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557B1 -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557B1
KR101091557B1 KR1020090046031A KR20090046031A KR101091557B1 KR 101091557 B1 KR101091557 B1 KR 101091557B1 KR 1020090046031 A KR1020090046031 A KR 1020090046031A KR 20090046031 A KR20090046031 A KR 20090046031A KR 101091557 B1 KR101091557 B1 KR 10109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terial
mixing
dust waste
alkaline dust
sewag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540A (ko
Inventor
이남훈
유종열
김진철
김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법면녹화육운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법면녹화육운,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법면녹화육운
Priority to KR102009004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55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를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하여 하수슬러지등과 같은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복토재로 제조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해양 투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매립에 의한 부족한 매립공간을 최대한 활용할수 있도록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먼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단계(S1)와;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에 산성용액(30)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 혼합하여 화학적반응에 의해 혼합물을 안정화 시키는 혼합 반응단계(S2)와; 상기 혼합 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3)로 구성되며, 이렇게 제조된 복토재를 쓰레기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이다.
기존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은 매립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며, 또한 하수 슬러지(20)는 해양투기를 하거나 일부 국내에서는 하수슬러지에 생석회, 시멘트, 플라이애쉬, 석분을 혼합하여, 복토재를 생산하였으나, 고화시 다량의 암모니아 가스 및 악취가 발생되고, 그 마저 고화제의 기능이 떨어지고, 양생시간이 길어지며, 다량의 생석회 및 시멘트 투입에 따른 하수슬러지 처리비용이 상승되는 단점 을 갖고 있으며, 무엇보다 소성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고화제의 주원료인 생석회를 매립으로 처리한다는 자원낭비의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등과 같은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복토재로 제조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하수슬러지 고화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해양 투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매립에 의한 부족한 매립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성공정을 거쳐 제조된 기존 고화제의 주원료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생석회와 시멘트 소성공정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자원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매립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 친환경, 복토재

Description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Ecological reclamation agent manufacturing method utilizing alkali dust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하여 하수슬러지 등과 같은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복토재로 제조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해양 투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매립에 의한 부족한 매립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먼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단계(S1)와;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에 산성용액(30)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 혼합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반응열발생 및 중금속을 안정화시키기는 혼합 반응단계(S2)와; 상기 혼합 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3)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토재는 쓰레기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할 수 있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기술이다.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공보 제0256021호에서 하수오니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하수오니를 수증기 건조방식에 의해 수분함량 15-35%로 건조한 후 시멘트의 총 원료의 0.5-10% 범위에서 시멘트 제조용 원료들과 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특허등록공보 제0279171호에서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상, 하수 슬러지와 석고 5 내지 7%, 생석회 20 내지 60%, 시멘트 10 내지 45%, 소각회 10 내지 40%, 카리명반(P.S.A) 7 내지 10%로 혼합조성된 특수 첨가 고화제를 중량비로 슬러지 1톤에 특수 첨가 고화제 180내지 200 KG을 혼련 건조 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특허등록공보 제0709388호에서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상,하수 슬러지와 상기 슬러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비표면적이 3000m2/g이상인 고로수쇄슬래그 미분말 15∼30중량부와 첨가하고자 하는 생석회 함량중 최대 75중량%를 스테인레스 정련로 슬래그로 대체가능한 생석회 13∼25중량부로 혼합조성된 혼합고화제를 혼련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 복토 혹은 성토용 매립재를 설명하고 있으며,
특허등록공보 제0796722호에서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하수 슬러지에 생석회를 혼합하여 상기 하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40% 이하로 조절하는 하는 단계(A)와;상기 (A)함수율 조절단계 이후 상기 하수 슬러지에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알루미늄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pH 조절 및 탈취제를 혼합하여 pH를 7 이상 10이하로 조절 및 탈취하는 단계(B)와;상기 (B) pH 조절 및 탈취 단계 이후 상기 하수 슬러지에 중금속 흡착재를 혼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C)와;상기 (C) 중금속 제거 단계 이후 상기 하수 슬러지에 응결경화제를 혼합하여 상기 하수 슬러지를 응결하는 단계(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 고화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특허등록공보 제0848944호에서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해 폐인산석고 40내지 60중량부, 표면개질 제강슬래그 10내지 20중량부, 생석회 5내지 30중량부를 정량 혼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및 기능성 폐기물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장 복토재를 설명하고 있다.
위와 같이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행기술의 대부분이 생석회와 시멘트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고화처리된 혼합물은 복토재로 사용된 후 매립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자원인 생석회와 시멘트가 매립으로 처리됨으로써, 국가적으로 자원을 낭비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등과 같은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복토재로 제조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하수슬러지 고화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해양 투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매립에 의한 부족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성공정을 거쳐 제조된 기존 고화제의 주원료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생석회와 시멘트 소성공정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자원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매립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단계(S1)와;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에 산성용액(30)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 혼합하여 화학적반응에 의해 반응열발생 및 중금속을 안정화시키기는 혼합반응단계(S2)와; 상기 혼합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혼합단계(S1)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45~70 :100의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혼합반응단계(S2)는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 전체중량 145~170일때 산성용액(30)을 5~20의 중량부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하여 혼합.반응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생단계(S3)는 상기 혼합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을 포크레인으로 뒷집워 주거나 또는 양생장치를 통하여 혼합물의 반응열과 수증기를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단계(S1)의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은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의 함유량이 30~60%이고 pH가 12~12.5인 제지슬러지소각재, 폐기물소각 비산재, 고로슬래그 분말, 제강슬래그 분말중 어느 하나 이거나 복합적으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반응단계(S2)의 산성용액(30)은 농도60~98%의 황산(H2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차 혼합단계(S2)의 산성용액(30)을 대체하여 농도60~98% 인산, 질산, 불산, 염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폐기물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30)등과 같은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복토재로 제조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하수슬러지 고화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해양 투기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매립에 의한 부족한 국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성공정을 거쳐 제조된 기존 고화제의 주원료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생석회와 시멘트 소성공정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자원인 생석회와 시멘트를 매립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의 공정을 보인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별 혼합물의 성분을 보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별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매립장 복토재의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단계(S1)와;
상기 1차혼합단계(S1)의 혼합물에 산성용액(30)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 혼합하여 화학적반응에 의해 혼합물을 안정화시키기는 혼합반응단계(S2)와;
상기 혼합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3)를 포함하고 있다.
혼합단계(S1)에서는 혼합기(믹서기)에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45~70 : 100의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이다. 먼저, 혼합기에 중량부가 높은 함수율 80~85%의 하수슬러지(20) 100 중량부를 먼저 넣고, 이에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 45~70 중량부를 넣어 3~5분간 혼합하는 공정이다. 즉 함수율 80~85%의 하수슬러지(30) 100중량부에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가 상기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의 중량 100% 대비 30~60%이며, pH 12~12.5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 45~70중량부를 넣어 3~5분간 혼합하여 함수율 80~85%의 하수슬러지(20)를 함수율 47~ 55%의 혼합물로 만들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혼합단계(S1)에서 혼합물의 함수율을 47~ 55%로 만드는 이유는 복토재는 함수율이 너무 낮으면 바람에 의해 날림현상이 발생되고, 다짐이 원활하지 않으며, 또한 복토재의 함수율이 너무 높으면 복토재를 다질때 다짐 작업하는 차량의 바퀴에 묻어나 다짐이 원활하지 않다. 왜냐하면, 최종생산되는 복토재는 바람에 날림현상을 방지하고 다짐이 잘될 수 있도록 40~ 45%의 함수율을 내포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혼합단계(S1)를 거친 함수율 47~ 55%의 혼합물은 혼합반응단계(S2)에서 혼합단계(S1)를 거친 혼합물에 산성용액(30) 5~20 중량부 혼합 시 화학적 반응열에 의해 혼합단계(S1)를 거친 혼합물 내의 함수율 5~10%가 더 제거되기 때문에 혼합단 계(S1)에서는 혼합물의 함수율을 47~ 55%로 만들어 줌으로써, 최종생산되는 복토재의 함수율을 40~ 45%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투입량이 45 중량부 보다 적게 투입되면 혼합단계(S1)를 거친 혼합물 함수율이 상한선인 55% 보다 많게 되어 혼합반응단계(S2)에서 산성용액(30) 5~20를 투입하여도 발열이 미약하여 하수슬러지(20)의 수분 제거효율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양생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투입량이 상한선인 70 중량부보다 많게되면 그 자체로 복토재의 조건에 적합한 함수율 40~ 45%를 만들 수 있으나 혼합물은 pH 11이상이 되어 강한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되고, 공사가 완료된 복토재에 비가 오게 될 경우 복토재는 비와 반응하여 재슬러리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 암모니아 가스와 재슬러리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산성용액(30)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야 하나 산성용액(30) 20~30 중량부 투입시 수분 5~10%가 제거되어 최종 혼합물은 함수율 30~35%가 되어 복토재로 사용 시 바람에 날림현상이 발생되고, 너무 건조하여 복토재의 시공이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혼합단계(S1)에서는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45~70 : 100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함수율을 47~ 55%의 낮추어 주는 공정이다.
혼합단계(S1)에서 투입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은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의 함유량이 30~60%이고 pH가 12~12.5인 제지슬러지 소각재, 폐기물소각 비산재, 고로슬래그 분말, 제강슬래그 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적으로 혼합한 것이다.
혼합반응단계(S2)에서는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 전체중량 145~170중량부일 때 산성용액(30)을 5~20의 중량부로 분사장치를 통해 고르게 분사하며 3~5분간 혼합하는 공정이다. 즉 혼합단계(S1)의 혼합물이 담겨있는 혼합기(믹서기)를 계속 회전시키면서 이에 분사장치를 통해 산성용액(30) 5~20 중량부를 믹싱되고 있는 혼합반응단계(S2)의 혼합물 표면에 분사하여, 혼합단계(S1)의 혼합물 성분 중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표면과 최대한 반응시키는 공정이다.
이유는 혼합단계(S1)의 혼합물 성분중 CaO와 MgO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표면에 강산성인 산성용액(30) 5~20 중량부를 분사장치를 통해 고르게 분사하여 반응시켜 줌으로써, 산성용액(30) H2SO4 가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주성분인 CaO와 MgO등과 반응하여, CaSo4와 MgSo4로 치환되어 경화되고, 혼합단계(S1)에서 하수슬러지(20)의 점성에 의해 한 덩어리로 응집된 혼합단계(S1)를 거친 혼합물은 강산성과 강알카리성 화학적 반응열에 의해 혼합물 내의 수분 5~10%가 수증기로 제거되며, 혼합물은 흙과 같은 입자형태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때 산성용액(30)을 5~20 중량부로 혼합하는 이유는 산성용액(30)이 중량부로 5 보다 적으면 혼합 과정중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되고 최종생산물의 pH가 강알카리성이 되며, 또한 산성 성분 부족에 따라 반응열이 미약하여 수분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양생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산성용액(30)이 중량부로 20 보다 많게 투입되면 최종생산물의 pH가 강산성이 되기 때문이다.
혼합반응단계(S2)에서 투입되는 산성용액(30)은 농도 60~98%의 황산(H2SO4)인 것을 사용하며, 산성용액(30)을 대체하여 농도60~98% 인산, 질산, 불산, 염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양생단계(S3)에서는 상기 혼합반응단계(S2)의 혼합물에 발생하는 반응열과 수증기를 제거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포크레인으로 뒤집어 주거나 또는 양생장치를 통하여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이다.
이유는 혼합반응단계(S2)에서 강산성과 강알카리성의 화학적 반응열에 의해 혼합물의 내부는 섭씨 75~85도 까지 상승되며, 이때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포크레인으로 뒤집어 주거나 또는 양생장치를 통하여 혼합물의 내부에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시켜 줌으로써, 양생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명의 기술을 정리하면 함수율 2%미만이며 CaO와 MgO의 함유량이 30~60%이고 pH가 12~12.5인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과 함수율 80~85%의 하수슬러지(20)를 45~70 : 100 의 중량부로 혼합하면, 혼합물은 하수슬러지(30)의 점성에 의해 응집되어 한 덩어리 형태를 이룬 함수율 47~55%의 혼합물이 된다. 이런 응집된 혼합물에 분사장치를 통해 산성용액(30) 5~20 중량부를 혼합 반응시킴으로써, 강산성인 산성용액(30) H2SO4 가 알카리성 분진폐기물(10)의 주성분인 CaO와 MgO등과 반응하여, CaSo4와 MgSo4로 치환되며 경화되고, 이때 혼합단계(S1)의 응집된 혼합물은 강산성과 강알카리성의 화학적 반응열로 인해 75~85도의 반응열이 발생되고 5~10%의 수분이 수증기로 제거되며, 흙과 동일한 입자형태로 분리된다. 입자형태로 분리된 혼합물을 포크레인 또는 양생장치를 통해 혼합물 내부의 반응열과 수분을 제거시켜 주면, 혼합물은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가 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성분을 보이는 것으로,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은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의 함유량이 30~60%이고 pH가 12~12.5인 제지슬러지소각재, 폐기물소각 비산재, 고로슬래그 분말, 제강슬래그 분말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적으로 혼합한 것이며, 산성용액(30)을 대체하여 농도60~98%의 인산, 질산, 불산 , 염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별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매립장 복토재의 실시예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한 범위의 모든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미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의 공정을 보인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별 혼합물의 성분을 보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별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매립장 복토재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의 함유량이 30~60%이고 pH가 12~12.5인 제지슬러지소각재, 폐기물소각 비산재, 고로슬래그 분말, 제강슬래그 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적으로 혼합한 것)
* 제지슬러지소각재 : 제지슬러지 소각 후 발생되는 재
* 폐기물 소각비산재 :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의 소각후 발생되는 재(fly ash)
* 고로슬래그 분말 : 고로(용광로)에서 철광석으로부터 선철을 제조할 때 발생되는 것
* 제강슬래그 분말 : 고로(용광로)에서 제조된 선철을 전로에서 정련할 때나 고철을 전기로에서 정련할 때 발생되는 것
표. 1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의 화학적성분표
CaO SiO2 MgO Al2O3 Fe2O3 TiO2 K2O Na2O 기타 합계 CaO, MgO의 비율 pH
제지슬러지 소각재 41.4 22.9 12.1 10.9 2.08 0.60 0.35 0.46 9.21 100 53.5 12.5
폐기물소각 비산재 20.86 26.93 10.79 11.3 1.72 2.92 3.67 22.81 100 31.6 12.1
고로슬래그 분말 41.8 33.5 6.4 13.6 0.4 1.3 13.4 100 48.2 12.3
제강슬래그 분말 46.1 14.8 6.3 1.5 16.4 1.5 13.4 100 52.4 12.5
20 : 하수슬러지(하수처리과정중 발생되는 함수율 80~85%의 탈수케익)
30 : 산성용액(농도 60%~98%의 황산(H2SO4)용액)
S1 : 혼합단계
S2 : 혼합 반응단계
S3 : 양생단계

Claims (7)

  1.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단계(S1)와;
    상기 혼합단계(S1)의 혼합물에 산성용액(30)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 혼합하여 화학적반응에 의해 혼합물을 안정화시키기는 혼합반응단계(S2)와;
    상기 혼합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복토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S1)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과 하수슬러지(20)를 45~70 : 100의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응단계(S2)는 혼합단계(S1)를 거친 혼합물 전체중량이 중량부로 145~170일 때 산성용액(30)을 5~20의 중량부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하며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단계(S3)는 혼합반응단계(S2)를 거친 혼합물을 포크레인으로 뒤집어 주거나 또는 양생장치를 통하여 혼합물의 반응열과 수증기를 제거시켜 복토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S1)의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은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중 CaO와 MgO의 함유량이 상기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10)의 중량 100% 대비 30~60%이고, pH가 12~12.5인 제지슬러지 소각재, 폐기물소각 비산재, 고로슬래그 분말, 제강슬래그 분말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적으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응단계(S2)의 산성용액(30)은 농도60~98%의 황산(H2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응단계(S2)의 산성용액(30)은 농도60~98%의 인산, 질산, 불산, 염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KR1020090046031A 2009-05-26 2009-05-26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KR10109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31A KR101091557B1 (ko) 2009-05-26 2009-05-26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31A KR101091557B1 (ko) 2009-05-26 2009-05-26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40A KR20100127540A (ko) 2010-12-06
KR101091557B1 true KR101091557B1 (ko) 2011-12-14

Family

ID=435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31A KR101091557B1 (ko) 2009-05-26 2009-05-26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862B1 (ko) * 2011-03-16 2013-02-26 김진철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토지개량제 제조방법
KR101627492B1 (ko) * 2015-11-24 2016-06-13 주식회사 그린에코 폐기물을 이용한 복토재 제조 장치
KR102316941B1 (ko) * 2019-05-24 2021-10-25 이영란 무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폐석산 복구용 고형제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18B1 (ko) 2008-01-09 2008-09-17 이남훈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 통합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18B1 (ko) 2008-01-09 2008-09-17 이남훈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 통합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40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558B1 (ko) 폐기물소각 비산재를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KR101289825B1 (ko) 유기성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KR101459990B1 (ko) 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블록 조성물 및 블록 제조방법
KR101795489B1 (ko) 고함수 상태의 슬러지 및 토양용 급속 탈수 처리재
CN101603346A (zh) 一种污泥砖及其制备方法
CN104803655A (zh) 一种利用垃圾焚烧飞灰生产喷射加固用水泥基复合材料的方法
KR101091557B1 (ko)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KR101341541B1 (ko) 유ㆍ무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재활용 성토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재활용 성토재
KR100880587B1 (ko) 셀프 레베링 바닥몰탈재 제조방법
KR100690692B1 (ko) 플루오르산 폐수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
KR101182607B1 (ko)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KR101225259B1 (ko) 제철부산물을 이용한 블럭 제조방법
KR102042779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지반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1277B1 (ko) 전기로·제강더스트와 소각재를 이용한 역청포장용 채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100509932B1 (ko) 사업장 폐기물을 이용한 하수 슬러지용 고화제 제조방법
KR101967231B1 (ko) 슬러지를 이용한 순환골재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
KR100948658B1 (ko)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재활용한 하수 슬러지 고화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하수 슬러지 고화체
KR100709388B1 (ko) 제철부산물을 이용한 복토 혹은 성토용 매립재 및 그제조방법
CN103553466A (zh) Fgd脱硫灰固结剂及其制备方法
KR102094796B1 (ko) 알루미늄 광재를 이용한 발열성 고화제 제조방법
KR100912234B1 (ko) 바닥재를 이용한 인조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인조석
KR100757360B1 (ko) 유·무기성 폐자원의 재처리 방법
KR101374884B1 (ko) 고농도 유기폐수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제조 방법
KR101141042B1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0599B1 (ko) 제철 슬래그를 이용한 복합비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