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500B1 -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500B1
KR101094500B1 KR1020050092220A KR20050092220A KR101094500B1 KR 101094500 B1 KR101094500 B1 KR 101094500B1 KR 1020050092220 A KR1020050092220 A KR 1020050092220A KR 20050092220 A KR20050092220 A KR 20050092220A KR 101094500 B1 KR101094500 B1 KR 10109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um
storage chamber
custom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027A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9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5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접근부(22)의 최상단에 임시보관쳄버(32)를 형성하여, 일단 수납되어 고객의 수납승인을 받지 않은 매체는 다시 고객접근부(22)의 임시보관쳄버(32)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객의 승인이후에 고객접근부(22)의 매체수납쳄버(26)로 매체를 전달하여 매체집적부로 전달하거나, 고객이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객접근부(22)를 개폐하는 셔터(24)가 연직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이물이 고객접근부(2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매체의 이송경로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매체가 이송경로상에 걸리는 확률이 낮아지며, 매체를 뭉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됨에 의해 매체의 이송에 필요한 부품수가 줄어 원가가 낮아지며, 고객접근부의 셔터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물에 의한 오염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매체, 입출, 분리장치

Description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에서 매체가 수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객이 매체를 매체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객이 수납한 매체를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분리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객이 수납한 매체가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될 매체가 임시보관부에 집적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될 매체가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매체수납쳄버로 전달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캐비넷 22: 고객접근부
24: 셔터 26: 매체수납쳄버
28: 매체회수쳄버 30: 밀판
32: 임시보관쳄버 34: 분리판
36: 매체분리부 38: 인식부
39: 제1경로 39': 제2경로
40: 매체집적부 40': 제3경로
42: 매체회수부 42': 제4경로
본 발명은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넷(1)이 매체자동입출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캐비넷(1) 전면 일측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고객접근부(3)가 구비된다. 상기 고객접근부(3)는 고객이 매체자동입출기에서 매체를 입출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고객접근부(3)는 셔터(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셔터(5)는 상기 캐비넷(1)의 전면에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셔터(5)에 의해 개폐되는 고객접근부(3)의 내부에는 출납분리판(7)이 설치된다. 상기 출납분리판(7)은 상기 고객접근부(3)의 내부를 출납매체수취부(8)와 매체수납부(8')로 분리한다. 상기 매체수납부(8')에는 수납분리밀판(9)이 설치된다.
상기 매체수납부(8')에 연결되어 매체분리부(1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분리부(10)는 뭉치로 수납된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체분리부(10)를 통과한 위치에는 인식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인식부(12)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체분리부(10) 이후에는 상기 매체가 벨트나 롤러 등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인식부(12)를 통과한 위치에는 임시보관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임시보관부(14)는 인식부(12)를 통과한 매체를 임시로 집적하여 모아두는 부분이다. 임시보관부(14)는 매체를 임시로 집적하여 보관하고, 고객이 투입한 매체를 수납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후에 다른 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시보관부(14)에서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로 이송되는 경로로는 매체분리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분리부(15)는 임시보관부(14)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를 분리하여 출납매체수취부(8)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인식부(12)와 임시보관부(14)의 하부에는 매체집적부(16)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집적부(16)에는 고객이 수납한 매체가 집적된다. 별도의 매체집적부(16')에는 미리 관리자가 매체를 채워두고 고객이 요청하면 매체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한 다. 상기 매체집적부(16')에서는 매체가 한장 씩 분리되어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로 전달된다. 고객의 요청에 의해 매체집접부(16')에서 나와 이송되는 매체중 불량 매체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의 보관을 위해 매체회수부(1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매체를 고객이 수납하는 것을 설명한다. 고객이 수납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출납분리판(7)과 수납분리밀판(9)이 하강하여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와 매체수납부(8')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5)가 열린다. 상기 매체수납부(8')에 고객의 매체뭉치를 집어 넣고, 버튼을 누르면 셔터(5)가 닫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분리밀판(9)이 매체를 매체분리부(10)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출납분리판(7)이 상승하여 상기 고객접근부(3) 내부의 출납매체수취부(8)와 매체수납부(8')로 분리한다.
상기 매체분리부(10)에서는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상기 인식부(12)로 이송한다. 인식부(12)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매체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로 전달된다. 인식부(12)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매체는 상기 임시보관부(14)로 전달되어 집적된다. 불량으로 인식되어 출납매체수취부(8)로 전달된 매체는 셔터(5)가 개방되어 고객이 가져가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매체를 더 수납하도록 한다. 더 수납된 매체는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부(12)를 거쳐 임시보관부(14)로 전달된다.
그리고, 매체의 정보를 고객이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고객이 승인하면 매체가 상기 매체집적부(16)로 전달된다. 만약, 고객이 매체의 수납을 취소하면서 상기 임시보관부(14)의 매체는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로 반환된다.
한편, 매체를 인출할 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고객이 요청한 매수의 매체가 상기 매체집적부(16')에서 한 장씩 분리되어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로 이송된다. 이때, 비정상적인 매체는 매체회수부(18)에 회수되어 보관된다. 만약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출납매체수취부(8)에 두면, 출납분리판(7)에 의해 매체가 상기 매체분리부(10)로 안내되고, 상기 수납분리밀판(9)에 의해 매체분리부(10)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매체회수부(18)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매체가 이송하는 경로가 매우 길다. 특히 매체가 수납될 때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회수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와 같이 매체의 이송경로가 길면, 매체의 이송에 많은 시간이 걸려 고객이 불편을 느끼고, 매체가 이송경로상에 걸리는 불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그 구성상 매체를 분리하여 한 장씩 이송해야 하는 경로가 대부분이므로, 매체분리부(10,15)가 적어도 2군데 이상 있어야 한다. 특히, 고객이 수납을 취소할 경우에 임시보관부(14)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구성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물론, 매체의 인출을 위해 매체집적부(16')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기 위한 매체분리부도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매체자동입출기는 그 구성부품이 많아져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고객접근부(3)의 셔터(5)가 수평방향으로 되어 있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 다. 즉, 고객이 음료수를 흘린다든지, 이물질을 흘릴 경우, 이들이 모두 고객접근부(3)의 셔터(5) 또는 내부로 들어가 고객접근부(3)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의 이송경로가 최소화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이 최소화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접근부로 이물질의 전달이 최소화된 매체자동입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이 매체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인 매체수납쳄버와 고객에게 회수시키기 위한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회수쳄버 및 매체의 수납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를 구비하는 고객접근부와, 상기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매체분리부와, 상기 매체분리부에서 전달된 매체를 포함하여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고 매체가 전달되는 경로를 결정하는 인식부와, 상기 고객접근부를 통해 수납된 매체나 고객접근부로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집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체수납쳄버를 통해 수납되어 상기 인식부를 통과하면서 인식되어 수납가능한 매체는 상기 임시보 관쳄버로 전달되어 고객의 수납승인을 기다린다.
상기 매체수납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는 밀판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매체회수쳄버와 임시보관쳄버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데, 상기 밀판은 상기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밀판과 상기 분리판에는 각각 고객에게 회수되는 매체와 임시보관되는 매체가 집적된다.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전면에 연직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셔터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매체집적부의 매체는 고객의 인출요청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거쳐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되고,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된다.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중 불량매체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회수부가 더 구비된다.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에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상기 매체회수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전면 일측에 연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셔터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는 매체수납쳄버와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나 고객이 수납하여 인식이 완료된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를 구비하는 고객접근부와, 상기 매체수납쳄버 에 집적된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매체분리부와, 상기 매체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고객접근부에서 수납되거나 인출될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집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객접근부에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임시보관쳄버의 사이에 매체회수쳄버가 구비되고,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고객접근부에서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를 구획하는 밀판에는 매체회수쳄버로 전달된 매체가 집적되고, 상기 밀판은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상기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시키며, 상기 매체회수쳄버와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된 매체가 집적되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매체집적부의 매체는 고객의 인출요청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거쳐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되고,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된다.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중 불량매체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회수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매체회수부에서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에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상기 매체회수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수납부의 내부에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여 넣는 매체수납쳄버, 불량매체가 집적되는 매체회수쳄버 및 정상매체 및 인출되는 매체가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매체자동입출 기에서, 고객이 수납한 매체를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구분하는 단계와, 정상매체로 판단된 매체를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보관쳄버에 집적된 매체에 대해 고객의 수납승인을 받는 단계와, 고객의 수납승인을 받은 매체를 상기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전달하여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수납쳄버에 전달된 매체는 매체수납쳄버에 구비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상기 임시보관쳄버에 보관된 매체에 대해 고객의 수납승인을 얻지 못하면 매체가 임시보관쳄버에서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반환된다.
상기 인식부에서 불량매체로 인식된 매체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밀판상에 집적되어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매체의 이송경로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매체가 이송경로상에 걸리는 확률이 낮아지며, 매체를 뭉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됨에 의해 매체의 이송에 필요한 부품수가 줄어 원가가 낮아지며, 고객접근부의 셔터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물에 의한 오염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략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넷(20)이 매체자동입출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캐비넷(20)의 전면 일측에는 고객접근부(22)가 구비된다. 상기 고객접근부(22)는 실제로 고객이 매체자동입출기를 조작하여 매체를 수납 및 인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객접근부(22)의 내부는 셔터(2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셔터(24)는 상기 캐비넷(20)의 전면에 연직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객접근부(22)의 내부를 개폐한다. 상기 고객접근부(22)의 내부에는 매체수납쳄버(26)와 매체회수쳄버(28)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수납쳄버(26)와 매체회수쳄버(28)는 밀판(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획된다.
상기 밀판(30)은 상기 매체수납쳄버(26)와 매체회수쳄버(28)를 구획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매체분리부(36)에 매체를 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판(30)은 상기 매체수납쳄버(26)와 매체회수쳄버(28)를 구획하고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매체를 눌러주기 위해서는 연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밀판(30)의 이동은 모터 등의 구동원의 구동력을 받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회수쳄버(28)의 중력방향 상부에는 임시보관쳄버(32)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고객접근부(22)의 최상단에는 임시보관쳄버(3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매체회수쳄버(28)가, 또 그 하부에 매체수납쳄버(26)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임시보관쳄버(32)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식부(38)를 통과하여 정상으로 판단된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보관쳄버(32)와 매체회수쳄버(28) 및 매체수납쳄버(26)는 분리판(34)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분리판(34)은 임시보관쳄버(32) 를 구획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매체수납쳄버(26)와 연결되어서는 매체분리부(36)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분리부(36)는 밀판(30)에 의해 눌러진 상태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매체분리부(36)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밀판(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픽업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에 밀판에 의해 밀착된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픽업롤러를 통과한 위치에는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픽업롤러에서 나온 매체가 한 장씩만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체분리부(36)를 통과하여서는 벨트나 롤러 등에 의해 매체가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이송을 위한 구성은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인식부(38)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체가 전표, 증명서 또는 수표 등인 경우 필요한 내용을 인식하여, 수납이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인식부(38)에서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여 수납이 가능한 것(이하 '정상매체'라 한다)과 수납이 불가능한 것(이하 '불량매체'라 한다)을 판단한다.
상기 인식부(38)에서 인식된 매체중 정상매체는 제1경로(39)를 통해 상기 임시보관쳄버(32)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임시보관쳄버(32)는 상기 분리판(34)에 의해 상기 매체회수쳄버(28)와 구획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정상매체는 상기 임시보관쳄버(32)의 상기 분리판(34)상에 집적된다.
한편, 불량매체는 제2경로(39')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매체회수쳄버(28)로 전달된다. 상기 매체회수쳄버(28)에서 상기 밀판(30)상에 불량매체가 안착된다. 상기 불량매체는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 고객에 의해 불량매체의 매수만큼의 또 다른 매체가 상기 매체수납쳄버(26)상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량매체를 다시 한번 인식부(38)로 보내 재수납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밀판(30)을 수평방향으로 후퇴시켜, 밀판(30) 상에 있는 매체를 매체수납쳄버(26)로 낙하되게 하고, 다시 밀판(30)으로 눌러 매체분리부(36)로 전달되게 한다.
매체집적부(4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부(40)는 고객이 수납한 매체를 집적하여 두거나, 미리 고객에게 인출될 매체를 집적하여 두는 부분이다. 상기 매체집적부(40)로는 상기 매체분리부(36)에서 한 장씩 전달되는 매체가 제3경로(40')를 따라 이송된다. 물론, 상기 제3이송경로(40')는 상기 매체집적부(40)의 매체가 인식부(38)를 통과하여 상기 제1경로(39)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시와 인출시에 상기 제3이송경로(40')에서는 매체의 이송방향이 반대로 된다.
매체회수부(42)는 고객이 요청하여 인출되는 매체중 불량매체나 고객이 인출요청하였으나 수취하지 않은 매체가 회수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다. 상기 매체회수부(42)로는 상기 인식부(38)를 통과한 매체가 제4경로(42')를 통해 이송되어 들어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매체자동입출기에서 매체가 수납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이 고객접근부(22)에서 매체의 수납버튼을 누르면, 상기 셔터(24)가 연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매체수납쳄버(26)와 매체회수쳄버(28)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밀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34)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은 상기 매체수납쳄버(26)에 매체를 수납한다.(S1)
상기 매체수납쳄버(26)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는 상기 밀판(30)에 의해 눌러져 상기 매체분리부(36)의 픽업롤러에 최하부의 것이 밀착된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셔터(24)는 닫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분리부(36)에서 상기 매체는 한 장씩 분리되어 인식부(38)로 이송된다.(S2)
상기 인식부(38)로 전달된 각각의 매체는 인식부(38)서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판단된다.(S3) 상기 인식부(38)에서 불량매체로 판단되면, 이는 제2경로(39')를 통해 상기 매체회수쳄버(28)로 전달된다. 즉, 상기 매체수납쳄버(26)의 매체를 누르고 있는 밀판(30)상에 매체가 집적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S4)
한편, 상기 인식부(38)에서 정상매체로 판정된 것은 제1경로(39)를 따라 상기 임시보관쳄버(32)로 전달된다. 상기 임시보관쳄버(32)에서는 매체가 상기 분리판(34)상에 집적된다.(S8) 이와 같은 상태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34)상에 매체가 집적되어 있는 것이다.
고객이 수납한 매체의 인식이 완료되면(S5), 불량매체와 정상매체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매체수납쳄버(26)와 임시보관쳄버(32)에 분리되어 보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불량매체는 고객이 수취한다.(S6)
다음으로, 고객의 불량매체만큼의 다른 매체를 수납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7) 만약 고객이 매체를 더 수납하면, 상기 S3단계부터 새로 수납된 매체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과정이 진행된다.
S7의 단계에서 더 이상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지 않기로 하면, 매체수납승인과정을 거친다.(S9) 이때에는 고객에게 수납된 매체의 정보를 표시하여 확인을 받는다. 고객은 매체 정보가 맞으면 수납을 승인한다.
고객이 수납 승인을 하면, 임시보관쳄버(32)에 수납되어 있던 매체는 상기 분리판(34)과 밀판(30)이 모두 후퇴함에 의해 상기 매체수납쳄버(26)상에 낙하되어 밀판(30)에 의해 매체분리부(36)상에 밀착된다.(S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매체분리부(36)가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게 된다.(S11) 이때, 매체분리부(36)에서 한 장씩 분리된 매체는 제3경로(40')를 통해 상기 매체집적부(40)로 전달된다.(S12)
한편, 고객이 수납승인을 하지 않게 되면, 상기 임시보관쳄버(32)에 있던 매체를 낙하시켜 매체수납쳄버(26)로 전달하고, 상기 셔터(24)를 개방한다.(S13) 이와 같이 되면, 고객이 매체를 회수할 수 있다.(S14)
다음으로, 매체를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인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고객이 매체의 인출을 요청하면, 상기 매체집적부(40)에 있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제3경로(40')를 통해 인식부(38)로 전달한다. 상기 인식부(38)를 통과하면서 정상매 체로 판단된 매체는 제1경로(39)를 통해 상기 임시보관쳄버(32)로 전달되어 집적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불량매체로 판단되면, 상기 매체는 상기 매체회수부(42)로 전달되어 보관된다.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상기 임시보관쳄버(32)에 매체가 집적되면, 상기 분리판(34)과 밀판(30)이 후퇴하여, 매체를 상기 매체수납쳄버(26)로 낙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임시보관쳄버(32)나 매체회수쳄버(28)에서 매체수납쳄버(26)로 매체가 낙하될 때, 매체의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 고객접근부(2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수납쳄버(26)에 매체를 낙하시킨 후에는, 상기 셔터(24)를 개방하여 고객이 매체를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게 되면,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회수부(42)로 전달한다. 이때에는 상기 매체수납쳄버(26)에 있는 매체를 매체분리부(36), 인식부(38)를 거쳐 상기 매체회수부42)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고객접근부에 임시보관쳄버를 형성하고, 수납된 매체의 인식을 마친 후에 일단 고객접근부의 임시보관쳄버로 이동시켜 고객의 수납승인이 주어지면 매체집적부로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즉, 고객에게 다시 돌려줘야 할 수도 있는 매체는 고객접근부에 두어 매체의 이송경로를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매체의 이송경로가 최소화되어 매체를 수납하는 것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체를 고객접근부의 임시보관쳄버에서 매체집적부로 한 장씩 전달하는 것은 최초에 매체를 인식하기 위해 한 장씩 분리하는 구성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 최소로 사용되어 매체자동입출기의 구성부품이 최소화되어 조립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객접근부에서 매체의 이동이 중력에 의한 낙하를 이용하도록 하고 셔터가 연직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고객접근부의 내부에 이물이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고객접근부의 오염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Claims (16)

  1. 고객이 매체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인 매체수납쳄버와 고객에게 회수시키기 위한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회수쳄버 및 매체의 수납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를 구비하는 고객접근부와,
    상기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매체분리부와,
    상기 매체분리부에서 전달된 매체를 포함하여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고 매체가 전달되는 경로를 결정하는 인식부와,
    상기 고객접근부를 통해 수납된 매체나 고객접근부로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집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체수납쳄버를 통해 수납되어 상기 인식부를 통과하면서 인식되어 수납가능한 매체는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되어 고객의 수납승인을 기다림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는 밀판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매체회수쳄버와 임시보관쳄버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데, 상기 밀판은 상기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밀판과 상기 분리판에는 각각 고객에게 회수되는 매체와 임시보관되는 매체가 집적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전면에 연직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셔터에 의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부의 매체는 고객의 인출요청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거쳐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되고,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중 불량매체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회수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에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상기 매체회수부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8.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전면 일측에 연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셔터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는 매체수납쳄버와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나 고객이 수납하여 인식이 완료된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를 구비하는 고객접근부와,
    상기 매체수납쳄버에 집적된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매체분리부와,
    상기 매체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고객접근부에서 수납되거나 인출될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집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접근부에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와 임시보관쳄버의 사이에 매체회수쳄버가 구비되고,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중력방향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접근부에서 매체수납쳄버와 매체회수쳄버를 구획하는 밀판에는 매체회수쳄버로 전달된 매체가 집적되고, 상기 밀판은 매체수납쳄버의 매체를 상기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시키며, 상기 매체회수쳄버와 상기 임시보관쳄버는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된 매체가 집적되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부의 매체는 고객의 인출요청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거쳐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전달되고,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중 불량매체와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회수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매체회수부에서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는 상기 매체수납쳄버에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상기 매체회수부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
  13. 고객수납부의 내부에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여 넣는 매체수납쳄버, 불량매체가 집적되는 매체회수쳄버 및 정상매체 및 인출되는 매체가 집적되는 임시보관쳄버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매체자동입출기에서,
    고객이 수납한 매체를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구분하는 단계와,
    정상매체로 판단된 매체를 상기 임시보관쳄버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보관쳄버에 집적된 매체에 대해 고객의 수납승인을 받는 단계와,
    고객의 수납승인을 받은 매체를 상기 임시보관쳄버에서 상기 매체수납쳄버로 전달하여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제 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수납쳄버에 전달된 매체는 매체수납쳄버에 구비된 밀판에 의해 매체분리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쳄버에 보관된 매체에 대해 고객의 수납승인을 얻지 못하면 매체가 임시보관쳄버에서 매체수납쳄버로 낙하되어 고객에게 반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로 구분하는 단계에서 불량매체로 인식된 매체는 상기 매체회수쳄버의 밀판상에 집적되어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입출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92220A 2005-09-30 2005-09-30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9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20A KR101094500B1 (ko) 2005-09-30 2005-09-30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20A KR101094500B1 (ko) 2005-09-30 2005-09-30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027A KR20070037027A (ko) 2007-04-04
KR101094500B1 true KR101094500B1 (ko) 2011-12-19

Family

ID=381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220A KR101094500B1 (ko) 2005-09-30 2005-09-30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5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027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192B2 (en) Bill depositing/withdraw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259236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US9208630B2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JP4346474B2 (ja) 紙幣処理装置
JPH07244771A (ja) 自動機群管理装置
RU26882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ьных носителей
CN101847288B (zh) 纸张处理装置
CN101925933A (zh)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US10233049B2 (en) Finan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94500B1 (ko) 매체자동입출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8210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310499B1 (ko) 지폐처리장치
JP2003509295A (ja) ばらのシート材を集積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098717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방법
KR101092129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60002284A (ko) 매체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JP2019096194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WO2016111082A1 (ja) 現金処理装置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20130115527A (ko) 지폐처리장치
KR102463158B1 (ko) 매체 처리 장치
KR20110104824A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175554A (ja) 紙幣入出金機
KR10124697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