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772B1 -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 Google Patents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772B1
KR101097772B1 KR1020090110668A KR20090110668A KR101097772B1 KR 101097772 B1 KR101097772 B1 KR 101097772B1 KR 1020090110668 A KR1020090110668 A KR 1020090110668A KR 20090110668 A KR20090110668 A KR 20090110668A KR 101097772 B1 KR101097772 B1 KR 10109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roup
groove
golf ball
angle
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132A (ko
Inventor
박준서
Original Assignee
(주)뱅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뱅코스 filed Critical (주)뱅코스
Priority to KR102009011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7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터 페이스에 로프트 각도와 반대 방향의 기울기를 갖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그루브가 형성된 퍼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퍼터 페이스를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서, 상기 퍼터 페이스에는 로프트 각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적어도 로프트 각도보다는 큰 서로 다른 포워드 각도를 갖는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각 그루브는 해당 그루브 간격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향 타구면이 각기 형성된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에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퍼터 페이스에 상,중,하 구간별로 로프트 각도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포워드 각도를 갖는 하향 타구면이 그루브에 각기 형성된다. 따라서 퍼터 페이스의 하향 타구면에 의해 상,하부 및 중앙 모두에 골프 공을 직선방향으로 굴리는 효과가 나타난다.
골프, 퍼터, 퍼터 헤드, 퍼터 페이스

Description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Putter head having downward batting face with difference of impact angle section}
본 발명은 퍼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터 페이스에 로프트 각도와 반대 방향의 기울기를 갖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그루브가 형성된 퍼터 헤드에 관한 것이다.
퍼터에서 퍼터 페이스는 골프 공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골퍼가 골프공을 보내고자하는 곳으로 정확하게 보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퍼터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골프공이 앞으로 굴러가는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좌우로 휘어지는 사이드스핀을 줄일 수 있는 많은 방법을 고안해 내고 있다.
퍼터페이스의 설계방법은 대부분 격자무늬, 원무늬, 불규칙성 무늬, 무늬가 없는 페이스 등이다. 또한 단순히 일정 간격이나 일정 깊이의 일자로 홈을 파는 설계방법이 알려져 있다.
헤드의 페이스에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 또는 U자형 홈을 형성시키는 방법의 경우 퍼팅된 골프공의 백 스핀량이 적어져 골프공이 구르는 성질이 강해지고 방향 성이 좋아진다.
퍼터 페이스에 같은 사각 또는 U자형 형태의 홈을 적용할 경우, 골프 공이 맞는 돌출부와 파여진 홈의 길이와 깊이를 페이스의 상단과 하단에 따라 다르지 않고 같이 적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것은 퍼터 페이스의 로프트 각도가 2도 내지 4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고, 퍼팅스트로크 방향의 편차에 따라 골프 공이 페이스의 상단과 중단, 하단에 맞을 때 각기 골프공의 스핀량이 달라 직진성을 높여주는데 한계가 있다.
골프공이 페이스의 하단에 맞을 때는 퍼터 페이스의 스트로크 방향이 내려가면서 맞기 때문에 힘의 방향이 그린바닥을 향하므로 골프공이 그린 바닥에 박히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되어 있다. 이런 경우 일자형 홈이나 U자형 홈을 일정하게 적용한 퍼터페이스의 경우 골프공의 백스핀량을 늘려주어 방향성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골프공이 퍼터 페이스의 상단에 맞을 경우에는 골프공의 초기방향이 위를 향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일자형 홈이나 U자형 홈을 일정하게 적용한 퍼터페이스의 경우 골프공의 백스핀량을 오히려 늘려주어 골프공을 더 뜨게 만들게 되고 거리와 방향성이 더욱 악화되게 된다.
헤드의 페이스에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 또는 U자형 홈을 형성시키는 기존의 방법은 결국, 골프공이 퍼터 페이스의 중앙부분에 맞는다는 가정 하에 고안된 기술로 퍼팅스트로크가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그 효과를 보기가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8-0082768호(공개일:2008.09.12)에 게재 된 퍼터 페이스에 톱니단면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헤드의 경우, 퍼터 페이스에 톱니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면 골프공이 앞으로 구르는 성질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톱니형상의 그루브도 골프공이 페이스의 상단, 중앙, 하단에 맞는 경우에 따라 골프공의 구질이 달라지는 것을 간과한 채 골프공이 페이스의 중앙에 맞는다는 것을 가정으로 고안된 기술이다.
일예로, 위를 향한 톱니단면 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퍼터페이스에 골프공이 페이스 상단에 맞으면 골프공의 백스핀이 더욱 커지고 골프공이 더욱더 위를 향해 나아가게 되어 직진성을 방해하고 거리손실을 더욱더 커지게 된다.
하나의 예를 더 들면, 아래로 향한 톱니단면 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퍼터페이스에 골프공이 하단에 맞는 경우 골프공의 백스핀이 더 커지면서 그린 바닥을 향하여 골프공의 운동방향이 더 커지게 되어 골프공이 그린바닥에 박히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일정한 톱니단면형상을 적용한 퍼터페이스도 골프공이 페이스 중앙에 맞을 경우에만 골프공의 방향성이 향상될 뿐이며, 골프공이 페이스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맞을 경우에는 오히려 골프공의 방향성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을 정리하면,
골프공이 퍼터페이스에 맞는 임팩트 순간 골프공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스키드 현상을 줄임으로써 직진 성능을 높이는데 주력하였을 뿐, 골프공이 퍼터페이스의 상단, 중앙, 하단 등에 맞을 때 구질의 변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적용한 기술이 아니라 정상적인 임팩트를 기준으로 고안되어 실제 효과를 보기 어려운 한계가 있 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임팩트 면이 존재하는 실제상황에서는 그다지 큰 효과를 가져오기 어렵고, 실제 제품에 적용된 경우에도 골프공이 정상적으로 페이스 중앙에 맞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히려 골프공의 방향성을 저해하게 되어 상업적 이용 파급력을 크게 갖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퍼팅을 하는 경우, 골프공이 퍼터페이스의 중심점(Sweet Spot)에 맞는 경우보다 페이스 상단이나 하단 등 다양한 면에 맞게 되어 골프공이 초기 조준선을 벗어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가던지, 백스핀이 증가하여 조준한 거리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은 퍼팅 스트로크를 할 때 자세가 낮아지면서 퍼터 페이스 상단에 골프 공이 맞는 경우와 골프공을 치면서 상체가 일어나면서 퍼터 페이스 하단에 맞는 경우 등 퍼팅 스트로크의 궤도와 방향에 따라 아주 다양한 구질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퍼팅스트로크에 따라 발생되는 퍼팅 시 다양한 골프공의 구질을 정상구질에 가깝게 만들어 주어 골프공의 직진성과 방향성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한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퍼터 페이스를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서,
상기 퍼터 페이스에는 로프트 각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적어도 로프트 각도보다는 큰 서로 다른 포워드 각도를 갖는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각 그루브는 해당 그루브 간격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향 타구면이 각기 형성된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에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의 순서로 가면서 각 그루브의 포워드 각도가 증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프트 각도가 2도 내지 4도를 이룰 때, 상기 하단 그루브군의 포워드 각도는 4.2도, 중앙 그루브군의 포워드 각도는 6도, 상단 그루브군의 포워드 각도는 7.2도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그루브군에 비해 상기 상단 그루브군과 하단 그루브군의 그루브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그루브군의 그루브 간격이 1.6mm일 때 상기 하단 그루브군과 상단 그루브군의 그루브 간격은 2.0m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으로 순차적으로 갈수록 각 그루브의 깊이를 깊게 증가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을 이루는 각 그루브의 깊이는 최하단 그루브를 0.5mm로 할 경우 최상단 그루브를 0.9mm로 하는 범위내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단 그루브군, 중앙 그루브군, 상단 그루브군의 각 그루브의 간격과 해당되는 타구면의 길이 비율이 25: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에 따르면, 퍼터 페이스에 상,중,하 구간별로 로프트 각도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포워드 각도를 갖는 하향 타구면이 그루브에 각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퍼터 페이스의 상,하부 및 중앙 모두에 골프 공을 직선방향으로 굴리는 효과가 상승된다.
즉, 골프 공이 퍼터 페이스의 하단 그루브군에 맞았을 때에는 골프공이 아래로 가는 성질을 하단 그루브군측의 하향 타구면에 의해 위로 뜨는 성질로 방향성을 변화시켜주고, 골프 공이 퍼터 페이스의 상단 그루브군에 맞았을 때에는 골프 공이 상단으로 뜨지 않고 상단 그루브군측 하향 타구면에 의해 하단으로 내려가는 방향성을 부여하여 직진 회전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퍼터 헤드(20)는 퍼터 페이스(22)의 그루브(groove)의 간격과 그루브의 깊이, 그루브 하향 타구면의 각도 등 골프공이 퍼터 페이스의 상단, 중앙, 하단에 맞는 것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골프공의 구질에 맞게 설계하여 실제 퍼팅의 직진성과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골프 공이 닿는 면과 그루브의 깊이, 각도, 간격을 달리하여 퍼팅 시 발생되는 다양한 골프공의 구질을 개선하고, 퍼팅 실수 시에도 골프공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퍼터 헤드(20)에는 로프트 각도(θ)를 갖는 퍼터 페이스(22)가 형성된다. 퍼터 페이스(22)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로프트 각도(θ)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포워드 각도(α1,α2,α3)에 의해 하향 타구면(31a,32a,33a)이 각기 군별로 형성된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로프트 각도(θ)란 골프 클럽 샤프트와 퍼터 페이스가 이루는 각도 또는 퍼터 페이스가 뉘워진 각도를 의미한다.
이때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의 순서로 가면서 포워드 각도(α1,α2,α3)가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포워드 각도는 α1<α2<α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트 각도가 2도 내지 4도의 범위에 있을 때 포워드 각도는 이 로프트 각도보다 더 큰 4~8도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하단 그루브군(31)의 포워드 각도(α1)는 4.2도, 중앙 그루브군(32)의 포워드 각도(α2)는 6도, 상단 그루브군(33)의 포워드 각도(α3)는 7.2도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같이 하향 타구면(31a,32a,33a)에 포워드 각도(α1,α2,α3)를 두는 것은 퍼터 페이스(22)의 상,하부 및 중앙 모두에 골프 공을 굴리는 효과를 주기 위함이다. 즉, 골프 공이 퍼터 페이스(22)의 하단 그루브군(31)에 맞았을 때에는 골프공이 아래로 가는 성질을 하단 그루브군(31)측의 감소된 하향 타구면(31a)에 의해 위로 뜨는 성질로 방향성을 변화시켜주고, 골프 공이 퍼터 페이스의 상단 그루브군(33)에 맞았을 때에는 골프 공이 상단으로 뜨지 않고 상단 그루브군(33)측 하향 타구면(33a)에 의해 하단으로 내려가는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포워드 각도(α1,α2,α3)를 서로 달리하는 이유는 임팩트 된 골프공이 위 아래로 갈려는 성질을 중앙 그루브군(32)의 가상 수평선상에 있는 가운데로 모이게 하는 구질로 변화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단 그루브군(31)은 ①번에서 ③번까지 모두 3개의 그루브(G)가, 중앙 그루브군(32)은 ④번부터 ⑧번까지 모두 5개의 그루브(G)가, 상단 그루브군(33)은 ⑨번부터 ⑪번까지 모두 3개의 그루브(G)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의 각 그루브(G) 간격은 골프공의 딤플 크기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는 딤플의 크기보다 그루브의 간격이 클 경우 골프공이 퍼터 페이스에 맞고 나아갈 때 딤플의 원형이 그루브 사이로 들어가게 되어, 구르는 성질을 높여주지 못하고 밀려나가는 성질이 커져 골프 공의 방향성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골프공의 딤프 크기가 2mm~4mm를 만족할 때 본 실시예에서 중앙 그루브군(32)의 그루브 간격(H)은 1.6mm이고 상기 하단 그루브군(31)과 상단 그루브군(33)의 그루브 간격은 2.0mm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으로 순차적으로 갈수록 각 군의 그루브의 깊이(L)를 깊게 증가시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퍼터 페이스(22)의 최하단을 0.5mm의 깊이로, 최상단을 0.9mm의 깊이로 그루브가 형성된다.
퍼터 페이스(22)의 최하단쪽 그루브의 깊이를 0.5.mm로 낮게 하는 이유는 골프 공이 퍼터 페이스의 하단에 맞을 때 골프공이 퍼터 페이스에 찍히는 형태를 취하는데, 그루브의 깊이가 최하단에서 0.5mm 이상으로 깊으면 찍히는 효과가 커져 백스핀을 증가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상단쪽 그르부의 깊이를 0.9.mm로 가장 깊게 하는 이유는 골프공이 상단에 맞을 때 위를 향해 뜨는 골프공의 성질을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로 변경하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 더욱 강한 힘을 가해 주기 위함이다. 바로 깊이가 깊으면 탄성이 더 커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의 각 그루 브의 간격(D1,D2,D3)과 해당하는 하향 타구면(31a,32a,33a)의 길이(d) 비율이 25:11를 이룬다. 예로, 어느 군에서 택일된 하나의 그루브의 간격이 2mm라면 해당하는 하향 타구면의 길이는 0.88mm이 된다.
이같이 그루브의 간격(H)과 해당하는 하향 타구면의 길이 비율을 25:11로 구성하는 이유는 그 이상이 될 경우 퍼터 페이스에 가해지는 임펙트의 힘이 분산되어 직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그 이하가 될 경우 골프공에 찍힘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퍼터 헤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퍼터 페이스(22)의 중앙에 골프 공이 맞을 경우>
이 경우에는 가장 이상적으로 골퍼가 퍼터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때 골프 공은 중앙 그루브군(32)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루브(G)에 구성된 하향 타구면(32a)에 임펙트를 받게 된다.
이때 하향 타구면(32a)은 로프트 각도(θ)보다 큰 포워드 각도(α2)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골프공에 임펙트를 가하므로, 골프공은 상향 회전으로 굴러가면서 직진성이 향상된다.
<퍼터 페이스(22)의 하단측에 골프 공이 맞을 경우>
이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골퍼가 지면을 향해 내리치는 도중에 골프공(100)을 맞히는 경우이다. 이때 골프공은 퍼터 페이스(22)의 하단 그루브군(31)의 임펙트를 받게 된다.
임펙트를 받는 골프공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지면을 향하게 되어 일반적인 퍼터 헤드의 퍼터 페이스를 사용할 경우 골프공은 백스핀을 더 크게 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단 그루브군(31)에 상단, 중단에 비해 감소시켜 형성된 하향 타구면(31a)에 의해 골프공은 상향 유도되어 진행하는 정방향으로 굴러 직진성이 향상된다.
<퍼터 페이스(22)의 상단측에 골프 공이 맞을 경우>
이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골퍼가 지면의 반대방향인 상향 스윙시 골프공을 맞히는 경우이다. 이때 골프공은 퍼터 페이스(22)의 상단 그루브군(33)의 임펙트를 받게 된다.
임펙트를 받는 골프공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지면의 반대방향을 향하게 되어 일반적인 퍼터 헤드의 퍼터 페이스를 사용할 경우 로프트 각도에 의해 골프공은 들뜨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단 그루브군(33)에 형성된 하향 타구면(31a)에 의해 로프트 각도를 줄여주고 밀어주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골프공은 하향 유도되어 진행하는 정방향으로 굴러 직진성이 향상된다.
한편, 퍼터 페이스(22)에 형성되는 그루브(G)는 도 6과 같이 하향 타구면(31a,32a,33a)에서 안쪽으로 꺽여진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오목한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퍼팅 시 골프공의 방향성을 강화시켜 주므로 실제 제품에 적용 시 각 그루브(G)의 깊이, 하향 타구면의 간격, 포워드 각도 등을 퍼팅스트로크의 특성에 맞게 맞춤생산할 수도 있다. 개인의 퍼팅스트로크가 각기 다른 만큼 그에 맞도록 본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페이스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페이스의 그루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퍼터 페이스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퍼터
22: 퍼터 페이스
31: 하단 그루브군
32: 중앙 그루브군
33: 상단 그루브군
31a,32a,33a: 하향 타구면

Claims (8)

  1. 퍼터 페이스(22)를 갖는 퍼터 헤드(20)에 있어서,
    상기 퍼터 페이스(22)에는 로프트 각도(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적어도 로프트 각도(θ)보다는 큰 서로 다른 포워드 각도(α1,α2,α3)를 갖는 다수의 그루브(G)가 형성되고, 각 그루브(G)는 해당 그루브 간격(H)보다 짧은 길이(h)를 갖는 하향 타구면(31a,32a,33a)이 각기 형성된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에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의 순서로 가면서 각 그루브(G)의 포워드 각도(α1,α2,α3)가 증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 각도(θ)가 2도 내지 4도를 이룰 때, 상기 하단 그루브군(31)의 포워드 각도(α1)는 4.2도, 중앙 그루브군(32)의 포워드 각도(α2)는 6도, 상단 그루브군(33)의 포워드 각도(α3)는 7.2도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그루브군(32)에 비해 상기 상단 그루브군(33)과 하단 그루브군(31)의 그루브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그루브군(32)의 그루브 간격이 1.6mm일 때 상기 하단 그루브군(31)과 상단 그루브군(32)의 그루브 간격은 2.0m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2)으로 순차적으로 갈수록 각 그루브(G)의 깊이(L)를 깊게 증가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2)을 이루는 각 그루브의 깊이는 최하단 그루브를 0.5mm로 할 경우 최상단 그루브를 0.9mm로 하는 범위내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 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그루브군(31), 중앙 그루브군(32), 상단 그루브군(33)의 각 그루브의 간격(H)과 해당되는 타구면(31a,32a,33a)의 길이(h) 비율이 25: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KR1020090110668A 2009-11-17 2009-11-17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KR10109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68A KR101097772B1 (ko) 2009-11-17 2009-11-17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668A KR101097772B1 (ko) 2009-11-17 2009-11-17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32A KR20110054132A (ko) 2011-05-25
KR101097772B1 true KR101097772B1 (ko) 2012-01-11

Family

ID=4436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668A KR101097772B1 (ko) 2009-11-17 2009-11-17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2326B2 (en) * 2011-09-30 2016-09-2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rooves of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rooves of golf club heads
KR101254463B1 (ko) * 2012-08-24 2013-04-12 주식회사 골드테크 골프 퍼터
JP2017080378A (ja) * 2015-10-28 2017-05-18 ブレア・エム・フィリップ パターヘッドの溝パターン
KR101691753B1 (ko) * 2015-12-11 2017-01-09 김준수 골프 퍼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KR102273433B1 (ko) * 2020-12-17 2021-07-05 윤형진 방향성 및 직진성이 개선된 골프용 퍼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976A (ja) * 1997-03-13 1998-09-22 D Life Gurlin パター形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80047955A (ko) * 2006-11-27 2008-05-30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퍼터 헤드
JP2009261886A (ja) 2008-04-01 2009-11-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976A (ja) * 1997-03-13 1998-09-22 D Life Gurlin パター形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80047955A (ko) * 2006-11-27 2008-05-30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퍼터 헤드
JP2009261886A (ja) 2008-04-01 2009-11-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132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735B2 (en) Putter face with variable sized ball contact land areas
JP6752271B2 (ja) ゴルフボールのスピンに影響を及ぼす表面特徴部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523703B2 (en) Putter type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ball striking face configuration
US5618239A (en) Groove configuration for a golf club
US6257994B1 (en) Ball striking face configurations for golf putters
KR101097772B1 (ko) 구간별 임펙트 각도를 달리하는 하향 타구면을 갖는 퍼터 헤드
US20040087387A1 (en) Golf club head having dual-drafted grooves
US20090156328A1 (en) Putter face groove pattern for improved feel, accuracy and distance control
US20080161124A1 (en) Wood golf club head
WO2010126808A1 (en) Vertically curved face putter with multiple horizontal contact facets
CA2370940A1 (en) Golf club having angular grooves
US2017023953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face of a putter
US20160166898A1 (en) Golf tee
US20210162276A1 (en) Golf putter head and golf putter including same
US9808684B2 (en) Iron set groove progression
KR101719555B1 (ko) 골프용 퍼터 헤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용 퍼터
KR200423011Y1 (ko) 골프 퍼터의 헤드
KR101254463B1 (ko) 골프 퍼터
US20020065143A1 (en) Golf club head with multiple dimpled face
KR100753030B1 (ko) 골프공의 딤플 내부 구조
KR200456715Y1 (ko) 골프 클럽 헤드
KR200402384Y1 (ko) 아이언 클럽 헤드
KR101691753B1 (ko) 골프 퍼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KR101183428B1 (ko) 골프 클럽
KR102397542B1 (ko) 타격 지점의 조절이 용이한 골프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