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181B1 -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181B1
KR101097181B1 KR1020110107702A KR20110107702A KR101097181B1 KR 101097181 B1 KR101097181 B1 KR 101097181B1 KR 1020110107702 A KR1020110107702 A KR 1020110107702A KR 20110107702 A KR20110107702 A KR 20110107702A KR 101097181 B1 KR101097181 B1 KR 10109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essure
flow
cylin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빈
김형근
박의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0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분리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연소관에서의 압력 형성과 비슷한 속도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 내부에 부착된 부품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노즐 마개(45)가 구비된 노즐(40)이 결합되고,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35)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부(30)와; 상기 유량 조절부(30)의 타측에 결합되어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30)를 향하여 내부의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급 개방부(20)와; 고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급 개방부(20)에 공급하는 고압가스 발생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할 때 급 개방부에서 순간적인 고압을 제공함에 따라 실제 노즐에서와 같이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는 노즐의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고, 유량 제어부를 통해 고압의 압축 공기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각 다른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노즐용 부품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Variable Rapid Pressure Rising Rate Simulator for Nozzle}
본 발명은 노즐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분리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연소관에서의 압력 형성과 비슷한 속도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관에 작용하는 다양한 압력의 상승 속도를 각각 정확하게 모사함으로써 그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한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즐의 내부에 부착되는 부품으로는 비교적 낮은 압력에 분리되는 습기 방지용 웨더 실(Weather Seal)과 추진제의 점화 성능에 도움이 되도록 연소관에 일정 압력이 형성될 때까지 버티다가 이탈되는 노즐 마개가 있다. 이러한 노즐용 부품들의 분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 노즐의 연소관에서 압력이 형성되는 속도와 비슷한 속도로 압력을 형성하면서 부품들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모사 시험이 요구된다. 이때, 압력 상승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압력에서 분리되는 부품들을 고려하면, 단일한 압력 상승 속도만으로는 각 부품들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연소관 내의 여러 압력 상승 속도를 정확하게 모사하여야만 각 부품들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 내에 부착된 부품들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구동기를 이용한 구조 시험과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공압 시험이 있으며, 구동기를 이용한 구조 시험은 연소실 내의 동압력을 집중 하중으로 모사하게 되므로 평가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공압 시험의 경우에는 동압력으로 시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구동기를 이용한 구조 시험에 비해서는 유리하지만 노즐 내부의 압력 상승 속도를 정확하게 모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노즐 마개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노즐용 공압 시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노즐 마개(125)가 구비된 노즐(120)이 부착되고 상기 노즐 마개(125)와의 사이에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압력실(105)이 형성되도록 하는 실린더(104)와,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101)와, 압축된 고압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2)와, 상기 실린더(104)와 저장탱크(102)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03)와, 상기 실린더(104)와 개폐밸브(103) 사이에서 분기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104)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10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노즐용 공압 시험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의 개구부에 노즐 마개가 구비된 노즐을 장착한 후,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서 압력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공기 압축기(101)의 작동에 따라 공기가 압축되며, 압축된 고압 공기는 저장탱크(102)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02)와 실린더(104)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개폐밸브(103)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102)의 압축공기가 상기 실린더(104) 내로 유입됨으로써 압력실(105) 내부의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03)의 개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상기 압력실(105)의 압력(P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상기 노즐(120)에 부착된 노즐 마개(125)가 분리되는 순간 급격하게 하강하게 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압력실(105)의 압력이 200 psig에서 400psig로 변화하는 동안의 압력 상승률은 0.02psig/msec로 확인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노즐용 공압 시험장치는, 개폐밸브의 개도에 따라 압력실의 압력이 선형적으로 변화할 뿐이어서 실제 노즐에 작용하는 압력의 상승 속도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없고 각각 다른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노즐용 부품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노즐에서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는 노즐의 압력 변화를 모사함과 아울러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 공기 유량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각각 다른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노즐용 부품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오리피스와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모사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 공기 유량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조절부에 의해 유량이 제어된 고압의 압축 공기만이 모사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유량 조절판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의 직경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압축 공기의 유량을 용이하게 제어하면서도 유량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순간적으로 파열되면서 모사부에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즐 내부에 부착된 부품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노즐 마개가 구비된 노즐이 결합되고,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부와; 상기 유량 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를 향하여 내부의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급 개방부와; 고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급 개방부에 공급하는 고압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유량 조절부는, 일단에 상기 급 개방부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유량 조절판과, 상기 모사부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판의 오리피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와, 상기 모사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모사부는 상기 유량 조절판과 상기 노즐의 노즐 마개 사이의 내부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유량 조절판에 형성되는 오리피스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되, 점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급 개방부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상기 유량 조절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로부터 유입된 고압공기가 저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유량 조절부가 연결되는 상기 실린더의 출구에 위치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파열되는 파열판과, 상기 실린더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을 지지하는 파열판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는, 공기 압축기와,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급 개방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는 상기 급 개방부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개폐밸브와 급 개방부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된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는,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할 때 급 개방부에서 순간적인 고압을 제공함에 따라 실제 노즐에서와 같이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는 노즐의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고, 유량 제어부를 통해 고압의 압축 공기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각 다른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노즐용 부품의 분리 성능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유량 조절판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해 고압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각 오리피스에 플러그를 결합시켜 압축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게 되므로, 오리피스와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모사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 공기 유량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유량 조절판의 후방에 모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유량 조절부에 의해 유량이 제어된 고압의 압축 공기만이 모사부로 유입되어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유량 조절판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의 직경이 다양하게 형성됨에 따라 개방된 오리피스들의 합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각 오리피스에 대한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를 통해 유량을 제어하여 모사부에 작용하는 압력 및 그 상승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따르면, 급 개방부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파열판이 순간적으로 파열되면서 유량 제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도록 하므로 실제 노즐의 점화시와 같이 모사부에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노즐 마개 분리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종래의 공압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공압 시험장치에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압력실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유량 조정판의 도면.
도 5와 6은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의 가변 급 압력상승률 모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노즐 마개(45)가 구비된 노즐(40)이 결합되고,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35)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부(30)와; 상기 유량 조절부(30)의 타측에 결합되어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30)를 향하여 내부의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급 개방부(20)와; 고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급 개방부(20)에 공급하는 고압가스 발생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노즐(10)의 내부에 부착된 각종 부품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게 된다.
상기 유량 조절부(30)는, 일단에 상기 급 개방부(2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오리피스(32')가 형성된 유량 조절판(32)과, 상기 모사부(35)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판(32)의 오리피스(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33)와, 상기 모사부(35)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사부(35)는 상기 유량 조절판(32)과 상기 노즐(40)의 노즐 마개(45) 사이의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판(32)에 형성되는 오리피스(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들 오리피스(32')는 점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 개방부(20)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상기 유량 조절부(30)에 결합되며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10)로부터 유입된 고압공기가 저장되는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21)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2)와, 상기 유량 조절부(20)의 실린더(21)가 연결되는 상기 실린더(21)의 출구에 위치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파열되는 파열판(23)과, 상기 실린더(21)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23)을 지지하는 파열판 홀더(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열판(23)은 평가하고자 하는 노즐용 부품의 부착력을 고려하여 적당한 파열 압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또,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10)는, 공기 압축기(11)와,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2)와, 상기 저장탱크(12)와 급 개방부(20)의 실린더(21)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3)와, 상기 개폐밸브(13)와 실린더(21)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된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21) 내부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15)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51은 상기 급 개방부의 실린더와 상기 유량 조절부의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볼트이고, 52는 상기 유량 조절부의 실린더와 노즐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볼트이며, 53은 상기 급 개방부와 유량 조절부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한 오-링이고, 54는 상기 유량 조절부와 노즐 사이를 기밀 시키기 위한 오-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상승률 모사장치는 로켓의 연소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압력 상승 속도들을 정확하게 모사하게 된다.
고압가스 발생부(10)는 공기 압축기(11)를 이용하여 저장탱크(12)에 압축된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탱크(12)에 일정한 압력으로 저장된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는 개폐밸브(13)를 개방함에 따라 급 개방부(20)의 실린더(21) 내로 유입된다. 상기 실린더(21)는 파열판(2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공기의 유입에 따라 내부 압력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 개방부(20)의 실린더(21) 내부 압력은 압력 센서(22)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배기 밸브(15)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2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1)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23)을 고정하는 파열판 홀더(24)와 실린더(21) 사이의 기밀은 체결볼트(51)의 체결력을 이용하며, 상기 파열판(23)이 금속 기밀제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2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상기 급 개방부(20)의 실린더(21)에 전달된 공기의 압력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상기 파열판(23)이 순간적으로 파괴되면서 상기 실린더(21) 내부의 공기가 유량 조절부(3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파열판(23)의 파열에 따른 개방 속도는 기존의 밸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며, 이는 실제 로켓이 점화된 후 연소관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상황에 대응된다.
상기 파열판(23)의 파괴에 따라 상기 급 개방부(20)의 고압 공기는 상기 유량 조절부(30)로 공급되며, 상기 파열판 홀더(24)와 상기 유량 조절부(30)의 실린더(31) 사이의 기밀은 오-링(53)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유량 조절부(30)로 유입된 고압 공기는 유량 조절판(32)의 개방된 오리피스(32')들을 통해 모사부(35)로 흐르게 되므로, 플러그(33)를 이용하여 상기 유량 조절판(32)에 형성된 다수의 오리피스(32')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 개방부(20)의 파열판(23)의 파열 압력과 상기 유량 조절판(32)의 개방된 오리피스(32')들의 합 면적 크기를 플러그(33)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상기 모사부(35)에서의 압력 상승 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사부(35)의 내부 압력은 압력 센서(34)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모사부(35)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노즐(40)에 설치된 노즐 마개(45)가 분리되므로, 상기 압력 센서(34)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마개(45)가 분리될 때까지의 상기 모사부(35)의 내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노즐 마개(45)의 분리 성능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는 로켓의 연소 초기에 노즐에 작용하는 여러 압력 상승 속도들을 정확하게 모사함으로써, 노즐 마개의 토출 메커니즘이나 상기 노즐 마개의 분리 압력 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고체 로켓의 점화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노즐 마개 등의 분리 압력을 연소초기의 여러 압력 상승속도에 대응하여 정확하고 쉽게 평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5와 6은 본 발명의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유량 조절판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5의 (a))와, 유량 조절판의 모든 오리피스가 개방된 경우(도 5의 (b)), 유량 조절판의 오리피스 중 절반만 개방된 경우(도 6의 (a)) 및 유량 조절판의 소형 오리피스만 개방된 경우(도 6의 (b))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각 그래프를 참조하여 모사부의 압력(P2)이 200 psig에서 400psig로 변화하는 동안의 압력 상승률은 비교하면, 유량 조절판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1336 psig/msec, 유량 조절판의 모든 오리피스가 개방된 경우에는 125.543 psig/msec, 유량 조절판의 오리피스 중 절반만 개방된 경우에는 73 psig/mse 및 유량 조절판에 형성된 소형 오리피스만 개방된 경우에는 3.6 psig/msec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고압가스 발생부
11...공기 압축기
12...저장탱크
13...개폐밸브
15...배기밸브
20...급 개방부
21...실린더
22...압력 센서(P1)
23...파열판
24...파열판 홀더
30...유량 조절부
31...실린더
32...유량 조절판
32'...오리피스(Orifice)
33...플러그(Plug)
34...압력센서(P2)
35...모사부
40...노즐(Nozzle)
45...노즐 마개
51, 52...체결볼트
53, 54...오-링(O-Ring)

Claims (7)

  1. 노즐 내부에 부착된 부품의 분리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노즐 마개(45)가 구비된 노즐(40)이 결합되고,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실제 노즐의 연소관 내부에 대응하는 모사부(35)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부(30)와;
    상기 유량 조절부(30)의 타측에 결합되어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30)를 향하여 내부의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급 개방부(20)와;
    고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급 개방부(20)에 공급하는 고압가스 발생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30)는, 일단에 상기 급 개방부(2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오리피스(32')가 형성된 유량 조절판(32)과, 상기 모사부(35)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판(32)의 오리피스(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33)와, 상기 모사부(35)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부(35)는 상기 유량 조절판(32)과 상기 노즐(40)의 노즐 마개(45) 사이의 내부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판(32)에 형성되는 오리피스(32')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되, 점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 개방부(20)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상기 유량 조절부(30)에 결합되며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10)로부터 유입된 고압공기가 저장되는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21)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2)와, 상기 유량 조절부(20)가 연결되는 상기 실린더(21)의 출구에 위치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파열되는 파열판(23)과, 상기 실린더(21)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23)을 지지하는 파열판 홀더(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10)는, 공기 압축기(11)와,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2)와, 상기 저장탱크(12)와 급 개방부(2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가스 발생부(10)는 상기 급 개방부(20)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15)는 상기 개폐밸브(13)와 급 개방부(20)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된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KR1020110107702A 2011-10-20 2011-10-20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KR101097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02A KR101097181B1 (ko) 2011-10-20 2011-10-20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02A KR101097181B1 (ko) 2011-10-20 2011-10-20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181B1 true KR101097181B1 (ko) 2011-12-21

Family

ID=4550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02A KR101097181B1 (ko) 2011-10-20 2011-10-20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1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664B1 (ko) * 2016-09-22 2017-04-13 국방과학연구소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추진기관 시험용 노즐 구조체
CN106837611A (zh) * 2017-01-26 2017-06-1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固液火箭发动机喷管气密检查装置
CN109083767A (zh) * 2018-07-26 2018-12-25 西安航天动力技术研究所 一种固体火箭发动机喷管薄壁壳体水压检验装置
KR102059388B1 (ko) 2013-07-04 2019-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레셔 블리딩 기능을 갖는 파열판
KR102073734B1 (ko) * 2018-11-02 2020-03-02 강형민 토출헤드 교체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102166915B1 (ko) * 2019-07-03 2020-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압력파 생성 장치
KR102347519B1 (ko) 2021-06-11 2022-01-06 강형민 회전 타격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5A (en) 1979-06-15 1981-01-07 Nissan Motor Co Ltd Heat-resistant material test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45A (en) 1979-06-15 1981-01-07 Nissan Motor Co Ltd Heat-resistant material testing uni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88B1 (ko) 2013-07-04 2019-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레셔 블리딩 기능을 갖는 파열판
KR101726664B1 (ko) * 2016-09-22 2017-04-13 국방과학연구소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추진기관 시험용 노즐 구조체
CN106837611A (zh) * 2017-01-26 2017-06-1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固液火箭发动机喷管气密检查装置
CN109083767A (zh) * 2018-07-26 2018-12-25 西安航天动力技术研究所 一种固体火箭发动机喷管薄壁壳体水压检验装置
KR102073734B1 (ko) * 2018-11-02 2020-03-02 강형민 토출헤드 교체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102166915B1 (ko) * 2019-07-03 2020-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압력파 생성 장치
KR102347519B1 (ko) 2021-06-11 2022-01-06 강형민 회전 타격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181B1 (ko)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CN103712744B (zh) 正阶跃力试验系统
CN104407013B (zh) 测量气体爆炸对结构影响的实验装置
CN106353180B (zh) 一种正压作用时间可调的爆炸波模拟装置
KR101680999B1 (ko) 타이어 시험 장치의 공기압 회로
RU2020100051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запуска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KR101256719B1 (ko) 압력방출밸브 부가배압 시험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6353206B (zh) 一种用于空气炮的快速关闭装置
JP4886386B2 (ja) 高圧ガス供給方法
KR20220081032A (ko) 유체 제어밸브용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KR102198689B1 (ko) 안전밸브 성능시험 측정장치
US20140102551A1 (en) Equipment comprising at least one hydropneumatic accumulator with automated maintenance
RU2011133070A (ru) Способ гашения работающего рдтт при испытаниях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3804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пытаний фюзеляж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на выносливость
JP2021177132A (ja) 安全弁の性能試験測定装置
US89105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primary and secondary blast
CN204679261U (zh) 一种减压阀、压力调节器试验系统
CN210571315U (zh) 一种液体火箭用阻火器测试平台
KR20180040206A (ko) 안전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
CN113758658A (zh) 飞机管路气密试验装置及方法
RU2818864C1 (ru) Стенд для настройки и испытания автомата аварийного закрытия крана
US3085422A (en) Hydro-dynamic loader
KR101802603B1 (ko) 제자리에서의 파이로 장치 성능 시험을 위한 공압 장치 및 시험방법
KR101491837B1 (ko) 지연 밸브
CN114459767B (zh) 一种火箭发动机低温供应系统特性模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