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48B1 - 차량용 잭 - Google Patents

차량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48B1
KR101096748B1 KR1020090096772A KR20090096772A KR101096748B1 KR 101096748 B1 KR101096748 B1 KR 101096748B1 KR 1020090096772 A KR1020090096772 A KR 1020090096772A KR 20090096772 A KR20090096772 A KR 20090096772A KR 101096748 B1 KR101096748 B1 KR 10109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jack
vehicle
gear
lif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779A (ko
Inventor
김기송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김기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김기송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09009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랙/피니언 구동 잭의 단점 중 하나인 간격 확보의 문제를 해결하여 지면과 차체 사이 간격이 낮고 공간이 좁은 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리프터에 전달되는 차체 하중에 의한 풀림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쉽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 바닥에 닿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하우징과, 상기 승강가이드에 장착된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 및 그 구동측기어와, 상기 구동측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닿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부에 형성된 논슬립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외부측 방향으로 돌설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주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의 래크기어에 맞물려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풀림방지장치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승강가이드는 결합부를 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판에 구성된 브라켓트 및 그 브라켓트에 형성된 힌지구멍과, 상기 브라켓트에 상기 승강가이드의 단부를 안내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의 단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과, 상기 바닥판에 구성된 브라켓트의 힌지구멍과 승강가이드의 힌지구멍을 일치시켜 힌지핀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잭,차체,리프트

Description

차량용 잭{A JACK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랙/피니언 구동 잭의 단점 중 하나인 간격 확보의 문제를 해결하여 지면과 차체 사이 간격이 낮고 공간이 좁은 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리프터에 전달되는 차체 하중에 의한 풀림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쉽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잭은 차체의 일부를 들어올려 차체를 점검하거나 부품 교환 등을 목적으로 제작된 일종의 차체 정비용 공구 장비류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동과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경량화되어 있으며, 대부분 포터블 형식의 잭들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차체를 지상에서 완전히 떨어뜨려 들어올리는 기능의 정비용 리프트와는 구조나 원리가 크게 다르다. 포터블화된 대부분의 소형 잭은 간단한 수조작을 통해 차체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수조작으로 작동되는 차량용 잭의 대표적인 형식은 유압 잭 형식이다. 유압 잭은, 밀폐된 실린더에 오일을 펌핑 하고, 그 오일 압력으로 피스톤을 밀어 차체를 들어올리는 힘을 얻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형식의 차량용 잭은, 리드스크류를 적용한 형식의 잭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88712호의 '차량용 스크류 잭(Screw Jack)' 및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95897호외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도 1과 같이, 한 쌍의 상부암(10)(10a)과 하부암(11)(11a)이 마름모꼴로 결합된 구조로써, 상부암(10)(10a)의 일단은 차체를 지지하는 받침대(12)의 힌지공에 힌지(13)로 결합되고, 하부암(11)(11a)의 일단은 지면에 놓여 지는 베이스(14)의 힌지공에 힌지(15)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암(10)(10a)과 하부암(11)(11a)의 타단은 힌지축(17)(17a)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17)(17a)은 리드스크류(16)에 의해 나사결합된 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본 유압 및 리드스크류(16) 작동 형식의 잭들은 모두 강한 힘으로 핸들(18)이나 레버를 작동시켜야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었기 때문에 여성운전자, 노약자 등 사용자에 따라 작동 취급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49856호의 '차량용 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적은 회전력으로 중량체의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여 근력이 약한 사용자도 사용취급이 가능한 잭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테이블(20)과, 상기 테이블(20)에 설치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내장 설치된 구동기어(22) 및 그 구동기어(22)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핸들(23)과, 상기 구동기어(22)와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24)와, 상기 피니언기어(24)와 치합되고 상기 하우징(21) 내에서 슬라이딩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 크(25) 및 이 래크(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체의 하부를 떠받치는 서포터(26)로 구성하여, 작은 회전력으로 중량체의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랙/피니언 형식의 차량용 잭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테이블(20)과 서포터(26)에 의해 가변 되지 않는 일정한 전체 높이 'h'를 갖게 되고, 그 높이 'h'에 의해 차체(27)와 지면(28) 사이 공간이 높이 'h'를 초과하는 공간 높이를 갖지 않으면 잭을 지면(28)과 차체(27) 사이에 넣어 사용하기가 어렵다. 즉 도 3과 같이, 차체(27)의 바닥에 서포터(26)가 직접 접촉하여 래크(25)의 상하 운동으로 차체(27)를 들어올리는 형식이므로, 차체(27)와 지면(28) 사이 공간 높이 'h' 는, 테이블(20)과 서포터(26) 간의 최소 거리 보다 더 넓은 공간 높이가 확보되어야 잭을 넣어서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어, 차체가 낮은 차종, 또는 고장 등으로 차체가 낮아진 차량 등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핸들(23)을 회전시켜 차체(27)를 들어올린 경우 차체 하중이 지속적으로 서포터(26)에 작용하고, 이로 인해 래크(25)를 아래로 밀어 이동시키고 연속적으로 피니언기어(24)를 역회전시켜 핸들(23)을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핸들(23)을 힘을 주어 직접 잡고 있거나, 역회전 방지를 위한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차체 하중을 현 위치에 지탱시키는 것이지만 상기 기술에는 이러한 역회전 방지 및 지지 구조에 관하여 나타나 있지 않다.
셋째, 잭을 차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차체(27)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테이블(26)이 지면(28)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차체를 견고 한 상태로 지지 고정하는데 미흡하다.
넷째, 차체(27)를 지면(28)에 지지 고정하는 테이블(26)이 하우징(21)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형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반드시 잭을 수직 방향으로만 끼워 넣어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직 방향을 벗어나는 경사 작동 조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차체와 지면 사이 공간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약간의 공간만 확보된 상태에서도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가 낮은 차종, 고장 등으로 차체가 낮아진 차량 등에 사용이 가능한 랙/피니언 구동 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를 들어올리는 리프터에 작용 되는 차체 하중에 따른 리프터의 하강을 차단하여 무리한 힘의 투입과 지탱 없이 핸들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랙/피니언 구동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 구조를 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을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작동이 아닌 경사 작동 조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랙 /피니언 구동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잭은,
지면 바닥에 닿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하우징과, 상기 승강가이드에 장착된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 및 그 구동측기어와, 상기 구동측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바닥판의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닿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부에 형성된 논슬립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외부측 방향으로 돌설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주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에 장착된 래크기어에 맞물려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풀림방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승강가이드는 결합부를 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판에 구성된 브라켓트 및 그 브라켓트에 형성된 힌지구멍과,
상기 브라켓트에 상기 승강가이드의 단부를 안내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의 단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과,
상기 바닥판에 구성된 브라켓트의 힌지구멍과 승강가이드의 힌지구멍을 일치시켜 힌지핀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작은 회전력으로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차체와 지면 사이 공간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약간의 공간만 확보된 상태에서도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가 낮은 차종, 고장 등으로 차체가 낮아진 차량 등에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하중에 의해 차체를 들어올리는 리프터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리프터의 원위치 복원을 차단하여 무리한 힘에 의한 지탱 없이도 핸들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에 안전한 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논 슬립 구조를 제공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을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작동이 아닌 경사 작동 조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 6은 도 5의 차량용 잭의 결합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구조를 설명하기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사용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잭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지면(50) 바닥에 닿는 바닥판(40)과, 상기 바닥판(40)으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41)와, 상기 승강가이드(41)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하우징(42)과, 상기 승강가이드(41)에 장착된 래크기어(43)와, 상기 래크기어(43)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44) 및 그 구동측기어(45)와, 상기 구동측기어(45)를 회전시키는 핸들(4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주요 부분은, 바닥판(40)의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닿는 상기 바닥판(40)의 저면부에 형성된 논슬립부(48)와, 상기 하우징(42)의 하단부에 외부측 방향으로 돌설 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주는 리프터(51)와, 상기 리프터(51)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41)의 래크기어(43)에 맞물려 치합 되도록 상기 하우징(42)에 설치된 피니언기어(44)와,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회전을 구속하는 풀림방지장치(52)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바닥판(40)과 상기 승강가이드(41)는 결합부(47)로 결합된다.
결합부(47)는, 상기 바닥판(40)에 구성된 브라켓트(53) 및 그 브라켓트(53)에 형성된 힌지구멍(54)과, 상기 브라켓트(53)에 상기 승강가이드(41)의 단부를 안내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승강가이드(41)의 단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55)과, 상기 바닥판(40)의 브라켓트(53) 및 상기 승강가이드(41)의 각 힌지구멍(54)(55)을 일치시켜 힌지핀(56)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논슬립부(48)는, 상기 바닥판(40)의 저면을 톱니형 턱(57)으로 형성하여 구성하면 지면(50)에 닿는 바닥판(40)의 미끄러짐 현상을 평면에 비해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판(40)의 저면을 연속 불연속 주름 패턴의 요철홈으로 파서 가공하여 미끄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마찰력 증진 부재를 부착하여 바닥판(40)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리프터(51)는, 도 7과 같이, 차체를 들어올릴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계수가 큰 논술립 패드를 표면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장치(52)는, 상기 구동측기어(45)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정지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측기어(45)에 부가되어 상기 리프터(51)를 상승시키는 방향과 일치하는 일 방향 회전을 안내하도록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58)을 갖는 회전톱니(59)와, 상기 구동측기어(45)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회전톱니(59)와 맞물려 역회전이 되지 못하도록 하는 회전스토퍼(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측기어(45)를 돌리는 핸들(46)은, 구동측기어(45)의 축홈(61)에 대응되는 축(62)이 형성되어 구동측기어(45)와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구동측기어(45)의 축홈(61)은 회전 슬립을 방지하는 사각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서는 구동측기어(45)에 축홈(61)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대로 구동측기어(45)에 축을 두고 핸들(46)에 축홈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잭은, 유압 및 리드 스크류 잭의 단점을 보완하는 랙/피니언 방식의 잭이다. 랙/피니언 방식 잭의 단점은 종래의 기술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프터가 하우징에 탑재된 형식은 지면과 차체 사이 높이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리프터 스트로크는 시작부터 종료까지 차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높이와 같지만 초기 시작 위치가 중요하다.
종래에는 상단부에 리프터가 위치하고 그 위치가 스트로크의 시작점이 되므 로, 차체의 높이가 리프터의 스트로크 시작점 보다는 최소한 높은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리프터가 하우징에 탑재된 형식의 종래 구조와 달리 리프터가 지면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까지 내려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리프터(51)는 하우징(42)의 하단부에 외부측 방향으로 돌설 되어 있지만, 하우징(42)에 탑재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52)의 첨단으로부터 그 아래인 말단부에 가까운 위치가 스트로크 시작점이 된다. 따라서 차체가 낮은 위치에 있고, 리프터(51)가 끼워질 수 있는 틈만 확보되면, 높이와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도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리프터(51)를 승강시키는 동작은, 먼저, 리프터(51)를 지면(50)과 차체의 틈 사이로 끼워 넣고, 구동측기어(45)에 마련된 축홈(61)에 핸들(46)의 축(62)을 끼워 넣어 핸들(46)을 돌리면, 구동측기어(45)에 치합된 피니언기어(44)가 따라 돌게 된다.
피니언기어(44) 회전은 래크기어(43)를 직선이동시키고, 그 이동량은 리프터(51) 스트로크로 나타나 차체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구동측기어(45)를 돌리는 힘을 지속적으로 작용시키다가 목표 지점까지 차체가 들어 올려지면 구동측기어(45)를 돌리는 힘을 제거한다. 돌리는 힘을 제거하면 구동측기어(45)는 돌리는 힘을 제거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구동측기어(45)의 정지 위치 유지는, 구동측기어(45)의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정지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구동측기어(45)에 구성되어 일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톱니(59)에 맞물려지는 회전스토퍼(60)에 의해 역회전이 차단되어 유지된다. 즉 차체를 들어올리는 리프터(51)에는 차체의 하중이 작용 되어 눌리게 되고, 이는 리프터(51)를 들어올리는 래크기어(43)를 하강시키려는 힘으로 작용 되어 결과적으로 구동측기어(45)를 리프터(51)의 상승 방향과 반대방향인 하강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려는 힘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회전톱니(59)는 리프터(51)의 상승 방향에 추종하는 경사진 경사면(58)을 갖고 있어 상승 방향으로는 구동측기어(45)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 반대 방향인 하강 방향으로는 회전스토퍼(60)에 걸려 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측기어(45)를 돌리는 힘을 제거하면, 그 제거된 위치에서 구동측기어(45)는 더 이상의 회전이 중지되고, 다시 돌리는 힘을 전달하거나 회전스토퍼(60)를 회전톱니(59)의 경사면(58)에 의해 형성되는 턱에서 이탈시키지 않는 한 리프터(51)는 현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리프터(51)는 상승 정지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전환할 경우, 구동측기어(45)를 리프터(51) 상승 방향으로 약 15°내외 정도 더 돌린 상태에서 회전스토퍼(60)를 약간만 들어올리면, 회전스토퍼(60)는 회전톱니(60)의 경사면(58)의 턱으로부터 이탈되고 그 이후에는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리프터(51)를 아래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가볍게 핸들(46)을 돌려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랙/피니언 형식의 잭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리프터(51)의 상승 목표 점 도달 후 정 위치를 간단한 회전스토퍼(60)의 작동으로 유지 제어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간단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차체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40)의 저면은 잘 미끄러지지 않는 논 슬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지지 위치 변형에 따르는 차체의 유동을 방지하고, 견고한 상태로 차체를 받쳐줄 수 있다. 또한, 차체를 지면(50)에 지지 고정하는 바닥판(40)을 유동 가능한 관절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바닥판(40)이 접촉하는 지면(50)이 어느 정도 경사진 조건에서도 바닥판(40)이 차체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드스크류 잭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랙 피니언 잭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랙 피니언 잭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차량용 잭의 결합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구조를 설명하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잭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40:바닥판 41:승강가이드
42:하우징 43:래크기어
44:피니언기어 45:구동측기어
46:핸들 47:결합부
48:논슬립부 50:지면 51:리프터 52:풀림방지장치
53:브라켓트 54.55:힌지구멍
56:힌지핀 57:톱니형턱
58:경사면 59:회전톱니
60:회전스토퍼 61:축홈
62:축

Claims (5)

  1. 지면 바닥에 닿는 바닥판(40)과, 상기 바닥판으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41)와, 상기 승강가이드(41)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하우징(42)과, 상기 승강가이드(41)에 장착된 래크기어(43)와, 상기 래크기어(43)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44) 및 그 구동측기어(45)와, 상기 구동측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46)과,
    상기 바닥판(40)의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50)과 닿는 상기 바닥판(40)의 저면부에 형성된 논슬립부(48)와,
    상기 하우징(42)의 하단부에 외부측 방향으로 돌설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주는 리프터(51)와,
    상기 리프터(51)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41)에 장착된 래크기어(43)에 맞물려 치합 되도록 상기 하우징(42)에 설치된 피니언기어(44)와,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회전을 구속하는 풀림방지장치(52)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40)과 상기 승강가이드(41)는 결합부(47)를 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결합부(47)는,
    상기 바닥판(40)에 구성된 브라켓트(53) 및 그 브라켓트(53)에 형성된 힌지구멍(54)과,
    상기 브라켓트(53)에 상기 승강가이드(41)의 단부를 안내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가이드(41)의 단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55)과,
    상기 바닥판(40)에 구성된 브라켓트(53)의 힌지구멍(54)과 승강가이드(41)의 힌지구멍(55)을 일치시켜 힌지핀(56)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96772A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잭 KR10109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772A KR101096748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772A KR101096748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79A KR20110039779A (ko) 2011-04-20
KR101096748B1 true KR101096748B1 (ko) 2011-12-21

Family

ID=4404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772A KR101096748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461B1 (ko) * 1998-05-22 2002-06-20 흥 원 이 렌치 일체형 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461B1 (ko) * 1998-05-22 2002-06-20 흥 원 이 렌치 일체형 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79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8029A (en) Jack safety device
US4023649A (en) Safety lock device for lifts
KR20160024951A (ko) 차량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
US20060278858A1 (en) Self locking hydraulic jack
US6902148B1 (en) Safety jack
KR101096748B1 (ko) 차량용 잭
US10173872B2 (en) Portable self-locking lift system
JP5090225B2 (ja) テーブルリフタおよび基板処理装置
EP2712778B1 (en) Vehicle parking brake control lever and pin with rollers
CN201002939Y (zh) 推拉式支脚盘
US6808357B2 (en) Adjustment device for a stacker trolley
KR100434164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스윙 아암
US5692731A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engine hoist
KR101583530B1 (ko) 슬라이드 장치의 안전장치
WO2006008480A1 (en) Manually operated jacking device
KR100930278B1 (ko) 갠트리 크레인용 레일 클램프
KR20150029950A (ko)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유압 토우-잭
JP3671160B2 (ja) ジャッキ装置
CN217051395U (zh) 一种能调节抓地力大小的起吊装置
JP3065742U (ja) 液圧ジャッキ
CN116902780B (zh) 一种石油化工建设施工用管道吊装装置
CN217872064U (zh) 可现场调整的同步结构
US1576836A (en) Portable jack
US862609A (en) Jack.
JP6446170B2 (ja) 車椅子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