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140B1 -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140B1
KR101092140B1 KR1020080128570A KR20080128570A KR101092140B1 KR 101092140 B1 KR101092140 B1 KR 101092140B1 KR 1020080128570 A KR1020080128570 A KR 1020080128570A KR 20080128570 A KR20080128570 A KR 20080128570A KR 101092140 B1 KR101092140 B1 KR 10109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n
cooling
pipe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990A (ko
Inventor
정휘동
이순세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1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1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되 해수의 수면에 바람을 공급하여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킴으로써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 비용과 운전 비용이 작게 소요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담수, 해수, 태양열, 수증기, 증발, 팬

Description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Desalination apparatus using solar heat and fan}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장치(海水 淡水化 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양 복사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되 해수의 수면에 바람을 공급하여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킴으로써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 비용과 운전 비용이 작게 소요되는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량이 작은 지역이나 상수도에 의한 물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 또는 댐 시설과 같은 수자원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최근에 들어 해수(海水)를 담수화(淡水化) 시킴으로써 각종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를 만드는 담수화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담수화시스템에는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삼투압보다 높은 역삼투압을 해수에 가함으로써 담수를 추출하는 역삼투막 방식이나, 두 전극의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으로 해수를 흘려보냄으로써 해수 중의 이온을 분리 제거하는 전기분해 방식이나,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얻는 다단플래쉬(MSF, Multistage Flash) 증발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역삼투막 방식에 의한 담수화시스템은 그 설비가 대단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해수의 처리에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어, 담수화시스템의 초기 설비비용을 포함하여 담수화시스템의 운전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부담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한 담수화시스템의 경우에도, 역삼투막방식과 마찬가지로, 에너지의 사용 및 설비의 유지관리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단플래쉬 증발방식은, 역삼투막 방식이나 전기분해 방식과는 달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얻는다. 다단플래쉬 증발방식은 순차적으로 감압상태에 놓여져 있는 일련의 배관 내부로 과열해수(약 90∼110℃)를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과열해수가 일련의 배관을 따라 자체적으로 증발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이와 같이 발생한 수증기를 해수의 가열원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해수의 가열에 사용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다단플래쉬 증발방식을 이용한 담수화시스템은 관내로 유입되는 해수를 약 90∼110℃ 정도로 가열시키기 위한 연료의 소모량이 크게 되어 담수화시스템의 운전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담수의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과열해수가 유동하는 배관의 내부에 해수 스케일이 점착되어 배관의 폐쇄현상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에 특수한 약품을 투입시키거나 해수를 전처리시키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해수처리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비 비용과 운전 비용이 작게 소요되는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 비용과 운전 비용이 작게 소요되면서도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는, 측면의 벽과 덮개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이 유입될 수 있고, 내부에는 해수(海水)가 수용된 증발용 챔버; 상기 해수가 증발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냉각부; 및 상기 해수의 수면 위로 부는 바람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여, 상기 팬에 의해 만들어진 바람에 의하여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고, 상기 증발에 의해 만들어진 수증기가 냉각부로 이동해서 담수인 응축수가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수 담수화 장치는 증발용 챔버와 냉각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냉각부로 이동시키는 수증기 공급관; 냉각부와 증발용 챔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응축 후에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용 챔버로 이동시키는 회수관; 및 수증기 공급관과 회수관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냉각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증기 공급관을 통하여 이동된 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축되는 응축관;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팬은 회수관에 설치되거나, 회수관과 증발용 챔버의 연결지점인 회수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하여 증발용 챔버 내의 공기가 수증기 공급관으로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수관과 응축관 내의 공기의 이동속도가 높아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해수 담수화 장치는 회수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설치된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응축수 배출관은 회수관 내부의 응축수를 담수 저장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해수 담수화 장치는 증발용 챔버의 벽과 덮개에 형성된 응축수를 모을 수 있도록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벽을 타고 내려온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집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응축관이 경유하는 냉각챔버; 상기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수는 해수이다.
여기에서, 상기 해수 담수화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유니트가 생산한 전기에 의해서 팬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운전 비용과 설비 비용이 작게 소요되면서도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 다.
둘째,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지역에도 설치될 수 있고 운전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를 보여주는 주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 담수화 장치(100)는 해수가 수용된 증발용 챔버(10)와, 증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냉각부(30)와, 증발용 챔버(10)에 수용된 해수의 수면 위로 부는 바람을 형성하는 팬(50)을 포함한다.
증발용 챔버(10)는 측면의 벽(11)과 덮개(13)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내부공간(14)을 가진다. 내부공간(14)에는 해수가 수용되는데, 상기 해수는 해수 공급 관(15)을 통하여 공급되고 해수 배출관(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해수 공급관(15)과 해수 배출관(16)에는 해수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15a)(16a)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증발용 챔버(10)는 해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동식 개폐부재(미도시)나 해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조절용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수동식 개폐부재는 증발용 챔버(10)의 바닥 또는 벽(11)에 형성된 배수구(미도시)를 개폐하여 해수를 배출함으로써 해수의 수위를 조절한다.
상기 수위조절용 센서가 해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중앙 제어부(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하면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밸브(15a)(16a)의 개폐를 조절한다. 팬(50)에 의해 만들어진 바람이 수면과 근접한 상태에서 수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부는 것이 증발량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한 바, 수위조절용 센서는 해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팬(50)에 의해 공급된 바람이 수면에 최대한 근접하면서 수면과 수평을 이루며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벽(11)과 덮개(13)는 태양광이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벽(11)과 덮개(13) 중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해수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서 내부공간(14)을 높은 온도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11)에는 벽(11)을 타고 흘러내린 응축수를 모을 수 있도록 집수부재(18)가 설치된다. 집수부재(18)로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 관(管) 등 이 사용될 수 있다. 집수부재(18)는 벽(11)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내부공간(14)과 외부는 온도차이가 생기는 바, 상기 온도차이에 의해서 벽(11)과 덮개(13)에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만들어진 응축수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벽(11)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데, 집수부재(18)는 이러한 응축수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수부재(18)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응축수가 집수부재(18)에 유입된다. 집수부재(18)에 모여진 응축수는 집수관(19)을 통하여 담수 저장부(70)로 배출된다.
집수부재(18)는 집수관(19)과 연결된 지점을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수관(19)과 집수부재(18)가 연결된 지점의 집수부재(18)가 가장 낮게 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의 집수부재(18)는 상기 연결지점보다 높게 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연결지점을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집수부재(18)에 모여진 응축수가 집수관(19) 쪽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한다.
증발용 챔버(10)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수증기 공급관(21)을 통하여 냉각부(30)의 냉각챔버(31)로 이동된다. 수증기 공급관(21)은 증발용 챔버(10)와 냉각챔버(31)를 연결하는 관이다.
냉각부(30)는 냉각수 수용공간을 가지는 냉각챔버(31)와, 상기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33) 및,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34)을 포함한다.
냉각챔버(31)에는 응축관(36)이 통과한다. 응축관(36)은 수증기 공급관(21) 과 연결된 관으로서, 증발용 챔버(10)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응축관(36)을 통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된다. 응축관(36)은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응축관(36)은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것은 응축관(36)을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가 냉각되는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냉각챔버(31)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격벽(37)을 구비한다. 격벽(37)은 응축관(36)의 굴곡부(36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격벽(37)은 냉각수 공급관(33)을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가 응축관(36)을 따라 흐르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관(33)은 냉각챔버(31)로 냉각수를 공급하고, 냉각수 배출관(34)은 냉각챔버(31)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한다. 냉각수 공급관(33)과 냉각수 배출관(34)에는 밸브(33a)(34a)가 설치되어 냉각수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냉각챔버(31)의 하단에 냉각수 공급관(33)이 연결되고 냉각챔버(31)의 상단에 냉각수 배출관(34)이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냉각수 공급관이 냉각챔버(31)의 상단에 연결되고 냉각수 배출관이 냉각챔버(31)의 하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미설명 참조부호 33b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냉각수로는 해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냉각수 배출관(34)을 통하여 배출된 냉각수는 해수 공급관(15)을 통하여 증발용 챔버(10)에 공급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관(34)을 통하여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관(36)에 의해 어느 정도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의 해수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증발시키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냉각수 배출관(34)을 통하여 배출된 냉각수를 증발용 챔버(10)로 공급하면 증발량을 늘릴 수 있어서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냉각수 배출관(34)을 통하여 배출된 냉각수는 집수관(19)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배관(미도시)을 경유하여 증발용 챔버(10)로 공급된다. 상기 배관이 집수관(19)과 접촉되면 집수관(19) 내부의 응축수에 의해서 냉각수가 가열되기 때문에 증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응축관(36)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챔버(31)를 경유하면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된다. 수증기 중의 일부는 응축되어 응축수가 되고 나머지 일부는 응축되지 아니하는데, 응축되지 아니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및 응축수는 회수관(23)으로 이동된다. 회수관(23)은 응축관(36)과 연결된 관으로서, 그 끝단은 증발용 챔버(10)에 연결된다.
회수관(23)은 그 시작단(23a)과 팬(50) 사이의 지점에서 응축수 배출관(25)과 연결된다. 응축수 배출관(25)은 회수관(23)에서 아래쪽으로 분기되기 때문에 회수관(23) 내부의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25)으로 이동되고 공기는 팬(50) 쪽으로 이동된다. 응축수 배출관(25)으로 이동된 응축수는 담수 저장부(7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상기 담수 저장부(70)는 집수부재(18)와 집수관(19)을 통하여 이동된 응축수와, 응축관(36)과 회수관(23) 및 응축수 배출관(25)을 통하여 이동된 응축수를 저장한다.
팬(50)은 회수관(23)에 설치되어 공기를 증발용 챔버(10)로 이동시킨다. 팬(50)에 의해 증발용 챔버(10) 쪽으로 부는 바람이 형성되는데, 상기 바람은 내부공간(14)에 수용된 해수의 수면 위로 불기 때문에 해수의 증발을 촉진한다.
즉, 팬(50)에 의해 형성된 바람 속의 공기는 증발용 챔버(10) 내부의 공기에 비해 작은 양의 수증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바람이 수면 위에서 불게 되면 해수의 증발이 촉진된다.
아울러, 상기 팬(50)에 의해 내부공간(14)으로 바람이 불게 되면 내부공간(14)의 공기가 수증기 공급관(21)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되고, 회수관(23)과 응축관(36) 내부의 공기 이동속도가 높아진다.
한편, 상기 팬(50)은 회수관(23)에 설치되는 대신에 회수관(23)과 증발용 챔버(10)의 연결지점 즉, 회수관(23)의 끝단(23b)에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해수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서 내부공간(14)에 팬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은 해수의 수면 위로 부는 바람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팬(50)은 수면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팬(50)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이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면과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해수를 해수 공급관(15)을 통하여 증발용 챔버(10)로 공급한다. 상기 해수의 공급은 밸브(15a)에 의해 조절되는데, 밸브(15a)는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자 동으로 원격 개폐될 수 있다.
증발용 챔버(10)의 내부공간(14)에 수용된 해수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그 일부가 증발된다. 이 때, 팬(50)은 회수관(23)에서부터 해수의 수면 위로 부는 바람을 형성하여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키고 해수가 증발되어 만들어진 수증기가 수증기 공급관(21)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한다. 즉, 팬(50)은 회수관(23)에 설치되거나 회수관(23)의 끝단(23a)에 설치되는데, 상기 팬(50)에 의해 형성된 바람은 해수의 수면 위로 불기 때문에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팬(50)은 내부공간(14)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때문에 공기가 수증기 공급관(21)으로 효율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수증기 공급관(21)을 경유하여 응축관(23)으로 이동된 수증기는 냉각챔버(31)의 냉각수에 의해서 응축되어 응축수로 된다. 상기 응축수는 회수관(23)과 응축수 배출관(25)을 경유하여 담수 저장부(70)로 이동된다.
한편, 회수관(23) 내부의 공기는 팬(50)을 경유하여 내부공간(14)으로 다시 이동된다. 즉, 내부공간(14)의 공기는 수증기 공급관(21)과 응축관(36)과 회수관(2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순환되고,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상기 공기 중의 수증기는 응축관(36)에서 응축된 후 회수관(23)과 응축수 배출관(25)을 통하여 담수 저장부(70)로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장치(10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유니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전유니트를 구비하면 팬(50)과 펌프(33b)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위치 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 예를 들어, 오지(奧地)나 낙도(落島)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장치(100)가 작동되어 담수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전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발전유니트는 태양광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Solar Cell)과, 다수의 솔라셀로 구성된 솔라모듈과, 솔라모듈에서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솔라모듈에서 발생하거나 축전지로부터 인출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10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기 때문에 기존의 다른 장치들에 비해서 에너지 소모량이 극히 작고 친환경적이며,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팬(50)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하여 담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발전유니트를 구비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다른 장치들에 비해서 설비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작게 소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를 보여주는 주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발용 챔버 30 : 냉각부
50 : 팬 70 : 담수 저장부
100 :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laims (8)

  1. 측면의 벽과 덮개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이 유입될 수 있고, 해수(海水)가 수용된 증발용 챔버;
    상기 해수가 증발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냉각부; 및
    상기 해수의 수면 위로 부는 바람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여,
    상기 팬에 의해 만들어진 바람에 의하여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고, 상기 증발에 의해 만들어진 수증기가 냉각부로 이동해서 담수인 응축수가 되고,
    증발용 챔버와 냉각부를 연결하도록 수증기 공급관이 설치되어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냉각부로 이동시키며,
    냉각부와 증발용 챔버를 연결하도록 회수관이 설치되어 응축 후에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용 챔버로 이동시키고,
    수증기 공급관과 회수관을 연결하도록 응축관이 설치되되, 응축관이 냉각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증기 공급관을 통하여 이동된 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축되며,
    상기 내부에는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고, 상기 내부에는 격벽이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며,
    상기 팬은 회수관에 설치되거나, 회수관과 증발용 챔버의 연결지점인 회수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하여 증발용 챔버 내의 공기가 수증기 공급관으로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수관과 응축관 내의 공기의 이동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회수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설치된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응축수 배출관은 회수관 내부의 응축수를 담수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증발용 챔버의 벽과 덮개에 형성된 응축수를 모을 수 있도록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벽을 타고 내려온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집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내부에 해당하는 냉각수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응축관이 경유하는 냉각챔버;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유니트에서 생산된 전기에 의하여 팬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KR1020080128570A 2008-12-17 2008-12-17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KR10109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570A KR101092140B1 (ko) 2008-12-17 2008-12-17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570A KR101092140B1 (ko) 2008-12-17 2008-12-17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90A KR20100069990A (ko) 2010-06-25
KR101092140B1 true KR101092140B1 (ko) 2011-12-12

Family

ID=4236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570A KR101092140B1 (ko) 2008-12-17 2008-12-17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1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96B1 (ko) * 2015-08-13 2016-04-07 박정원 해수 담수화 장치
CN105621508A (zh) * 2015-12-30 2016-06-01 台州盛世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设备的热循环系统
WO2019125030A1 (ko) * 2017-12-22 2019-06-27 박용희 태양열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KR20190076881A (ko) * 2017-12-22 2019-07-02 박용희 태양열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2371A (zh) * 2010-08-12 2012-03-14 杨永清 太阳和风力电源海水净化设备
CN102976540B (zh) * 2012-09-24 2014-12-03 赵贵 塔式太阳能-风能海水汽化制水设备
CN102976426A (zh) * 2012-11-28 2013-03-20 劳卓昌 一种简易海水淡化装置
KR102240572B1 (ko) * 2019-07-30 2021-04-15 키친앤키친 주식회사 염수생산장치
CN110627151A (zh) * 2019-10-18 2019-12-31 湖北文理学院 一种咸水分离与储水一体装置
CN115385410B (zh) * 2022-08-12 2023-09-22 山东凤鸣桓宇环保有限公司 便携高效的充气式太阳能海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446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446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96B1 (ko) * 2015-08-13 2016-04-07 박정원 해수 담수화 장치
WO2017026621A1 (ko) * 2015-08-13 2017-02-16 박정원 해수 담수화 장치
CN105621508A (zh) * 2015-12-30 2016-06-01 台州盛世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设备的热循环系统
WO2019125030A1 (ko) * 2017-12-22 2019-06-27 박용희 태양열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KR20190076881A (ko) * 2017-12-22 2019-07-02 박용희 태양열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KR102006326B1 (ko) * 2017-12-22 2019-08-01 박용희 태양열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90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140B1 (ko)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N107089697B (zh) 漂浮式太阳能海水淡化装置
US9623344B2 (en) Seawater, brine or sewage solar desalination plant, and desalination method
US8341961B2 (en) Solar desalination system
CN101475233B (zh) 单一利用太阳能淡化海水或苦咸水的减压蒸馏装置与方法
EP2804682B1 (en) Desalination station using a heat pump and photovoltaic energy
KR102048192B1 (ko) 해수온도차발전 시운전 및 잉여전력 활용을 위한 해수담수화 겸용 로드 뱅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622982B (zh) 一种结合热泵技术的太阳能膜蒸馏系统
KR101647994B1 (ko) 해수담수화가 가능한 태양광발전장치
CN101993125A (zh) 一种太阳能真空海水淡化器
KR101811394B1 (ko) 해수담수화장치
KR10090430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저에너지 담수화 장치
CN102381796A (zh) 太阳能光伏光热海水淡化一体式装置
KR101702850B1 (ko) 독립형 태양광 해수담수화 모듈
KR101324736B1 (ko) 태양광을 이용하여 식수 생산이 가능한 이동가옥
KR101218131B1 (ko)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상압 방식의 다중효용 담수장치
KR101610596B1 (ko) 해수 담수화 장치
KR20110015306A (ko) 태양에너지와 소수력 발전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JP4388267B2 (ja) 海水蒸留装置
KR101232829B1 (ko) 전력 및 담수의 동시 생산 시스템
KR200209292Y1 (ko) 태양열 에너지 이용 및 저장 장치
JP4913635B2 (ja) 淡水化装置
KR101772326B1 (ko) 단일매체 순환구조 기반의 해수의 담수화 시스템
CN104261500B (zh) 一种斯特林热泵多级蒸馏海水淡化装置
KR101194585B1 (ko) 해수의 담수생산용 배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