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529B1 -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529B1
KR101091529B1 KR1020090017384A KR20090017384A KR101091529B1 KR 101091529 B1 KR101091529 B1 KR 101091529B1 KR 1020090017384 A KR1020090017384 A KR 1020090017384A KR 20090017384 A KR20090017384 A KR 20090017384A KR 101091529 B1 KR101091529 B1 KR 10109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iece
collecting plate
solar heat
heat collec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747A (ko
Inventor
윤주평
Original Assignee
(주)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테크 filed Critical (주)티엠테크
Priority to KR102009001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5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을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바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집열시켜 주기 위해 구조물 사이에 틈새부를 가지고 체결축을 통해 상기 제1보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축을 중심으로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개구부측이 오픈(Open)제어되도록 설치된 가변반사체; 상기 가변반사체가 오픈(Open)되는 밸런스(Balance)제어를 위한 탄성력을 가진 제어편을 구비하되, a) 상기 제어편의 굴곡부를 기점(基點)으로 제1제어편은 상기 제1보조프레임에 설치되고; 그리고 b) 제2제어편은 상기 체결축에 각각 설치된 것; 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열판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에도 태양열의 집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태양열, 집열판, 고정반사체, 가변반사체, 바람, 제어편

Description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SOLAR COLLECTOR}
본 발명은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을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집열판에 구비된 가변반사체가 집열판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맞바람의 세기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오픈(Open)되어 가변제어되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기 집열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서 전세계는 한정된 전기 및 가스, 석유 자원에만 의존해 온 영향으로 인해 원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반면에 인류가 대부분 석유 에너지(Energy)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 등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적인 공해가 발생되지 않고 친환경 차원에서 무한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열을 비롯하여 풍력, 조력 등 자연을 이용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태양열을 이용하여 가정 및 산업체에 사용되는 온수 또는 난방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집열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종래의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집열판(10)은 프레임(Frame)(11)에 제1지지 부(15-1) 및 제2지지부(15-2)로 구성된 지지부(15)가 연결 및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15-2)에 앵커(Anchor)볼트(Bolt) 등과 같은 제2고정부재(16)를 사용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면 등의 바닥면(17)에 고정시켜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집열판(10)은 프레임(11)에 다수개의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보조프레임(11-1) 및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보조프레임(11-2)을 격자(格子) 형태로 연결시켜 형성된 구조물(11-3)에 고정반사체(12)를 별도의 고정나사 또는 리벳(Rivet) 등과 같은 제1고정부재(13)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집열판(10)은 태양(18)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상기 집열판(10)에 구비된 고정반사체(12)를 통해서 받게 되고, 이어서 상기 고정반사체(12)에서 받은 태양열을 상기 집열판(10)의 중심부위에 설치된 집열기(14)에 반사시켜 줌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집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집열판(10)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강한 맞바람이 고정반사체(12)에 맞닿게 되면, 이때 상기 집열판(10)에 설치된 고가(高價)의 고정반사체(12)를 비롯하여 집열기(14)가 손상되거나, 아니면 지지부(15)가 파손되어 결국 집열판(10)이 손상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불거나, 또는 태풍이 부는 날씨에는 태양열의 집열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열판에 구비된 프레임(Frame)의 구조물 사이에 다수개의 가변반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반사체에 닿는 맞바람의 세기에 따라 제어편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바람이 상기 구조물과 개구부측 사이로 통풍(通風)되게 가변반사체가 오픈(Open)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열판이 강한 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태양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집열시켜 주기 위해 구조물 사이에 틈새부를 가지고 체결축을 통해 제1보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축을 중심으로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개구부측이 오픈(Open)제어되도록 설치된 가변반사체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반사체가 오픈(Open)되는 밸런스(Balance)제어를 위한 탄성력을 가진 제어편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편의 굴곡부를 기점(基點)으로 제1제어편은 상기 제1보조프레임에 설치되고, 그리고 제2제어편은 상기 체결축에 각각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변반사체로 하여금 집열판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에도 태양열의 집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반사체에 의해 강한 맞바람이 제어되기 때문에 집열판을 지지시켜 주기 위해 건물의 옥상 등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의 재질을 선택함에 있어서 강도가 약한 것을 사용해도 되기에, 그에 따른 제품의 원가 및 설치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태양(800)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100)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집열판(100)에는 프레임(Frame)(110)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고정축(140)에 집열기(200)를 고정시켜서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집열판(100)은 프레임(110)에 제1지지부(510) 및 제2지지부(520)로 구성된 지지부(500)가 별도의 고정수단 및 용접 등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520)에 앵커(Anchor)볼트(Bolt) 등과 같은 제4고정부재(641)를 사용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면 등의 바닥면(70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설치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 및 지지부(500)는 집열판(100)이 강한 맞바람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가 요구되며, 이는 금속물질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구성인 집열판(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치된 집열기(200)에 태양(800)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집열시켜 주기 위한 집열판(1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집열판(100)에 구비된 프레임(110)에는 다수개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보조프레임(111)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2보조프레임(112)이 격자 (格子)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구조물(11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113) 사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틈새부(421)(422)를 가지고 체결축(430)을 통해 상기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축(430)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개구부측(423)이 강한 바람에 의해 오픈(Open)제어되도록 설치된 가변반사체(4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반사체(400)가 오픈(Open)되는 밸런스(Balance)제어를 위한 탄성력을 가진 제어편(450)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편(450)의 굴곡부(454)를 기점(基點)으로 제1제어편(451)은 상기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되고, 그리고 제2제어편(452)은 상기 체결축(430)에 각각 설치된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열판(100)은 태양(800)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상기 집열판(100)의 구조물(113)에 설치된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의 전면부위에 구비된 반사면(311)(411)를 통해서 수집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면(311)(411)에서 수집된 태양열을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고정축(140)에 고정시켜서 설치된 집열기(200)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반사시켜 줌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집열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열판(100)이 설치되는 지역환경 즉, 바람이 강하게 불지 않는 내륙지방 또는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부는 산간지방 및 바닷가 등에 따라 상기 구조물(113)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반사체(300) 및 다수개의 가변반사체(400)를 혼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가변반사체(40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를 혼합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반사체(300)는 프레임(110)의 중심부위 또는 가장자리부위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110) 내(內)에서 십자(+)형상, 엑스자(X)형상, 지그재그(Z)형상 등 다양하게 설치하여 맞바람을 제어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상기 가변반사체(400) 및 고정반사체(300)를 혼합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가변반사체(400)는 프레임(110)의 중심부위 또는 가장자리부위에 설치되거나, 상기 프레임(110) 내(內)에서 십자(+)형상, 엑스자(X)형상, 지그재그(Z)형상 등 다양하게 설치하여 맞바람을 제어시켜 주는 것도 역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부는 산간지방 및 바닷가에서는 집열기(200)가 설치된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구조물(113)에는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를 모두 설치하지 않고 비워두는 것도 강한 맞바람의 제어에는 더욱 더 유용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반사체(300)는 별도의 고정나사 또는 리벳(Rivet) 등과 같은 제1고정부재(611)를 사용하여 프레임(110)에 형성된 구조물(113)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13)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상을 비롯하여 삼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형상은 반사면(311)(411)에서 반사된 태양열이 집열기(200)에 초점이 집중적으로 맞추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상을 비롯하여 삼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설치된 집열기(200)를 기준으로 해서 120도 내지 180도 범위로 내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휘어지도록 형성시켜 주는 것이 태양열의 집열에 더욱 더 유리할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의 전면부위에 구비된 반사면(311)(411)의 표면에는 태양(800)으로부터 발산되는 태양열의 효율적인 반사를 시키고자 반사율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표면을 거울과 같이 가공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에 도금처리를 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에 박막의 반사필름 또는 은박지를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는 친환경적으로 유해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특히 녹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열기(20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 양방향에 설치된 가변반사체(4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측(423)이 상기 프레임(110)의 중심부위에 설치된 집열기(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즉,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설치를 하여 줌으로써 맞바람에 의해 개구부측(423)이 후면 방향으로 오픈(Open)되더라도 태양열의 집열효율을 높여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변반사체(400)에 구비된 체결축(43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반사체(400)를 상기 체결축(430)과 평행한 방향으로 3등분(P1)(P2)(P3) 하였을 때, 개구부측(423)을 기점(基點)으로 하여 2등분 지점(P2)과 3등분 지점(P3)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강한 맞바람의 제어에 더 유리할 것이다.
상기 가변반사체(400)는 구조물(113)의 제1보조프레임(111)에 형성된 체결홈(433)에 체결축(430)을 체결시켜 줌으로써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변반사체(400)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휘어지도록 구부려서 체결축(430)이 체결홈(433)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축(430)에는 링(Ring)(432)을 체결시켜 줌으로써 구조물(113)의 내측면부(114)와 가변반사체(400) 사이에 틈새부(421)를 형성시켜, 상기 가변반사체(400)의 오픈(Open)제어에 더 유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반사체(400)가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기 위해 후면 부위에 상기 체결축(43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축(430)의 일측단부(부호 생략함.)에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합시킨,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보조지지편(431)을 별도의 고정나사 또는 리벳(Rivet) 등과 같은 제2고정부재(621)를 사용하여 가변반사체(40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보조지지편(431)도 고정반사체(300) 및 가변반사체(400)와 마찬가지로 친환경적으로 유해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특히 녹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상기 가변반사체(400)를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오픈(Open)제어시켜 주기 위한 제어편(4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편(450)은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부(454)를 기점(基點)으로 그 길이가 L1으로 표기된 제1제어편(451)은 제1보조프레임(111)에 형성된 제2체결홈(434)에 제1단부(453-1)가 끼워지면서 설치된다.
또한, 그 길이가 L2로 표기된 제2제어편(452)은 체결축(430)에 형성된 제2체결홈(435)에 제2단부(453-2)가 끼워져서 설치되고, 이어서 체결부재(436)를 통해 체결이 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체결축(430)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또한 내부에 도 이와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시킨 상기 체결부재(436)를 체결축(430)에 견고하게 조여줌으로써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편(451)의 길이(L1)는 제2제어편(452)의 길이(L2) 보다 2배 이상 더 짧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제2제어편(452)으로 하여금 탄성력 발생에 유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부(454)의 굴곡각도(K11)는 60 내지 120도로 형성시켜 주되,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각인 90도로 형성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436)와는 별도로 상기 제2제어편(452)의 제2단부(453-2) 부위와 체결축(430) 간에 용접 또는 리벳(Rivet) 등과 같은 또 다른 고정작업을 통해서 체결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제어편(452)은 제1보조프레임(111)의 외측면부(115)를 따라 평행하게 설치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제어편(451)은 가변반사체(400)를 상기 체결축(430)과 평행한 방향으로 3등분(P1)(P2)(P3) 하였을 때 개구부측(423)을 기점(基點)으로 1등분 지점(P1)과 2등분 지점(P3) 사이의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편(452)은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각(455a-455d)을 형성시킨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제어편(452)에 형성된 탄성각(455a-455d) 중에서, 제1탄성각(455a)의 탄성각도(K1)는 100 내지 160도, 제2탄성각(455b)의 탄성각도(K2)는 90 내지 150도, 제3탄성각(455c)의 탄성각도(K3)는 100 내지 160도, 제4탄성각(455d)의 탄성각도(K4)는 130 내지 178도로 형성시켜 탄성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각(455a)의 탄성각도(K1)는 130도, 제2탄성각(455b)의 탄성각도(K2)는 120도, 제3탄성각(455c)의 탄성각도(K3)는 130도, 제4탄성각(455d)의 탄성각도(K4)는 160도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예컨데 맞바람에 의해서 제1제어편(451)의 탄성력에 의해 가변반사체(400)의 개구부측(423)이 먼저 오픈(Open)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편(450)을 가변반사체(400)를 대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시켜 주게 되면, 이때 강한 맞바람에 의해 개구부측(423)이 프레임(1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오픈(Open)되었다가 다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가변반사체(400)의 밸런스(Balance)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편(45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진 강철선으로 구비시켜 주거나, 또는 자체 탄성력 및 일정한 두께를 가진 납작한 편으로 구비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상기 제어편(450)은 자체 탄성력이 풍부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친환경적으로 유해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녹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강한 맞바람에 대응이 가능한 태양열 집열판에 관한 기술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에도 태양열 집열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측면에서 향후 그 이용가능성이 매우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어느 하나의 구조물에 있어서, 가변반사체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편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어느 하나의 구조물에 있어서, 가변반사체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편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일부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가변반사체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편이 설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조로 형성된 제어편의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으로써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열판 110 : 프레임(Frame)
111 : 제1보조프레임 112 : 제2보조프레임
113 : 구조물 114 : 내측면부
115 : 외측면부 140 : 고정축
200 : 집열기 300 : 고정반사체
311, 411 : 반사면 400 : 가변반사체
421, 422 : 틈새부 423 : 개구부측
430 : 체결축 431 : 보조지지편
432 : 링(Ring) 433 : 제1체결홈
434 : 제2체결홈 435 : 제2체결홈
436 : 체결부재 450 : 제어편
451 : 제1제어편 452 : 제2제어편
453-1 : 제1단부 453-2 : 제2단부
454 : 굴곡부 455a-455d : 탄성각
500 : 지지부 510 : 제1지지부
520 : 제2지지부 611 : 제1고정부재
621 : 제2고정부재 631 : 제3고정부재
641 : 제4고정부재 700 : 바닥면
800 : 태양

Claims (9)

  1. 태양(800)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태양열을 집열시켜 주기 위해 구조물(113) 사이에 틈새부(421)(422)를 가지고 체결축(430)을 통해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축(430)을 중심으로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개구부측(423)이 오픈(Open)제어되도록 설치된 가변반사체(400);
    상기 가변반사체(400)가 오픈(Open)되는 밸런스(Balance)제어를 위한 탄성력을 가진 제어편(450)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편(450)의 굴곡부(454)를 기점(基點)으로 제1제어편(451)은 상기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되고, 제2제어편(452)은 상기 체결축(430)에 각각 설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편(451)은 가변반사체(400)를 체결축(430)과 평행한 방향으로 3등분(P1)(P2)(P3) 하였을 때 개구부측(423)을 기점(基點)으로 1등분 지점(P1)과 2등분 지점(P3) 사이의 제1보조프레임(111)에 설치된 것;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邰?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편(450)의 제1제어편(451)은 제1보조프레임(111)에 형성된 제2체결홈(434)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2제어편(452)은 체결축(430)에 형성된 제2체결홈(435)에 설치되어 체결부재(436)로 체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편(452)은;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각(455a-455d)을 형성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편(452)에 형성된 탄성각(455a-455d) 중에서;
    제1탄성각(455a)의 탄성각도(K1)는 100 내지 160도이고, 제2탄성각(455b)의 탄성각도(K2)는 90 내지 150도이고, 제3탄성각(455c)의 탄성각도(K3)는 100 내지 160도이고, 제4탄성각(455d)의 탄성각도(K4)는 130 내지 178도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454)의 굴곡각도(K11)는;
    60 내지 120도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KR1020090017384A 2009-03-02 2009-03-02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KR10109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84A KR101091529B1 (ko) 2009-03-02 2009-03-02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84A KR101091529B1 (ko) 2009-03-02 2009-03-02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47A KR20100098747A (ko) 2010-09-10
KR101091529B1 true KR101091529B1 (ko) 2011-12-13

Family

ID=4300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384A KR101091529B1 (ko) 2009-03-02 2009-03-02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08B1 (ko) * 2015-05-27 2016-10-20 엄분도 풍압저감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솔라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03B1 (ko) * 2008-11-20 2009-03-04 주식회사 티.엠.테크 태양열 집열판의 맞바람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03B1 (ko) * 2008-11-20 2009-03-04 주식회사 티.엠.테크 태양열 집열판의 맞바람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47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7583A1 (en) Solar Tiles
JP2009231315A (ja) 太陽光発電装置
US20070256732A1 (en) Photovoltaic module
WO2012092446A1 (en) Solar panel modules having structural properties
JP2006278536A (ja) 太陽電池素子の設置構造
RU2676214C1 (ru) Система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й солнечной энергии
JP5385856B2 (ja) 太陽光パネルを用いた屋根構造
KR101091529B1 (ko) 태양열 집열판의 바람제어장치
KR100886803B1 (ko) 태양열 집열판의 맞바람 제어장치
JP2020112765A (ja) 太陽光反射板
CN207251545U (zh) 一种增加抗风能力和发电量的光伏电站组件支架系统
KR101597202B1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KR101056033B1 (ko) 태양열 집열판의 가변반사판 제어장치
CN216390902U (zh) 适于双面组件的光伏支架
CN201508059U (zh) 太阳能利用装置
JP5315440B1 (ja) 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
JPS60178671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1176251A (ja) 傾斜型反射鏡付、多段式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工法
CN108824246A (zh) 一种具有发电功能的声屏障
CN203518271U (zh) 以集热管为转轴的聚光镜
JP6455749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構造
JP2006073378A (ja) 自然エネルギー利用照明灯
CN102044589A (zh) 聚光太阳能电池装置
JP3172797U (ja) 太陽光線集光装置
US20130333740A1 (en) Building solarroof and greenhouse solar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