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200B1 -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200B1
KR101092200B1 KR1020090042467A KR20090042467A KR101092200B1 KR 101092200 B1 KR101092200 B1 KR 101092200B1 KR 1020090042467 A KR1020090042467 A KR 1020090042467A KR 20090042467 A KR20090042467 A KR 20090042467A KR 101092200 B1 KR101092200 B1 KR 10109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soil
separation medium
separation
soil
contami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312A (ko
Inventor
이승철
박창영
김영성
서진종
오승일
조병국
배종현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2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오염토양(퇴적물을 포함한다)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이 투입구의 하측에 배출구가 마련된 처리챔버, 이 처리챔버의 투입구에 투입되어 배출구 측으로 낙하하는 오염토양에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리매체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공기, 노즐, 분리, 세척, 오염물질, 정화, 토양

Description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 from Contaminated Soil and Purifying Contaminated Soil}
본 발명은 오염토양(이하, 퇴적물을 포함한다)에서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분리시켜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간의 생활수준은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이전 수준과 비교할 수 없이 향상된 반면, 산업개발에 수반되는 환경오염은 날로 악화되어 인간의 삶을 위협함에 따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환경오염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특히 이들 중에서 토양오염은 일단 오염이 진행되면 지표수는 물론 지하수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 2차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오염된 토양은 신속히 정화시켜 복원하여야 한다.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으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생물학적 처리, 토양에 화학약품을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안정화시키는 화학적 처리, 분리매체에 의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세척처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토양의 세척처리에는 전용의 장치가 이용되는데, 이 장치는 오염토양에 분리매체인 세척공기나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오염토양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한다.
도 1은 세척공기를 분리매체로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세척, 정화하는 장치(등록특허 제565460호 참조)를 나타낸다.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공기에 의하여 오염토양을 세척하여 정화하는 장치는 세척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처리챔버(1)를 포함하는데, 이 처리챔버(1)는 내관(2)과 외관(3)에 의하여 이중의 구조로 구성되고 마운팅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따위에 의하여 수평으로 눕혀져 있도록 설치된다. 내관(2)은 미세구멍을 가지는 다공성의 파이프이다. 내관(2)의 양단은 각각 투입구(4)와 배출구(5)로서 기능한다. 외관(3)의 둘레에는 세척공기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세척공기를 내관(2) 측으로 도입하는 도입구멍(6)이 다수 개 형성된다. 외관(3)의 양 끝에는 외향 플랜지(7)가 각각 마련되는데, 이 플랜지(7)는 둘 이상의 처리챔버(1)를 서로 결합시키는 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투입구(4)에 오염토양을 투입하고(바람직하게는, 슬러리의 상태로 투입된다. 즉, 호소퇴적물과 같이 수분을 충분히 함유하는 토양의 경우에는 그대로 투입되고, 그렇지 않은 토양의 경우에는 물과 함께 투입된다.), 도입구멍에 세척공기를 공급하면, 오염토양은 내관(2)을 따라 배출구(5)로 이송되고, 세척공기는 내관(2)의 미세구멍들을 통하여 내관(1)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 때, 오염토양은 세척공기와 충돌하고,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은 이 충돌작용으로 토양입자와 분리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 투입구(4)에 투입된 오염토양을 배출구(5) 측으로 강제 이송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한 압력을 항시 필요로 한다.
- 장치의 재가동 시 내관(2)의 하부 측에 위치하는 미세구멍들이 오염토양에 의하여 막히는 폐색현상이 종종 발생된다.
- 내관(2)의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공기가 오염토양의 정속흐름을 방해하므로 유속이 불규칙적이다.
- 내관(2) 속 세척공기의 배출루트가 따로 없어(즉, 세척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척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 오염토양과 내관(2) 간의 마찰로 내관(2)의 내벽이 쉬이 마모되고, 이렇게 마모되면 관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였다.
참고로, 분리매체로서 세척수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세척, 정화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세척수의 조달이 세척공기에 비하여 어렵다는 점, 세척수 처리를 위한 폐수처리시설이 요구된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고, 설치와 운영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토양(이하, 퇴적물을 포함한다)에서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 오염토양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이 투입구의 하측에 배출구가 마련된 처리챔버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낙하하는 오염토양을 향하여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리매체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처리챔버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오염토양이 낙하되는 이송통로의 둘레를 축소시키는 넥(neck)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상기 넥 부분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넥 부분은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를 상하로 나누며 이 나뉜 내부의 상측과 하측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가지는 구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연결구멍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연결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구획부재의 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상기 처리파이프의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처리파이프의 내벽에 피복되어 이 처리파이프의 마모를 방지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또, 그 분사구가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세척공기를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처리챔버 내로 분사된 세척공기를 배출하는 감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처리챔버는 하부에 세척처리가 된 토양이 모이는 수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수집공간에 모인 토양을 상기 처리챔버에 재투입하는 리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챔버는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어 내부에 복수 개의 단위챔버가 마련되며, 상기 벽체는 상, 하부에 각각 오버플로용 개구와 연결용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각 단위챔버는 오염토양이 낙하되는 이송통로의 둘레를 축소시키는 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상기 넥 부분의 하측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토양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배출되는 배출 구를 가지는 처리챔버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오염토양을 향하여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리매체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그 분사구가 오염토양 이송방향 측으로 경사진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토양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처리챔버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오염토양을 향하여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리매체 분사노즐과; 상기 처리챔버 내 오염토양이 이송되는 이송통로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분에 피복되어 이 이송통로의 마모를 방지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염토양의 세척처리를 함에 있어 높을 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용이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에 대 한 정의는 이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이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오염토양의 세척처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처리챔버인데, 이 처리챔버(10)는 상측에 투입구(11)가, 하측에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고 이 투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 오염토양 이송통로(13)가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며 이 오염토양 이송통로(13)를 오염토양 처리공간으로 한다. 이러한 처리챔버(10)에 의하면, 투입구(11)에 투입된 오염토양(바람직하게는, 슬러리의 상태로 투입된다)은 자중으로 인하여 오염토양 이송통로(13)를 따라 배출구(12) 측으로 자연 낙하되고 처리챔버(10)의 하부공간인 수집공간(14)에 모인 후,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때문에, 제1실시예는 오염토양의 이송(투입구에서 배출구로의 이송)에 별도의 동력을 굳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서 도면부호 20은 분리매체 분사노즐인데, 이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처리챔버(10)의 투입구(11)에 투입되어 배출구(12) 측으로 이송(즉, 자연낙하)되는 오염토양을 향하여 분리매체를 분사, 오염토양에서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처리챔버(10)는 상하로 길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의 구조의 가지는 본체 및 이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여닫는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를 열면 본체의 상부가 개방되므로, 작업자는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오염토양의 처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점검(예를 들어, 뭉치거나 엉킨 오염토양 의 해체 등) 등을 할 수 있다. 본체에 배치되는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는 각각 오염토양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연결된다. 물론, 이 오염토양 공급라인과 배출라인 상에는 각각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처리챔버(10)의 투입구(11)와 배출구(12)(수집공간) 사이에는 오염토양 이송통로(13)의 둘레를 축소시키는 넥(neck) 부분(15)이 마련되는데, 이 넥 부분(15)은 처리챔버(10)의 내부에 이 처리챔버(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처리챔버(10)의 구획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17)이 형성된 구획부재(16)로 구성된다. 이 구획부재(16)에 의하면, 오염토양 이송통로(13)는 그 일부가 잘록하게 형성된다.
구획부재(16)는 그 중앙 부분의 연결구멍(17)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는데, 이 경사면은 투입구(11)에 투입되어 낙하되는 오염토양을 연결구멍(17) 측으로 안내한다.
구획부재(16)에는 연결구멍(17)을 여닫아 이 연결구멍(17)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수단(30)이 설치된다. 즉, 이 개폐수단(30)은 연결구멍(17)으로 유입되는 오염토양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개폐수단(30)으로는 이렇게 오염토양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타입의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나, 여기에서는 연결구멍(17)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나이프 게이트를 갖춘 밸브를 적용하였다. 물론, 여기에서의 밸브에 따르면, 연결구멍(17)의 개폐 정도는 나이프 게이트의 회전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구획부재(16)의 하측에는 원통형의 처리파이프(4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데, 이 처리파이프(40)는 구획부재(16)에 그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때 연결구멍(17)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참고로, 구획부재(16)와 처리파이프(40)는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된다.
처리파이프(40) 및 그 관련 부분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처리파이프(40)의 둘레에는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의 장착되는데, 이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처리파이프(40)의 둘레에서 이 처리파이프(40)의 내부를 향하여 분리매체를 분사한다. 다시 말해,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처리파이프(40)의 둘레에서, 처리파이프(40) 내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오염토양에 분리매체를 분사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1실시예는 분리매체가 낙하하는 오염토양에 대하여 측방에서 분사되기 때문에,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의 분사구가 오염토양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염토양의 낙하속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여섯 개를 한 조로 하는바, 총 3조가 구비된다. 물론,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의 집단인 조의 개수 및 이 각 조별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의 개수는 실시조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조별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아울러 조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조별로 처리파이프(40) 내 한 점을 향하여 분리매체를 분사한다.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또, 그 분사구가 처리파이프(40)의 하단 측(처리파이프의 상단은 입구, 하단은 출구의 기능을 한다)으로 일정한 각도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이 때,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의 경사구조에 의하면, 분리매체 분사노즐(20)로부터의 분리매체는 처리파이프(40) 내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오염토양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오염토양의 낙하를 촉진한다.
한편, 분리매체 분사노즐(20)은 세척공기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세척공기를 제공받아 이 세척공기를 고압 분사한다. 즉, 세척공기를 분리매체로 이용하는 것이다. 물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각 분리매체 분사노즐(20)에 세척공기 공급원 대신 세척수 공급원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제공, 분리매체로서 이 세척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분리매체 분사노즐(20)에 세척공기 공급원과 세척수 공급원을 함께 연결하여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처리파이프(40)의 내벽에는 이 내벽이 오염토양과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라이너(liner)(50)가 피복된다. 이 라이너(50)는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하여 처리파이프(4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교체 가능한바, 처리파이프(40)의 내벽 전체에 피복될 수도 있고 처리파이프(40)의 내벽 일부에만 피복될 수도 있다. 물론, 라이너(50)의 피복은 분리매체 분사노즐(20)로부터의 분리매체 분사를 방해함이 없도록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를 위하여, 라이너(50)가 처리파이프(40)의 내벽 전반에 걸쳐 피복되는 경우, 라이너(50)는 분리매체 분사노즐(20)과 대응하는 부분에 일례로 노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는 분리매체 분사노즐(20)로부터의 세척공기를 처리챔버(10)의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챔버(10)의 내부압력을 강하시키는 감압수단(60)을 더 포함하는데, 이 감압수단(60)은 처리챔버(10)의 상단(바람직하게는, 덮개)에 연결된 배기라인 및 이 배기라인 상에 설치된 감압밸브를 포함한다. 이 때, 배기라인의 연결위치는 투입구(11)에 투입되어 낙하하는 오염토양의 유출이 없는 지점 이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 같은 감압수단(60)에 따르면, 제1실시예는 그 처리챔버(10)의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또, 처리파이프(40)로부터 낙하, 수집공간(14)에 모인 세척토양(즉, 세척처리가 된 토양)이 투입구(11)에 재투입되도록 보내는 리턴수단(70)을 더 포함하는데, 이 리턴수단(70)은 오염토양 공급라인과 수집공간(14)에 각각 양쪽 끝이 연결된 리턴라인 및 이 리턴라인 상에 설치된 리턴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염토양 공급라인과 리턴라인의 연결지점 상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턴수단(70)에 의하면, 제1실시예는 수집공간(14)에 모인 세척토양의 처리가 불충분할 시 재처리하여 오염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참고적으로, 리턴라인은 오염토양 공급라인이 아닌, 처리챔버(10)의 상측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1실시예는 전처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처리유닛이라 함은 처리챔버(10) 내에서 오염토양을 세척처리 하기 전에, 오염토양의 세척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이 오염토양을 교반하거나 선별하거나 예비세척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전처리유닛을 거친 오염토양은 오염토양 공급라인을 따라 투입구(11)에 투입된다.
다른 한편, 리턴수단(70)은 위 설명과 달리, 수집공간(14) 내 세척토양을 전처리유닛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 도록 한다. 참고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이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처리챔버(10)는 그 내부에 단위챔버(10A)(10B)가 두 개 구비되는데, 이 두 단위챔버(10A)(10B)는 처리챔버(10)의 내부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져 이 처리챔버(1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벽체(80)에 의하여 마련된다.
두 단위챔버(10A)(10B)는 각각 오염토양 이송통로(13A)(13B)를 가지는데, 이 오염토양 이송통로(13A)(13B)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투입구(11)는 두 단위챔버(10A)(10B) 중 하나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투입구(11)에 투입된 오염토양은 두 오염토양 이송통로(13A)(13B) 중 하나를 따라 낙하된다.
두 단위챔버(10A)(10B)는 각각 그 오염토양 이송통로(13A)(13B)의 둘레를 축소시키는 넥 부분(15A)(15B)을 가지며, 이 넥 부분(15A)(15B)의 하측에는 처리파이프(40A)(40B)가 각각 연결되며, 이 처리파이프(40A)(40B)의 둘레에는 분리매체 분사노즐(20A)(20B)이 각각 장착되고, 아울러 처리파이프(40A)(40B)의 내벽에는 라이너(50A)(50B)가 각각 피복된다. 여기에서의 넥 부분(15A)(15B), 분리매체 분사노즐(20A)(20B), 처리파이프(40A)(40B) 및 라이너(50A)(50B)는 구성 및 작용이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넥 부분(15A)(15B)은 각각 연결구멍을 가지는 구획부재로 구성되고, 구획부재의 연결구멍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개폐수단(30A)(30B)에 의하여 각각 개폐된다.
벽체(80)의 상단 부분에는 오버플로(overflow)용 개구(81)가 형성되고, 벽체(80)의 하단에는 연결용 개구(82)가 형성되어, 두 단위챔버(10A)(10B)는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르면, 오염토양이 두 단위챔버(10A)(10B) 중 하나에 과도하게 투입되면, 이 투입된 오염토양은 오버플로용 개구(81)를 통하여 두 단위챔버(10A)(10B) 중 나머지 쪽으로 이송되어 낙하한다.
제2실시예는 감압수단(60A)(60B), 전처리유닛, 리턴수단(70) 및 오버플로 배출수단(90)을 포함하는데, 이 중 감압수단(60A)(60B), 전처리유닛 및 리턴수단(7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리턴수단(70)은 연결용 개구(82)에 의하여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된 수집공간(14A)(14B)에 모인 세척토양을 전처리유닛으로 보낸다. 물론, 처리챔버(10)에 세척토양이 재투입되도록 보낼 수도 있다.
오버플로 배출수단(90)은 오버플로 배출라인을 포함하는데, 이 오버플로 배출라인은 처리챔버(10)의 상부공간과 수집공간(14A)(14B)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두 단위챔버(10A)(10B)의 상부공간 모두에 오염토양이 과도하게 투입되어 있을 시 이 오염토양을 수집공간(14A)(14B)으로 긴급 배출한다. 이러한 오버플로 배출라인 상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오버플로 배출수단(90)은 제1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는 라이너가 처리파이프의 내벽에 피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라이너는 오염토양 이송통로의 어디에라도 피복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제2실시예에서는 벽체가 하나인 것에 따라 처리챔버 내에 단위챔버가 두 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벽체는 두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마련되는 단위챔버의 개수도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단위챔버는 일렬로 배치하여 연속하는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매체 분사노즐의 구조(방사상 배치구조, 분사구가 오염토양 이송방향 측으로 경사진 구조) 및 라이너는 위 실시예와 같은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만이 아닌, 일반적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라 함은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처리파이프 및 그 관련 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챔버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5 : 넥 부분
16 : 구획부재 17 : 연결구멍
20 : 분리매체 분사노즐 30 : 개폐수단
40 : 처리파이프 50 : 라이너
60 : 감압수단 70 : 리턴수단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상측에 오염토양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이 투입구의 하측에 배출구가 마련된 처리챔버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낙하하는 오염토양을 향하여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리매체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챔버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오염토양이 낙하되는 이송통로의 둘레를 축소시키는 넥(neck) 부분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상기 넥 부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넥 부분은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를 상하로 나누며 이 나뉜 내부의 상측과 하측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가지는 구획부재로 구성된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연결구멍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구획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상기 처리파이프의 둘레에 장착된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처리파이프의 내벽에 피복되어 이 처리파이프의 마모를 방지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그 분사구가 하측으로 경사진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매체 분사노즐은 세척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세척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는 상기 처리챔버 내로 분사된 세척공기를 배출하는 감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분에 피복되어 상기 이송통로의 마모를 방지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KR1020090042467A 2009-05-15 2009-05-15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KR10109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67A KR101092200B1 (ko) 2009-05-15 2009-05-15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67A KR101092200B1 (ko) 2009-05-15 2009-05-15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952A Division KR101049239B1 (ko) 2011-03-31 2011-03-31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KR1020110029953A Division KR101049241B1 (ko) 2011-03-31 2011-03-31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312A KR20100123312A (ko) 2010-11-24
KR101092200B1 true KR101092200B1 (ko) 2011-12-09

Family

ID=4340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467A KR101092200B1 (ko) 2009-05-15 2009-05-15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61B1 (ko) 2022-11-30 2023-04-18 티엠에스꼬레아 주식회사 열분해가열로를 이용한 폐유가 혼합된 오염토의 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6239A (ja) * 2002-05-07 2003-11-18 Nippon Furnace Kogyo Kaisha Ltd 廃棄物処理装置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00828545B1 (ko) 2006-12-01 2008-05-13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고압 분사된 공기방울 및 난류에 의한 토양세척장치
KR100847262B1 (ko) * 2008-04-02 2008-07-18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토양 연속 세척장치
KR100892258B1 (ko)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6239A (ja) * 2002-05-07 2003-11-18 Nippon Furnace Kogyo Kaisha Ltd 廃棄物処理装置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00828545B1 (ko) 2006-12-01 2008-05-13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고압 분사된 공기방울 및 난류에 의한 토양세척장치
KR100847262B1 (ko) * 2008-04-02 2008-07-18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토양 연속 세척장치
KR100892258B1 (ko)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61B1 (ko) 2022-11-30 2023-04-18 티엠에스꼬레아 주식회사 열분해가열로를 이용한 폐유가 혼합된 오염토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312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92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a high volume flowing liquid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JP5584936B2 (ja) 気液分離装置および油水分離装置
KR101092200B1 (ko)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2151060B1 (ko) 와류세정기능을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장치
KR101049239B1 (ko)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KR101049241B1 (ko) 오염토양 오염물질 분리 및 정화장치
CN108178455A (zh) 一种污水多级处理设备
KR101130950B1 (ko) 작업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US20050167372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740311B1 (ko) 와류를 이용하는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방법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101556182B1 (ko) 유해가스 연속탈취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CN207575865U (zh) 具有缓流结构的污水处理单元
RU2377045C1 (ru) Фильтр-грязевик инерционный щелевой
KR101848790B1 (ko) 자가 세정 폐가스 처리 장치
KR200425371Y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JP7351674B2 (ja) 多用途汚水処理システム
KR102635282B1 (ko) 습식-건식 하이브리드형 탈황장치
CN115212717B (zh) 一种旋转反吹扫式生物除臭塔
KR101108932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RU27158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бсорбции отд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газ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