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805B1 -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 Google Patents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805B1
KR101092805B1 KR1020057019964A KR20057019964A KR101092805B1 KR 101092805 B1 KR101092805 B1 KR 101092805B1 KR 1020057019964 A KR1020057019964 A KR 1020057019964A KR 20057019964 A KR20057019964 A KR 20057019964A KR 101092805 B1 KR101092805 B1 KR 10109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introduction section
artificial airway
hole
instrument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697A (ko
Inventor
에드워드 비. 매드센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11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27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removable and re-insertable liner tubes, e.g. for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61M16/0833T- or Y-type connectors, e.g. Y-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12Connections and closures for tubes delivering fluids to or from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sthes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호흡 장치는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기구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도입부를 포함한다. 기구도입부는 기구도입부 안으로 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구비한다. 기구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통로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원위 단부는 환자에게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는 기구도입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밸브는 기구가 밸브로부터 근접해 있을 때 통로가 환자의 인공 기도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격리되는 폐색 위치를 구비한다.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기구도입부의 통로를 밸브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막는다. 밸브는 또한 기구가 기구도입부를 통해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57019964
호흡 장치, 인공 기도, 기구도입부, 밸브, 카테터

Description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TRODUCTION SECTION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 RESPIRATORY INSTRUMENT}
호흡 시스템에 있는, 기관내관과 같은, 인공 기도를 가질 필요가 있는 다양한 다른 환경들이 존재한다. 수술 중에, 예를 들면, 인공 기도의 주요 기능은 수술 과정 중에 적절한 폐환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환자의 기도를 개방해 두는 것이다. 또는, 많은 환자들에게 있어서, 기관내관이 오랜 시간동안 기계적 환기를 유지하기 위해 남아 있다.
만약 기관내관이 어느 실질적인 양의 시간 동안 남아있어야 한다면, 호흡 분비물이 주기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보통 호흡 흡인 카테터의 사용으로 달성된다. 흡인 카테터가 회수될 때, 호흡 시스템으로부터 점액 및 다른 분비물을 끌어내기 위해 카테터의 내부에 네거티브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 전체가 모든 목적에 대해 참조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 팔머(Palmer)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569,34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닫힌 흡인 카테터 조립체에서, 카테터 튜브는 보호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인다. 카테터 조립체는 흡입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진공원과 연통하는 밸브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원위 단부와 환자측 단부에서, 폐색된 흡인 카테터 조립체는 매니폴드, 커넥터, 어댑터 등에 영구 부착되어 있다.
네거티브 압력이 가해진 후에, 카테터 튜브는 인공 기도로부터 철수될 수 있고, 카테터 튜브가 보호 슬리브 안으로 되돌아갈 때, 와이퍼 또는 씰이 카테터 튜브의 외부로부터 점액이나 분비물의 실질적인 부분을 벗기고 깨끗하게 한다. 그러나 카테터 튜브의 원위 팁부는 씰이나 와이퍼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어서, 원위 단부에 있는 점액이나 다른 분비물들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호흡 분비물 내에 있을 수 있는 감염 인자의 감염을 막기 위해 카테터 튜브로부터 이러한 분비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 기도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종종 면역기능 저하 체계를 가지고 있고, 감염 인자에 감염되기가 더 쉽다.
카테터를 세척할 수 있는 여러 개의 기구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환자의 기도로부터 회수된 후에 임상가가 카테터의 팁을 둘러싸는 영역 안으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세척 포트가 존재할 수 있다. 액체가 주입되고 흡입이 가해질 때, 액체는 분비물을 분해해서 카테터의 외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단순히 액체의 주입과 흡입에 관한 한 가지 중요한 문제는 흡입으로 인해 호흡 공기의 양이 카테터를 통해 제거된다는 것이다. 잠재적으로 빠지는 공기는 주의깊게 조절된 환기 주기를 혼란케하고, 그에 따라 환자에게 유용한 호흡 공기의 양은 카테터 세척의 결과로 감소될 수 있다.
종래의 호흡 흡인 카테터 장치들은 통풍기로부터 환자에게 전달되는 공기를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세척을 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 어 왔다.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가 참조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 크럼프(Crump)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6,227,200 B1호는 한 가지 실시예로 세척 중에 환자의 기도로부터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실질적으로 격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플랩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플랩 밸브는 카테터가 매니폴드를 통해 환자의 기도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구비한다. 현재의 호흡 흡인 카테터 장치들은 플랩 밸브 및 관련 구조물들과 협동 작용하는데, 이러한 부품들이 매니폴드에 영구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호흡 흡인 카테터 장치들은 점액 및 다른 감염 인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만, 보다 더 무균의 호흡 계통을 보장하기 위해 카테터 자체가 정기적으로 교체될 필요가 종종 있다. 어떤 호흡 흡인 카테터 제조자들은 흡인 카테터를 24시간 마다 새로운 흡인 카테터로 교체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경우에 흡인 카테터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플랩 밸브 및 관련 부품들을 보유하고 흡인 카테터가 부착된 매니폴드는 호흡 계통으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이 떨어지면 환자에게의 공기 공급을 반드시 방해하고, 통풍기와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카테터와 밸브가 부착된 새로운 매니폴드가 통풍기 계통에 연결된다.
또한, 흡인 카테터가 밸브 및 관련 세척 요소를 수용하는 구조물에 영구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내시경 또는 기관지경과 같은, 인공 기도 안으로 나아가는 것이 요구되는 다른 기구들은 매니폴드를 통해 나아갈 수 없다. 게다가, 이러한 다른 기구들은 흡인 카테터가 있고 그것이 매니폴드에 부착된 것 때문에 밸브 및/또는 세척 구조의 사용으로 세척될 수 없다.
따라서, 환자에게 보내는 환기를 떨어뜨리지 않고 기구의 팁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호흡 장치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요구된다. 또한, 환자에게로의 공기 공급의 손실을 막고, 교체과정 중에 환자에게 질병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환기계통으로부터 매니폴드를 분리함이 없이 호흡 장치로 새로운 호흡 장치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이점은 부분적으로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또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환기 계통으로부터 제거되고 환기 계통으로부터 인공 기도 구조물을 분리할 필요 없이 교체될 수 있는 호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구도입부가 있어서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기구를 도입할 수 있다. 기구도입부는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가진 근위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기구도입부는 근위 단부의 구멍으로부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기구는 이 통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원위 단부는 환자에게 부착된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밸브는 기구도입부에 위치될 수 있고, 통로가 환자의 인공 기도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격리되는 폐색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는 기구도입부의 통로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밸브는 기구가 기구도입부를 통해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인공 기도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을 포함하는 호흡 장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구도입부가 있고, 인공 기도로 기구를 도입되도록 할 수 있다. 기구도입부는 구멍을 가진 근위 단부와,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통로는 근위 단부의 구멍에서부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 기구도입부 내에 있다. 밸브는 기구도입부에 위치될 수 있고,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실질적으로 통로를 막을 수 있다. 밸브는 기구가 기구도입부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세정부는 기구도입부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밸브로부터 근접할 수 있다. 관개 포트는 세정부와 연통할 수 있다. 관개 포트는 유체를 세정부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가 있고, 플러그는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릴 수 있다. 플러그는 근위 단부의 구멍을 폐색함으로써 주위로부터 통로를 격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인공 기도로 기구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도입부를 가진 호흡 장치를 제공한다. 기구도입부는 구멍이 있는 근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기구도입부 안으로 기구를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가 기구도입부에 있고, 환자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는 마찰끼워맞춤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통로는 근위 단부의 구멍에서부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 존재한다. 기구는 통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단일 플랩 밸브는 기구도입부에 위치할 수 있고, 통로가 환자의 인공 기도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막히는 폐색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는 기구가 기구도입부를 통해 환자의 인공 기도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세정부는 기구도입부 안에 구비될 수 있고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밸브로부터 근접할 수 있다. 관개 포트는 세정부와 연통할 수 있다. 관개 포트는 세정부 안으로 유체가 이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 씰은 기구도입부 안에 위치될 수 있고 세정부로부터 근접할 수 있다.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는 캡이 형성될 수 있다. 캡은 기구가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는 줄에 의해 캡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는 캡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캡의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밸브로부터 근접한 기구도입부에 위치한 와이퍼 씰를 더 구비한 상기 설명된 호흡 장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밸브가 단일 플랩인 상기 설명된 호흡 장치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일 플랩이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단일 플랩은 기구가 기구도입부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기구도입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다양한 메카니즘을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끼워맞춤, 나사결합, 미늘 구조, 또는 클램프 링이 인공 기도 구조물에 기구도입부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사시도이다. 인공 기도와 이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을 착용한 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인공 기도 구조물에 가 까이 위치한 호흡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인공 기도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회전 포트를 가진 인공 기도 구조물에 가까이 위치해 있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마찰끼워맞춤을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에 부착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인공 기도 구조물 밸브가 구비된 인공 기도 구조물에 가까이 위치한 호흡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나사결합을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호흡 장치를 인공 기도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늘(barb)이 호흡 장치에 나타나 있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인공 기도 구조물에 맞물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흡인 카테터의 관부가 호흡 장치와 인공 기도 구조물을 통해 지나가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인공 기도 구조물에 호흡 장치를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링을 구비한 인공 기도 구조물에 근접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인공 기도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네오네이트 Y-매니폴드인 인공 기도 구조물에 근접해 있다.
도13은 도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호흡 장치의 단면입면도이다. 여기서, 호흡 장치는 마찰끼워맞춤을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캡 및 플러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4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상세히 참조되고,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고, 본 발명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예시되거나 설명되는 구성들은 제3의 실시예가 생기게 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수정예와 변형예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근위(proximal)는 일반적으로 의료인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원위(distal)는 일반적으로 환자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은 환자(18)의 환기 계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환기 계통으로부터 인공 기도 구조물(30)을 분리함이 없이 교체될 수 있는 호흡 장치(10)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환자(18)의 인공 기도(34) 안으로 배치되는 다양 한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흡인 카테터(12) 및 관련 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통풍기(76)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을 통해 인공 기도(34)와 연통할 수 있다.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때때로 매니폴드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통풍기(76)는 인공 기도(34)를 통해 환자(18)에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인공 기도(34)가 어느 실질적인 시간 동안 환자(18)에게 남아있다면, 호흡 분비물이 환자(18)의 폐 안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18)의 적절한 폐 통풍이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분비물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비물들은 흡인 카테터(12)의 사용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흡인 카테터(12)는 인공 기도(34)를 통해 환자(18)의 폐 안으로 연장될 수 있는 관부(14)를 가지고 있다. 진공원(78)은 환기 계통과 연통할 수 있고, 특히 흡인 카테터(12)와 연통할 수 있다. 의료인은 흡입 밸브(74)를 가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에 진공압을 가할 수 있다. 그렇게 함에 따라, 환자(18)와 인공기도(34)에 있는 호흡 분비물이 제거될 수 있다.
호흡 분비물은 때때로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에 남아 있거나 환기 계통의 다른 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호흡 분비물은 환자(18)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병원균 및 다른 해로운 병원체에 대한 번식지를 제공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어떤 남아있는 호흡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흡인 카테터(12) 및/또는 환기 계통의 다른 구성품들이 세척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18)에게 오염 위험을 낮게 보장하기 위해, 어느 양의 착수 시간, 예를 들면 24 또는 72 시간 의 사용이 지난 후에 흡인 카테터(12) 및/또는 환기 계통의 다른 구성품을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이 보통의 실시이다.
흡인 카테터(12)는 가요성 플라스틱 슬리브(44)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관부(14)가 환기 계통으로부터 철수될 때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에 축적되는 호흡 분비물을 보유하고 격리하기 위해 슬리브(44)가 있다. 흡인 카테터(12)에 슬리브(44)를 부착하는 밀봉 연결부(45 및 47)가 슬리브(44)의 각각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기존의 장치들에서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인공기도(34)로부터 해제가 가능하여, 새로운 인공 기도 구조물(30)이 환기 계통 안으로 합체될 수 있었다. 환기 계통 내의 이러한 브레이크는 환자(18)에게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고, 통풍기와 관련된 복잡성의 가능성이 증가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호흡 장치(10)가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호흡 장치(10)를 제거하면, 인공 기도 구조물(30)이 남아 통풍기(76)와 인공 기도(34) 사이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는 호흡 장치(10)가 제거되어 있는 동안에도 여전히 환자(18)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새로운 호흡 장치(10)가 같은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재부착될 수 있다. 흡인 카테터(12)는 호흡 장치(1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호흡 장치(10)의 교체 중에 새로운 흡인 카테터(12)와 교체되거나 교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장치(10)는 다양한 인공 기도 구조물(30)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서, 호흡 장치(10)는 T-형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사용될 수 있다. 포트(90)가 있어서, 인공 기도(34)에 부착될 수 있다(도1). 따라서 포트(90)는 인공 기도 구조물(30)과 인공 기도(34) 사이에서 연통되도록 한다. 통풍기(76)(도1)로부터 온 공기는 포트(92)를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제공되거나 또는 인공 기도 구조물(3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포트(92)는 커넥터(도시않음)를 경유하여 한 쌍의 통풍 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인공 기도 구조물(30) 상의 또 다른 포트(94)가 포트(92)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있다. 포트(94)는 환자(18)로 하여금 강제 통풍으로부터 단념시키게 하기 위해 "블로바이(blow-by)" 방식이 바람직할 때 제거되는 캡(68)으로 일반적으로 덮여 있다. 또 다른 포트(46)가 호흡 장치(10)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될 수 있어서, 호흡 장치(10)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호흡 장치(10)는 도2에 더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호흡 장치(10)는 기구 도입부(22)를 포함하고 있어서, 여기에 흡인 카테터(12)(도1)와 같은 기구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기구 도입부(22)는 연장되는 통로(24)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도1)는 통로(24)를 통하고,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의 구멍(98)을 통하고, 인공 기도 구조물(30) 안으로 나아갈 수 있고, 결국에는 인공 기도(34)(도1)로 나아갈 수 있다. 환자(18)로부터 관부(14)가 철수되면, 관부(14)의 표면에 호흡 분비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 기구도입부(22)에는 와이퍼 씰(36)이 제공될 수 있다. 와이퍼 씰(36)은 관부(14)가 지나가도록 하는 구멍을 가진 탄성 부재일 수 있다. 관부(14)가 기구도입부(22)의 근위 단부(26) 안으로 철수될 때 와이퍼 씰(36)은 바람직하게는 관부(14)와 꽉 맞물린다. 관부(14)의 표면에 있는 호흡 분비물은 와이퍼 씰(36)과의 접촉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기구도입부(22)는 또한 세정부(38)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세정부(38)는 세정부 부재(8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세정부(38)는 밸브(32)에 의해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정부(38)는 기구도입부(22)의 어느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밸브(32)는 기구도입부(22) 안에 수용된 환형 고리(31)에 힌지식으로 부착된 단일 플랩이다. 밸브(32)의 힌지는 편의력과 피봇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32)의 사용은 크럼프 ( Crump )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227,200 B1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밸브(32)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통로(24)를 막을 수 있다.
도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는 원위 구멍(82)을 가진 원위 단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관강(lumen)(20)은 관부(14)를 통해 연장되고, 호흡 분비물 및 다른 유체가 원위 구멍(82)을 통해 관강(20) 안으로 진공원(78)(도1)에 의해 이송되도록 한다.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는 흡인 카테터(12)의 원위 단부(16)를 밸브(32)에 마주 대하여 그리고/또는 세정부(38)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세정될 수 있다. 그렇게 위치시키면, 진공은 관강(20)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세척제(lavage) 또는 다른 세정 용액인 세정부(38)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진공의 적용으로 밸브(32)를 관부(14)의 원위 단부(16)에 대해 밀어 넣게 된다. 그러나, 세척제나 다른 세정 용액의 주입 그리고/또는 진공의 적용은 다른 경우에 관부(14)의 세정과 관련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관부(14)의 원위 단부(16)가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관부(14)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밸브(32)가 관부(14)의 말단부(16)에 접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밸브(32)는 관부(14)의 세정 중에 세정부 부재(86)에 대해 반대로 가압될 수 있다.
관부(14)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구멍(84)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세척용액이 관부(14)에 있는 어떤 호흡 분비물을 분해하고 제거하도록 흡입 중에 세정부(38) 안에서 난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호흡 분비물은 측면 구멍(84) 및/또는 원위 구멍(82)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밸브(32)는 구멍(42)을 구비할 수 있다. 구멍(42)이 있어서, 세정부(38) 안에 더 바람직한 난류 흐름이 형성되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구멍(42)은 지름이 약 0.03 inch 일 수 있다.
관개 포트(40)가 세척 용액의 주입을 위해 기구도입부(22)에 부착될 수 있다. 세척 용액을 담은 용기(도시않음)는 관개 포트(40) 안으로 삽입되는 출구를 가질 수 있다. 세척제는 이 용기로부터 세정부(38)와 연통될 수 있는 관개 포트(40)로 투여될 수 있다. 관개 포트(40)는 또한 줄(72)에 의해 관개 포트(40)에 연결될 수 있는 관개 캡(70)을 구비할 수 있다. 관개 캡(70)은 사용되지 않을 때 관개 포트(40)를 폐색하기 위해 관개 포트(40)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작은 양의 공간이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 및 세정부 부재(86) 사이에 존재하도록 세정부 부재(8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 공간은 약 0.005 inch 와 0.015 inch 사이일 수 있다. 이 공간은 두 개의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환자(18)에게 제공하기 위해 세척제가 필요하다면, 관개 포트(40)를 통해 세정부(38)로 들어가는 세척제를 주입하여 세척 용액이 기구도입부(22)를 나와 환자(18)에게 들어가도록 한다. 둘째, 관부(14)가 철수됨에 따라, 관부(14)와 세정부 부재(86) 사이가 인접해 있어서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의 외측으로부터 호흡 분비물의 어떤 두꺼운 층이라도 닦아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밸브(32)의 장착은 환기 계통에 압력 손실을 일으키지 않고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가 세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밸브(32)가 환기 계통의 나머지로부터 밸브(32)에 인접한 호흡 장치(10)의 일부분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격리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밸브(32)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88)를 구비할 수 있다. 도9에는 인공 기도 구조물(30)과 맞물려진 호흡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네오나이트 매니폴드이다.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는 기구도입부(22), 인공 기도 구조물(30)을 통해, 포트(90) 밖으로 나아가, 결국에는 환자(18)(도1)의 인공 기도(34)(도1)로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밸브(32)는 기구도입부(22)를 통해 관부(14)가 삽입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돌출부(88)는 관부(14)의 표면과 접촉하는 밸브(32)를 최소화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돌출부(88)에 의해 제공된 최소접촉에 의해 밸브(32) 및 관련 부품들에 대한 관부(14)로부터의 호흡 분비물의 오염을 줄이는 것을 돕는다. 게다가, 어떤 전형적인 실시예들에서, 이 접촉은 밸브(32)의 구조적 보전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밸브(32)에 대한 불필요한 굽힘이나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밸브(32)는 폐색 위치를 향해 편의될 수 있다. 환형 링(31)에 부착된 것으로 도9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 밖에도 밸브(32)는 예를 들면, 기구도입부(22)의 벽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밸브(32)는 관부(14)가 밸브(32)로부터 근접하여 위치되면 밸브(32)가 폐색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는 폐색 위치로 밸브(32)를 끌어당기기 위해 관강(20)을 통해 진공을 적용하고 밸브(32)로부터 관부(14)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밸브(32)가 폐색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밸브(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플랩일 필요가 없고, 또한 환형 링(31)을 가질 필요도 없고, 구멍(42) 또는 돌출부(88)을 가질 필요가 없다. 도면에 도시된 밸브(32)의 형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고, 밸브(32)의 다른 형상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밸브(32)는 폐색 위치를 향해 편의되고 기구도입부(22)를 통해 흡인 카테터(12)의 관부(14)나 다른 적절한 기구를 삽입함으로써 개방되는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플랩일 수 있다.
다시 도2를 보면, 기구도입부(22)는 근위 단부(26)와 원위 단부(28)를 구비하고 있다. 근위 단부(26)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흡인 카테터(1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두 개의 부품들은 서로 마찰끼워맞춤되거나, 서로 클램핑되거나,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냅 핏(snap fit)과, 랫치(latch)와, 보스(boss)와, 멈춤쇠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연결부들이 사용될 수 있다.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포트(46)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와 포트(46)의 결합이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28)는 포트(46)에 마찰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호흡 장치(10)와 인공 기도 구조물(30) 사이에 고정된 부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호흡 장치(1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이 두 부품이 해제되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호흡 장치(10)가 부착될 수 있는 추가 포트(80)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호흡 장치(10)는 각각의 원위 단부(28)가 포트(46) 및 포트(8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호흡 장치(10)는 기구도입부(22)의 근위 단부(26)에 배치된 캡(10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캡(100)의 구멍(102)이 제공될 수 있어서, 흡인 카테터(12)는 기구도입부(22)의 근위 단부(26)의 구멍(96)을 통해 지나가기 전에 이 구멍(102)을 통해 지나갈 수 있다. 구멍(102)은 다양한 기구들이 호흡 장치(10)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구멍(102)은 줄(106)에 의해 캡(100)에 바람직하게 연결되는 플러그(104)에 의해 폐색될 수 있다. 도5는 플러그(104)가 구멍(102)(도4)으로 삽입되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기구도입부(22)의 근위 단부(26)에 있는 구멍(96)을 폐색하는 작용을 한다. 구멍(96)을 폐색하는 것은 기구들이 호흡 장치(10)와 함께 사용되지 않을 때 환경 오염물질에 의해 호흡 장치(10)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게다가, 환자(18)가 기계적 환기를 하는 중에,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이 환기 계통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멍(96)을 폐색하는 것이 유리하다. 밸브(32) 또는 PEEP 씰(도시않음)의 사용을 통해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근위 단부(26)를 폐색하는 플러그(104)의 사용은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을 유지하는 다른 방법이나 보충 방법을 제공한다. 앞에서 암시된 바와 같이, 캡(100)은 호흡 장치(10)에 구비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도9는 캡(100)을 구비하지 않은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캡(100)과 플러그(104)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부착 부재(114)가 있어서, 호흡 장치(10)의 어느 부품, 예를 들면, 근위 단부(26)에 부착될 수 있다. 캡(100)은 줄(106)에 의해 부착 부재(114)에 연결되도록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플러그(104)는 별도의 플러그 줄(116)에 의해 부착 부재(114)에 연결된다. 캡(100)은 호흡 장치(10)의 일부분, 예를 들면, 구멍(96)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플러그(104)는 캡(100)에서의 구멍(102) 안에 위치될 수 있다.
도4는 부착 부재(114)를 가진 캡(100)이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포트(46)에 부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플러그(104)는 포트(46)를 폐색하기 위해 캡(10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5는 호흡장치(10)가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거된 플러그(104)와 캡(1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호흡 장치(10)의 원위 단 부(28)는 포트(46)로부터 캡(100)을 제거하지 않고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포트(4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46)는 인공 기도(34)(도1)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는 회전 포트(62)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회전 부재(60)는 포트(46 및 80)의 회전을 허용하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구비될 수 있어서, 포트(80)는 회전 포트(62)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포트(46)는 포트(62)와의 축방향 정렬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타입의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로렌젠 ( Lorenzen )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735,27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 전체는 모든 목적에 대해 참조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통풍기(76)와 연통하는 또 다른 회전 포트(64)를 가진다. 이러한 두 개의 회전 포트(62 및 64)는 회전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들에 더 쉽게 연결되는 배관 및/또는 구조물은 환기 계통의 다양한 부품들이 조작되거나 이동될 때 이동한다. 이것은 환기 계통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어 환자(18)(도1)에게 전달되는 응력의 감소를 돕는다. 회전 포트(62 및 64)는 예를 들면 팔머(Palmer)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94,92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될 수 있고, 이 문헌의 전체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에 대해 참조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호흡 장치(10)는 도2에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호흡 장치(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호흡 장치(10)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이 경우에 한 쌍의 회전 포트(62 및 64)를 가진 엘보우 매니폴드(elbow manifold)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즉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와 포트(46)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으로,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부착되는 호흡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와 포트(46) 사이의 마찰의 특정한 양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이 두 개의 부품은 서로에 대해 단단히 끼워맞춤될 수 있어서 의료인은 포트(46)로부터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를 제거하기 위해 큰 힘을 써야 한다. 반대로, 이 두 개의 부품은 포트(46)로부터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를 제거하기 위하여 작은 양의 힘만이 요구되도록 함께 끼워맞춤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두 개의 부품 사이의 마찰도를 다양하게 해서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고정될 수 있는 호흡 장치(10)의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트(46) 안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도3, 도5, 도7, 도9, 도11 및 도13),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는 다른 실시예에서 포트(46) 주위에 끼워맞춤되는 크기일 수도 있다. 게다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포트(46)와 원위 단부(28) 사이의 다른 마찰 끼워맞춤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6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회전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포트(90 및 92)를 가진 엘보우 매니폴드일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포트(90 및 92)는 포트(90)를 통해 환자(18)(도1)로부터 그리고 환자(18)에게 공기를 공급하고 포트(92)를 통해 통풍기(76)(도1)로부터 그리고 통풍기(76)에 공기를 공급하는 환기 계통의 일부를 형성한다. 설명된 바와 같 이, 호흡 장치(10)는 환기계통의 나머지로부터 인공 기도 구조물(30)을 제거할 필요없이 인공 기도 구조물(3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것은 호흡 장치(10)의 교체 중에 환자(18)(도1)에게 공기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일단 호흡 장치(10)가 분리되면 포트(46) 내의 구멍(46) 때문에 소량의 공기가 손실될 수도 있다.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의 손실을 추가로 최소화하기 위해,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포트(46)를 밀봉함으로써 호흡 장치(10)를 제거하는 동안 공기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어떤 디자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기구도입부(22)의 밸브(3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일 플랩일 수 있다.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가 폐색 위치를 향해 편의될 수 있고, 포트(46)을 통해 포트(90) 안으로 관부(14)(도1)가 삽입되어 개방될 수 있다. 단일 플랩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복수의 플랩일 수도 있다. 게다가,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플랩을 가지지 않지만, 인공 기도 구조물(30)로부터 호흡 장치(10)가 분리되는 동안 폐색 포트(46)를 제공하는 메카니즘일 수 있다.
게다가, 밸브(32)와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럼프(Crump) 에게 허여된 공동 소유의 미국특허 제6,227,200 B1호에 개시된 형상들이 장착될 수 있고, 그것은 비틀림 멤브레인, 덕빌(duckbill) 배열, 또는 오프셋 구멍을 가진 듀얼 멤브레인 형상일 수 있다.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호흡 장치(10)가 분리되는 동안 폐색되어 있지만, 포트(46) 안으로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가 삽입되어 개방되는 형상일 수 있다. 게다가,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포트(46)를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30) 안으로 관부(14)(도1)가 삽입되어 개방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는 또한 관부(14)로부터 호흡 분비물과의 접촉 때문에 세척될 필요도 있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관부(14)의 원위 단부(16)(도1)는 인공 기도 구조 밸브(66)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세척 용액은 관개 포트(40)를 통해 이 위치 안으로 주입될 수 있다. 진공은 관부(14)의 관강(20)에 적용될 수 있고, 존재하는 호흡 분비물은 밸브(32)에 대한 세척 과정과 실질적으로 같은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호흡 장치(10)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다른 방법들이 가능하다. 도6 및 도7은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가 외부 나사(48)를 가질 수 있는 나사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포트(46)는 내부 나사(50)를 가질 수 있고, 외부 나사(48)와 정합되는 형상이다. 도7은 호흡 장치(10)와 인공 기도 구조물(30) 사이의 나사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부착에 효과를 주기 위해, 의료인은 호흡 장치(10)와 인공 기도 구조물(30)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호흡 장치(10)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다른 구성이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복수의 포트를 가진 네오나이트 매니폴드이다. 이러한 세 개의 포트는 도면부호 "46, 90 및 92"로 지시 되어 있다. 포트(92)는 통풍기(76)(도1)로의 양방향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포트(90)는 환자의 인공 기도(34)(도1)로의 양방향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포트(46)는 호흡 흡인 카테터 장치(10)의 원위 단부(28)와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원위 단부(28)는 원위 단부(28)로부터 연장되는 미늘(52)을 구비할 수 있다. 미늘(52)과 원위 단부(28)는 포트(46) 안으로 억지끼워맞춤되고 원위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다. 포트(46)는 미늘(52)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수용 영역(54)을 가진 일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미늘(52)이 수용 영역(54) 안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는 포트(46) 안에 보유된다. 이러한 결합은 도9에 도시되어 있다. 인공 기도 구조물(30)로부터 호흡 장치(10)를 제거하기 위해, 의료인은 힘을 가하여 이러한 두 개의 부품을 분리할 수 있다. 이 힘은 미늘(52)과 원위 단부(28)가 포트(46)에서 활주되어 나와 호흡 장치(10)의 분리 효과를 주도록 미늘(52)을 누르고 그리고/또는 원위 단부(28)를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공기도구조물(30)은 호흡 흡인 카테터 장치(10)의 원위 단부(28)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해 포트(46)를 가진 T-형 매니폴드일 수 있다. 클램핑 링(56)이 구비될 수 있고 포트(46)의 외부를 둘러싼다. 클램핑 링(56)은 적어도 약간은 가요성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이나 의료용 등급의 플라스틱의 단일품일 수 있다. 클램핑 링(56)은 각 단부에 구멍들(도시않음)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통해 스크류(58)가 위치될 수 있다.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는 도1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포트(46)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스크류(58)는 클램핑 링(56)의 두 개의 단부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것은 포트(46)가 가압되도록 하여 호흡 장치(10)와 인공 기도 구조물(30) 사이의 고정 부착을 일으키는 기구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에 대해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또한, 너트(도시않음)는 스크류(58)와 맞물릴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클램핑 링(56)의 압축 효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스크류(58)는 클램핑 링(56)의 두 개의 단부가 서로에게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풀릴 수도 있다. 이것은 원위 단부(28)와 포트(46) 상이의 연결을 풀고, 호흡 장치(10)가 인공 기도 구조물(30)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호흡 장치(10)는 도2의 호흡 장치(10)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이다. 그러나, 그 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30)은 네오네이트 Y-매니폴드로 도시되어 있다. 도13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찰끼워맞춤을 통해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포트(46)에 연결되는 호흡 장치(10)의 원위 단부(28)를 도시하고 있다.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포트(90 및 92)는 통풍기(76)와 인공 기도(34) 사이가 연통되도록 한다. 테이퍼진 어댑터(112)는 호흡 장치(10)가 배관이나 호흡계통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포트(90) 안에 보유될 수 있다. 테이퍼진 어댑터(112)는 포트(90)에 영원히 부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퍼진 어댑터(112)에 대한 필요를 없애고 인공 기도 구조물(30) 자체가 테이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흡 장치(10)는 다양한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부착될 수 있는 크기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 기도 구조물(30)의 다양한 크기들과 형태들에 따라 호흡 장치(10)의 다양한 크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게다가, 도입부(22)의 원위 단부(28)를 인공 기도 구조물(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고 여기서 설명된 메카니즘들은 단지 전형적인 실시예들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카테터(12)와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그 기구는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12)를 제외한 어떤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1은 기관지경(108)이 삽입된 호흡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기관지경(108)은 통로(24)를 통해, 인공기도구조물(30)을 지나, 환자(18)(도1)의 인공 기도(34)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기관지경(108)은 흡인 카테터(12)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세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관지경(108)의 팁은 밸브(32)에 근접해 위치될 수 있고, 세척 용액은 세정부(38) 안으로 주입될 수 있으며, 흡입은 기관지경(108)을 통해 가해져서 호흡 분비물들이 기관지경(108)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또는, 내시경과 같은 다른 적절한 기구가 호흡 장치(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 장치(10)는 다른 기구들이 그를 통해 배치되고 세척 용액의 삽입 그리고/또는 기구에 대한 흡입의 적용에 의해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호흡 장치(10)는 다른 타입의 기구들이 인공 기도 구조물(30)을 분리하지 않고 앞서 언급된 환자 에 대한 환기의 방해 없이 인공 기도(34)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게다가, 밸브(32)는 폐색 위치에 있을 때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을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인 카테터(12)와 함께 사용되는 호흡 장치(10)에 제한되지 않지만, 인공 기도(34) 안으로 삽입되는 어떠한 적절한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타입의 기구들이 호흡 장치(10)와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의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 설명된 호흡 장치의 실시예로 될 수 있는 다양한 수정예들을 포함한다.

Claims (35)

  1. 호흡 장치이며,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기구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도입부로서, 구멍을 갖고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근위 단부와, 환자의 인공 기도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의 구멍에서부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의 통로로서 상기 기구가 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기구도입부와,
    전체적으로 상기 기구도입부 내에 위치되면서 인공 기도 구조물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위치되는 밸브로서,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인공 기도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막히는 폐색 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상기 기구도입부를 통하여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로부터 근접한 상기 기구도입부에 위치한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와 연통되고, 유체를 상기 세정부 안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관개 포트를 포함하는 호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흡인 카테터와, 내시경과, 기관지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호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흡인 카테터이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는 상기 흡인 카테터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 카테터는 상기 기구도입부의 통로를 통해 나아갈 수 있는 관부를 구비한 호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부터 근접한 상기 기구도입부에 위치한 와이퍼 씰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단일 플랩인 호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플랩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단일 플랩은 상기 기구도입부를 통해 기구가 삽입되어 개방되는 호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폐색 위치를 향해 편의된 호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마찰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호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구비한 호흡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미늘을 구비한 호흡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기구도입부를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시키도록 된 클램프 링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은 회전 가능한 매니폴드와, 엘보우 매니폴드와, T-매니폴드와, Y-매니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호흡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은 공기 손실을 막기 위해 위치된 밸브를 구비하는 호흡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과,
    플러그 줄을 구비하고, 상기 캡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상기 캡의 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의 포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과,
    플러그 줄을 구비하고, 상기 캡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상기 캡의 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를 폐색하도록 된 포지티브 엔드 호기 압력 캡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20. 호흡 장치이며,
    환자의 인공 기도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과,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기구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도입부로서, 구멍을 구비한 근위 단부와,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와, 상기 근위 단부의 구멍에서부터 상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의 통로를 포함하는 기구도입부와,
    전체적으로 상기 기구도입부 내에 위치되면서 인공 기도 구조물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위치되어,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막고, 상기 기구가 상기 기구도입부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로부터 근접한 상기 기구도입부에 구비되어 있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와 연통되고, 유체를 상기 세정부 안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관개 포트와,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근위 단부의 구멍을 폐색함으로써 주위로부터 통로를 격리시키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호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부터 근접한 상기 기구도입부에 위치한 와이퍼 씰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단일 플랩인 호흡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플랩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도입부를 통해 기구가 삽입되어 개방되도록 된 호흡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폐색 위치를 향해 편의된 호흡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마찰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호흡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구비한 호흡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는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미늘을 구비한 호흡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원위 단부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기구도입부를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시키도록 된 클램프 링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은 회전 가능한 매니폴드와, 엘보우 매니폴드와, T-매니폴드와, Y-매니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호흡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을 더 포함하는 호흡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흡인 카테터와, 내시경과, 기관지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호흡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흡인 카테터이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는 상기 흡인 카테터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 카테터는 상기 기구도입부의 통로를 통해 나아갈 수 있는 관부를 구비한 호흡 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기도 구조물은 공기 손실을 막기 위해 위치된 밸브를 구비하는 호흡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과,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는 플러그 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캡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상기 캡의 구멍 안으로 삽입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근위 단부의 구멍과 상기 캡의 구멍을 폐색함으로써 상기 기구도입부의 통로를 주위로부터 격리시키는 호흡 장치.
  35. 호흡 장치이며,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기구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도입부로서, 상기 기구도입부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구비한 근위 단부와, 환자의 인공 기도에 부착되는 인공 기도 구조물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되고, 마찰끼워맞춤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원위 단부와, 상기 기구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근위 단부의 구멍에서부터 상기 원위 단부의 구멍까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기구도입부와,
    전체적으로 상기 기구도입부 내에 위치되면서 인공 기도 구조물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위치되고, 환자의 인공 기도로부터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폐색하는 폐색 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상기 기구도입부를 통해 환자의 인공 기도 안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를 구비하는 단일 플랩 밸브와,
    상기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로부터 근접한 상기 기구도입부에 구비되어 있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와 연통되고, 유체를 상기 세정부 안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관개 포트와,
    상기 기구도입부에 위치하고 상기 세정부로부터 근접한 와이퍼 씰과,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구도입부의 근위 단부의 구멍 안으로 상기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한 캡과,
    줄에 의해 상기 캡에 연결되고, 상기 캡의 구멍을 폐색하기 위해 상기 캡의 구멍 안으로 삽입 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호흡 장치.
KR1020057019964A 2003-05-06 2004-01-20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KR101092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30,814 2003-05-06
US10/430,814 US7556041B2 (en) 2003-05-06 2003-05-06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troduction section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 respiratory instrument
PCT/US2004/001412 WO2004101044A1 (en) 2003-05-06 2004-01-20 Respiratory apparatus having an introduction section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 respiratory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697A KR20050119697A (ko) 2005-12-21
KR101092805B1 true KR101092805B1 (ko) 2011-12-12

Family

ID=334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964A KR101092805B1 (ko) 2003-05-06 2004-01-20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556041B2 (ko)
EP (1) EP1620148B1 (ko)
JP (1) JP5068536B2 (ko)
KR (1) KR101092805B1 (ko)
AT (1) ATE406931T1 (ko)
AU (1) AU2004238186B2 (ko)
BR (1) BRPI0409662B1 (ko)
CA (1) CA2523460C (ko)
DE (1) DE602004016309D1 (ko)
ES (1) ES2309490T3 (ko)
MX (1) MXPA05011325A (ko)
NO (1) NO20054910L (ko)
PT (1) PT1620148E (ko)
WO (1) WO2004101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8420B2 (en) * 2002-09-24 2007-10-09 Thomas Jefferson University Oropharyngeal airway
ITBO20050404A1 (it) * 2005-06-15 2006-12-16 Sherwood Serv Ag Valvola di accesso broncotracheale per una apparecchiatura di broncoaspirazione
US8042545B2 (en) * 2006-09-01 2011-10-25 Al Medical Devices, Inc. Endotracheal intubation and fluid delivery device
US20090095306A1 (en) * 2007-10-09 2009-04-16 Jeff Mandel Oral device for intubation
US8302602B2 (en) 2008-09-30 2012-11-06 Nellcor Puritan Bennett Llc Breathing assistance system with multiple pressure sensors
US20100147312A1 (en) * 2008-12-12 2010-06-17 John Brewer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in Lock and Method of Use
US8215306B2 (en) 2008-12-12 2012-07-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ush button lock and method of use
US8307829B2 (en) * 2008-12-23 2012-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ccess assembly with rotating lock and method
US8205913B2 (en) * 2008-12-31 2012-06-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triple swivel manifold
US8444627B2 (en) * 2008-12-31 2013-05-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manifold with bridge
US8468637B2 (en) 2009-02-06 2013-06-25 Endoclear Llc Mechanically-actuated endotracheal tube cleaning device
DK2393538T3 (da) 2009-02-06 2017-11-27 Endoclear Llc Anordninger til rengøring af endotrachealrør
GB0905219D0 (en) * 2009-03-26 2009-05-13 Smiths Medical Int Ltd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8256422B2 (en) * 2009-05-15 2012-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access port assembly with passive lock and method of use
GB0914557D0 (en) 2009-08-20 2009-09-30 Smiths Medical Int Ltd Ventilation and suction systems and assemblies
US9205212B2 (en) * 2009-10-01 2015-12-08 Covidien Ag Transtracheal catheter apparatus
EP2902066B1 (en) 2010-03-29 2021-03-10 Endoclear LLC Airway cleaning and visualization
GB201119794D0 (en) 2011-11-16 2011-12-28 Airway Medix Spolka Z O O Ballooned ventilation tube cleaning device
US10322253B2 (en) 2011-03-29 2019-06-18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Ballooned ventilation tube cleaning device
WO2013063520A1 (en) * 2011-10-27 2013-05-02 Endoclear, Llc Endotracheal tube coupling adapters
US9364624B2 (en) 2011-12-07 2016-06-14 Covidien Lp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base flow
US9078987B2 (en) 2011-12-23 2015-07-14 Avent, Inc. Clutch brake assembly for a respiratory access port
US9498589B2 (en) 2011-12-31 2016-11-22 Covidien Lp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base flow and leak compensation
US9022031B2 (en) 2012-01-31 2015-05-05 Covidien Lp Using estimated carinal pressure for feedback control of carinal pressure during ventilation
US8844526B2 (en) 2012-03-30 2014-09-30 Covidien Lp Methods and systems for triggering with unknown base flow
US10004863B2 (en) 2012-12-04 2018-06-26 Endoclear Llc Closed suction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NL1039999C2 (en) * 2013-01-14 2014-07-15 Pacific Hospital Supply Co Closed suction set insertable with bronchoscope.
US9492629B2 (en) 2013-02-14 2016-11-15 Covidien Lp Methods and systems for ventilation with unknown exhalation flow and exhalation pressure
US9981096B2 (en) 2013-03-13 2018-05-29 Covidien Lp Methods and systems for triggering with unknown inspiratory flow
PL2873433T3 (pl) * 2013-11-13 2016-11-30 Przełączalny element pośredniczący dla rurki ssącej
KR101574772B1 (ko) * 2014-02-06 2015-12-07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US9427541B2 (en) 2014-04-30 2016-08-30 Vitaltec Corporation Switchable adapter for a suction tube
WO2015187583A1 (en) 2014-06-03 2015-12-10 Endoclear Llc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500360B1 (en) 2014-08-29 2019-12-10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Catheter for cleaning of tracheal ventilation tubes
US10532171B2 (en) * 2014-09-30 2020-01-14 Frank H. Arlinghaus, Jr. Tracheostomy or endotracheal tube adapter for speech
US11285287B2 (en) 2014-09-30 2022-03-29 Frank H. Arlinghaus, Jr. Tracheostomy or endotracheal tube adapter for speech
US9925346B2 (en) 2015-01-20 2018-03-27 Covidien Lp Systems and methods for ventilation with unknown exhalation flow
CN106139341B (zh) * 2015-03-26 2018-09-18 北京雅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呼吸气路的三通管路及其检测方法
GB2546082B (en) 2016-01-06 2018-05-16 Airway Medix S A Closed suction system
US11452831B2 (en) 2016-01-06 2022-09-27 Airway Medix S.A. Closed suction system
US10946153B2 (en) 2016-05-16 2021-03-16 Teleflex Life Sciences Pte. Ltd. Mechanical user control elements for fluid input module
US10864338B2 (en) * 2017-05-19 2020-12-15 Austere Medical Group, Llc Rescue breathing apparatus
US10869979B2 (en) 2017-08-09 2020-12-22 Eric A. Cantor Supraglottic airway device
GB201717237D0 (en) 2017-10-20 2017-12-06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td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11357939B2 (en) * 2018-05-18 2022-06-14 Gyrus Acmi, Inc. Breathing lung device
GB201902868D0 (en) 2019-03-02 2019-04-17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td Suction catheter assemblies and assemblies including a suction catheter assembly
GB201915251D0 (en) 2019-10-22 2019-12-04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td Connectors and assemblies
DE102020000503B4 (de) 2020-01-28 2023-02-02 Drägerwerk AG & Co. KGaA Gekrümmte Verbindungseinheit zum Verbinden eines Patienten mit einem Beatmungsgerät
US20210307593A1 (en) * 2020-04-06 2021-10-07 J & J Medical, LLC Protective Sheath for Bronchoscope
GB202006539D0 (en) 2020-05-04 2020-06-17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td Closed-system suction catheter assemblies
GB202011662D0 (en) 2020-07-28 2020-09-09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td Closed-system suction catheter
WO2022238668A1 (en) 2021-05-10 2022-11-17 Smiths Medical International Limited Suction catheter assembli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5779A1 (en) * 1999-12-23 2001-06-28 Ballard Medical Products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with seal and valve
WO2002049699A2 (en) 2000-12-21 2002-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with antimicrobial chamber
WO2002051485A1 (en) * 2000-12-22 2002-07-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element sealing valve for a respiratory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762A (en) * 1974-09-30 1976-11-16 Radford F Richard Aspirating device for patient ventilation apparatus
US4152017A (en) * 1977-08-08 1979-05-01 Metatech Corporation Swivel connector for endotracheal tube or the like
US4416273A (en) * 1981-06-15 1983-11-22 Grimes Jerry L Connector valve assembly for endotracheal tubes
DE3222539C2 (de) * 1982-06-16 1984-07-26 Drägerwerk AG, 2400 Lübeck Absaugadapter und Absauggerätesatz unter Verwendung dieses Adapters
US4573965A (en) * 1984-02-13 1986-03-04 Superior Plastic Products Corp. Device for draining wounds
US4569344A (en) * 1984-07-23 1986-02-11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696296A (en) * 1984-07-23 1987-09-29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US4836199A (en) * 1984-07-23 1989-06-06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872579A (en) * 1984-07-23 1989-10-10 Ballard Medical Products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607635A (en) * 1984-09-27 1986-08-26 Heyden Eugene L Apparatus for intubation
JPS62211074A (ja) * 1986-03-07 1987-09-17 ボ−ド・オブ・リ−ジエンツ、ザ・ユニバ−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先端バル−ン付き吸引カテ−テル
GB2199630A (en) 1986-12-01 1988-07-13 Portex Inc Plug
US4846167A (en) * 1987-03-30 1989-07-11 Tibbals James R Anti-disconnect device
US5582165A (en) * 1988-02-28 1996-12-10 Bryan; James F. Pre-assembled sealed, sheathed catheters and related valve elements with quick disconnect means for endotracheal suctioning
US5220916A (en) * 1990-06-14 1993-06-22 Russo Ronald D Tracheal suction catheter
US5083561B1 (en) * 1990-06-14 1993-05-18 D. Russo Ronald Tracheal suction catheter
US5139018A (en) * 1990-07-24 1992-08-18 Superior Healthcare Group, Inc. Patient ventilating apparatus with aspirating catheter
US5062420A (en) * 1990-09-18 1991-11-05 Walter Levine Sealed swivel for respiratory apparatus
US5218957A (en) * 1990-10-19 1993-06-15 Ballard Medical Products Multi-layered transtracheal catheter
US5199427A (en) * 1990-10-19 1993-04-06 Ballard Medical Products Multi-layered transtracheal caatheter
US5230332A (en) * 1990-10-22 1993-07-27 Ballard Medical Products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icro-tracheal catheter hub assembly
US5255676A (en) * 1991-11-08 1993-10-26 Russo Ronald D Safety sealed tracheal suction system
US5309902A (en) * 1992-10-19 1994-05-10 Sherwood Medical Company Respiratory support system and suction catheter device therefor
US5355876A (en) * 1992-05-06 1994-10-18 Superior Healthcare Group, Inc. Patient ventilating apparatus with modular components
US5645048A (en) * 1992-05-06 1997-07-08 The Kendall Company Patient ventilating apparatus with modular components
GB2270845B (en) * 1992-09-24 1996-07-10 Smiths Ind Med Syst Inc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5445141A (en) * 1992-10-19 1995-08-29 Sherwood Medical Company Respiratory support system
US5349950A (en) * 1992-10-28 1994-09-27 Smiths Industries Medical Systems, Inc.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5254098A (en) * 1993-02-16 1993-10-19 Smiths Industries Medical Systems, Inc. Suction catheter assemblies
US5513628A (en) * 1993-07-14 1996-05-07 Sorenson Critical 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d aspirating
US5433195A (en) * 1993-09-30 1995-07-18 Sherwood Medical Company Respiratory support system
US5676136A (en) * 1993-12-07 1997-10-14 Russo; Ronald D. Protective suction control catheter with valve
US5490503A (en) * 1994-04-29 1996-02-13 Smiths Industries Medical Systems, Inc. Suction catheter having multiple valves and collet assembly
US5694922A (en) * 1994-05-18 1997-12-09 Ballard Medical Products Swivel tube connections with hermetic seals
US5735271A (en) * 1994-05-18 1998-04-07 Ballard Medical Products Multiple access adaptors for monitoring, sampling, medicating, aspirating, and ventilating the respiratory tract of a patient
US6494203B1 (en) * 1994-08-19 2002-12-17 Ballard Medical Products Medical aspirating/ventilating closed system improvements and methods
US6012451A (en) * 1994-08-19 2000-01-11 Ballard Medical Products Medical aspirating/ventilating closed system improvements and methods
EP0801577B1 (en) 1994-09-19 2002-03-13 Sorenson Medical, Inc. Apparatus for ventilating and aspirating
US5582161A (en) * 1994-12-08 1996-12-10 Sherwood Medical Company Sheathed catheter adapter and method of use
US5711294A (en) * 1994-12-21 1998-01-27 Sherwood Medical Company Ventilator manifold having cleaning port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664594A (en) * 1994-12-29 1997-09-09 Sherwood Medical Company Cleaning device for ventilator manifold and method of use thereof
EP0812220B1 (en) 1995-02-28 2004-05-19 Ballard Medical Products Access control respiratory devices
US5598840A (en) * 1995-03-17 1997-02-04 Sorenson Critical 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on and aspiration
US5775325A (en) * 1995-05-11 1998-07-07 Russo; Ronald D. Two part closed tracheal suction system
US6318368B1 (en) * 1996-03-11 2001-11-20 Orlando Morejon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US6082361A (en) * 1997-09-12 2000-07-04 Morejon; Orlando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US5882348A (en) * 1997-02-03 1999-03-16 Sorenson Critical Care, Inc. Valved manifold
US6026810A (en) * 1997-07-30 2000-02-22 Baird; David A. One hand disconnectable device for artificial breathing apparatus to endotracheal tube connections
US6165168A (en) * 1997-09-02 2000-12-26 Russo; Ronald D. Closed system adapter for catheters
WO2000015284A1 (en) 1998-09-17 2000-03-23 Ballard Medical Products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US6227200B1 (en) * 1998-09-21 2001-05-08 Ballard Medical Products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BR9804529A (pt) 1998-10-23 2000-04-25 Newmed Importadora Ltda Dispositivo para realização de aspirador de secreções em pacientes entubados ou traquenostomizados e kit contendo um dispositivo para realização de aspiração de secreções em pacientes entubados ou tranqueostomizados.
US6615835B1 (en) * 1999-09-20 2003-09-09 Ballard Medical Products Flexible multiple port adaptor
US6584970B1 (en) * 1999-10-05 2003-07-01 Ballard Medical Products Retaining plug for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152603B1 (en) 1999-12-13 2006-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with improved valve
JP4603751B2 (ja) 1999-12-13 2010-12-2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善された弁を有する気管内カテーテル及びマニホルドアセンブリ
EP1174518A1 (en) 2000-07-20 2002-01-23 Amsterdam Support Diagnostics B.V. Collection of binding molecules
US6612304B1 (en) * 2000-10-05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care multiple access port assembly and adapter
US6609520B1 (en) 2000-10-31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sed suction catheter adaptor and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IT1319876B1 (it) 2000-11-24 2003-11-03 D E A S S R L Perfezionamenti ai sistemi di broncoaspirazione a circuito chiuso.
US6602219B2 (en) 2000-12-19 2003-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urbulent ai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eter assembl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5779A1 (en) * 1999-12-23 2001-06-28 Ballard Medical Products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with seal and valve
WO2002049699A2 (en) 2000-12-21 2002-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with antimicrobial chamber
WO2002051485A1 (en) * 2000-12-22 2002-07-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element sealing valve for a respiratory sup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1044A1 (en) 2004-11-25
ATE406931T1 (de) 2008-09-15
US7556041B2 (en) 2009-07-07
AU2004238186A1 (en) 2004-11-25
JP5068536B2 (ja) 2012-11-07
CA2523460C (en) 2012-05-08
PT1620148E (pt) 2008-10-01
EP1620148B1 (en) 2008-09-03
KR20050119697A (ko) 2005-12-21
US20040221852A1 (en) 2004-11-11
CA2523460A1 (en) 2004-11-25
NO20054910L (no) 2005-10-24
BRPI0409662B1 (pt) 2015-10-27
BRPI0409662A (pt) 2006-04-18
MXPA05011325A (es) 2005-11-28
JP2006528531A (ja) 2006-12-21
ES2309490T3 (es) 2008-12-16
EP1620148A1 (en) 2006-02-01
AU2004238186B2 (en) 2009-06-18
DE602004016309D1 (de)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805B1 (ko)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KR101055132B1 (ko) 기구도입부와 매니폴드를 구비한 호흡장치
US7191782B2 (en)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configured for releasable attachment with an artificial airway structure
US6082361A (en)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US6494208B1 (en)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US5919174A (en) Suction valve assembly
RU2509577C2 (ru) Сборка клапана для дыхательных систем
US5333607A (en) Ventilator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US5628306A (en) Respiratory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US5664594A (en) Cleaning device for ventilator manifol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021313B1 (en) Respiratory suction catheter apparatus with improved valve and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