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83B1 -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83B1
KR101096783B1 KR1020110088134A KR20110088134A KR101096783B1 KR 101096783 B1 KR101096783 B1 KR 101096783B1 KR 1020110088134 A KR1020110088134 A KR 1020110088134A KR 20110088134 A KR20110088134 A KR 20110088134A KR 101096783 B1 KR101096783 B1 KR 10109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gear
rod
clean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스워드
Original Assignee
첸 스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 스워드 filed Critical 첸 스워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02Shakers for dust-cloths or mops; Bumper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회전봉이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되는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걸레와 물의 간섭을 증대시켜 걸레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에 따라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는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 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밀대봉과 연결되어 하단에 걸레가 결착되는 회전봉이 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의 상기 회전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레가 결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상측 연결부가 내삽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 하측에 일정지름을 가지는 수평기어가 구비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 고정되어 하측으로부터 걸레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한편, 저면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결합고정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변속장치 케이스;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의 결합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한편,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주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내주 면에 기어부를 가지는 내접기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가 하측으로부터 삽입 연결되는 한편, 상기 삽입공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유성 캐리어; 및 상기 유성 캐리어의 각 돌출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중심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각 기어와 상호 맞물려 돌아가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APPARATUS FOR CLEANING TRANSMISSION OF PUSH-STICK MOP}
본 발명은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회전봉이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되는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걸레와 물의 간섭을 증대시켜 걸레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에 따라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push-stick mop)란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한 밀대, 즉 봉이 달린 걸레를 말하며, 이러한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형 걸레와 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형 걸레는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 즉 자가 회전 자루걸레로서 이러한 자가 회전이 가능한 자루걸레는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4444호(특허문헌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대봉(10)과 회전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대봉(10)과 회전봉(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가 회전 자루걸레에서 상기 밀대봉(10)은 외부 튜브(11)를 포함하고 회전봉(40)은 내부 튜브(41)를 포함하며, 작동 로드(13)와 회전 부재(30)는 외부 튜브(11)와 내부 튜브(41)에 대응하며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작동 로드(13) 위에 형성된 나선형 트랙들(131) 덕분에, 외부 튜브(11)가 회전 디스크(42)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부재(30)는 나선형 트랙들(131) 상에서 회전하여 회전 운동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고, 이로써 내부 튜브(41)와 그 밑에 위치한 회전 디스크(42)가 구동되어 회전 운동 스트로크를 함께 발생시킨다.
즉, 상기 밀대봉(10)의 하강시 상기 회전봉(4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봉(40)을 구성하는 내부튜브(41)와 결합되는 회전디스크(42) 하단에 결착된 걸레(미도시)가 상기 회전봉(40)을 구성하는 내부튜브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동일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가 회전 자루걸레는 세척 및 탈수를 위한 밀대 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 또는 탈수유닛의 세척결착구 또는 탈수결착구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상기 밀대봉(10)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봉(40)이 고속 회전됨으로써 회전봉(40)을 구성하는 내부튜브(41)와 결합되는 회전디스크(42) 하단에 결착된 걸레(미도시)가 상기 각 세척결착구 또는 탈수결착구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가 회전 자루걸레는 밀대봉(10)을 반복 승강시켜 회전봉(40)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이러한 고속 회전에 따라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이 이루어지며, 밀대봉(10)을 반복 승강시켜 회전봉(40)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이러한 고속 회전에 따라 탈수유닛을 통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자가 회전 자루걸레는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10)의 반복 승강에 따라 회전봉(40)이 고속으로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40)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수중에서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수중에서의 걸레와 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걸레의 세척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회전봉(40)이 고속으로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40)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수중에서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속 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자가 회전 자루걸레의 제품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고속 회전에 의해 소음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KR 0454444 Y1 2011.06.2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회전봉이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킬 수 있도록 한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걸레와 물의 간섭을 증대시켜 걸레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으로써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해 증가하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는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 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밀대봉과 연결되어 하단에 걸레가 결착되는 회전봉이 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의 상기 회전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레가 결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상측 연결부가 내삽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 하측에 일정지름을 가지는 수평기어가 구비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 고정되어 하측으로부터 걸레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한편, 저면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결합고정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변속장치 케이스;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의 결합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한편,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주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내주 면에 기어부를 가지는 내접기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가 하측으로부터 삽입 연결되는 한편, 상기 삽입공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유성 캐리어; 및 상기 유성 캐리어의 각 돌출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중심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각 기어와 상호 맞물려 돌아가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심기어는 상기 수평기어 하측에 외향 확장되어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제1 래칫기어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성 캐리어는 상기 제1 래칫기어가 승강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공 하단 둘레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링이 형성되며, 상기 유성 캐리어와 상기 중심기어의 제1 래칫기어 사이에 제2 래칫기어가 개재되어 상기 제2 래칫기어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래칫기어와 치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래칫기어가 상기 가이드 링 내에서 승강 안내되되, 상기 중심기어의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수직 하향 이동될 경우에 상기 제1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수직 상향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제1 래칫기어와 분리되도록 상기 유성 캐리어의 가이드 링은 내주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가 돌설되는 한편, 상기 제2 래칫기어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선형의 제3 래칫기어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래칫기어가 상기 세척유닛의 세척결착구 외측에 상향 돌설된 회전안내 결착구 내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 나선형의 래칫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유성 캐리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방향 역방향으로 상기 유성 캐리어가 회전되도록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중앙에 상향 돌출 형성된 돌출가이드의 상단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요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회전봉과 커넥터 사이에 결합봉이 개재되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결합봉은 상기 커넥터의 돌출가이드에 안내되어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탄발지지되는 볼 스프링이 하측 내부에 내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는 상기 내접기어의 밀착 결합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주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지름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결합고정 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접기어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고정 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외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회전봉이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킬 수 있다.
둘째, 회전봉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가 회전봉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걸레와 물의 간섭을 증대시켜 걸레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으로써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아울러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해 증가하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가 설치되는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를 나타낸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커넥터에 회전봉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가 적용된 밀대 걸레를 선택적으로 결착시켜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 및 탈수장치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가 설치되는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를 나타낸 분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커넥터에 회전봉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가 적용된 밀대 걸레를 선택적으로 결착시켜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 및 탈수장치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100)는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300)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21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밀대봉(210)과 연결되어 하단에 걸레(270)가 결착되는 회전봉(230)이 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200)의 상기 회전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레가 결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100)는 중심기어(110), 변속장치 케이스(130), 내접기어(150), 유성 캐리어(170) 그리고 유성기어(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심기어(110)는 막대타입으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회전봉(2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250)에 상측 연결부(111)가 내삽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11) 하측에 일정지름을 가지는 수평기어(1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심기어(110)는 상기 수평기어(113) 하측에 외향 확장되어 확장된 부분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제1 래칫기어(115)가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는 상기 중심기어(110)와 상기 커넥터(250) 사이에 배치 고정되어 하측으로부터 상기 걸레(270)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한편, 저면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결합고정부(131)가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는 중앙에 결합공(135)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35)을 통하여 상기 중심기어(110)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중심기어(110)의 상측 연결부(111)에 상기 커넥터(250)가 삽입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의 결합고정부(131)에는 상기 내접기어(150)가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접기어(150)는 상기 결합고정부(131)의 내주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내주 면에 기어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는 상기 내접기어(150)의 밀착 결합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고정부(131)의 내주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고정 홈(133)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고정 홈(133)은 상기 결합고정부(131)의 내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3개 등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 홈(133)은 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접기어(150)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고정 홈(133)과 대응되는 결합돌기(153)가 외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결합고정 홈(133) 및 결합돌기(153)을 통하여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에 상기 내접기어(150)를 밀착 결합한 후, 상기 내접기어(150)가 회전되는 등의 유동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성 캐리어(170)는 중앙에 삽입공(173)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110)가 하측으로부터 삽입 연결되며, 상기 삽입공(173)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돌출부(17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171)는 상기 유성 캐리어(17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73) 상단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공(173) 상단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3개의 돌출부(17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돌출부(171)에는 각각 상기 유성기어(19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접기어(150)와 중심기어(110) 사이에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되는 각 기어들과 상호 맞물려 돌아가게 된다.
즉, 상기 중심기어(110)가 상기 밀대봉(210)의 승강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230)의 회전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구동력은 상호 맞물린 상기 유성기어(190)를 거쳐 상기 내접기어(15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190)를 거쳐 상기 내접기어(15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내접기어(150)는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유성기어(190)를 거치면서 구동력에 의한 회전속도는 감속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밀대봉(210)의 반복 승강에 따른 회전 구동력이 상기 중심기어(110)로부터 상기 내접기어(150)로 전달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을 전환하면서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봉(230)의 하단에 결착되는 걸레(270)가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수중 클리닝 시 상기 걸레(270)를 형성하는 결속 디스크(27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극세사 등이 여러 가닥으로 구성되는 걸레수술(273)과 물의 간섭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레(270)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으로써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아울러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해 증가하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기어(110)는 상기 수평기어(113) 하측에 외향 확장되어 상기 제1 래칫기어(115)가 상향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성 캐리어(170)는 상기 제1 래칫기어(115)가 승강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공(173) 하단 둘레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링(175)이 형성되며, 상기 유성 캐리어(170)와 상기 중심기어(110)의 제1 래칫기어(115) 사이에 제2 래칫기어(120)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래칫기어(120)는 상기 가이드 링(175) 내에서 승강 안내되되, 상기 중심기어(110)의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수직 하향 이동될 경우에 상기 제1 래칫기어(115)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일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래칫기어(120)는 상기 제1 래칫기어(115)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상기 제1 래칫기어(115)가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기어(110)는 상기 밀대봉(210)의 하강에 의한 상기 회전봉(230)의 하향 가압시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밀대봉(210)의 하강시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을 통한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이 일 방향으로만 국한되며,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밀대봉(210)의 하강시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을 통한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이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을 유지하여, 상기 중심기어(110)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내접기어(150)를 통하여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1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이 변환됨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래칫기어(120)가 상기 가이드 링(175) 내에서 승강 안내되되, 상기 중심기어(110)의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수직 상향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제1 래칫기어(115)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래칫기어(120)가 상기 가이드 링(175) 내에서 상기 제1 래칫기어(115)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승강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유성 캐리어(170)의 가이드 링(175)은 내주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17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래칫기어(120)는 상기 제1 래칫기어(115)를 가지는 중심기어(110)가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176)와 대응되어 상기 고정돌기(176)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175)은 외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선형의 제3 래칫기어(177)가 외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3 래칫기어(177)는 상기 세척유닛(300)의 세척결착구(310) 외측에 상향 돌설된 회전안내 결착구(320) 내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 나선형의 래칫기어부(321)와 맞물려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유성 캐리어(17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심기어(110)의 회전방향 역방향으로는 상기 유성 캐리어(170)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봉(2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커넥터(250)는 상부 중앙에 돌출가이드(251)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가이드(251)의 상단 면, 즉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출가이드(251)의 반구 형성 부분의 외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요홈(253)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50)와 상기 회전봉(230) 사이에는 결합봉(240)이 개재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봉(240)은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250)의 돌출가이드(251)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봉(240)은 상단부에 상기 회전봉(23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넥터(250)의 돌출가이드(251)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요홈(253)에 탄발 지지고정되는 볼 스프링(241)이 내설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봉(240)은 하부 중앙에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미부호)에 상기 볼 스프링(241)이 내설되어, 상기 볼 스프링(241)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250)의 요홈(253)에 선택적으로 탄발 지지고정되도록 상기 커넥터(250)의 돌출가이드(251)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봉(240)은 상부에 상기 회전봉(230)을 연결시키는 연결구(24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243)을 통하여 상기 회전봉(230)과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봉(240)이 상기 요홈(253)에 탄발 지지고정되는 상기 볼 스프링(241)을 통하여, 상기 회전봉(230)이 연결된 결합봉(240)이 선택적으로 일정각도로 탄발 지지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회전봉(230)과 연결된 밀대봉(210)의 각도를 청소가 용이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밀대 걸레를 이용한 청소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100)는 밀대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 중 세척유닛(300)을 통한 수중 클리닝시 밀대봉(210)의 승강에 따라 회전봉(230)이 자가 회전하여 회전봉(230)의 하단에 결착된 걸레(270)가 회전봉(2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봉(230)의 하단에 결착되는 걸레(270)가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속 회전되도록 클리닝 변속시킴으로써 수중 클리닝 시 상기 걸레(270)를 형성하는 결속 디스크(27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극세사 등이 여러 가닥으로 구성되는 걸레수술(273)과 물의 간섭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레(270)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감속시킴으로써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한 고압력 발생으로 수중 클리닝시 제품의 수명이 짧았던 것과 달리 제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아울러 종래의 고속회전에 의해 증가하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중심기어(110)와 유성기어(190) 및 내접기어(150)의 구성을 가지는 변속장치(100)는 접촉 선 속도가 작고, 전달하중의 분산으로 마찰손실이 감소하므로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인 탈수유닛(400), 탈수결착구(410) 및 탈수바구니(420)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100)가 적용된 밀대 걸레를 세척유닛(300)을 통하여 세척한 후에 탈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한 상기 변속장치(100)가 적용된 밀대 걸레를 세척 후에 탈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100)가 적용된 밀대 걸레는 이러한 구성 중, 상기 탈수유닛(400)의 탈수결착구(410)에 상기 회전봉(230)과 연결된 커넥터(250)에 삽입 연결되는 상기 중심기어(110) 저면이 안착되어 상기 회전봉(23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어 걸레(270)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종래의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와 동일한 탈수방법을 통하여 탈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봉(230)과 연결된 밀대봉(210)을 반복 승강시키면, 상기 회전봉(230)이 회전하여 상기 회전봉(230) 하단에 구비된 변속장치 케이스(130)가 상기 회전봉(2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수바구니(420) 내에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상기 밀대봉(210)의 반복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봉(230)이 점진적으로 고속 회전하여 이러한 고속 회전에 의해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17"은 상술한 세척유닛(300)의 세척결착구(310) 또는 탈수유닛(400)의 탈수결착구(410)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속되는 결속홈(117)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변속장치 110: 중심기어 111: 연결부
113: 수평기어 115: 제1 래칫기어 120: 제2 래칫기어
126: 고정홈 130: 변속장치 케이스 131: 결합고정부
133: 결합고정 홈 135: 결합공 150: 내접기어
153: 결합돌기 170: 유성 캐리어 171: 돌출부
173: 삽입공 175: 가이드 링 176: 고정돌기
177: 제3 래칫기어 190: 유성기어 200: 밀대 걸레
210: 밀대봉 230: 회전봉 240: 결합봉
241: 볼 스프링 243: 연결구 250: 커넥터
251: 돌출가이드 253: 요홈 270: 걸레
271: 결속 디스크 273: 걸레수술 300: 세척유닛
310: 세척결착구 320: 회전안내 결착구 321: 래칫기어부
400: 탈수유닛 410: 탈수결착구 420: 탈수바구니

Claims (6)

  1.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 및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통한 수중 클리닝 시 밀대봉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밀대봉과 연결되어 하단에 걸레가 결착되는 회전봉이 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 회전이 가능한 밀대 걸레의 상기 회전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레가 결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상측 연결부가 내삽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 하측에 일정지름을 가지는 수평기어가 구비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 고정되어 하측으로부터 걸레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한편, 저면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결합고정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변속장치 케이스;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의 결합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는 한편,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주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내주 면에 기어부를 가지는 내접기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가 하측으로부터 삽입 연결되는 한편, 상기 삽입공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유성 캐리어; 및
    상기 유성 캐리어의 각 돌출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중심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각 기어와 상호 맞물려 돌아가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어는 상기 수평기어 하측에 외향 확장되어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제1 래칫기어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성 캐리어는 상기 제1 래칫기어가 승강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공 하단 둘레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링이 형성되며, 상기 유성 캐리어와 상기 중심기어의 제1 래칫기어 사이에 제2 래칫기어가 개재되어 상기 제2 래칫기어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래칫기어와 치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칫기어가 상기 가이드 링 내에서 승강 안내되되, 상기 중심기어의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수직 하향 이동될 경우에 상기 제1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수직 상향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제1 래칫기어와 분리되도록 상기 유성 캐리어의 가이드 링은 내주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가 돌설되는 한편, 상기 제2 래칫기어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선형의 제3 래칫기어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래칫기어가 상기 세척유닛의 세척결착구 외측에 상향 돌설된 회전안내 결착구 내주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 나선형의 래칫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유성 캐리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방향 역방향으로 상기 유성 캐리어가 회전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앙에 상향 돌출 형성된 돌출가이드의 상단 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요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회전봉과 커넥터 사이에 결합봉이 개재되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결합봉은 상기 커넥터의 돌출가이드에 안내되어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탄발지지되는 볼 스프링이 하측 내부에 내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장치 케이스는 상기 내접기어의 밀착 결합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주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고정 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접기어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고정 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외향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KR1020110088134A 2011-05-17 2011-08-31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KR101096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4216 2011-05-17
KR2020110004216 2011-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783B1 true KR101096783B1 (ko) 2011-12-21

Family

ID=4550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34A KR101096783B1 (ko) 2011-05-17 2011-08-31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78B1 (ko) 2011-08-19 2013-09-10 서영림 힘분산방식의 회전형 밀대걸레
CN104257335A (zh) * 2014-09-18 2015-01-07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双速清洁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437B1 (en) 2000-04-12 2003-09-09 May's Industries, Ltd. Gear-enabled wringing device
US20070151057A1 (en) 2006-01-05 2007-07-05 Nicelife, Inc. Mechanically operable wringing mop
US20070226929A1 (en) 2006-03-28 2007-10-04 Ta-Chun Kao Wringable mop
US20090307855A1 (en) 2008-06-11 2009-12-17 Ta-Chun Kao Structure of wringable m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437B1 (en) 2000-04-12 2003-09-09 May's Industries, Ltd. Gear-enabled wringing device
US20070151057A1 (en) 2006-01-05 2007-07-05 Nicelife, Inc. Mechanically operable wringing mop
US20070226929A1 (en) 2006-03-28 2007-10-04 Ta-Chun Kao Wringable mop
US20090307855A1 (en) 2008-06-11 2009-12-17 Ta-Chun Kao Structure of wringable mo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78B1 (ko) 2011-08-19 2013-09-10 서영림 힘분산방식의 회전형 밀대걸레
CN104257335A (zh) * 2014-09-18 2015-01-07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双速清洁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8280A (zh) 一种能够多种洗涤的全自动洗衣机
CN201806661U (zh) 一种旋转拖把杆
CN202830552U (zh) 一种能够多种洗涤的全自动洗衣机
KR101096783B1 (ko) 밀대 걸레의 클리닝 변속장치
TWM505284U (zh) 中軸升降式拖把清洗桶以及拖把
CN102051790A (zh) 洗衣机直驱离合装置
CN103628279B (zh) 一种全自动洗衣机的减速离合器
JP6932384B2 (ja) 手動洗濯機
CN105266732A (zh) 滚珠式旋转拖把杆
CN105316902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外壳及洗衣机
CN108309169A (zh) 双速拖把杆
KR101345210B1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수통
CN107307823B (zh) 一种可实现拖把正反转的拖把桶
WO2011090285A2 (ko)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1338940B1 (ko) 세탁기의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 방법 및 장치
CN204192531U (zh) 一种用于旋转拖把差速控制装置
CN101797731B (zh) 防尘棘动扳手
CN105332239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962862B (zh) 一种具有可正反转搓洗盘的清洗装置及采用其的拖把桶
CN202458253U (zh) 一种拖把头助力清洗脱水桶
CN105496321A (zh) 一种用于旋转拖把差速控制方法及装置
CN113152027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CN105297343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13957667B (zh)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CN112144242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