 조절 부재(512)를 설치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14)에 결합된 승강 부재(516)가 지지 부재(510)에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승강 부재(516)를 지지 부재(510)의 홀로 삽입한 후 상부 종단 부분을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S706).
계속하여,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원하는 높이로 움직였는지의 여부, 즉 블록(304)과 맨홀 본체(300)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이동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708).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원하는 높이로 이동되지 않은 경우 단계 S706이 다시 수행된다.
반면에,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원하는 높이로 이동된 경우, 상기 작업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지지부(316)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시킨다(S710). 바람직하게는, 높이 지지 부재들을 적절하게 결합시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작업자는 높이 조절 장치(300)를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본체(300)로부터 제거한다(S712).
계속하여, 상기 작업자는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형 맨홀 덮개(302)를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상에 안착시킨다(S714).
정리하면, 상기 작업자는 유압 방식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상하로 이동시켜 맨홀 본체(300)의 높이를 블록(304)의 높이와 일치시키고, 신형 맨홀 덮개(302)를 맨홀 본체(300)가 아닌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상에 안착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높이 조절 과정 및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높이 조절 장치(1000)는 유압 실린더(1010),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1012), 하나 이상의 높이 조절 부재(1014) 및 받침부(1016)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012)는 유압 실린더(1010)의 유압 변화에 응답하여 높이 조절 부재(1014)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즉, 높이 조절 부재(1014)는 액츄에이터(1012)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그 결과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높이가 가변된다.
도 5의 높이 조절 장치(500)에서는 지지 부재(510)를 통하여 높이 조절 부재(512)가 움직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 조절 부재(1014)가 지지 부재를 이용함이 없이 액츄에이터(1012)의 동작에 따라 직접적으로 움직인다.
높이 조절 부재(1014)는 높이 조절 몸체(1020) 및 높이 조절 지지부(1022)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몸체(1020)는 해당 액츄에이터(1012)에 삽입되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높이 조절 지지부(1022)는 높이 조절 몸체(102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높이 조절 몸체(1020)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를 지지한다. 따라서, 높이 조절 몸체(1020)가 액츄에이터(1012)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 높이 조절 지지부(1022)에 의해 지지된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받침부(1016)는 높이 조절 장치(1000)를 블록(304)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도 10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맨홀 본체(300)는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을 지지하는 높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맨홀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다만, 도 11에서 수밀부는 실제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되지 않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은 맨홀 본체(300), 높이 조절 맨홀 틀(314), 겉뚜껑(302) 및 속뚜껑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1102) 및 탄성부(1110), 수밀 보조부(1112)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수밀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중심부(1114a) 및 이탈 방지부(1114b)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맨홀 틀(314) 및 상기 수밀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겠다.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높이 가변 몸체(330),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 및 높이 돌출부(1100)를 포함한다. 즉,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은 도 3에서보다 높이 돌출부(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밀부를 살펴보면, 탄성부(1110)는 속뚜껑(1102)과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 사이에 배열되어 수밀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111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1110)는 속뚜껑(1102)의 종단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부(1110)는 속뚜껑(1102)의 종단을 둘러싼 상태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속뚜껑(1102)에 부착될 수 있다. 공정 상으로는, 속뚜껑(1102)과 탄성부(1110)를 별도로 제조한 후 탄성부(1110)가 속뚜껑(1102)의 종단을 둘러싸도록 탄성부(1110)를 속뚜껑(1102)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1110)는 제 1 탄성부(1110a) 및 제 2 탄성부(1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탄성부(1110a)는 속뚜껑(1102)의 종단을 둘러싼 구조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속뚜껑(1102)에 부착된다.
제 2 탄성부(1110b)는 제 1 탄성부(1110a)와 결합되며,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탄성부(1110b)는 링 형상을 가지되, 속이 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속뚜껑(1102)을 통하여 제 1 탄성부(1110a)로 힘이 전달되면, 제 2 탄성부(1110b)가 속이 빈 구조이므로 제 2 탄성부(1110b)가 상당히 수축되게 된다. 즉, 제 2 탄성부(1110b)가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에 더 강하게 밀착되므로, 더 우수한 수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제 2 탄성부(1110b)는 속이 빈 구조가 아닌 탄성 물질로 전부 채워질 수도 있다.
한편, 제 1 탄성부(1110a)와 제 2 탄성부(1110b)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기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1110)는 수밀 기능을 수행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수밀 보조부(1112)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1102)의 상면 위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밀 보조부(1112) 중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1112a)는 속뚜껑(1102)의 상면 위에 안착되며,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1112a)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길이 연장된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는 높이 돌출부(1100)의 하면과 접촉된다. 즉, 수밀 보조부(1112)는 "∠"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밀 보조부(1112)는 탄성체이다. 이 경우,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의 탄성력이 중력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나 상기 탄성력이 높이 돌출부(1100)의 의해 저지되므로,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의 탄성력에 따른 반발력이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1112a)로 가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1112a)로 가해진 힘이 속뚜껑(1102)을 통하여 탄성부(1110)로 전달되며, 따라서 속뚜껑(1102), 탄성부(1110) 및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가 밀착되어 더 우수한 수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중 이탈 방지부(1114b)는 수밀 보조부(1112)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밀 보조부(111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1114b)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 보조부(1112) 중 서브 수밀 보조부들(1112a 및 1112b)이 연결되는 부분 또는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를 둘러싸서 수밀 보조부(1112)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 위에 위치하여 수밀 보조부(11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 방지부(1114b)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부분(절곡 부분)이 몸체로부터 절곡된 구조로 구현되며, 서브 수밀 보조부들(1112a 및 1112b)이 연결되는 부분이 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바닥면이 없는 지면을 향하여 "ㄷ"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절곡된 종단 부분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를 둘러싸도록 "ㄷ"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고려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114b)의 종단 부분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수밀 보조부(1112)의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중 중심부(1114a)는 이탈 방지부(1114b)와 연결되며, 볼트 결합 등을 통하여 속뚜껑(1102)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심부(1114a)가 속뚜껑(1102)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이탈 방지부(1114b)가 안정적으로 수밀 보조부(1112)를 고정시켜 맨홀로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수밀 보조부(1112)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밀 보조부들(1112)이 존재할 수 있고, 수밀 보조부들(1112)의 수에 맞춰서 이탈 방지부들(1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 방지부들(1114b)은 하나의 중심부(1114a)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속뚜껑(1102)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중심부(1114a)의 볼트를 해제하고 이탈 방지부들(1114b)을 수밀 보조부들(1112)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어서, 관리자는 수밀 보조부들(1112)의 측면에 힘을 가하여 수밀 보조부들(1112)이 높이 돌출부(110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속뚜껑(110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속뚜껑(1102)을 다시 닫을 경우에는, 수밀 보조부들(1112) 중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들(1112b)이 높이 돌출부(110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수밀 보조부들(1112)을 속뚜껑(1102) 위에 안착시킨 후 이탈 방지부들(1114b)로 수밀 보조부들(1112)을 고정시키며, 그런 후 고정부의 중심부(1114a)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속뚜껑(1102)에 고정시킨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맨홀은 속뚜껑(1102)과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 사이에 탄성부(1110)를 배열하고 속뚜껑(1102) 및 수밀 보조부(1112)가 탄성부(1110)에 힘을 가하도록 구현하여 우수한 수밀 기능을 수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상면에 원형 형상의 고무링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이 겉뚜껑(302)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 및 관련 소자들에 의해 1차 수밀 동작이 수행되고,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334)와 관련 소자들에 의해 2차 수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에는 높이 돌출부(1100)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수밀 보조부(1112)의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1112b)가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하면에 접촉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구현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면들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속뚜껑(1102), 수밀 보조부(1112), 이탈 방지부(1114b) 및 탄성부(1110)를 도시하지는 않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302)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에 안착되며, 잠금 장치(1306)가 겉뚜껑(302)과 결합된다.
잠금 장치(1306)는 몸체부(1320), 헤드부(1322), 잠금 결합부(1324), 잠금부(1326), 헤드 지지부(1328), 잠금 지지부(1330), 제 1 탄성 부재(1332), 제 2 탄성 부재(1334) 및 제 3 탄성 부재(1610)를 포함한다.
몸체부(13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302)의 홀로 삽입되며, 예를 들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1322)는 몸체부(1320)의 상부 종단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 특히 오각형 이상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322)는 상기 맨홀이 잠가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30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302)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322)는 몸체부(13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통하여 요부(140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 3 탄성 부재(1610)가 요부(1404)로 삽입된다.
잠금 결합부(1324)는 몸체부(1320)의 하부 종단부에 형성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326)의 홀(1600)로 삽입되어 잠금부(1326)와 결합된다. 또한, 잠금 결합부(1324)는 잠금 지지부(1330)의 홀(1602)에도 삽입된다. 즉, 잠금 결합부(1324)는 잠금부(1326)의 홀(1600) 및 잠금 지지부(1330)의 홀(1602)로 삽입된다.
이러한 잠금 결합부(1324)는 제조시부터 몸체부(1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제조된 후 잠금 결합부(1324)가 몸체부(1320)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결합부(132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부재들이 상하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잠금 결합부(1324)는 잠금부(1326)의 홀(1600) 및 잠금 지지부(1330)의 홀(160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1326)의 홀(16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결합부(1324)와 동일한 형상,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잠금 지지부(1330)의 홀(1602)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잠금 결합부(1324)는 잠금부(1326)와 맞물리며, 따라서 헤드부(1322)의 회전에 따라 잠금 결합부(1324)가 회전하면 잠금부(1326)도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맨홀의 잠금 동작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잠금 지지부(1330)의 홀(1602)은 잠금 결합부(1324)와 동일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1326)의 홀(1600)의 모서리 부분에 각기 작은 크기의 요부들이 형성되고, 잠금 결합부(1324)의 모서리들이 상기 요부들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잠금 결합부(1324)의 모서리는 잠금부(1326)의 요부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더 돌출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잠금 결합부(1324)가 홀(160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면서도 잠금부(1326)와 더 밀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1326)는 몸체부(132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맨홀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잠금부(1326)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맨홀이 잠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하부에는 요부(1410)가 형성되고 잠금부(1326)의 종단에는 돌출부(1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부(1326)의 돌출부(1340)가 높이 조절 맨홀 틀(314)의 제 1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요부(1410)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맨홀이 안정적으로 잠가질 수 있다.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는 잠금부(1326)가 제 1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요부(1410)로부터 이탈하도록 잠금부(1326)를 회전시키며, 즉 잠금부(1326)가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요부(141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잠금 동작 및 잠금 해제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헤드 지지부(132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2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헤드부(1322) 보다 큰 반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헤드 지지부(1328)에 홀이 형성되고, 몸체부(1320)가 헤드 지지부(1328)의 홀로 삽입되며, 헤드부(1322)는 헤드 지지부(132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지지부(1328)는 제 2 탄성 부재(13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잠금 지지부(133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326)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지지부(13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뚜껑(30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1350)에 결합되며, 즉 겉뚜껑(302)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예를 들어, 잠금 지지부(1330)의 네 모서리에는 각기 홀이 형성되고, 볼트 등을 상기 홀을 통하여 겉뚜껑(302)으로 삽입시켜 잠금 지지부(1330)를 겉뚜껑(302)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잠금부(1326)가 잠금 지지부(13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332)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몸체부(132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탄성 부재(1332)의 상부 종단은 헤드 지지부(1328)의 하면과 접촉하며, 하부 종단은 잠금 결합부(1324)의 상면 위에 놓인다. 즉, 제 1 탄성 부재(1332)는 헤드 지지부(1328)와 잠금 결합부(1324)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탄성 부재(13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겉뚜껑(302)의 외부로 돌출된 잠금 장치(1306)를 다시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 부재(1332)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상승시킬 경우 수축되었다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헤드부(1322)로부터 분리되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상태로 복원시킨다.
제 2 탄성 부재(1334)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제 1 탄성 부재(1332)보다 넓은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탄성 부재(1334)는 헤드 지지부(1328)와 잠금부(1326)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 제 2 탄성 부재(1334)가 잠금부(1326)에 의해 지지되므로, 헤드 지지부(1328)가 제 2 탄성 부재(1334)에 의해 지지되어 겉뚜껑(302)에 고정되지 않고도 겉뚜껑(302)의 홀 내에 유지된 상태로 헤드부(1322)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부(1320)에는 제 2 탄성 부재(1334) 없이 제 1 탄성 부재(1332)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헤드 지지부(1328)가 지지되어야 하므로, 잠금 지지부(1330)에 홀이 아닌 요부가 형성되어 잠금 결합부(1324)를 지지하도록 하며, 그 결과 헤드 지지부(1328)는 잠금 결합부(1324) 위에 놓인 제 1 탄성 부재(13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3 탄성 부재(16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에 형성된 요부(1404)로 삽입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요부(140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도록 보조한다. 다만,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는 제 3 탄성 부재(1610)가 존재하지 않아도 이탈이 가능하므로, 제 3 탄성 부재(1610)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잠금 장치(1306)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이 잠가진 상태에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헤드부(1322)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1404)로 삽입시켜 고정시키고, 그런 후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1306)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잠금 장치(1306)의 구성요소들 중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만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만, 잠금 결합부(1324)는 이동할지라도 잠금부(1326)의 홀(1600)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잠금 결합부(1324)는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때 잠금부(1326)의 홀(1600) 내에서 위치 변동은 있지만 홀(1600) 내에 유지된다. 이것은 잠금 장치(1306)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도 헤드부(1322)를 회전시켜서 잠금부(1326)를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잠금부(1326)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잠금부(1326)의 홀(1600) 및 잠금 결합부(1324)는 모두 다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오각형 이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잠금부(1326)의 홀(1600)과 잠금 결합부(1324)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어서, 관리자는 잠금 장치(1306)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잠금부(1326)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부(1326)의 돌출부(1340)가 제 1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332)의 요부(141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정리하면, 관리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1306)를 중력 반대 방향(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관리자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잠금 장치(1306)로부터 분리시키면, 제 1 탄성 부재(1332)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장치(130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된다.
즉,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와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를 모두 소지한 관리자만이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잠금 장치(1306)로부터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잠금 장치(1306)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맨홀을 다시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로 잠금 장치(1306)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로 헤드부(1322)를 회전시켜 상기 맨홀을 다시 잠금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요컨대,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1400 및 1402)을 모두 소지하지 않은 타인은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없으며, 즉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임의로 해제할 수 없다. 특히,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1400 및 1402)은 특별한 형상으로 제작된 후 관리자만이 보관하므로, 타인은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1400 및 1402)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없고 기존에 사용되는 개방 장치로 본 발명의 맨홀을 개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는 안전하게 상기 맨홀 및 상기 맨홀 내부의 케이블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 및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의 구조 및 동작을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는 몸체(1700), 상태 변화부(1702) 및 손잡이부(1704)를 포함한다.
몸체(1700)는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통하여 형성된 요부(1404)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7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1714)이 형성되고, 몸체(1700)의 종단 부분(1712)은 다른 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진다. 물론, 몸체(1700)의 종단 부분(1712)의 폭은 요부(1404)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종단 부분(1712)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태 변화부(1702)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700) 위로 체결되는 부재로서, 그를 관통하여 홀(1740)이 형성되고, 그의 하단 부분(1720)에는 종단으로부터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722)가 형성된다. 몸체(1700) 견지에서 살펴보면, 몸체(1700)는 상태 변화부(1702)의 홀(1740)로 삽입된다.
손잡이부(1704)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용부(1730) 및 손잡이(1732)를 포함한다.
수용부(1730)의 하면에는 홀(1742)이 형성되며, 수용부(1730)는 몸체(1700)의 상단 부분을 수용한다. 즉, 몸체(1700)의 상단 부분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730)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730)의 내측면에는 몸체(1700)의 나사산(1714)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따라서 손잡이부(1704)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1704)가 몸체(1700)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움직이게 된다.
손잡이(1732)는 수용부(173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사람이 잡기 편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겠다.
상태 변화부(1702)는 몸체(1700)로 체결되고 몸체(1700)의 상부 종단 부분이 손잡이부(1704)의 홀(1742)로 삽입되며, 그 결과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는 도 17(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태 변화부(1702)는 몸체(1700)의 종단 부분(1712) 위로 배열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손잡이부(1704)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1704)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700)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특히, 손잡이부(1704)가 몸체(1700)의 하부 방향(중력 방향)으로 움직이면 손잡이부(1704)의 수용부(1730)가 상태 변화부(1702)에 힘을 가하게 되며, 그 결과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변화부(1702)가 몸체(1700) 상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722)가 벌어지면서 상태 변화부(1702)의 하단 부분(1720)이 몸체(1700)의 종단 부분(1712) 위로 올라가며, 그 결과 상태 변화부(1702)의 하부 종단 부분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에 형성된 요부(1404) 내에서 몸체부(1320) 또는 잠금 결합부(132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다만, 도 18(B)에서는 나사산 등을 생략하고 개략적인 결합 형태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관통하여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상기 홀로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제 3 탄성 부재(1610)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70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부(1704)가 몸체(1700)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자가 상태 변화부(1702)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도 18(B)에 도시된 구조로 되어 헤드부(13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는 제 1 탄성 부재(1332)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의 몸체(170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손잡이부(1704)를 하부 방향으로 밀면 상태 변화부(1702)가 몸체(1700) 상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도 17(C)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는 손잡이부(1800) 및 회전부(1802)를 포함한다.
회전부(1802)는 손잡이부(1800)에 연결되며, 헤드부(1322)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322)가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회전부(1802)는 육각형 형상에서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회전부(1802)가 헤드부(1322)를 둘러싸서 헤드부(1322)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상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1802)의 하부 종단면으로부터 지지부(18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812)는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로 헤드부(1322)를 둘러쌀 때 헤드부(132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관리자가 헤드부(132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더라도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가 헤드부(132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관리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를 이용하여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상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로 헤드부(1322)를 회전시켜 상기 맨홀을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물론,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0)가 헤드부(1322), 몸체부(1320) 및 잠금 결합부(1324)를 상부로 잡아당기고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1402)가 헤드부(13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1400 및 1402)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맨홀 본체 102 : 맨홀 덮개
300 : 맨홀 본체 302 : 맨홀 덮개
304 : 블록 310 : 맨홀 몸체
312 : 지지틀 314 : 높이 조절 맨홀 틀
316 : 높이 지지부 330 : 높이 가변 몸체
332 :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334 :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400 : 높이 조절 맨홀 틀 402 : 속뚜껑
410 : 높이 가변 몸체 412 :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414 :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500 : 높이 조절 장치
510 : 지지 부재 512 : 높이 조절 부재
514 : 액츄에이터 516 : 승강 부재
520 : 높이 조절 몸체 522 : 높이 조절 지지부
800 : 구형 맨홀 덮개 1000 : 높이 조절 장치
1010 : 유압 실린더 1012 : 액츄에이터
1014 : 높이 조절 부재 1016 : 받침부
1100 : 높이 돌출부 1110 : 탄성부
1112 : 수밀 보조부 1114 : 이탈 방지부
1320 : 몸체부 1322 : 헤드부
1324 : 잠금 결합부 1326 : 잠금부
1328 : 헤드 지지부 1330 : 잠금 지지부
1332 : 제 1 탄성 부재 1334 : 제 2 탄성 부재
1340 : 돌출부 1400 :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
1402 :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 1700 : 몸체
1702 : 상태 변화부 1704 : 손잡이부
1722 : 절개부 1800 : 손잡이부
1802 : 회전부

Claims (9)

  1. 맨홀 몸체;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 배열되며, 높이 가변 몸체 및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를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맨홀 몸체 및 상기 지지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겉뚜껑)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에 사용되는 맨홀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및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높이가 조정된 후 상기 지지틀의 바닥면 위에 배열되어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속뚜껑이 상기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위에 안착되고, 유압 방식을 사용하는 상기 높이 조절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이 움직이며,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높이 조절 부재가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고, 상기 높이 지지 부재들은 상하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에 사용되는 맨홀 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높이 조절 부재가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을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며, 상기 맨홀 본체의 높이가 상기 맨홀 외부의 블록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에 사용되는 맨홀 본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열되는 지지틀 몸체부;
    상기 지지틀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부 돌출부; 및
    상기 지지틀 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하부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돌출부는 상기 맨홀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맨홀 몸체의 받침부 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에 사용되는 맨홀 본체.
  5. 맨홀에 있어서,
    맨홀 몸체;
    상기 맨홀 몸체의 내측면에 배열된 지지틀;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 배열되며, 높이 가변 몸체 및 상기 높이 가변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높이 가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된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를 가지는 높이 조절 맨홀 틀; 및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신형 맨홀 덮개(겉뚜껑)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은 상기 맨홀 몸체 및 상기 지지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고, 상기 맨홀의 높이가 상기 맨홀 외부의 블록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제 1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는 신형 맨홀 덮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형 맨홀 덮개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형성된 제 1 홀에는 잠금 장치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신형 맨홀 덮개의 상기 제 1 홀로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잠금 결합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에는 제 2 홀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결합부가 상기 잠금부의 제 2 홀로 삽입되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신형 맨홀 덮개 위로 노출되는 맨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는,
    몸체;
    상기 몸체 상에 결합되는 상태 변화부; 및
    상기 몸체 상에 체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변화부의 중앙에는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제 3 홀로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 종단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상태 변화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 종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태 변화부의 하부 종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리고,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 장치의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통하여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의 하부 종단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상태 변화부가 상기 몸체 중 폭이 넓은 하단 종단 부분 위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가 상기 잠금 장치의 몸체부 또는 상기 잠금 결합부의 내측에 밀착되며, 상기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는 상기 헤드부를 둘러싼 상태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상기 맨홀 덮개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잠금부를 지지하는 잠금 지지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제 1 탄성 부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탄성 부재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통하여 형성된 요부로 삽입되는 제 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잠금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폭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폭보다 넓고, 상기 잠금 결합부는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 변화와 관계없이 상기 제 2 홀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과 상기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부;
    상기 속뚜껑의 상면 위에 안착되는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 및 상기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의 일 종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 2 높이 가변 지지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 조절 맨홀 틀의 가변 돌출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를 가지는 수밀 보조부; 및
    상기 속뚜껑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속뚜껑의 종단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수밀 보조부는 탄성체로서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속뚜껑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된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절곡된 절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절곡 부분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를 감싸며, 상기 수밀 보조부 중 상기 제 1 서브 수밀 보조부와 상기 제 2 서브 수밀 보조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이탈 방지부의 몸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맨홀.
KR1020110089927A 2011-09-06 2011-09-06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KR10109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27A KR101098157B1 (ko) 2011-09-06 2011-09-06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27A KR101098157B1 (ko) 2011-09-06 2011-09-06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157B1 true KR101098157B1 (ko) 2011-12-26

Family

ID=4550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927A KR101098157B1 (ko) 2011-09-06 2011-09-06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38B1 (ko) * 2012-10-16 2015-07-02 박경희 맨홀 철개 운반 및 재설치 기구
KR101885594B1 (ko) 2017-07-27 2018-08-06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인상링을 이용한 맨홀뚜껑 인상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38B1 (ko) * 2012-10-16 2015-07-02 박경희 맨홀 철개 운반 및 재설치 기구
KR101885594B1 (ko) 2017-07-27 2018-08-06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인상링을 이용한 맨홀뚜껑 인상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01136A2 (en) Pavement system
KR101098157B1 (ko)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US20120297691A1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utility access cover
US6953302B1 (en) Adjustment riser for a manhole frame
US7387463B2 (en) Manhole cove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088596B1 (ko)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맨홀 뚜껑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설치하는 방법
KR102257274B1 (ko) 맨홀보수용 맨홀틀 인상장치
EP3231945A1 (fr) Regard pour réseau souterrain
KR101087556B1 (ko)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영구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및 틀 장치
KR101087558B1 (ko)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영구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및 틀을설치하는 방법
EP3394346B1 (en) Adapter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GB2590449A (en) Ground surface access assemblies
RU73887U1 (ru) Люк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KR102132855B1 (ko)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0719790B1 (ko) 높이 조절구조가 마련된 맨홀
JP7178084B2 (ja) 埋設筺
KR101637050B1 (ko) 멀티형 지상변압기 기초대
KR100912899B1 (ko) 높이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48175B1 (ko) 맨홀 고정장치
JP3166620U (ja) 落下防止器具
FR3027318A1 (fr) Regard pour reseau souterrain
WO2010137972A2 (en) Method and device for asphalting a surface in which a manhole is present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0256113B1 (ko) 맨홀구멍보호 및 맨홀뚜껑의 높낮이 조절장치와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