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596B1 - 해수 담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담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596B1
KR101610596B1 KR1020150114591A KR20150114591A KR101610596B1 KR 101610596 B1 KR101610596 B1 KR 101610596B1 KR 1020150114591 A KR1020150114591 A KR 1020150114591A KR 20150114591 A KR20150114591 A KR 20150114591A KR 101610596 B1 KR101610596 B1 KR 10161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unit
salt
solar heat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15011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596B1/ko
Priority to PCT/KR2016/003425 priority patent/WO20170266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30Solar heat collectors for heating objects, e.g. solar cookers or solar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means of vapour compression
    • F24J2/0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기 또는 태양열 발전기를 이용하여 담수화할 수 있도록 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 저장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며, 태양열을 집열하여 집열된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며, 태양열 집열판으로 태양열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열 발전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만들기 위한 히터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태양열 집열부 또는 상기 히터부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전달하기 위한 순환부; 상기 순환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에서 생성되는 담수를 저장하기 위한 담수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수 담수화 장치 {The sea water desal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열 집열기 또는 태양열 발전기를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도록 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막, 섬 등 이용할 수 있는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풍부한 해수를 담수화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 등에 의한 영향으로 사막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가용할 수 있는 담수가 부족한 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는 해수 담수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해수로부터 담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증발법, 역삼투압법, 냉동법 등이 사용되는데, 증발법은 해수에 열원을 공급한 후 압력을 낮추어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는 저압증발에 의해 담수를 제조하는 방법이고, 역삼투압법은 역삼투막의 고압측에 55∼60kgf/㎤의 해수를 가압하여 담수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냉동법은 해수를 빙점(-1.8℃)이하로 냉각시키면 해수 중의 염분은 얼음의 성장계면에서 배제되면서 얼음의 결정체가 석출되고 얼음 결정이 결정표면과 결정 사이에 있는 농축된 해수 중의 염분을 분리세정해서 해수를 담수화하는 방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2053호(2010.09.07 등록)는 수증기를 이용한 담수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양구조물에 설치되고, 해수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심해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해수유입부와 분리된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습한 공기를 본체 내부로 이송시켜 심해수와 열 교환하여 수증기를 응결시키는 공기이송부; 및 상기 공기이송부에서 응결된 수증기를 수집하여 담수를 생성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담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해양 주변에서 부유하는 습한 공기를 다량으로 흡입하도록 입구부가 넓게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포집체; 상기 포집체에 연결되어 흡입된 습한 공기를 이송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9534호(2012.01.18 등록)는 태양에너지와 소수력 발전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변화 매체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시키는 담수부와, 태양열을 집열하여 상기 상변화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와 태양광을 모아 사용가능한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태양열 집열부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펌프의 구동력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구성하되,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상기 담수부에 설치된 담수화장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이젝트 펌프의 구동전원을 상기 태양광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담수화장치 내에서 증발된 해수를 응축하고 배출되는 해수의 응축수 배출라인에 소수력 발전기를 설치하여 미활용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이젝터 펌프 사용 전기에너지의 60-80% 충당할 수 있도록 하여, 담수 시스템과 소수력 발전이 동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증발법을 이용한 담수화장치는 해수에 열을 가하여 증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205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0953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열 집열부 또는 태양열 발전부를 통해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 저장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며, 태양열을 집열하여 집열된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며, 태양열 집열판으로 태양열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열 발전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만들기 위한 히터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태양열 집열부 또는 상기 히터부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전달하기 위한 순환부; 상기 순환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에서 생성되는 담수를 저장하기 위한 담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보온시키기 위한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단이 투명한 강화 유리판으로 이중 형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유입부; 및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해수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와 상기 응축부의 상부 및 상기 응축부의 하부와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응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태양열이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창은, 아크릴 또는 강화 유리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응축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태양열 집열부는, 흑색의 대리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태양열 집열부는, 상기 대리석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해수 저장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소금을 배출하기 위한 소금배출부; 상기 소금배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금배출부로 배출된 소금을 저장하기 위한 소금저장부; 및 상기 해수 저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금배출부쪽으로 소금을 밀어내기 위한 소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열 집열부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여 주위 온도를 상승시켜 해수를 증발시킴으로써,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담수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열 발전부를 통해 저장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태양열을 집열하기 힘든 밤이나 흐린 날씨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순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태양열 집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수 담수화 장치(10)는, 본체부(100), 해수 저장부(200), 태양열 집열부(300), 태양열 발전부(400), 히터부(500), 순환부(600), 응축부(700), 담수 저장부(8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에 해수 저장부(200), 태양열 집열부(300), 히터부(500), 순환부(600), 응축부(700), 담수 저장부(800)를 구비한다.
해수 저장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받아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해수 저장부(200)는, 사각통 형상, 둥근 수조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태양열 집열부(300)는, 해수 저장부(2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며, 태양열을 집열하여 집열된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열 집열부(300)는, 흑색의 대리석으로 형성되며, 태양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태양열 발전부(40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태양열 집열판으로 태양열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기를 히터부(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열 발전부(400)는, 태양열 집열판(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충전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인버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형성할 수 있다.
태양열 집열판은, 본체부(100) 외부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태양열을 집열한다.
충전부재는, 태양열 집열판을 통해 모아지는 태양광을 저장한다. 이때, 태양열 집열판에 집열되는 태양열이 많은 경우에 많은 양을 충전하여 밤이나 흐린 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버터는, 태양열 집열판에 저장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히터부(500)로 전달한다.
히터부(500)는, 해수 저장부(2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며, 태양열 발전부(400)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가열되어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생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500)는, 600W 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해수 저장부(200)의 온도가 낮으면 가열량이 크고, 해수 저장부(200)의 온도가 높으면 가열량을 작게 제어할 수 있다.
순환부(600)는, 공기를 순환시켜 태양열 집열부(300) 또는 히터부(500)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부(700)로 전달한다. 이때, 응축부(70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해수 저장부(200)로 순환시켜준다.
응축부(700)는, 순환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응축부(700)는, 열교환 소자로 형성되어, 열교환을 통해 수증기가 열을 빼앗기며 액체 상태로 상변화할 수 있다. 이때, 순환부(600)를 통해 따뜻한 공기가 다시 해수 저장부(200)쪽으로 이동하여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 소자는 60W 출력으로 4개 사용하여 총 240W 출력이 필요하다.
담수 저장부(800)는, 본체부(100)의 제일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부(700)에서 생성되는 담수를 저장한다. 저장된 담수는 세척수, 화장실 등의 생활용수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담수 저장부(800)는, 내부에 저장된 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해수 담수화 장치(10)는, 해수유입부(900), 해수배출부(1000), 메모리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어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수유입부(900)는, 해수 저장부(200)의 상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해수유입부(900)는, 유입받기 위한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해수배출부(1000)는, 해수 저장부(200)의 하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해수 저장부(200)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해수배출부(1000)는, 배출하기 위한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재는, 제어부재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가 일정 높이가 되면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준 높이(예를 들어, 40cm), 해수를 배출한 후에 해수 저장부(200)에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 기준 높이(예를 들어, 80cm)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의 염분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준 농도(예를 들어, 유입된 해수량에서 70%가 증발시)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의 높이를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배출 기준 높이와 비교하거나,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의 농도를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배출 기준 농도와 비교하여 유입밸브와 배출밸브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가 기 설정된 높이가 되는 경우에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배출 기준 높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정보에 따라 배출밸브를 제어하여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해수를 완전히 배출한 후에 유입밸브를 제어하여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유입 기준 높이까지 해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가 기 설정된 높이가 되는 경우에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배출 기준 높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정보에 따라 배출밸브를 제어하여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해수를 배출하면서 유입밸브를 제어하여 해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즉,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염분의 농도만 연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는,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의 염분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했을 경우에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배출 기준 농도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정보에 따라 배출밸브를 제어하여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를 배출한 후에 유입밸브를 제어하여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유입 기준 높이까지 해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해수 담수화 장치(10)는, 태양열 집열부(30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여 해수 저장부(200)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해수를 증발시켜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담수화할 수 있으며, 태양열 발전부(400)를 통해 저장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태양열을 집열하기 힘든 밤이나 흐린 날씨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태양열 집열부(300)와 태양열 발전부(400)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보온재(110)를 포함한다.
보온재(110)는, 본체부(100)의 벽면 내부에 형성되어, 해수 저장부(200), 태양열 집열부(300), 히터부(500), 순환부(600), 응축부(700), 담수 저장부(800)를 보온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보온재(110)는, 우레탄 재질, 미네랄 울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체부(100)는, 덮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투명한 강화 유리판으로 이중 형성되어 태양열을 통과시키며, 통과한 태양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온시킨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순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순환부(600)는, 통로(610), 팬(620)을 포함한다.
통로(610)는, 해수 저장부(200)의 상부와 응축부(700)의 상부 및 응축부(700)의 하부와 해수 저장부(200)의 상부를 연결시켜 공기가 순환하도록 한다.
팬(620)은, 응축부(7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순환부(600)는, 투명창(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630)은, 해수 저장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태양열이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630)은, 응축부(700)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약 10 ~ 30ㅀ)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가 증발되어 발생된 수증기가 응결되어 투명창(630)에 물방울이 맺힌 경우에 물방울을 응축부(700)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태양열 집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열 집열부(300)는, 동관부재(310)를 포함한다.
동관부재(310)는, 태양열 집열부(300)(흑색의 대리석)의 하부에 형성되며, 태양열 집열부(300)에 집열된 태양열을 전달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동관부재(310)는, 태양열을 전달받아 열을 발생시켜 해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해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관부재(3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수 담수화 장치(10)는, 본체부(100), 해수 저장부(200), 태양열 집열부(300), 태양열 발전부(400), 히터부(500), 순환부(600), 응축부(700), 담수 저장부(800), 소금배출부(1100), 소금저장부(1200), 소금제거부(1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해수 저장부(200), 태양열 집열부(300), 태양열 발전부(400), 히터부(500), 순환부(600), 응축부(700), 담수 저장부(8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소금배출부(1100)는, 해수 저장부(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소금제거부(1300)를 통해 밀리는 소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소금배출부(1100)는, 해수 저장부(200)의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라인홈이 형성되고, 라인홈에 문이 끼워지는 미닫이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여닫을 수 있다. 사용할 때에 미닫이문을 개방하여 소금을 배출한 후에는 다시 닫아 해수 저장부(200)에 해수를 저장할 수 있다.
소금저장부(1200)는, 소금배출부(1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소금배출부(1100)로 배출된 소금을 저장한다.
소금제거부(1300)는, 해수 저장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해수 저장부(2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소금을 소금배출부(1100) 쪽으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소금제거부(1300)는, 해수배출부(1000)를 통해 해수를 외부로 배출한 후에 해수 저장부(2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해수가 증발하고 남은 소금 및 이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금제거부(1300)는, 태양열 집열부(300)의 높이에 형성되어, 태양열 집열부(300)의 상부면에 쌓인 소금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해수 담수화 장치
100 : 본체부
110 : 보온재
120 : 덮개부
200 : 해수 저장부
300 : 태양열 집열부
310 : 동관부재
400 : 태양열 발전부
500 : 히터부
600 : 순환부
610 : 통로
620 : 팬
630 : 투명창
700 : 응축부
800 : 담수 저장부
900 : 해수유입부
1000 : 해수배출부
1100 : 소금배출부
1200 : 소금저장부
1300 : 소금제거부

Claims (10)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 저장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며, 태양열을 집열하여 집열된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며, 태양열 집열판으로 태양열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열 발전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만들기 위한 히터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태양열 집열부 또는 상기 히터부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전달하기 위한 순환부;
    상기 순환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부;
    상기 응축부에서 생성되는 담수를 저장하기 위한 담수 저장부;
    상기 해수 저장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소금을 배출하기 위한 소금배출부;
    상기 소금배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금배출부로 배출된 소금을 저장하기 위한 소금저장부; 및
    상기 해수 저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금배출부쪽으로 소금을 밀어내기 위한 소금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태양열 집열부는, 흑색의 대리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보온시키기 위한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단이 투명한 강화 유리판으로 이중 형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유입부; 및
    상기 해수 저장부의 하부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해수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와 상기 응축부의 상부 및 상기 응축부의 하부와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응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해수 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태양열이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응축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집열부는,
    상기 대리석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10. 삭제
KR1020150114591A 2015-08-13 2015-08-13 해수 담수화 장치 KR10161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91A KR101610596B1 (ko) 2015-08-13 2015-08-13 해수 담수화 장치
PCT/KR2016/003425 WO2017026621A1 (ko) 2015-08-13 2016-04-01 해수 담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91A KR101610596B1 (ko) 2015-08-13 2015-08-13 해수 담수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596B1 true KR101610596B1 (ko) 2016-04-07

Family

ID=5579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591A KR101610596B1 (ko) 2015-08-13 2015-08-13 해수 담수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596B1 (ko)
WO (1) WO201702662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829A (zh) * 2016-06-12 2016-08-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套筒式淡水海盐联产系统
KR20180085610A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엘스콤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및 소금생산시스템
WO2020184767A1 (ko) * 2019-03-12 2020-09-17 주식회사 브리콘 태양열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8420B (zh) * 2017-06-08 2022-11-11 浙江大学 气液对流型水盐分离装置
CN115682798B (zh) * 2023-01-03 2023-04-14 山东省科学院能源研究所 一种错位交叉储热吸附床及海水淡化余热储热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40B1 (ko) * 2008-12-17 2011-12-1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35B1 (ko) * 2009-08-07 2012-01-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220246B1 (ko) * 2009-12-22 2013-01-22 (주) 코네스코퍼레이션 태양열 병합 담수화 시스템
KR101632713B1 (ko) * 2013-08-12 2016-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복합 발전 및 담수화 시스템
KR101622969B1 (ko) * 2013-11-21 2016-05-23 한국전기연구원 태양열을 이용한 증류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40B1 (ko) * 2008-12-17 2011-12-1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829A (zh) * 2016-06-12 2016-08-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套筒式淡水海盐联产系统
KR20180085610A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엘스콤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및 소금생산시스템
WO2020184767A1 (ko) * 2019-03-12 2020-09-17 주식회사 브리콘 태양열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621A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596B1 (ko) 해수 담수화 장치
JP3698730B2 (ja) 淡水化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3739029B (zh) 一种太阳能聚光式蒸馏海水淡化装置
CN105152252B (zh) 综合利用太阳能的零能耗海水淡化装置
KR101109535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
JP5801663B2 (ja) 海水淡水化装置
Kalogirou Survey of solar desalination systems and system selection
CN201678475U (zh) 太阳能海水淡化装置
KR101109534B1 (ko) 태양에너지와 소수력 발전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647994B1 (ko) 해수담수화가 가능한 태양광발전장치
KR101092140B1 (ko) 태양열과 팬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N103708573B (zh) 一种强化对流换热式太阳能蒸馏海水淡化装置
CN205170431U (zh) 一种太阳能吸收式热泵海水淡化装置
CN103172132B (zh) 一种离网型光伏光热耦合热泵海水淡化装置及方法
KR101324736B1 (ko) 태양광을 이용하여 식수 생산이 가능한 이동가옥
CN104896769A (zh) 一种塔式太阳能烟囱盐、水、电联产系统及其运行方法
CN105621513A (zh) 一种太阳能光伏热泵海水淡化及制热制冷耦合系统
CN101767840A (zh) 高效节能型太阳能淡化海(咸)水技术
US9289696B2 (en) Water desalination system using geothermal energy
CN107416931A (zh) 柔性自适应聚焦太阳能海水淡化系统及海水淡化方法
CN111960494A (zh) 一种基于cpc的免追踪聚光集热脱盐系统
CN209853766U (zh) 一种利用太阳能及深海底低温水进行海水淡化装置
KR20100114243A (ko) 우수를 이용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
CN106145489B (zh) 一种基于多能互补的耦合低温多效海水淡化系统
CN210710828U (zh) 一种基于cpc集热的太阳能海水淡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