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208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208B1
KR101091208B1 KR1020040086848A KR20040086848A KR101091208B1 KR 101091208 B1 KR101091208 B1 KR 101091208B1 KR 1020040086848 A KR1020040086848 A KR 1020040086848A KR 20040086848 A KR20040086848 A KR 20040086848A KR 101091208 B1 KR101091208 B1 KR 10109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ag
memory
mode
clean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793A (ko
Inventor
신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2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후른 메모리의 데이터 정리를 위한 가비지 컬렉션을 대기모드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데이타의 억세스가 수행되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기모드)이 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에 따라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GULATING MEMORY DAT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키패드 13: 메모리
15: 제어부 17: 표시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에 따른 메모리의 데이터 정리를 대기모드시에 수행하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동작에 따른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발전으로 인해 단순 통화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 MP3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멀티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각 기능에 따른 보다 많은 데이터가 저장/삭제/갱신되어 관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변화(데이터 저장/삭제/갱신)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정리해서 해당 데이터의 억섹스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비지 컬렉션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영역을 수집하여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시 마다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가비지 컬렉션의 데이터 저리모드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시 마다 가비지 컬렉션 즉, 데이터 정리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하는 소정시간이후에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급하게 이용해야할 경우 그 불편함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시에 수행되는 가비지 컬렉션을 호 착발신 및 키입력을 대기하는 대기모드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은, 메모리 데이타의 억세스가 수행되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시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데이터 정리 플래그가 이전에 상기 메모리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를 나타내면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데이타의 억세스는 데이터의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은,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 실행중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는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 삭제 또는 갱신되면 "논리 1"로 셋팅되고, 상기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 삭제 또는 갱신되지 않으면 셋팅된 "논리0"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는 이전의 정보와 상이한 정보(논리 "0")로 설정된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타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메모리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를 수행하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모드가 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에 따라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는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정리모드 실행중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며,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데이터 정리모드는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데이터 정리 플래그(Flag)는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 삭제 또는 갱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키패드(11)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에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정리 플래그와 데이터 정리모드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5)는 상기 메모리(13)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갱신시, 해당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함과 동시에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한후, 대기모드시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에 따라 데이터 정리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 수행과정은 외부에 표시되지 않고 백그라운드로 처리된다.
표시부(17)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하에 데이터들의 저장, 삭제 및 갱신시, 수행중임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키패드(11)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하거나, 그 메모리(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갱신한다.
그러면, 211단계에서 제어부(15)는 메모리(1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하고자 하지 않으면, 2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메모리(1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며,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0'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하고자 하면,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메모리(13)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한후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1'로 셋팅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 정리 플래그가 셋팅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온(on)되고, 313단계에서 제어부(15)는 현재 상태가 호 착발신 및 키입력을 대기하는 대기모드인지 판단한다.
이에, 상기 대기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5)는 315단계에서 데이터 정리 플래그(α)를 검출하고,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출한 데이터 정리 플래그(α)가 1인지를 판단한다. 즉, 이전에 메모리(13)에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한 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α)가 1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5)는 이전에 메모리(13)에 데이터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되지 않았다고 간주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α)가 1이면, 3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데이터 정리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 정리 모드 실행중, 3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키입력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결과,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3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완벽하게 수행하고, 325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정리 플래그(α)를 '0'으로 셋팅한다.
그러나, 상기 감지결과, 키입력이 발생하면, 3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는 수행중이던 데이터 정리모드를 중단하고, 329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정리 플래그(α)를 '1'로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모드상에서 데이터의 저장, 삭제 또는 갱신에 따른 메모리의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이터 정리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삭제 또는 갱신시 마다 이루어졌던 데이터 정리모드의 동작수행시간 및 메모리 엑세스 회수에 따른 사용자 대기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모리에 소정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가 수행되면 해당 억세스 동작을 수행하고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대기모드가 되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되었던 데이타에 대하여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은,
    메모리 데이터에 대한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이 이루어지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논리 1"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데이터에 대한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논리 0"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 실행중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 설정의 해제는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논리 0"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5. 데이타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메모리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를 수행하면 데이터 정리 플래그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모드가 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되었던 데이타들에 대하여 데이터 정리모드를 백그라운드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데이타에 대한 억세스는 저장, 삭제 또는 갱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 실행중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데이터 정리모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며, 상기 데이터 정리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정리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86848A 2004-10-28 2004-10-28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KR10109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48A KR101091208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48A KR101091208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93A KR20060037793A (ko) 2006-05-03
KR101091208B1 true KR101091208B1 (ko) 2011-12-07

Family

ID=3714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848A KR101091208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024B1 (ko) * 2010-08-12 201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에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92940B1 (ko) 2012-08-08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50106778A (ko)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93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24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word to be defin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lectronic dictionary
KR101036697B1 (ko) 컨택 및 아이템을 피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4808952B (zh) 数据缓存方法及装置
JP2011134293A (ja) データ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62117B1 (ko) 터치스크린 휴대단말에서의 배경화면 선택 방법 및 시스템
JP4564488B2 (ja) 画面遷移制御装置
CN114185494B (zh) 内存匿名页的处理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3117668B2 (ja) 携帯型端末機器のメモリ管理方法
WO2023046130A1 (zh) 应用图标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077316B2 (ja) システム再起動装置
US8787979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cell phone menu with personalized setting
KR101091208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모리 데이터 정리방법
EP4227806A1 (en) Application keep-alive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021473B (zh) 一种移动终端的文件夹大小显示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0722473B1 (ko) 바로가기 메뉴 자동등록 및 자동삭제 방법 및 그 장치
CN110020346A (zh) 一种页面收纳方法和装置
JP4601983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管理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099369A5 (ko)
JP201123404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38117B1 (ko) 소형 무선단말기용 디비엠에스의 가상테이블 생성에 의한유사데이타 통합 관리방법
JPH11196158A (ja) 移動無線装置
JPH07191881A (ja) 実時間メモリ監視方式
JPH06168281A (ja) 記事情報重要度判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キーワード学習装置及び方法
KR1007558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 방법
JP5213174B2 (ja) 電子辞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