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567B1 - 정보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567B1
KR101095567B1 KR1020100015586A KR20100015586A KR101095567B1 KR 101095567 B1 KR101095567 B1 KR 101095567B1 KR 1020100015586 A KR1020100015586 A KR 1020100015586A KR 20100015586 A KR20100015586 A KR 20100015586A KR 101095567 B1 KR101095567 B1 KR 10109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driving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244A (ko
Inventor
홍창표
Original Assignee
홍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표 filed Critical 홍창표
Priority to KR102010001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사용자를 감지하여 최적의 위치와 각도에서 정보 예컨대, 시각적 청각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OFF되는 정보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출력장치에 있어서, 전원 ON/OFF와 정보출력 동작을 설정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 조작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회로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RFID칩을 포함하는 무선조작부; 주행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무브먼트를 제공하는 주행수단을 포함하여 본체의 하단에 마련된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의해 주행하는 경로 전방의 장애물을 인지하도록 본체 하단 또는 상단/중간/하단부분에 마련된 주행센싱부; 상기 본체의 상단 부분에 마련되어, 지상파 정보 또는 위성정보 또는 온라인 정보 신호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당 수신기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운영체계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정보출력부; 주행하여 무선조작부에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면,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지하여,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과 사용자와의 간격과 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센싱부; 상기 정보출력부의 출력 각도를 상하좌우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본체에 마련된 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무선조작부의 전원 ON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각부로 공급하고, 상기 무선조작부의 위치정보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 위치로 접근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하되, 상기 주행센싱부의 장애물 감지 신호를 토대로 주행부의 주행경로를 재설정하면서 제어하고, 상기 인체센싱부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인체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주행부와 각도조절부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조작부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정보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출력장치{INFORMATION OUTPUT DEVICES}
본 발명은 정보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사용자를 감지하여 최적의 위치와 각도에서 정보 예컨대, 시각적 청각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OFF되는 정보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출력장치는 텔레비전ㆍ컴퓨터 모니터ㆍ영사기 스크린 등과 같이, 제공되는 정보신호를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정보출력장치는 주로 벽면에 근접하여 설치(실내 바닥 또는 테이블 등에 스탠드 설치)된다.
그러므로, 정보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정보출력장치가 설치된 정면으로 사용자가 이동하여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럴 경우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환자에게 있어서는 사용이 제약적이며,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선 조작에 의해 정보출력장치가 사용자에게 접근하여, 최적의 시각적 청각적 조건으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는 정보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출력장치에 있어서, 전원 ON/OFF와 정보출력 동작을 설정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 조작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회로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RFID칩을 포함하는 무선조작부; 주행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무브먼트를 제공하는 주행수단을 포함하여 본체의 하단에 마련된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의해 주행하는 경로 전방의 장애물을 인지하도록 본체 하단 또는 상단/중간/하단부분에 마련된 주행센싱부; 상기 본체의 상단 부분에 마련되어, 지상파 정보 또는 위성정보 또는 온라인 정보 신호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당 수신기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운영체계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정보출력부; 주행하여 무선조작부에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면,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지하여,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과 사용자와의 간격과 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센싱부; 상기 정보출력부의 출력 각도를 상하좌우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본체에 마련된 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무선조작부의 전원 ON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각부로 공급하고, 상기 무선조작부의 위치정보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 위치로 접근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하되, 상기 주행센싱부의 장애물 감지 신호를 토대로 주행부의 주행경로를 재설정하면서 제어하고, 상기 인체센싱부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인체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주행부와 각도조절부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조작부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정보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정보출력장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 즉, 벽면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사용자 쪽으로 접근하여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정보 수집 환경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주행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및 평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출력장치(100)에 있어서, 전원 ON/OFF와 정보출력 동작을 설정하는 키패드(111)와, 상기 키패드(111) 조작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회로(112)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RFID칩(113)을 포함하는 무선조작부(110); 주행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21)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무브먼트를 제공하는 주행수단(122)을 포함하여 본체(100a)의 하단에 마련된 주행부(120); 상기 주행부(120)에 의해 주행하는 경로 전방의 장애물을 인지하도록 본체(100a) 하단 또는 상단/중간/하단부분에 마련된 주행센싱부(130); 상기 본체(100a)의 상단 부분에 마련되어, 지상파 정보 또는 위성정보 또는 온라인 정보 신호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당 수신기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운영체계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정보출력부(140); 주행하여 무선조작부(110)에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면,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지하여,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과 사용자와의 간격과 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센싱부(150); 상기 정보출력부(140)의 출력 각도를 상하좌우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60); 본체(100a)에 마련된 수신회로(171)를 통해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전원 ON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180)의 전원을 상기 각부로 공급하고,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위치정보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110) 위치로 접근하도록 주행부(120)를 제어하되, 상기 주행센싱부(130)의 장애물 감지 신호를 토대로 주행부의 주행경로를 재설정하면서 제어하고, 상기 인체센싱부(15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인체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주행부(120)와 각도조절부(160)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출력부(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무선조작부(110)는 리모컨일 수 도 있고, 마우스를 포함한 무선 키보드일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111)는 전원버튼, 숫자버튼, 방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송출회로(112)는 키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송출램프를 포함한 구동회로일 수 도 있고, 주파수 송출회로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RFID칩(113)은 상기 제어부(170)가 수신하여 인식 가능한 코드신호를 송출하는 RFID태그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RFID칩(113)의 신호를 인식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RFID 판독기능 또는 RFID 판독기 자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주행부(120)는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 한 쌍의 구동수단(121);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1)의 회전축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구동휠(122a)과, 상기 각각의 구동휠(122a)의 축과 연결체(122b)에 의해 축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연동휠(122c)을 포함하는 주행수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21)은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수단(122)의 연결체(122b)는 타이밍 벨트일 수도 있고 체인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센싱부(130)는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반사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부(130)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와, 물체에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일 수 도 있고, 레이저빔을 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빔을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도 있으며, 초음파를 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을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일 수 도 있다.
상기 센싱부(130)는 본체(100a)하단 전/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도 있고, 본체(100a)하단 전/후방과 중간 부분 전/후방 및 정보출력부(140)의 전/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정보출력부(140)는 본체(100a)와 별도의 프레임(141)에 탑재되는 무선인터넷인 와이파이(Wi-Fi) 또는 휴대폰의 3G(4세대) 통신망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는 아이-티브이(I-TV)일 수 도 있고, PDP(플라즈마 화면 표시장치) 또는 LCD(액정표시장치) 텔레비전일 수 도 있고, 컴퓨터 모니터일 수 도 있으며, 고정프레임에 의해 평평한 상태로 고정된 영사기의 스크린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출력부(140)는 프레임(141)의 테두리 부분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제어부(170)의 사전 설정된 점등 패턴에 따라 점등되는 LED(발광다이오드) 조명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인체센싱부(150)는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51); 상기 카메라(15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양쪽 눈동자 부분을 인지하여, 양 눈동자의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길이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길이 범위 이내이면, 상기 주행부(120)의 정지신호를 출력토록 제어부로(170)로 신호를 제공는 인체인식프로그램(152); 양 눈동자의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길이 범위 이내이면, 지속적으로 카메라(151)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양 눈동자가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제어부(17)로 신호를 제공하는 수면감지수단(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51)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초소형 금속 전극을 여러 개 배치하여 정보를 전하 형태로 기억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기억 소자의 한 가지인 전하 결합 소자(Charged Coupled Device)카메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인식프로그램(152)은 카메라(151)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전체 이미지를 인식하되, 한 쌍의 원형 점 이미지를 별도 인식하여, 상기 전체 얼굴이미지 사이즈 대비 상기 원형점 이미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원형점 이미지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얼굴 전체 이미지의 사이즈와 원형점이미지는 사람들의 얼굴 사이즈를 표본으로 하여 사전에 평균적으로 산출 저장된 비교값으로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형점 간의 거리는 2cm ~ 4c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면감지수단(153)은 카메라(151)를 통해 지속적으로 촬영되는 한 쌍의 눈동자 즉, 한 쌍의 원형점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수면 상태로 판단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체센싱부(150)는 홍체인식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센싱장치일 수 도 있다.
상기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60sec ~ 300sec 이내 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각도조절부(1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a) 상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지지프레임(100b) 선단부에 마련되어, 좌우 회전 동작하는 수평각도조절수단(161);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161)의 일측 단과 상기 정보출력부(140)의 프레임(14) 후면을 결합시키되, 수평각도조절수단(161)에 대해 상하 회전 동작하는 수직각도조절수단(1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각도조절수단(161)은 지지프레임(100b)의 선 단부에 고정된 모터(161a)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베벨기어(161b)와 상기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전환하는 타측 단 수직축(161c)을 지지하는 회전체(16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각도조절수단(162)은 상기 회전체(161d)의 내측에 고정된 모터(162a)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베벨기어(162b)와 상기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전환하는 타측 단 수평축(162c)을 지지하는 브래킷(162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70)는 본체(100a)에 마련된 수신회로(171)를 통해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전원 ON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180)의 전원을 상기 각부로 공급하고,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위치정보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110) 위치로 접근하도록 주행부(120)를 제어하되, 상기 주행센싱부(130)의 장애물 감지 신호를 토대로 주행부의 주행경로를 재설정하면서 제어하고, 상기 인체센싱부(15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인체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주행부(120)와 각도조절부(160)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출력부(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원부(180)는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AC/DC컨버팅회로일 수 있으며, 상기 AC/DC컨버팅회로를 포함한 충전회로일 수 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무선조작부(110)와 동일한 조작이 가능한 키패드를 포함한 조작부(190)가 본체(100a) 전방에 더 마련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a)가 벽면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조잘부(110)의 전원버튼을 ON시키면, 상기 본체(100a)에 탑재된 제어부(170)가 무선조작부(110)의 RFID칩(113)인 RFID태그의 송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조작부(110)의 위치를 추적함과 동시에, 상기 주행부(120)를 구동시켜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110)로 접근한다.
이때, 상기 주행부(120)는 좌우 한 쌍의 구동수단(121)인 모터가 동작하면, 모터의 축에 마련된 해당 구동휠(122a)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휠(122a)과 연동체(122b)에 의해 연결된 연동휠(122c)이 회전하여 주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진 주행일 경우, 좌우 구동수단(121)이 정회전하여 구동휠(122a)과 연동휠(12c)을 회전시켜 정방향 주행한다.
또한, 후진 주행일 경우, 좌우 구동수단(121)이 역회전하여 구동휠(122a)과 연동휠(12c)을 회전시켜 역방향 주행한다.
또한, 일측 방향으로 회전일 경우,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구동수단(121)은 역방향 회전하고,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구동수단(121)은 정 방향 회전함으로써,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주행한다.
상기와 같은 주행 도중, 주행 바향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상기 주행센싱부(130)의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면, 제어부(170)는 장애물이 없는 방향으로 주행 진로를 변경하면서 재 주행하여, 목적지인 무선조작부(110)의 위치로 접근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체(100a)가 무선조작부(110)에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주행부(120)의 구동수단(121)을 정지시키고, 상기 인체센싱부(150)의 카메라(151)를 동작시켜 본체 특히, 정보출력부(140) 전방의 영상을 수집토록 하고, 상기와 같이 수집된 영상정보는 인체인식프로그램(152)을 통해 상기 카메라(151)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전체 이미지가 인식하되, 한 쌍의 원형 점 이미지를 별도 인식하여, 상기 전체 얼굴이미지 사이즈 대비 상기 원형점 이미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원형점 이미지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원형점 이미지 간의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 예컨대, 2cm ~ 4cm 이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170)는 주행부(120)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사용자와의 거리를 최적상태(사전에 설정된 거리)로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하여,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주행부(120)를 정지시키고, 상기 무선조작부(110)에서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 예컨대, 지상파를 시청하려는 신호가 무선조작부(110)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정보출력부(140)를 통해 지상파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인체센싱부(150)의 수면감지수단(153)은 카메라(151)로부터 지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눈동자에 해당하는 원형점이 일정 시간 예컨대, 설정된 시간이 180sec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수면 상태로 인식하여 정보출력부(140)의 전원을 차단하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정보출력장치(100)가 항상 일정한 위치 즉, 벽면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사용자 쪽으로 접근하여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정보 수집 환경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 또는 병원에 입원중인 사용자가 베드(Bed)에 누워서 움직이지 않고도, TV방송 또는 인터넷 등의 정보를 최적의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적용되는 하드웨어적 범위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첨부 도면에 대형 HDTV급의 정보출력부(140)를 도시하였으나, 노트북 또는 아이패드와 같은 정도의 소형 출력장치가 적용될 수 도 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보출력장치 100a : 본체
100b : 지지프레임 110 : 무선조작부
111 : 키패드 112 : 신호송출회로
113 : RFID칩 120 : 주행부
121 : 구동수단 122 : 주행수단
122a : 구동휠 122b : 연동체
122c : 연동휠 130 : 주행센싱부
140 : 정보출력부 150 : 인체센싱부
151 : 카메라 152 : 인체인식프로그램
153 : 수면감지수단 160 : 각도조절부
161 : 수평각도조절수단 161a : 모터
161b : 베벨기어 161c : 수직축
161d : 회전체 162 : 수직각도조절수단
162a : 모터 162b : 베벨기어
162c : 수평축 162d : 브래킷

Claims (1)

  1. 전원 ON/OFF와 정보출력 동작을 설정하는 키패드(111)와 키패드(111) 조작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회로(112)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RFID칩(113)을 포함하는 무선조작부(110); 주행부(120)에 의해 주행하는 경로 전방의 장애물을 인지하도록 본체(100a)하단 또는 상단/중간/하단부분에 마련된 주행센싱부(130); 상기 본체(100a)의 상단 부분에 마련되어, 지상파 정보 또는 위성정보 또는 온라인 정보 신호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상 수신기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운영체계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정보출력부(140); 주행하여 무선조작부(110)에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면,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지하여,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과 사용자와의 간격과 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센싱부(150); 상기 정보출력부(140)의 출력 각도를 상하좌우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60)로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주행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21)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무브먼트를 제공하는 주행수단(122); 본체(100a)에 마련된 수신회로(171)를 통해 무선 조작부(110)의 전원 ON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180)의 전원을 각부로 공급하고, 무선조작부의 위치정보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무선조작부 위치로 접근하도록 주행부(120)를 제어하되, 주행센서부(130)의 장애물 감지신호를 토대로 주행경로를 재설정하면서 제어하고, 인체센싱부(150)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인체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할 때까지 주행부(120)와 각도조절부(160)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무선조작부(110)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정보출력부(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출력장치.



KR1020100015586A 2010-02-22 2010-02-22 정보출력장치 KR10109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86A KR101095567B1 (ko) 2010-02-22 2010-02-22 정보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86A KR101095567B1 (ko) 2010-02-22 2010-02-22 정보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44A KR20110096244A (ko) 2011-08-30
KR101095567B1 true KR101095567B1 (ko) 2011-12-19

Family

ID=4493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86A KR101095567B1 (ko) 2010-02-22 2010-02-22 정보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26B1 (ko) * 2022-03-10 2023-01-10 이상훈 몰입형 영상 표시장치
KR102622521B1 (ko) * 2022-04-26 2024-01-09 주식회사 두광 화면과 음향이 구비된 움직이는 도로안전표지판
KR102602909B1 (ko) * 2022-12-06 2023-11-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44A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688B2 (en) Object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8366707B (zh) 清洁机器人及其控制方法
US9649080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4896B1 (ko) 로봇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휴먼 케어방법
CN104055462A (zh) 机器人清洁器及其操作方法
US11089855B2 (en) Smart luggage system with camera installed in pull rod
US20130176414A1 (en) Intelligent tracking device
KR101095567B1 (ko) 정보출력장치
US20150373310A1 (en) Lighting Device
US20110135290A1 (en) Camera adjusting system and method
TW201117791A (en) Rehabilitation device
CN108167602B (zh) 支架
CN212679100U (zh) 姿态检测系统、姿态检测装置以及桌子套件
TWI524211B (zh) 電子裝置及其顯示角度調整方法
JP2013178368A (ja) プロジェクタ
JP2018075192A (ja) 電気掃除機
KR20160008780A (ko) 로봇 청소기의 정보표시장치
KR102081358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0939091B1 (en) Projector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20560B1 (ko)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102093709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220873139U (zh) 学习机
CN218996150U (zh) 一种坐姿提示器
CN216486363U (zh) 互动式显示器
CN112841971A (zh) 智能阅读椅、智能阅读系统和智能阅读椅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