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231B1 -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231B1
KR101095231B1 KR1020100093891A KR20100093891A KR101095231B1 KR 101095231 B1 KR101095231 B1 KR 101095231B1 KR 1020100093891 A KR1020100093891 A KR 1020100093891A KR 20100093891 A KR20100093891 A KR 20100093891A KR 101095231 B1 KR101095231 B1 KR 10109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le
coupling memb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희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00)는 복수의 이송롤러(115)가 수평으로 배치된 이송부재(110), 이송부재(11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선단부(125)에 홀(127)이 가공된 인쇄회로기판(120) 및 선단부(143)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유도부재(140), 유도부재 후단부(145)로부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150) 및 연결부재(150)로부터 상측으로 홀(127)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홀(127)에 삽입된 결합부재(160)로 구성된 리딩기판(130)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00)는 리딩기판(130)을 인쇄회로기판(120)의 선단부(125)에 결합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120)이 이송롤러(115)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120)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쇄회로기판은 각종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동박으로 배선을 형성하여 보드 상에 IC(integrated circuit) 또는 전자부품들을 배치 고정하고 이들 간의 전기적 배선을 구현한 후 절연체로 코팅한 것이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복수의 단위공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각 단위공정간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기 위해서 이송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0)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이송롤러(1)의 상면에 인쇄회로기판(2)을 배치시키고, 이송롤러(1)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2)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한다. 하지만, 최근 인쇄회로기판(2)의 박형화 추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면서 강성(剛性)이 저하되어, 인쇄회로기판(2)을 이송할 때 인쇄회로기판(2)의 선단부(先端部; 3)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이송롤러(1) 사이로 처지면서 이송롤러(1)에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인쇄회로기판(2)의 무게가 가벼워져, 이송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빨라지면 오히려 인쇄회로기판(2)의 선단부(3)가 부상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특히, 습식(wet) 공정 중의 강한 액순환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의 선단부(3)가 이송롤러(1)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현상이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의 간격을 조밀하게 배치하는 다점롤 방식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20)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다점롤 방식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20) 역시 인쇄회로기판(2)의 선단부(3)가 이송롤러(1)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고, 인쇄회로기판(2)과 이송롤러(1)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2)의 표면을 손상시키며, 다수의 이송롤러(1)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딩기판을 채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가 이송롤러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는 복수의 이송롤러가 수평으로 배치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선단부에 홀이 가공된 인쇄회로기판 및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유도부재, 상기 유도부재 후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에 삽입된 결합부재로 구성된 리딩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딩기판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의 간격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판상의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 상단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결합부재 하단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리딩기판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재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도부재 후단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딩기판을 채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가 이송롤러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것을 막어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가 이송롤러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딩기판을 채용함으로써, 이송롤러의 간격을 조밀하게 배치할 필요가 없어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과 리딩기판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습식(wet) 공정 중에 액순환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리딩기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및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리딩기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00)는 복수의 이송롤러(115)가 수평으로 배치된 이송부재(110), 이송부재(11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선단부(125)에 홀(127)이 가공된 인쇄회로기판(120) 및 선단부(143)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유도부재(140), 유도부재 후단부(145)로부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150) 및 연결부재(150)로부터 상측으로 홀(127)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홀(127)에 삽입된 결합부재(160)로 구성된 리딩기판(1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부재(110)는 인쇄회로기판(120)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송부재(110)는 복수의 이송롤러(115)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송롤러(115)와 인쇄회로기판(120)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복수의 이송롤러(115)는 소정간격(G; 도 7 내지 도 8 참조)으로 이격된다. 다만, 이송롤러(115)의 간격(G)은 인쇄회로기판(120)이 이송롤러(115)에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딩기판(130)의 길이(L)에 비해 좁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이송롤러(115)의 사이에는 도금 공정이나 에칭 공정 등의 습식(wet) 공정에 필요한 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이송부재(11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습식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얇은 박판 인쇄회로기판(120)을 기준으로 기술하지만, 반드시 박판 인쇄회로기판(12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110)에 의해 이송되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의 선단부(125)에는 홀(127)이 가공된다. 상기 홀(127)에는 리딩기판(130)의 결합부재(160)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20)에 홀(127)을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 다각형으로 가공하면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홀(127)은 원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딩기판(130)은 인쇄회로기판(120)이 이송롤러(115)에 말리는거나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120)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리딩기판(130)의 길이(L)는 이송롤러(115) 사이로 리딩기판(13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이송롤러(115)의 간격(G)에 비해 긴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내지 도 8 참조). 또한, 리딩기판(130)은 인쇄회로기판(120)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소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 이상의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딩기판(130)은 유도부재(140), 연결부재(150) 및 결합부재(160)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상기 유도부재(140)는 인쇄회로기판(120)이 일방향으로 이송될 때 최선단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120)을 유도하는 것으로, 유도부재(140)는 선단부(143)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으로 유도부재 후단부(145)의 하단(165)이 단면상 직각부분이고, 유도부재(140)의 선단부(143)가 단면상 예각부분이 된다. 따라서, 유도부재(140)의 선단부(143)가 뾰족하므로 유도부재(140)는 분사수단(180)에서 분사한 액 등에 저항을 받지 않고 인쇄회로기판(120)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유도부재(140)와 결합부재(160)를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부재(150)는 유도부재 후단부(145)의 하단(165)로부터 일방향(인쇄회로기판(120)이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연결부재(150)는 유도부의 후단부(145)의 두께보다 얇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60)는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의 홀(127)에 대응하도록 연결부재(1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재(16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20)의 홀(127)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이 결합되어 이송부재(110)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0)의 이송이 종료되면 결합부재(160)를 홀(127)로부터 분리하여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다른 인쇄회로기판(120)의 홀(127)에 리딩기판(130)의 결합부재(160)를 삽입하여 인쇄회로기판(120)을 이송시키는데 리딩기판(130)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즉, 홀(127)과 결합부재(160)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을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리딩기판(13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110)와 리딩기판(13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결합부재(160) 상단(163)의 높이(H1)는 유도부재 후단부(145)의 높이(H2)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60) 상단(163)의 높이(H1)를 유도부재 후단부(145)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하는 이유는 돌출된 결합부재(160)가 분사수단(180)에서 분사한 액 등에 저항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결부재(150)와 결합부재(160) 사이에는 판상의 지지부재(17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두께의 지지부재(170)를 연결부재(150)와 결합부재(160)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20)의 하면은 지지부재(170)와만 선택적으로 접촉하고 연결부재(150)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아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60)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결합부재(160)의 상단(163)에서 하단(165)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60) 상단(163)의 직경(D1)을 홀(127)의 직경(D3)보다 작고 형성하고, 결합부재(160) 하단(165)의 직경(D2)을 홀(127)의 직경(D3)보다 크케 형성하면, 인쇄회로기판(120)의 홀(127)은 결합부재(160)의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20)은 전술한 지지부재(170)가 없더라도 연결부재(150)와 접촉하지 않아 접촉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20)과 리딩기판(130)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습식(wet) 공정 중의 액순환을 도면상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20)의 하면에서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00)는 리딩기판(130)을 인쇄회로기판(120)의 선단부(125)에 결합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120)이 이송롤러(115)에 말리거나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120)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110: 이송부재
115: 이송롤러 120: 인쇄회로기판
125: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 127: 홀
130: 리딩기판 140: 유도부재
143: 유도부재의 선단부 145: 유도부재의 후단부
150: 연결부재 160: 결합부재
163: 결합부재의 상단 165: 결합부재의 하단
170: 지지부재 180: 분사수단
L: 리딩기판의 길이 G: 복수의 이송롤러의 간격
D1: 결합부재 상단의 직경 D2: 결합부재 하단의 직경
D3: 홀의 직경 H1: 결합부재 상단의 높이
H2; 유도부재 후단부의 높이

Claims (7)

  1. 복수의 이송롤러가 수평으로 배치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선단부에 홀이 가공된 인쇄회로기판; 및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유도부재, 상기 유도부재 후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에 삽입된 결합부재로 구성된 리딩기판;
    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딩기판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의 간격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판상의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상단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결합부재 하단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리딩기판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재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도부재 후단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KR1020100093891A 2010-09-28 2010-09-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KR10109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91A KR101095231B1 (ko) 2010-09-28 2010-09-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91A KR101095231B1 (ko) 2010-09-28 2010-09-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231B1 true KR101095231B1 (ko) 2011-12-20

Family

ID=4550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891A KR101095231B1 (ko) 2010-09-28 2010-09-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094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디에이피 인쇄회로기판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094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디에이피 인쇄회로기판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629B2 (en) Dual in-line connector
CN201903812U (zh) 便携式计算设备
KR101095231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WO2008109171A3 (en) Image sensing integrated circuit test apparatus and method
US8238115B2 (en) Computer motherboard
JP2006283044A (ja) フィルムへの連続めっき装置および方法
US9891486B2 (en) Display device
TWI299007B (en) Processing device for substrate surface
JP5576757B2 (ja) プリント基板
CN103682777A (zh) 卡缘连接器
US9543332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14095141A (ja) メッキ装置
KR101281007B1 (ko) 운반 장치 및 플랙서블 기판 롤투롤 이송 장치
KR100969471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 장치
CN101453068B (zh) 连接器以及具有此连接器的电子装置
KR20130015462A (ko) 기판 처리 장치
CN104842662B (zh) 打印设备、打印材料容器及其芯片、前两者的电连接结构
CN204820675U (zh) 打印设备、打印材料容器及其芯片、该打印设备与打印材料容器的电连接结构
JP2004152988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スプレー処理方法及びスプレー処理装置
CN203690577U (zh) 卡缘连接器
CN206432249U (zh) 一种转印部件结构
CN219938638U (zh) 一种smt托盘及贴片机
CN204979802U (zh) 具有后支撑结构的基板卡匣及其配合的取放设备
TWI327485B (en) Conveyer of surface treatment device
CN204021928U (zh) 方板存储及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