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320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20B1
KR101097320B1 KR1020090121303A KR20090121303A KR101097320B1 KR 101097320 B1 KR101097320 B1 KR 101097320B1 KR 1020090121303 A KR1020090121303 A KR 1020090121303A KR 20090121303 A KR20090121303 A KR 20090121303A KR 101097320 B1 KR101097320 B1 KR 10109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encapsulation
substrate
region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620A (ko
Inventor
권오섭
고성수
한병욱
노재상
홍원의
이석영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씰텍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과 봉지기판을 글라스 프릿으로 봉지함에 있어서,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공정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121303
주울 가열, 봉지, 프릿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판과 봉지기판을 글라스 프릿으로 봉지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음극선관(cathode ray tube)과 같은 종래의 표시소자의 단점을 해결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등과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가 주목받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자체발광소자가 아니라 수광소자이기 때문에 밝기, 콘트라스트, 시야각 및 대면적화 등에 한계가 있고, PDP는 자체발광소자이기는 하지만, 다른 평판형표시장치에 비해 무게가 무겁고, 소비전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방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자체발광소자이기 때문에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고, 소비 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 범위도 넓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방법이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100)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110)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110)는 제 1 전극,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봉지기판(120)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100) 또는 봉지기판(120)의 일면에 글라스 프릿(130)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00)과 봉지기판(120)을 합착한다.
이후에, 상기 글라스 프릿(13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글라스 프릿(130)을 용융하고 고상화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제조된다.
하지만, 상기 레이저 조사에 의한 글라스 프릿의 용융은 레이저 조사 장비가 고가라는 점에서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레이저를 조사함에 있어서, 글라스 프릿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야 하므로 정밀한 어라인이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각각의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야 하므로 공정시간이 길 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과 봉지기판을 글라스 프릿으로 봉지함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층;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3 도전층을 기준으로, 제 1 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와 제 1 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도전층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4 도전층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5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도전층은 상부 제 4 도전층 및 하부 제 4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상부 제 4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하부 제 4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5 도전층은 우측 제 5 도전층 및 좌측 제 5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우측 제 5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좌측 제 5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 2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2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구비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과 상기 기판의 봉지영역이 대응되도록,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은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이후, 상기 봉 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구비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과 상기 기판의 봉지영역이 대응되도록,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은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2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이후,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도전층 또는 제 4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도전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글라스 프릿에 줄열을 가해 용융시켜 봉지기판을 봉지함으로써,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공정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2d는 도 2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300)은 화소영역(Ⅰ), 봉지영역(Ⅱ) 및 전계인가영역(Ⅲ)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화 소영역(Ⅰ)은 후술할 바와 같은 소자기판의 화소영역(Ⅰ)에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봉지영역(Ⅱ)은 후술할 바와 같은 소자기판의 봉지영역(Ⅱ)에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은 후술할 바와 같은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제3도전층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300)은 상기 봉지영역(Ⅱ)에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에 상기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도전층(310b)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전층(310a)은 제1방향, 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층(320)은 제2방향,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상기 제2도전층(320)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봉지영역(Ⅱ)을 정의하며, 상기 제3도전층(310b)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도전층(310b)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제1도전층(310a)으로 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b와는 반대로, 상기 제3도전층(310b)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제1도전층(310a)으로 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도전층(310b)은 상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상부 제3도전층(310b) 및 하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직선형태로 연장되는 하부 제3도전층(310b)을 포함하며, 상부 제3도전층 및 하부 제3도전층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부 제3도전층과 하부 제3도전층을 기준으로,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이하, "제1경로"라 함)와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이하, "제2경로"라 함)가 동일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는 제3도전층은 제2도전층(32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도전층이 제2도전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제2도전층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일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우측 제3도전층 및 좌측 제2도전층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일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좌측 제3도전층을 포함하며, 우측 제3도전층 및 좌측 제3도전층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우측 제3도전층과 좌측 제3도전층을 기준으로,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이하, "제1경로"라 함)와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이하, "제2경로"라 함)가 동일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3도전층은 상기 제1도전층 또는 상기 제2도전층으부터 연장되는 개수는 2개이며, 상기 2개의 제3도전층을 기준으로 제1 도전층으로부터 제2도전층까지의 제1경로 및 제2경로가 동일하도록, 상기 2개의 제3도전층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도전층 내지 제3도전층은 투명성 도전 박막 또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성 도전박막은 ITO(Indium Tine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박막은 Mo, Ti, Cr, Al, Cu, Au, Ag, Pd 또는 MoW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층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도전층 내지 제3도전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기상증착(Evaporation)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500Å 내지 3000Å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층의 형성방법 및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도전층 내지 제3도전층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분류하였지만, 이들 층은 제조공정 측면에서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은 화소영역(Ⅰ) 및 봉지영역(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판(200)은 절연 유리, 플라스틱 또는 도전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기판(200)의 화소영역(Ⅰ)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210)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210)는 제 1 전극(220),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230) 및 제 2 전극(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2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22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면발광 구조일 경우,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층(230)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40)은 일함수가 낮은 Mg, Ag, Al, Ca 및 이들의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210)는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는 탑(top)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bottom)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210)을 덮는 보호막(2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250)은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210)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막으로 유기막, 무기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봉지기판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을 합착하기 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봉지기판(300)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2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즉, 기판(200)의 화소영역(Ⅰ) 및 봉지영역(Ⅱ)이 봉지기판의 화소영역(Ⅰ) 및 봉지영역(Ⅱ)과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봉지기판(300)은 봉지영역(Ⅱ)에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즉,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상기 제2도전층(320)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봉지영역(Ⅱ)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상기 제2도전층(320)에 봉지를 위한 글라스 프릿(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글라스 프릿(280)은 산화납(PbO), 삼산화이붕소(B2O8) 및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글라스 프릿(280)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디스펜싱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글라스 프릿이 재료 및 형성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면에는 상기 글라스 프릿을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 상에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상기 제2도전층(320)과 대응되는 기판(200)측의 영역에 글라스 프릿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글라스 프릿이 봉지기판(300) 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글라스 프릿이 기판(200) 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봉지기판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을 합착한 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마주보고 배치된 봉지기판과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한다.
이때,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봉지기판(300)의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된 제3도전층(310b)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즉, 상기 제3도전층(310b)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과 봉지기판이 합착되더라도 상기 제3도전층(310b)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도전층의 구체적인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3도전층(310b)에 전계를 인가하여 줄열을 발생시켜, 상기 글라스 프릿(330)을 용융하고 고상화하여, 기판(200)과 봉지기판(300)을 접착시켜 봉지공정을 완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는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전층에 대한 전계 인가는 글라스 프릿을 용융할 수 있는 온도 이상의 고열을 주울 가열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는 파워 밀도(power density)의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주울 가열(Joule Heating)을 발생시키는데, 주울 가열이란, 도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때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계의 인가로 인한 주울 가열에 의해 도전층에 가해지는 단위 시간당 에너지량은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W = V ×I
상기 식에서, W 는 주울 가열의 단위 시간당 에너지량, V 는 도전층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I 는 전류를 각각 의미한다.
상기 식으로부터, 전압(V)이 증가할수록, 및/또는 전류(I)가 클수록, 주울 가열에 의해 도전층에 가해지는 단위 시간당 에너지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주울 가열에 의해 도전층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전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글라스 프릿이 용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계의 인가는 상기 도전층의 저항, 길이, 두께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므로 특정되기는 어려우나, 약 100 W/cm2 ~ 1,000,000 W/cm2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인가되는 전류는 직류이거나 교류일 수 있으며, 전계의 인가 시간은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시간이 1/10,000,000 ~ 10초일 수 있다. 이러한 전계의 인가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단위로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지기판은 제1도전층 내지 제3도전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봉지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도전층(310b)은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어 있어, 기판과 봉지기판을 합착하더라도 상기 제3도전층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결국,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기 위하여 전계를 인가하는 공정은 기판과 봉지기판을 합착한 이후의 공정이므로, 상기 제3도전층(310b)을 통해 전계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제3도전층(310b)은 전계를 인가하여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제3도전층(310b)과 하부 제3도전층(310b)에 전계를 인가한다.
이때,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은 상기 제3도전층과의 관계에서 병렬관계이다.
즉, 상기 제1도전층(310a) 및 제2도전층(320)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도전층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1도전층(310a)으로 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3도전층 및 하부 제1도전층(310a)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3도전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 제3도전층(310b)과 하부 제3도전층(310b)에 전계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에 병렬 로 전계를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1회의 전계인가 만으로, 상기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 전체 영역에 줄열을 발생시켜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부 제3도전층과 하부 제3도전층을 기준으로,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와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1도전층 및 제2도전층에 발생되는 줄열이 균일하도록 조절하여 봉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도전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글라스 프릿에 줄열을 가해 용융시킴으로써, 봉지기판을 봉지한다.
즉, 종래의 레이저 조사에 의한 글라스 프릿의 용융은 레이저 조사 장비가 고가라는 점에서 제조단가를 상승시켰으나, 상기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조사에 의한 글라스 프릿의 용융은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밀한 얼라인이 필요하나, 상기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방식은 도전층 상부 또는 하부에 글라스 프릿을 형성하여 전계를 인가하면 되므로,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기 위한 정밀한 얼라인이 중요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시간은 수 초에 해당하므로 공정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e는 도 7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에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지기판(400)은 화소영역(Ⅰ), 봉지영역(Ⅱ) 및 전계인가영역(Ⅲ)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화소영역(Ⅰ)은 후술할 바와 같은 소자기판의 화소영역(Ⅰ)에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봉지영역(Ⅱ)은 후술할 바와 같은 소자기판의 봉지영역(Ⅱ)에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은 후술할 바와 같은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제3도전층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도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지기판(400)은 상기 봉지영역(Ⅱ)에 제1도전층(410a) 및 제2도전층(420a)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에 상기 제1도전층(410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도전층(410b)을 포함하고, 상기 전계인가영역(Ⅲ)에 상기 제2도전층(420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도전층(420b)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전층(410a)은 제1방향, 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층(420a)은 제2방향,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층(410a) 및 상기 제2도전층(420a)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봉지영역(Ⅱ)을 정의하며, 상기 제3도전층(410b)은 제1도전층(41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봉지영역(Ⅱ)의 외측 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고, 상기 제4도전층(420b)은 제2도전층(42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전층 내지 제4도전층은 투명성 도전 박막 또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성 도전박막은 ITO(Indium Tine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박막은 Mo, Ti, Cr, Al, Cu, Au, Ag, Pd 또는 MoW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층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은 제1도전층 내지 제4도전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도전층(410a) 및 제2도전층(420a)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봉지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도전층(410b) 및 제4도전층(420b)은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에 형성되어 있어, 기판과 봉지기판을 합착하더라도 상기 제3도전층 및 상기 제4도전층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결국,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기 위하여 전계를 인가하는 공정은 기판과 봉지기판을 합착한 이후의 공정이므로, 상기 제3도전층(410b) 및 제4도전층(420b)을 통해 전계를 인가하게 된다. 즉, 제3도전층(410b) 및 제4도전층(420b)은 전계를 인가하여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봉지영역(Ⅱ)의 외측인 전계인가영역(Ⅲ) 에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2회에 걸쳐 전계를 인가하여 글라스 프릿을 용융시키는데, 도 8a는 첫번째 전계인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b는 두번째 전계인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2회의 전계인가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제3도전층(410b)과 하부 제3도전층(410b)에 전계를 인가한다.
이 경우, 제3도전층(410b)은 제1도전층(41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제3도전층(410b)과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상부 제1도전층(410a)는 등전위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하부 제3도전층(410b)과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하부 제1도전층(410a)은 등전위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상부 제3도전층(410b)과 하부 제3도전층(410b)이 각각 등전위를 형성하더라도, 이들 각각이 갖는 전압은 서로 상이하여, 제2도전층(420a)의 양 끝단에 걸리는 전압이 상이하므로, 결국, 제2도전층에는 전류가 흘러, 줄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부 제3도전층(410b)과 하부 제3도전층(410b)에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제2도전층(420a)에 줄열이 발생하여, 상기 제2도전층(420a)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글라스 프릿이 용융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제4도전층(420b)과 좌측 제4도전층(420b)에 전계를 인가한다.
이 경우, 제4도전층(420b)은 제2도전층(420a)으로부터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제4도전층(420b)과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우측 제2도전층(420a)는 등전위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좌측 제4도전층(420b)과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좌측 제2도전층(420a)은 등전위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우측 제4도전층(420b)과 좌측 제4도전층(420b)이 각각 등전위를 형성하더라도, 이들 각각이 갖는 전압은 서로 상이하여, 제1도전층(410a)의 양 끝단에 걸리는 전압이 상이하므로, 결국, 제1도전층에는 전류가 흘러, 줄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우측 제4도전층(420b)과 좌측 제4도전층(420b)에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제1도전층(410a)에 줄열이 발생하여, 상기 제2도전층(410a)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글라스 프릿이 용융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2d는 도 2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봉지기판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을 합착하기 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봉지기판과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을 합착한 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지기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e는 도 7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Claims (37)

  1.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 1 도전층;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4 도전층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5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도전층은 상부 제 4 도전층 및 하부 제 4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상부 제 4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하부 제 4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도전층은 우측 제 5 도전층 및 좌측 제 5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우측 제 5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좌측 제 5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3 도전층을 기준으로, 제 1 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와 제 1 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투명성 도전 박막 또는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10.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2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2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기판.
  13.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4 도전층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5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도전층은 상부 제 4 도전층 및 하부 제 4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상부 제 4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 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하부 제 4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도전층은 우측 제 5 도전층 및 좌측 제 5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우측 제 5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기 좌측 제 5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3 도전층을 기준으로, 제 1 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와 제 1 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1.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포함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2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2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4.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구비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과 상기 기판의 봉지영역이 대응되도록,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은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층이 연장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의 복수의 도전층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이후,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를 인가하는 것은 100 W/cm2 내지 1,000,000 W/cm2 의 파워밀도로 1/10,000,000 ~ 10 초 동안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상기 제 3 도전층을 기준으로, 제 1 도전층의 시계방향으로의 길이와 제 1 도전층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제 3 도전층은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0. 화소영역 및 봉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영역 및 전계인가영역을 구비하는 봉지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과 상기 기판의 봉지영역이 대응되도록,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은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봉지영역에 위치하고, 제2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2 도전층;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도전층; 및 상기 봉지기판의 전계인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2 도전층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이후,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여 봉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도전층 또는 제 4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글라스 프릿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를 인가하는 것은 100 W/cm2 내지 1,000,000 W/cm2 의 파워밀도로 1/10,000,000 ~ 10 초 동안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층 및 상기 제 4 도전층은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층은 상부 제 3 도전층 및 하부 제 3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 상부 제 3 도전층 및 상기 하부 제 3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도전층은 우측 제 4 도전층 및 좌측 제 4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 우측 제 4 도전층 및 상기 좌측 제 4 도전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90121303A 2009-12-08 2009-12-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9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303A KR101097320B1 (ko) 2009-12-08 2009-12-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303A KR101097320B1 (ko) 2009-12-08 2009-12-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620A KR20110064620A (ko) 2011-06-15
KR101097320B1 true KR101097320B1 (ko) 2011-12-21

Family

ID=4439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303A KR101097320B1 (ko) 2009-12-08 2009-12-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80B1 (ko) * 2012-03-23 2018-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54757A (ko) 2019-11-06 2021-05-14 유호연 수동 폴딩 레버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037B1 (ko) 1998-05-18 2003-08-19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소자 패키지 및 소자 봉지 방법
WO2009108321A1 (en) * 2008-02-29 2009-09-03 Corning Incorporated Frit sealing using direct resistive hea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037B1 (ko) 1998-05-18 2003-08-19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소자 패키지 및 소자 봉지 방법
WO2009108321A1 (en) * 2008-02-29 2009-09-03 Corning Incorporated Frit sealing using direct resistive he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620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5561B (zh) 有機發光顯示設備
US10229965B2 (en) Method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799006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85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repair method thereof
US816425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1202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265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269291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
KR102009802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978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7270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931210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794631A (zh) 柔性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CN106653768A (zh) Tft背板及其制作方法
TW200306754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683407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7112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20190363145A1 (en) Oled panel, method for producing oled panel,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led panel
TW200307228A (en) Display device
JP6744479B2 (ja) 表示デバイス、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表示デバイスの製造装置
KR10109732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09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1946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08417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9612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