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655B1 -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 Google Patents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655B1
KR101093655B1 KR1020090060504A KR20090060504A KR101093655B1 KR 101093655 B1 KR101093655 B1 KR 101093655B1 KR 1020090060504 A KR1020090060504 A KR 1020090060504A KR 20090060504 A KR20090060504 A KR 20090060504A KR 101093655 B1 KR101093655 B1 KR 10109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glass tube
bent
fluorescent lamp
cathode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957A (ko
Inventor
조광섭
정종문
이재욱
전용수
이경호
이민규
정세훈
Original Assignee
한솔라이팅 (주)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라이팅 (주),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솔라이팅 (주)
Priority to KR102009006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6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6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6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 H01J61/78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with cold cathode; with cathode heated only by discharge, e.g. high-tension lamp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2Sealing leading-in conductors
    • H01J9/323Sealing leading-in conductors into a discharge lamp or a gas-filled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합구부가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갖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일단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고 유리관의 형태대로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와, 제1 절곡부에서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리드선 지지부와, 제1 리드선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몸체부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집게 형상을 갖는 제1 리드선 고정부와, 제2 절곡부에서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리드선 지지부와의 사이에 삽입된 리드선을 지지하고, 제1 리드선 고정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제1 리드선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리드선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선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리드선과의 결착이 용이하며, 리드선과 유리관의 접합부의 열을 용이하게 발산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냉음극 형광램프, 유리관, 전극, 리드선, 콘넥터, 리드선 지지부, 리드선 고정부

Description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Electrode connector of high-luminanc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전극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유리관의 일단에서 노출되는 리드선과 유리관의 접합부의 열 발산과 리드선과의 결착이 용이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는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되는데 발광형으로는 음극선관, 전계 발광(electro luminescent)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고, 수광형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 LCD) 등이 있다.
수광형 표시장치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 화상을 형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광원, 예를 들면 백라이트를 설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화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형광램프로는 양단의 전극이 유리관 내에 설치된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 사용되고 있다.
냉음극 형광램프는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과 전원을 연결 하기 위해 땜납, 가열식 접합, 전기 용접 방식, 소켓삽입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속하였으므로 공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제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화면 LCD TV의 보급이 상용화되면서 램프의 길이가 길어지고 개수가 늘어나므로 백라이트의 가격 절감을 위해 램프의 수를 줄이면서 램프의 휘도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휘도 램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해야 되는데, 이에 따라 유리관과 리드선의 접합부가 과도하게 발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열의 발생은 램프의 수명 감소와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시트 및 액정 패널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백라이트와의 결착이 수월하고 전극의 발열에 따른 열의 발산 문제의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선을 지지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며 리드선과의 결착이 용이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 리드선과 유리관 접합부의 발열을 손쉽게 방사하여 고 전류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는 일측에 합구부가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갖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일단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유리관의 형태대로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리드선 지지부와, 상기 제1 리드선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집게 형상을 갖는 제1 리드선 고정부와,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리드선 지지부와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리드선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는 평판 또는 곡면을 이루는 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유리관의 일단의 형태대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열 확산과 효과를 증대할 목적으로 일정 크기와 간격을 갖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는 납재에 의해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형상을 갖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리드선 지지부 및 리드선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극 콘넥터를 통해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리드선과 결착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을 감싸는 전극 콘넥터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유리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콘넥터으로 고정된 리드선을 납재가 담긴 수조에 담금으로써 종래에 일일이 납땜을 하는 공정과 소켓에 삽입시 리드선이 절곡되는 취약점이 없이 리드선과 전극 콘넥터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납재 부착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리관에 부착된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콘넥터를 형성하는 판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는 필라멘트의 가열 없이 저온에서 점등되는 형광등으로, 유리관(40) 내부의 양 끝에 전극(43)이 있고, 전극(43)에는 리드선(45)이 연결되어 유리관(40) 외부로 노출된다. 유리관(40)의 내부 공간부(42)에는 일정량의 수은과 아르곤, 네온 등의 혼합 가스가 들어 있으며, 내주면은 형광물질(41)이 도포되어 점등 시 발광한다.
현재 냉음극 형광램프의 휘도는 약 25,000 cd/m2로 이때 램프에 흐르는 전류 는 10 mA이다. 그러나, 휘도를 30,000 cd/m2 이상으로 높이면 전류도 15 mA 이상 흐르게 된다. 램프 전류의 상승은 리드선(45)과 유리관(40)이 접합되는 부분의 온도 상승을 초래한다. 리드선(45)과 유리관(40)이 접합되는 부분의 온도가 상승되면 램프의 저항이 증가되고, 저항의 증가는 접합 부분의 온도 상승을 지속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10)는 고휘도용 형광램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극 콘넥터(10)로 유리관(40)과 결착이 용이하고, 콘넥터(10) 자체로서 유리관(40)과의 접합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10)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40)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45)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몸체부(11), 제1 및 제2 절곡부(15, 16),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 및 제1 리드선 고정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극 콘넥터(10)는 유리관(20)의 양단에 구비된다. 전극 콘넥터(10)는 인청동 등의 탄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니켈에 의해 도금 처리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1)는 일측에 합구부(13)가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갖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40)의 일단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몸체부(11)는 그 자체로서 리드선(45)과 유리관(40)의 접하는 부분의 열을 용이하게 확산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1 및 제2 절곡부(15, 16)는 각각 몸체부(11)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고 유리관(40)의 형태대로 절곡된다. 제1 및 제2 절곡부(15, 16)는 몸체부(11)의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고 탄성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어 리드선(45)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절곡부(15, 16)는 리드선(45)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길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드선 지지부(18)는 제1 절곡부(15)에서 몸체부(11)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시 절곡된다.
제1 리드선 고정부(21)는 제1 리드선 지지부(18)에서 연장되고 몸체부(11)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집게 형상을 갖는다. 제1 리드선 고정부(21)는 집게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3자" 형태 등 리드선(45)이 삽입되어 리드선(45)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면 모두 가능하다.
제2 리드선 지지부(19)는 제2 절곡부(16)에서 몸체부(11)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리드선(45)이 삽입되기 전에는 제1 리드선 고정부(21)가 제2 리드선 지지부(19)에 형성된 홀(25)에 삽입되어 서로 맞닿아 있다가 제1 리드선 고정부(21)를 위로 밀어 탄성에 의해 생기는 공간으로 리드선(45)을 삽입한다.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곡면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내부에 삽입된 리드선(45)을 지지한다. 이대,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곡면을 이루는 판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10)는 제1 리드선 지지부(18)에 제1 리드선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제2 리드선 지지부(19)에 홀(25)이 형성되어 제1 리드선 고정부(21)가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제2 리드선 지지부(19)에 집게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1 리드선 지지부(18)에 고정부를 삽입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리드선(45)을 삽입하기 위해 제2 리드선 지지부(19)에 형성된 고정부를 아래로 밀어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10)를 제조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금속판으로부터 몸체부(11), 제1 및 제2 절곡부(15, 16),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 및 제1 리드선 고정부(21) 등이 일체로 형성된 판부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림 공정에 의해 판부재(30)를 기둥 형상으로 구부려서 몸체부(11)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절곡부(15, 16)를 각각 유리관(40)의 둥근 형태대로 절곡한다. 이후,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를 다시 각각 몸체부(11)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하고, 다시 제1 리드선 고정부(21)를 각각 몸체부(11)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한다.
이때, 제1 및 제2 절곡부(15, 16)는 리드선(45)이 노출되는 위치에서 맞닿도록 길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리드선(45)이 삽입되기 전에 서로 맞닿게 된다.
또한, 제2 리드선 지지부(19)는 제1 리드선 고정부(21)가 닿는 부위에 제1 리드선 고정부(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드선 고정부(21)는 일단이 집게 형상을 갖는다. 리드선(45)은 집게 형상을 갖는 제1 리드선 고정부(21)에 삽입되어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 및 유리관의 조립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리관과 전극 콘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전극 콘넥터의 리드선 지지부 및 리드선 고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의 전극 콘넥터에 리드선이 삽입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10)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콘넥터(10)에 유리관(40)을 삽입하여 몸체부(11)가 유리관(4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리드선(45)이 제1 리드선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전극 콘넥터(10)에 유리관(40)을 삽입한다.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인 납재(51)가 채워진 납조(50)에 전극 콘넥터(10)에 삽입된 유리관(40)을 담그는 공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납조(50)에는 초음파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납재(51)가 콘넥터와 유리관 사이에 고르게 스며들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콘넥터(10)에 삽입된 유리관(40)을 납조(50)에서 꺼내면 납재(51)는 제1 리드선 고정부(21)과 리드선(45)에 묻어 전선 콘넥터(10)와 리드선(45)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전극 콘넥터(10)가 유리관(40)의 끝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리드선(45)과 제1 및 제2 리드선 지 지부(18, 19)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납재(51)는 제1 및 제2 절곡부(15, 16)가 형성되지 않은 전극 콘넥터(10)의 일단과 유리관(40)을 결합시켜 전극 콘넥터(10)가 유리관(40)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관(40)을 전극 콘넥터(10)에 삽입할 때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콘넥터(10)의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제1 리드선 고정부(21)를 위 방향으로 밀어주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리드선(45)이 삽입되기 전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서로 접하여 있고, 리드선(45)이 삽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18, 19)는 내부에 삽입된 리드선(45)의 두께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를 형성하는 판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110)는 몸체부(111)에 복수의 구멍(112)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멍(112)은 유리관(미도시)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킨다. 따라서, 고휘도 형광램프의 사용에 따른 전력량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전극의 발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멍(112)은 일정 크기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수나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의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리관에 부착된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콘넥터를 형성하는 판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리관과 전극 콘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전극 콘넥터의 리드선 지지부 및 리드선 고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의 전극 콘넥터에 리드선이 삽입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극 콘넥터를 형성하는 판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극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극 콘넥터 11 : 몸체부
15 : 제1 절곡부 16 : 제2 절곡부
18 : 제1 리드선 지지부 19 : 제2 리드선 지지부
21 : 제1 리드선 고정부 40 : 유리관
41 : 형광물질 43 : 전극
45 : 리드선 50 : 납조
51 : 납재

Claims (5)

  1. 일측에 합구부가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갖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일단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유리관의 형태대로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유리관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리드선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리드선 지지부와;
    상기 제1 리드선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집게 형상을 갖는 제1 리드선 고정부와;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리드선 지지부와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제1 리드선 지지부와 함께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리드선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가 상기 제2 리드선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홀에 삽입되어 서로 맞닿아 있다가, 상기 제2 리드선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를 위로 밀어 탄성에 의해 생기는 공간으로 상기 리드선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지지부는 평판 또는 곡면을 이루는 판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유리관의 일단의 형태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정 크기와 간격을 갖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 고정부는 납재에 의해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KR1020090060504A 2009-07-03 2009-07-03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KR10109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04A KR101093655B1 (ko) 2009-07-03 2009-07-03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04A KR101093655B1 (ko) 2009-07-03 2009-07-03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57A KR20110002957A (ko) 2011-01-11
KR101093655B1 true KR101093655B1 (ko) 2011-12-15

Family

ID=4361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504A KR101093655B1 (ko) 2009-07-03 2009-07-03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41A1 (ko) * 2015-12-29 2017-07-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연료 전지용 전해질 막, 연료 전지용 전극,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68B1 (ko) * 2006-03-22 2007-07-06 희성전자 주식회사 냉음극형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08059888A (ja) 2006-08-31 2008-03-13 Ushio Inc エキシマ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68B1 (ko) * 2006-03-22 2007-07-06 희성전자 주식회사 냉음극형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08059888A (ja) 2006-08-31 2008-03-13 Ushio Inc エキシマ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57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297B1 (ko) 백라이트
JP5678305B2 (ja) 蛍光ランプ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US20090195188A1 (en)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having thin coat as electrically connected terminal, production method of the lamp,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am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40135484A1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943356B (zh) 背光模块及其发光源封装构造
KR100485325B1 (ko) 백라이트용 램프홀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KR101093655B1 (ko) 고휘도용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콘넥터
TW200528871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67594B1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JP2008060082A (ja) 平面型電界放出照明モジュール
KR101366531B1 (ko) 형광램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5174902A (ja) 蛍光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その駆動方法、及び蛍光管の組立方法
KR100736668B1 (ko) 냉음극형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10039471A (ja) 光供給ユニット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788400B1 (ko) 전원 연결 장치 및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04327328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0511937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KR20080074337A (ko) 백라이트 유닛
JP4126914B2 (ja) 液晶表示器
JP2002231180A (ja) 平面型蛍光灯
TW200923512A (en) Light emitting module
KR100741953B1 (ko) 무전해 도금에 의한 전극이 형성되는 백라이트용형광램프와 그 형광램프의 전극부 형성 방법
KR100736669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의 전원 접속 구조
KR200313159Y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KR200396748Y1 (ko) 외부 전극형 형광램프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