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313B1 -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313B1
KR101096313B1 KR1020090042734A KR20090042734A KR101096313B1 KR 101096313 B1 KR101096313 B1 KR 101096313B1 KR 1020090042734 A KR1020090042734 A KR 1020090042734A KR 20090042734 A KR20090042734 A KR 20090042734A KR 101096313 B1 KR101096313 B1 KR 10109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il
rotation angle
dis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483A (ko
Inventor
원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9004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3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2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a steering gear element, e.g. on a rack b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차량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 검출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은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제1 기어수를 가지는 제1 서브 기어,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1 디스크, 상기 제1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1, 2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1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상기 제1 기어수와 상이한 제2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기어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제2 서브 기어, 상기 제2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2 디스크, 상기 제2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코일, 상기 제3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코일 및 상기 제3, 4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2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부 및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 및 상기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위상 편차를 산출하고 360도 주기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상기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코일, 디스크

Description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Detection apparatus of steering angl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 검출이 용이한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조향시, 스티어링의 회전량(각도) 및 회전속도(각속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조향각 검출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조향의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조향각 검출장치에서 출력되는 조향각 검출신호는 ABS(Anti-look Brake System), ESP(Electronics Stability Program), EPS(Electronics Power Steering) 등의 여러 유닛에 제어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조향각 검출장치는 신호 측정 방법에 따라 광학형 SAS 와 AMR(Anisotropic Magneto Resistance)형 SAS로 구분할 수 있다.
광학형 SAS는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 여러 개의 슬릿으로 이루어진 회전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며 엔코딩 방식으로 신호 처리를 한다.
AMR SAS는 자장의 위상 차이를 측정하여 각도를 추출하게 되는데, 레졸루션이 좋은 장점이 있다.
최근들어,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통하여 메인 기어 회전 시 메인 기어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메인 기어의 절대회전각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 검출이 용이한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제1 기어수를 가지는 제1 서브 기어,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1 디스크, 상기 제1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1, 2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1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상기 제1 기어수와 상이한 제2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기어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제2 서브 기어, 상기 제2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2 디스크, 상기 제2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코일, 상기 제3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코일 및 상기 제3, 4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2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부 및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 및 상기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위상 편차를 산출하고 360도 주기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상기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는 제1, 2 서브 기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폭이 상이한 제1, 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2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2 코일부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여 회전수 오차 및 절대 회전각의 오차 보정, 정확한 절대 회전각을 검출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메인 기어(10), 제1, 2 서브 기어(20, 30), 인쇄 회로 기판(PCB, 40), 커넥터(50) 및 케이스(60)를 포함한다.
메인 기어(1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에 결합되어 연동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1, 2 서브 기어(20, 30)는 메인 기어(10) 회전시 연동회전하여 하며, 각각 폭이 상이한 제1, 2 디스크(22, 32) 및 제1, 2 디스크(22, 32) 회전시 중첩 면적에 제1, 2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2 코일부(24, 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서브 기어(20, 30)는 상이한 제1, 2 기어수를 가진다.
제1 디스크(22)는 상기 제1 기어수를 가지는 제1 서브 기어(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기어(10) 회전시 제1 코일부(24)에 중첩되어 회전한다.
제1 코일부(24)는 제1 디스크(22)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26) 및 제1 디스크(22)의 제2 측에 형성되어,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28)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코일부(24)는 상기 제1, 2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2 디스크(32)는 상기 제2 기어수를 가지는 제2 서브 기어(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기어(10) 회전시 제2 코일부(34)에 중첩되어 회전한다.
제2 코일부(34)는 제2 디스크(32)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코일(36) 및 제2 디스크(32)의 제2 측에 형성되어,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코일(38)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코일부(34)는 상기 제3, 4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2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40)은 제1, 2 서브 기어(20, 3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를 통하여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회로 및 기타 회로가 구성된다.
커넥터(50)는 외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4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컨넥터 핀에 의해 연결된다.
케이스(60)는 메인 기어(10), 제1, 2 서브 기어(20, 30)인쇄 회로 기판(40) 및 컨넥터(50)를 수용하는 업 커버(62) 및 다운 커버(64)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제1 서브 기어(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폭이 상이한 제1 디스크(22) 회전시,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2 신호에 대한 제1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부(24), 제2 서브 기어(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폭이 상이한 제2 디스크(32) 회전시,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4 신호에 대한 제2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부(34),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와 제1, 2 서브 기어(20, 30) 각각의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여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70) 및 제1, 2 코일부(24, 34) 및 제어부(7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디스크(22, 32)는 각각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2 코일부(24, 34)는 각각 2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수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코일부(24)는 제1 디스크(22)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26), 제1 디스크(22)의 제2 측에 형성되어,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28) 및 상기 제1, 2 신호로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1 코일 제어부(29)를 포함한다.
즉, 제1, 2 코일(26, 28)은 제1 디스크(22) 회전시, 제1 디스크(22)의 상부 및 하부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제1 디스크(22)의 중첩 면적에 따른 유도 전압인 상기 제1, 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 신호는 제1, 2 코일(26, 28)의 위치에 따라 소정 위상 차가 발생한다.
제1 코일 제어부(29)는 상기 제1, 2 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전압값으로 180도 주기 간격으로 산출된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한다.
즉, 제1 코일 제어부(29)는 상기 제1, 2 신호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는 상기 제1, 2 신호의 위상차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180도를 더하여 양의 값을 가지도록 하여, 180도 주기의 선형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제2 코일부(34)는 제2 디스크(32)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코일(36), 제2 디스크(32)의 제2 측에 형성되어,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코일(38) 및 상기 제3, 4 신호로 상기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2 코일 제어부(49)를 포함한다.
즉, 제3, 4 코일(36, 38)은 제2 디스크(32) 회전시, 제2 디스크(32)의 상부 및 하부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제2 디스크(32)의 중첩 면적에 따른 유도 전압인 상기 제3, 4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3, 4 신호는 제3, 4코일(36, 38)의 위치에 따라 소정 위정차가 발생한다.
제2 코일 제어부(39)는 상기 제3, 4 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전압값으로 180도 주기 간격으로 산출된 상기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한다.
즉, 제2 코일 제어부(39)는 상기 제3, 4 신호의 위상차를 통해 상기 제2 회 전각 신호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각 신호는 상기 제3, 4 신호의 위상차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180도를 더하여 양의 값을 가지도록 하여, 180도 주기의 선형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제어부(70)는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증폭 필터부(72) 및 증폭 필터부(72)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으로 연산처리하여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컨트롤부(76)를 포함한다.
증폭 필터부(72)는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잡음)을 제거하고 소정 크기로 증폭시킨다.
컨트롤부(74)는 증폭 필터부(72)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를 샘플링하고 상기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설정 프로그램으로 연산 처리하여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한다.
또한, 컨트롤부(76)는 상기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일정 위상 편차를 산출하고, 360도 주기로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 서브 기어의 기어 변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2 서브 기어의 기어 변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기어 변위에 대한 절대 회전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제1 서브 기어(20) 회전시, 제1 코일(26)에서 측정된 제1 신호(p1)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제1 서브 기어(20) 회전시, 제2 코 일(28)에서 측정한 제2 신호(p2)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제1, 2 신호(p1, p2)을 통해 산출된 제1 회전각 신호(u1)를 타나내는 그래프이다.
즉, (a) 및 (b)는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사인 파형을 나타내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a) 및 (b)를 결합하면, 소정 위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 즉, 제1 신호(p1)는 제2 신호(p2) 보다 90°위상 지연 현상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 제어부(29)는 제1, 2 신호(p1, p2)를 탄젠트 함수로 연산처리하여 제1 회전각 신호(u1)을 산출한다.
즉, (c)는 제1, 2 신호(p1, p2)를 180°주기로 제1, 2 신호(p1, p2)의 차전압으로 산출한다.
여기서, 제1, 2 신호(p1, p2)의 차전압이 음(-) 값을 가지는 경우, 180도를 더해주어 그 값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c)는 180°주기로 상승하는 그래프로 나타난다.
도 4을 참조하면, (a)는 제2 서브 기어(30) 회전시, 제3 코일(36)에서 측정된 제3 신호(p3)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제2 서브 기어(30) 회전시, 제4 코일(38)에서 측정한 제4 신호(p4)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제3, 4 신호(p3, p4)을 통해 산출된 제2 회전각 신호(u2)를 타나내는 그래프이다.
즉, (a) 및 (b)는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사인 파형을 나타내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a) 및 (b)를 결합하면, 소정 위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 즉, 제3 신호(p3)는 제4 신호(p4) 보다 90°위상 지연 현상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 제어부(39)는 제3, 4 신호(p3, p4)를 탄젠트 함수로 연산처리하여 제2 회전각 신호(u2)을 산출한다.
즉, (c)는 제3, 4 신호(p3, p4)를 180°주기로 제3, 4 신호(p3, p4)의 차전압으로 산출한다.
여기서, 제3, 4 신호(p3, p4)의 차전압이 음(-) 값을 가지는 경우, 180도를 더해주어 그 값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c)는 180°주기로 상승하는 그래프로 나타난다.
즉, 도 3 및 도 4는 제1, 2 서브 기어(20, 30)의 제1, 2 기어수에 따라 제1, 2 회전각 신호(u1, u2)의 기울기가 상이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 및 도 4에 의해 산출된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나타낸다.
즉, (a)는 180°주기로 제1, 2 회전각 신호(u1, u2)를 그래프이며, (b)는 제1, 2 회전각 신호(u1, u2)를 제1, 2 서브 기어(20, 30)의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일정 위상 편차를 산출하여, 360도 주기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의 위상차를 통하여 산출된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b)는 제어부(70)에서 산출한 메인 기어(10)의 절대 회전각을 나타내며, (b)에 나타낸 그래프를 주로 사용할 것이다.
즉, 제어부(70)는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라 제1, 2 회전각 신호(u1, u2)의 전압차에 따른 위상차 변화 및 360도 주기로 그 위상차를 더하여 선형 특성을 가지는 상기 절대 회전각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는 제1, 2 서브 기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2 디스크와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2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 서브 기어의 기어 변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2 서브 기어의 기어 변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기어 변위에 대한 절대 회전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7)

  1.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제1 기어수를 가지는 제1 서브 기어;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1 디스크;
    상기 제1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1, 2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1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부;
    상기 메인 기어와 연동회전하며, 상기 제1 기어수와 상이한 제2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기어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제2 서브 기어;
    상기 제2 서브 기어와 연동하며, 내측부과 외측부 사이의 폭이 적어도 2 지점에서 상이한 제2 디스크;
    상기 제2 디스크 회전 시,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코일, 상기 제3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제2 디스크와의 중첩 면적에 따라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코일 및 상기 제3, 4 신호를 기초로 상기 메인 기어의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제2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부; 및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 및 상기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위상 편차를 산출하고 360도 주기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상기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제어부는,
    상기 메인 기어의 기어수와 상기 제1 기어수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 2 신호의 위상차를 기초로 상기 제1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제어부는,
    상기 메인 기어의 기어수와 상기 제2 기어수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3, 4 신호의 위상차를 기초로 상기 제2 회전각 신호를 산출하는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증폭 필터부; 및
    상기 증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 및 상기 제1, 2 기어수를 기초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2 기어수의 잇수차에 따른 위상 편차를 산출하고 360도 주기로 상기 제1, 2 회전각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상기 메인 기어의 절대 회전각을 산출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7. 삭제
KR1020090042734A 2009-05-15 2009-05-15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KR10109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34A KR101096313B1 (ko) 2009-05-15 2009-05-15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34A KR101096313B1 (ko) 2009-05-15 2009-05-15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83A KR20100123483A (ko) 2010-11-24
KR101096313B1 true KR101096313B1 (ko) 2011-12-20

Family

ID=4340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34A KR101096313B1 (ko) 2009-05-15 2009-05-15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506A (ja) * 2000-09-22 2002-04-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センサ
JP2005249769A (ja) * 2004-02-03 2005-09-15 Yazaki Corp 回転角センサ
JP2007187588A (ja) * 2006-01-13 2007-07-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506A (ja) * 2000-09-22 2002-04-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センサ
JP2005249769A (ja) * 2004-02-03 2005-09-15 Yazaki Corp 回転角センサ
JP2007187588A (ja) * 2006-01-13 2007-07-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83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967B2 (ja) 多周期的絶対位置検出器
KR101163908B1 (ko) 원점 위치 신호 검출기
JP6359079B2 (ja) 外部磁界に対して鈍感なホールセンサ
JP2006220530A (ja) 絶対回転角度検出装置
US20170183034A1 (en) Sensing device, sensing system and steering system
US20170160101A1 (en)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Rotational Angles on a Rotating Component in a Vehicle
JP5589458B2 (ja) 回転角度・トルク検出装置
JP2006220529A (ja) 絶対回転角度およびトルク検出装置
JP2007285799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US20220381800A1 (en) Amr speed and direction sensor for use with magnetic targets
JP4612577B2 (ja) 回転角検出装置
KR101359347B1 (ko) 절대위상각 검출을 이용한 조향장치의 토크센서
KR101829057B1 (ko) 앵글센서
EP1972899B1 (en) Position detector with tilt sensor
KR100792668B1 (ko) 휠 절대각 검출방법
KR101096313B1 (ko)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JP6276074B2 (ja) 位置検出装置
KR100890914B1 (ko) 고해상도의 조향각 검출 장치
JP4622641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20100123482A (ko)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JP4862838B2 (ja) 回転検出装置
KR100648038B1 (ko) 조향각 검출 장치
JP5428625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20130016975A (ko) 차량 조향각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향각 산출 방법
JP2020153980A (ja) 回転部材の少なくとも1つの回転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