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55B1 -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 Google Patents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55B1
KR101097955B1 KR1020110074222A KR20110074222A KR101097955B1 KR 101097955 B1 KR101097955 B1 KR 101097955B1 KR 1020110074222 A KR1020110074222 A KR 1020110074222A KR 20110074222 A KR20110074222 A KR 20110074222A KR 101097955 B1 KR101097955 B1 KR 10109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jumper
jumper cord
self
body port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중원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중원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1007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점퍼코드랙(110)을 실장하고 상기 광점퍼코드랙(110)으로 광점퍼코드(C)가 접속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가 상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110) 실장셀프(100) 사이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S)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구비되되;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인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입홀이 형성되는 후면커버(220)와; 상기 몸체부(210)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출홀(231)이 형성되는 전면커버(230)로 구성되어, 광점퍼코드랙(110)을 실장하는 셀프와 광점퍼코드(C)를 포설하는 셀프를 하나의 셀프로 일체화시켜 광점퍼코드랙(110)이 실장된 셀프에 광점퍼코드(C) 분배 및 저장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셀프의 전후방에 광점퍼코드 인출구가 형성되며, 좌우측에 작업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선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점퍼코드를 배열에 맞추어 정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Shelf structure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점퍼코드랙에 실장하는 셀프와 광점퍼코드를 포설하는 셀프가 하나의 셀프로 통합되게 하여 광점퍼코드의 분배 및 저장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점퍼코드는 광섬유 케이블이라고도 하며, 그 형상은 원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심(Core), 클래드(Clad), 재킷(Jacket)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심은 매우 가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광섬유이고, 상기 클래드는 유리섬유의 주위를 강한 힘에 견디게 하기 위한 케블라(kevlar)섬유이다. 주성분이 유리섬유의 빛 펄스로서 바깥 전류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으며, 심과 다른 광 특성을 가진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씌워져 있다.
또한, 재킷은 광섬유 다발 주위의 맨 바깥층으로서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되어있어 습기, 마모, 파손 등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광섬유는 신호를 부호로 만든 광선을 내부반사로 전송하는데, 다른 유선 전송매체에 비하여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 전송률이 뛰어나다. 이밖에도 크기와 무게가 적어 지지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빛의 형태로 전송하므로 충격성 잡음, 누화(漏話) 등의 외부적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광점퍼코드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약 1GB이기 때문에 근거리와 광역 통신망, 장거리 통신, 군사용, 가입자 회선 등에 많이 쓰이며,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광점퍼코드의 용도가 광범위해짐에 따라 광점퍼코드를 랙으로 연결시키는 배선 셀프의 종류도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점퍼코드랙(cable rack, 11)이 삽입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가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가 상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광점퍼코드랙(11)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여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11)에는 광점퍼코드(C) 접속이 가능하도록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광점퍼코드(C)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광점퍼코드(C)를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의 광점퍼코드랙(11)에 연결시키게 되면 통신사와 가입자 간의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코드 배선 작업 시 광점퍼코드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 사이에서 인출되어 광점퍼코드랙에 접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광점퍼코드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작업 진행에 불편함이 있고, 다수의 광점퍼코드가 묶인 상태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에 위치하기 때문에 광점퍼코드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 사이의 결합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는 셀프와 광점퍼코드를 포설하는 셀프가 하나의 셀프로 통합되게 하여 광점퍼코드의 분배 및 저장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고 상기 광점퍼코드랙으로 광점퍼코드가 접속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가 상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 실장셀프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광점퍼코드 포설셀프가 구비되되;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입홀이 형성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몸체부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출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는 스틸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 양측면에는 복수의 작업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고정바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힌지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 실장셀프의 삽입공간 상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와 전면커버 외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는 셀프와 광점퍼코드를 포설하는 셀프를 하나의 셀프로 일체화시켜 광점퍼코드랙이 실장된 셀프에 광점퍼코드 분배 및 저장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셀프의 전방(全方)에 광점퍼코드 인출구와 작업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선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점퍼코드를 배열에 맞추어 정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몸체부 후면에 구비된 후면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몸체부 전면에 구비된 전면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몸체부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몸체부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와, 몸체부 상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의 삽입공간에 광점퍼코드 포설셀프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의 (b)는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서 광점퍼코드의 인입 및 인출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점퍼코드랙(110)이 삽입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S)에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20)가 장착된 하우징 형상의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삽입되도록 하여 광점퍼코드(C) 분배 및 저장이 용이하게 하여 배선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광점퍼코드랙(110)을 포함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가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사이에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장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전면에 다수의 광점퍼코드랙(optical jumper code rack, 110)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110)에는 슬롯(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는 상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가 한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세트로 이루어진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사이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S)에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는 하우징 형상의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에 장착되는 후면커버(220) 및 전면커버(23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1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삽입공간(S)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외측 저면에는 가이드홈(215)이 형성되며, 광점퍼코드랙(110)의 삽입공간(S) 상면에는 가이드돌기(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220)는 복수의 인입홀(221)이 형성된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210)의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30)는 복수의 인출홀(231)이 형성된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210)의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후면커버(220)와 전면커버(230) 외측에는 손잡이(222, 232)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 양측면에는 복수의 작업홀(2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210) 상면은 힌지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고정바(213)가 돌출 형성되어 광점퍼코드(C)가 상기 고정바(213)에 감길 수 있게 한다.
이때, 몸체부(210)의 상면과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풍홀(21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는 스틸재질로 성형되도록 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자성체(21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광점퍼코드랙(110)이 삽입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에 형성된 삽입공간(S)에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20)가 장착된 하우징 형상의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점퍼코드랙(110)에는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광점퍼코드(C) 접속이 가능하게 하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또한 상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가 한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처럼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를 복수개 배치시켜 다수의 광점퍼코드랙(110)이 구비되도록 하여 광점퍼코드(C)의 다회선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복수개 구비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삽입공간(S)에 후면커버(220)와, 전면커버(230)와, 몸체부(210)를 포함하는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S)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삽입공간(S)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몸체부(210)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5)과, 광점퍼코드랙(110)의 삽입공간(S)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0)를 통해 상기 몸체부(210)가 삽입공간(S)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삽입공간(S)으로부터 착탈 되는 것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220)는 몸체부(210)의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면커버(220)에 형성된 복수의 인입홀(221)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점퍼코드(C)가 상기 인입홀(221)을 통해 몸체부(21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후면커버(220)가 회동 가능한 개폐 구조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후면에서 광점퍼코드(C) 인입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도 5 및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30)는 몸체부(210)의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230)에 형성된 복수의 인출홀(231)에 의해 후면커버(220)의 인입홀(221)을 통해 입입된 광점퍼코드(C)가 상기 인출홀(231)을 통해 몸체부(21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전면커버(230)도 후면커버(220)와 같이 회동 가능한 개폐 구조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 전면에서 광점퍼코드(C) 인출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후면커버(220)와 전면커버(230) 외측에 구비된 손잡이(222, 232)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220)와 전면커버(230)의 개폐 작동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처럼, 후면커버(220)의 인입홀(221)을 통해 인입된 광점퍼코드(C)는 전면커버(230)의 인출홀(231)을 통해 인출되어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광점퍼코드랙(11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광점퍼코드(C) 연결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작업홀(212)을 통해 상기 몸체부(210)를 거쳐 외부로 인출되는 광점퍼코드(C) 중 상기 몸체부(210)의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20)를 개방해도 배선 작업이 불가능한 측면 부분에 대해서 배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210) 상면도 힌지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면커버(230), 후면커버(220) 및 양측면의 작업홀(212)을 통해서도 배선 작업이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몸체부(210) 상면을 개방하여 배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20)를 개방하는 것은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가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삽입공간(S)에 삽입된 상태 및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몸체부(210) 양측에 형성된 작업홀(212)을 통한 배선 작업 및 몸체부(210) 상면 개방을 통한 배선 작업을 수행할 때는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를 삽입공간(S)으로부터 일정거리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고정바(213)가 돌출 형성되어 인입홀(221)을 통해 인입된 광점퍼코드(C)가 상기 고정바(213)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210)로부터 인출되기 전에 광점퍼코드(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몸체부(210)의 상면과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풍홀(214)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10)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광점퍼코드 실장셀프(100)의 광점퍼코드랙(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점퍼코드 포설셀프(200)는 스틸재질로 성형되도록 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자성체(211)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커버(230) 및 후면커버(220)와 몸체부(210) 사이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20)가 외력 없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는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고 상기 광점퍼코드랙으로 광점퍼코드가 접속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가 상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 실장셀프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광점퍼코드 포설셀프가 구비되되;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입홀이 형성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몸체부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출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로 구성되어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는 셀프와 광점퍼코드를 포설하는 셀프를 하나의 셀프로 일체화시켜 광점퍼코드랙이 실장된 셀프에 광점퍼코드 분배 및 저장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셀프의 전방에 광점퍼코드 인출구와 작업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선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점퍼코드를 배열에 맞추어 정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광점퍼코드 실장셀프 110 : 광점퍼코드랙
200 : 광점퍼코드 포설셀프 210 : 몸체부
220 : 후면커버 221 : 인입홀
230 : 전면커버 231 : 인출홀

Claims (8)

  1. 광점퍼코드랙을 실장하고 상기 광점퍼코드랙으로 광점퍼코드가 접속되는 광점퍼코드 실장셀프가 상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 실장셀프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광점퍼코드 포설셀프가 구비되되;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하우징 형상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입홀이 형성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몸체부 전면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인출홀이 형성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양측면에는 복수의 작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점퍼코드 포설셀프는 스틸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고정바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힌지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광점퍼코드랙 실장셀프의 삽입공간 상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와 전면커버 외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KR1020110074222A 2011-07-26 2011-07-26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KR10109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22A KR101097955B1 (ko) 2011-07-26 2011-07-26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22A KR101097955B1 (ko) 2011-07-26 2011-07-26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955B1 true KR101097955B1 (ko) 2011-12-22

Family

ID=4550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222A KR101097955B1 (ko) 2011-07-26 2011-07-26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71Y1 (ko) * 2002-09-13 2003-01-24 (주)텔레필드 광케이블 배선용 셀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71Y1 (ko) * 2002-09-13 2003-01-24 (주)텔레필드 광케이블 배선용 셀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932B2 (en) Multi-positionable telecommunications tray
US6353696B1 (en) Panel for managing jumper storage
US11002931B2 (en) Telecommunications tray with a cable routing path extending through a pivot hinge
JP4029494B2 (ja) 光成端架
JP2001004849A (ja) 光配線盤
KR101097955B1 (ko) 광점퍼코드 저장 셀프 구조
CN214545184U (zh) 一种液体浸没式冷却机柜与液体浸没式冷却机组
CN109375324A (zh) 一种预端接高密度光纤配线架
KR20100026442A (ko) 광분배함
RU2592724C2 (ru) Основание для системы для группирования оптоволокна с оптичес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CN210348006U (zh) 一种皮缆存储装置及分光分纤箱
US20210185416A1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cabinet
JP5425874B2 (ja) 光ファイバ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411362Y1 (ko) 랙타입 광분배함
US8260105B2 (en) Enclosure for housing splice trays
JP200916316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配線盤
KR100611820B1 (ko) 지상용 광중간 절체함
KR20160123772A (ko) 광케이블 접속모듈 및 하이브리드 광접속 시스템
CN112135470A (zh) 一种液体浸没式冷却机柜
KR200228295Y1 (ko) 광 접속셀프
RU127490U1 (ru) Кросс модульный оптический
JP2003215354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配線盤
KR20030062656A (ko) 광분배함
JP2008203466A (ja) 光接続箱及び光配線システム
WO2016188971A1 (en) Telecommunications wall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