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570B1 - 인큐베이터 - Google Patents

인큐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570B1
KR101090570B1 KR1020030088456A KR20030088456A KR101090570B1 KR 101090570 B1 KR101090570 B1 KR 101090570B1 KR 1020030088456 A KR1020030088456 A KR 1020030088456A KR 20030088456 A KR20030088456 A KR 20030088456A KR 101090570 B1 KR101090570 B1 KR 10109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over
main body
standing
incub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053A (ko
Inventor
사가다다히사
아라이다까시
신야히데또시
다마오끼유우이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68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75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6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752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05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 B01L2300/1822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using Pelti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상부 가열 수단의 용기측에의 가압 해제와 반응실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반응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단열 커버와, 단열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여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반응 용기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부 가열 수단과, 상부 가열 수단을 반응 용기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여 상부 가열 수단에 의해 반응 용기 상부를 가열하면서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이며, 단열 커버는 본체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인큐베이터, 반응실, 반응 블럭, 단열 커버, 조작부, 표시부

Description

인큐베이터{Incubator}
도1은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배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단열 커버를 하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단열 커버에 의하여 반응 용기(5)가 가압된 상태 및 단열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단열 커버에 의하여 반응 용기(5)가 가압된 상태 및 단열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단열 커버에 의하여 반응 용기(5)가 가압된 상태 및 단열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단열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1은 단열 커버의 손잡이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2는 단열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3은 단열 커버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4는 조작 패널이 최하부의 각도 조정 홈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5는 조작 레버가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조작 패널의 단면도.
도16은 조작 패널을 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7은 조작 패널이 하부로부터 2번째의 각도 조정 홈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종래의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큐베이터
2 : 본체
3 : 반응실
4 : 반응 블럭
7 : 단열 커버
8 : 조작 패널
9 : 표시부
10 : 조작부
11 : 전원 스위치
30 : 손잡이 부재
32 : 계지부
37 : 레일 부재
38 : 유도 홈
40 : 결합부
56 : 조작 레버
본 발명은, 혈액, 검체 등으로부터 채취된 DNA(디옥시리보핵산) 등의 반응 시료의 온도를 변화시켜 배양(증폭) 등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인큐베이터는 포스포트리에스테르법에 의한 DNA 혹은 RNA의 자동 합성 장치 등이 있고, 반응 용기의 외주를 열블럭으로 덮어 이 열블럭에 펠티에 효과에 의한 가열 냉각 기능을 가진 서모 모듈을 장착하는 동시에, 서모 모듈을 매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스포트리에스테르법에 의한 DNA 등의 합성 방법은 마스킹, 탈보호, 건조, 축합의 4 공정을 이 순서로 반복함으로써 DNA의 증식을 촉진하는 방법이고, 그로 인해 상기 합성 장치에서는 반응 용기 내에 DNA나 각종 시약 및 용액을 혼합한 시료를 넣어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서모 모듈의 통전을 제어하여 열블럭을 +42 ℃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마스킹, 건조, 축합의 3 공정을 행하는 동시에, 서모 모듈의 통전 방향을 바꾸어 열블럭을 +20 ℃로 냉각함으로써 탈보호 공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고 소62-4497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4 공정을 반복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열시에 반응 용기 내에 있어서 증발된 용액이 냉각시에 반응 용기 내 상부에 결로를 생기게 하여 용액의 수위가 감소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DNA 등의 검체가 용액으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어 적절한 배양(증폭) 등의 반응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00)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즉, 이러한 인큐베이터(100)는 본체(101)의 상면에 반응실(102)을 형성하고, 이 반응실(102) 내에 도시하지 않은 가열 수단이나 냉각 수단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반응 블럭(103)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반응 블럭(103)이 장착된 반응실(102)의 상부에는 하면에 상부 가열판(104)을 구비한 단열 커버(10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단열 커버(105)는 후단부를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함으로써,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106은 경사 전방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설치된 부착부(107)의 전방면에 부착된 조작 패널이고, 이 조작 패널(106)은 조작부(108) 및 표시부(1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응 블럭(103)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반응 용기는 단열 커버(105)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반응실(102) 내를 폐색함으로써, 반응 용기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단열 커버(105)의 하면에 설치된 상부 가열판(104)에 의해 반응 용기 상부를 가열하고 있었다. 이에 의해, DNA 등의 배양(증폭) 공정에 있어서 생기는 반응 용기 상부의 결로를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반응 용기의 착탈시에 단열 커버(105)를 개방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단열 커버(1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므로, 단열 커버(105)의 하면에 설치된 상부 가열판(104)이 반응 용기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공간에 면하게 된다. 그로 인해, 반응 용기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부 가열판(104)에 접촉해 버려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었다.
그래서, 단열 커버(105)의 하면을,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단열 커버(105)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단열 커버(105)에 의해 반응실(103)을 가압하는 기구가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반응기 내의 증폭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09)나 증폭 상태를 설정하는 조작부(108)를 구비한 조작 패널(106)은 부착부(107)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높이 이외의 위치에 상기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표시부(109)의 시인성이나 조작부(108)의 조작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상부 가열 수단의 용기측에의 가압 해제와 반응실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라도 표시 부, 조작부 등을 구비한 조작 패널을 보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여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부 가열 수단과, 상기 상부 가열 수단을 용기측에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부 가열 수단에 의해 용기 상부를 가열하면서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것이며, 커버는 본체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여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부 가열 수단과, 상기 상부 가열 수단을 용기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부 가열 수단에 의해 용기 상부를 가열하면서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커버는 본체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으로, 상부 가열 수단의 용기측에의 가압 해제와 반응실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커버는 회전에 의해 반 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접촉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실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다가 커버는 회전에 의해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접촉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실의 상부를 개방하므로, 커버의 개방시에 커버의 하면에 마련되는 상부 가열 수단이 하향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가열 수단으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용기의 캡 주연부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압박 수단을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용기의 캡 주연부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마련하여 압박 수단을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압박 수단에 의해 용기의 캡이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박 수단은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므로 용기의 캡으로의 가압량(찌부러짐량)을 규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히 압박 수단의 위치 맞춤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발명에다가 압박 수단은 상부 가열 수단의 하면에 부착되고, 용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 혹은 일정한 위치 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다가 압박 수단은 상부 가열 수단의 하면에 부착되고, 용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 혹은 일정한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압박 수단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용기에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압박 수단이 1개 혹은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뚫린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뚫린 판재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상부 가열 수단을 용기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발명에다가 압박 수단이 1개 혹은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다가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판재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압박 수단을 거쳐서 상부 가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용기로 전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것이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표시부를 보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것이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조작부를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것이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조작 패널을 보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큐베이터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 조작부 또는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에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표시부, 조작부 또는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에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설치 장소에 맞추어 용 이하게 각도 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한층 사용성이 양호해진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실시예의 인큐베이터(1)는 반응 시료로서의 염색체 DNA의 열변성 공정과, 프라이머와의 어닐링 공정과, 사슬의 신장 공정을 1 사이클로 하여 이 사이클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는 PCR법이라 불리우는 DNA 증식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큐베이터(1)는 상면에 반응실(3)을 형성한 본체(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반응실(3)에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반응 블럭(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응 블럭(4)에는 내부에 DNA나 각종 시약, 배지가 되는 용액 등을 혼합한 반응 시료를 수용한 반응 용기(5)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구멍(6)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상면에는 반응실(3)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기 위한 단열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단열 커버(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2) 내에는 반응 블럭(4)을 가열, 냉각하는 펠티에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2)의 전방면에는 반응 블럭(4)의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한 반응 용기(5) 내의 반응 시료의 배양(증폭)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9)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반응 용기(5) 내의 반응 시료의 배양(증폭)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10)를 구비한 조작 패널(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8)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조작 패널(8)의 하방에 설치되는 부호 11은 인큐베 이터(1)의 전원 스위치이다. 또한, 본체(2)의 배면에 설치되는 부호 12는 전원 플러그의 콘센트이고, 부호 13은 본체(2) 내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어 장치는 상기 히터를 제어하여 반응 블럭(4)의 보유 지지 구멍(6)에 보유 지지된 반응 용기(5) 내의 반응 시료를, 예를 들어 +94 ℃의 열변성 온도로 하여 반응 시료를 열변성시키는 열변성 공정을 행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는 펠티에 냉각 소자를 제어하여 반응 블럭(4)을, 예를 들어 +37 ℃로 냉각하여 반응 용기(5) 내에 수용되어 열변성된 반응 시료의 어닐링 공정과 신장 공정을 행한다. 제어 장치는 이 열변성 공정과, 어닐링 공정과, 신장 공정을 1 사이클로 하여 복수회, 예를 들어 30회 반복함으로써 PCR법에 의한 DNA 등의 배양(증폭)을 행한다.
다음에, 도6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상기 단열 커버(7)의 개폐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 커버(7)는 하방에 개구를 갖고 있고, 상기 단열 커버(7) 내에는 상기 개구에 면하여 반응 용기(5)의 상부[캡(5A)]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가열 수단(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 가열 수단(20)은 가열판(21)과, 상기 가열판(21)을 가열하기 위한 상부 가열용 히터(22)와, 가열판(21)을 단열 커버(7) 내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3)과, 상기 가열판(21)과 지지판(23)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가열판(21)의 네 구석에 설치되기 위해 4개 이용됨](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부재(24)에는 지지판(23)과 가열판(21) 사이에 위치하여 신장방향으로 압박된 스프링 부재(가압 수단)(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판(23), 상부 가열용 히터(22), 가열판(21)의 외주는 가스켓(25)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가열판의 하방에는 반응 용기(5)의 캡(5A) 주연부에 접촉하는 열전도성의 판재로 구성된 압박판(압박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박판(26)에는 반응 블럭(4)에 수납되는 반응 용기(5)의 캡(5A)의 상부를 관통하여 삽입하고, 캡(5A)의 주연부를 가압하기 위한 관통 구멍(27)이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반응 용기(5)를 복수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복수이지만, 반응 용기(5)를 1개만 수용하는 것인 경우에는 1개로 좋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상부 가열 수단(20)의 가열판(21)을 반응 용기(5)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27)으로 하고 있지만, 이 이외에도 오목부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압박판(26)을 거쳐서 상부 가열 수단(20)으로부터의 열을 반응 용기(5)로 전도시킬 수 있다.
이 압박판(26)에는 상방을 향해 끝이 가는 형상이 되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 구멍이 뚫려 있고, 이 부착 구멍은 상부(머리 부분)가 하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접시 나사(28)에 의해 소허 간격을 갖고 가열판(21) 하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압박판(26)은 상부 가열 수단(20)에 대해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압박판(26)은 반응 용기(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중 립 위치에 보유 지지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자중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되는 데 한정되지 않고, 기계적, 전기적, 혹은 자기적으로 압박판(26)을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해도 좋다. 또한, 보유 지지되는 위치는 이러한 중립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위치(일정한 위치)로 해도 좋다.
단열 커버(7)의 상면에는 손잡이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부재(30)는 단열 커버(7)의 전방부 좌우에 걸쳐서 설치되는 손잡이축(31)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 가능해지는 본체(30A)와, 이 본체(30A)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30B)에 의해 구성된다. 이 손잡이 부재(30)의 본체(30A)에는 단열 커버(7)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 부재(30)와 일체로 손잡이 계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 계지부(32)는 손잡이부(30B)가 대략 수평일 때에 있어서 상향의 원호형을 이루고 있고, 이 단부에는 후술하는 결합부(40)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부 모서리가 소허 절결되어 끝이 가는 형상이 되어 있다.
또한 이 손잡이 부재(30)의 본체(30A)에는, 마찬가지로 단열 커버(7)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손잡이부(30B)와 대향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개구된 절결에 의해 구성되는 계지부(30C)가 형성된다. 이 계지부(30C)는 손잡이부(30B)를 손잡이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고, 대략 수직이 될 때까지 이동시켰을 때(도11 및 도12의 상태)에,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미리 단열 커버(7)의 양측면에 설치된 계지 고정 핀(33)이 끼워 맞추어져 손잡이 부재(30)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이 단열 커버(7)의 양측면에는 상기 단열 커버(7)의 하부이며 상기 손 잡이축(31)의 전방에 전방부 유도축(35)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단열 커버(7)의 후방부에 후방부 유도축(3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인큐베이터(1)의 본체(2) 상면에는 단열 커버(7)의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레일 부재(37)가 설치된다. 이 레일 부재(37)에는 단열 커버(7)측의 면에 전방부 유도 홈(38) 및 후방부 유도 홈(39)이 각각 형성된다. 전방부 유도 홈(38)은 레일 부재(37)의 전방측의 하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기립한 기립 홈(38A)이 형성된 후, 상기 기립 홈(38A)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대략 수평이 된 수평 홈(38B)이 형성되고, 이들이 연통하여 구성된다. 후방부 유도 홈(38)은 레일 부재(38)의 하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대략 수평이 된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이 레일 부재(37)에는 상기 손잡이 부재(30)에 형성된 계지부(30C)와 착탈 가능하게 계지하기 위한 결합부(40)가 단열 커버(7)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인큐베이터(1)의 동작 및 단열 커버(7)에 의한 반응 용기(5)의 가압 및 단열 커버(7)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열 커버(7)의 폐쇄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 커버(7)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설치된 전방부 유도축(35)이 레일 부재(37)의 전방부 유도 홈(38)의 기립 홈(38A) 하부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후방부 유도축(36)이 레일 부재(37)의 후방부 유도 홈(39) 전방부 내에 위치한다. 또한, 손잡이 부재(30)는 손잡이부(30B)가 대략 수평 상태가 되고, 손잡이 계지부(32)가 레일 부재(37)에 형성된 결합부(40)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반응 블럭(4) 내에 수용된 반응 용기(5)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7)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고, 반응 용기(5)의 캡(5A)은 압박판(26)의 관통 구멍(27) 내에 위치한다. 이 때, 단열 커버(7)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24)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29)의 압박력에 의해 가열판(21)이 하방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압박판(26)은 상기 부착 구멍 내에 접시 나사(28)의 상부가 진입하여 압박판(26)과 가열판(21)이 밀착된다. 이에 의해, 반응 용기(5)의 캡(5A)은 관통 구멍(27)에 의해 가열판(21)에 접촉된다. 또한, 반응 용기(5)의 캡(5A) 주연부는 압박판(26)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반응실(3) 내는 밀폐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PCR법에 의한 DNA 등의 배양(증폭)을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 용기(5)의 캡(5A)은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상부 가열 수단(20)으로서의 가열판(21)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부 가열 수단(20)의 상부 가열용 히터(22)를 제어함으로써 반응 용기(5)의 가열/냉각시에 생기는 반응 용기(5) 상부의 결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박판(26)은 스프링 부재(29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DNA 등의 배양(증폭)을 행하고 있을 때에 반응 용기(5)의 캡(5A)이 개방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박판(26)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27)의 주연부에 의해 캡(5A)의 주연부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반응 용기(5)의 상부 가열시에 캡(5A)이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단열 커버(7)의 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손잡이 부재(30)의 손잡이부(30B)를 손잡이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시켜 손잡이 계지부(32)와, 레일 부재(37)에 형성된 결합부(40)의 결합을 해방한다. 그리고 또한, 손잡이부(30B)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30A)에 형성되는 계지부(30C)를 단열 커버(7)의 양측면에 설치된 계지 고정 핀(33)과 끼워 맞춤시킨다. 이에 의해, 손잡이 부재(30)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리고, 이 손잡이 부재(30)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후방부 유도축(36)을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 부재(30)와 함께 단열 커버(7)를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전방부 유도축(35)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유도 홈(38)의 기립 홈(38A)에 따라서 상승한다. 이에 의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7) 내에 외기가 침입하여 상기 단열 커버(7)에 의한 반응실(3)에의 가압이 해제된다.
또한, 이 때, 압박판(26)은 스프링 부재(29)에 의한 압박력으로부터 해방되어 상기 부착 구멍 내로부터 접시 나사(28)가 후퇴하고, 압박판(26)은 자중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그 후, 손잡이 부재(30)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단열 커버(7)의 전방부 유도축(35)이 전방부 유도 홈(38)의 기립 홈(38A)의 상단부까지 후방부 유도축(36)을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 부재(30)와 함께 단열 커버(7)를 상방으로 회전시킨 후,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유도축(35)은 전방부 유도 홈(38)의 수평 홈(38B)에 따라서, 후방부 유도축(36)은 후방부 유도 홈(39)에 따라서 후방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손잡이 부재(30)와 함께 단열 커버(7)를 수평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본체(2)의 반응실(3)이 단열 커버(7)로부터 해방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7)는 본체(2)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므로, 상부 가열 수단(20)의 반응 용기(5)측에의 가압 해제와 반응실(3)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커버(7)는 회전에 의해 반응 블럭(4)에 보유 지지된 반응 용기(5)에 대해 분리 접촉 가능해지는 동시에 반응 용기(5)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실(3)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단열 커버(7)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반응 용기(5)의 취출 작업을 행할 때에 상부 가열 수단(20)의 가열판(21)이나 압박판(26)에 의해 화상을 입는 일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압박판(26)은 상부 가열 수단(20)의 가열판(2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응 용기(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그로 인해, 단열 커버(7)를 폐쇄할 때에 압박판(26)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반응 용기(5)에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압박판(26)에 형성된 관통 구멍(27)과 각 반응 용기(5)의 캡(5A)과의 각별한 위치 맞춤이 필요없어진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압박판(26)에 의해 반응 용기(5)의 캡(5A)을 압박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박판(26)은 상부 가열 수단(20)에 대해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해지도록 가열판(21)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반응 용기(5)의 캡(5A)으로의 가압량(찌부러짐량)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각별히 캡(5A)의 가압량을 규제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 용기(5)의 캡(5A)을 압박하는 압박판(261)에는 캡(5A)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캡(5A)의 상면을 가열판(21)과 접촉시키는 관통 구멍(27)이 형성되어 있지만, 압박판(26)의 열전도가 높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7)을 오목부에 의해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상기 조작 패널(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조작 패널(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 블럭(4)의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한 반응 용기(5) 내의 반응 시료의 배양(증폭)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9)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반응 용기(5) 내의 반응 시료의 배양(증폭)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10)를 구비한 패널 부재이다. 이 조작 패널(8)은 본체(2)의 전방면에 있어서, 상단부에 설치된 오일 댐퍼(회전 댐퍼)(50)를 구비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조작 패널(8)에는 상기 회전축(51)에 대해 원호형을 이룬 패널 지지 부재(52)가 설치된다. 이 지지 부재(52)에는 마찬가지로 원호형을 이룬 결합 홈(5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 홈(53)에는 수평 또는 하방을 향해 절결된 각도 조정 홈(54)이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2)의 전방면에는 조작 패널(8)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60)이 설치되어 있고, 이 격벽(60)의 하부에는 압박 부재 부착부(61)가 부착된다. 이 압박 부재 부착부(61)에는 축퇴 방향으로 압박된 스프링 부재(62)가 부착되고, 연결 부재(63)를 거쳐서 조작 레버(56)가 연결된다. 또한, 이 연결 부재(63)에는 조작 레버 보유 지지부(64)가 고정되고, 이 조작 레버 보유 지지부(6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 구멍(65)을 갖는 지지판(66)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지지판(66)은 격벽(60)에 부착된다.
조작 레버(56)는 본체(2)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이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52)의 결합 홈(53)에 삽입되는 지지축(55)이 부착된다. 또한, 통상은, 조작 레버(56)는 스프링 부재(62)의 압박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조작 레버(56)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축(55)은 결합 홈(53)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정 홈(54),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8)이 수직 상태에서는 최하부의 각도 조정 홈(54)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작 패널(8)의 각도 조정을 행할 때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스프링 부재(62)의 압박력에 반하여 지지판(66)에 형성된 긴 구멍(65)의 길이 치수만큼만 상방으로 조작 레버 보유 지지부(64)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축(55)은 결합 홈(53)의 상부 모서리에 접촉하여 각도 조정 홈(54)에 의한 규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로부터 조작 패널(8)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축(55)은 지지판(52)의 결합 홈(53) 내를 이동하여 본체(2)에 대해 조작 패널(8)에 경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축(55)을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정 홈(54), 도16에서는 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각도 조정 홈(54)에 계지시켜 조작 레버(56)를 분리한다. 이에 의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62)의 압박력에 의해 조작 레버(56), 연결 부재(63)에 설치된 조작 레버 보유 지지부(64)는 하방으로 끌어 당겨지고, 조작 레버(56)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축(55)은 각도 조정 홈(54)에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9) 및 조작부(10)를 설치한 조작 패널(8)을 본체(2)에 대해 용이하게 각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공간 절약을 위해 본 인큐베이터(1)가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라도 표시부(9)를 보기 쉬운 각도로, 조작부(10)를 조작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9) 및 조작부(10)의 양자를 설치한 조작 패널(8)을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 이외에 표시부(9)만을, 혹은 조작부(10)만을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판(52)에 형성되는 각도 조정 홈(54)을 복수 형성하고 있으므로, 조작 패널(8)을 본체(2)에 대해 복수 단계에서 각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한층 사용성이 양호해진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51)에 오일 댐퍼(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만일 지지축(55)이 각도 조정 홈(54)으로부터 누락된 경우라도 급격하게 조작 패널(8)이 회전하여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여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부 가열 수단과, 상기 상부 가열 수단을 용기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부 가열 수단에 의해 용기 상부를 가열하면서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커버는 본체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으로, 상부 가열 수단의 용기측에의 가압 해제와 반응실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는 회전에 의해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접촉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실의 상부를 개방하므로, 커버의 개방시에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가열 수단이 하향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가열 수단으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캡 주연부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마련하여 압박 수단을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압박 수단에 의해 용기의 캡이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박 수단은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므로 용기의 캡으로의 가압량(찌부러짐량)을 규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히 압박 수단의 위치 맞춤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 수단은 상부 가열 수단의 하면에 부착되고, 용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 혹은 일정한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압박 수단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용기에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뚫린 판재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상부 가열 수단을 용기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판재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지장없이 압박 수단을 거쳐서 상부 가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용기로 전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표시부를 보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 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부를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조작부를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공간 절약을 위해 선반 등에 복수대 설치된 경우에 조작 패널을 보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 조작부 또는 조작 패널을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에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설치 장소에 맞추어 용이하게 각도 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한층 사용성이 양호해진다.

Claims (12)

  1.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상기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반응 블럭에 보유 지지된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부 가열 수단과, 상기 상부 가열 수단을 상기 용기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가열 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 상부를 가열하면서 상기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상기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부(前部)를 유도하는 전부 유도 수단과 커버의 후부를 유도하는 후부 유도 수단을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부 유도 수단은 수직으로 기립한 기립 유도부와 기립 유도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유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부 유도 수단은 기립 유도부 보다 후방에서 수평으로 구성되고, 커버는 전부가 기립 유도부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그 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반응 블록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및 접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회동에 의해 용기로부터 이격하고, 그 후 커버의 전부가 수평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고, 커버의 후부가 후부 유도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반응실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캡 주연부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상기 상부 가열 수단의 하면에 마련하며, 상기 압박 수단을 상기 상부 가열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이 상기 용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 혹은 일정한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뚫린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1개 혹은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7.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상기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상기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부(前部)를 유도하는 전부 유도 수단과 커버의 후부를 유도하는 후부 유도 수단을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부 유도 수단은 수직으로 기립한 기립 유도부와 기립 유도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유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부 유도 수단은 기립 유도부 보다 후방에서 수평으로 구성되고, 커버는 전부가 기립 유도부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그 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반응 블록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및 접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회동에 의해 용기로부터 이격하고, 그 후 커버의 전부가 수평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고, 커버의 후부가 후부 유도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8.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상기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상기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부(前部)를 유도하는 전부 유도 수단과 커버의 후부를 유도하는 후부 유도 수단을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부 유도 수단은 수직으로 기립한 기립 유도부와 기립 유도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유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부 유도 수단은 기립 유도부 보다 후방에서 수평으로 구성되고, 커버는 전부가 기립 유도부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그 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반응 블록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및 접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회동에 의해 용기로부터 이격하고, 그 후 커버의 전부가 수평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고, 커버의 후부가 후부 유도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작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9. 본체에 구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 내에 설치되어 반응 시료를 수용한 용기를 1개 혹은 복수개 보유 지지하는 열전도성의 반응 블럭과, 상기 반응실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반응 블럭을 가열/냉각함으로써 상기 반응 시료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부(前部)를 유도하는 전부 유도 수단과 커버의 후부를 유도하는 후부 유도 수단을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부 유도 수단은 수직으로 기립한 기립 유도부와 기립 유도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유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부 유도 수단은 기립 유도부 보다 후방에서 수평으로 구성되고, 커버는 전부가 기립 유도부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그 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반응 블록에 보유 지지된 용기에 대해 분리 및 접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회동에 의해 용기로부터 이격하고, 그 후 커버의 전부가 수평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고, 커버의 후부가 후부 유도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그 하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배양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배양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 패널을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을 상기 본체에 대해 복수 단계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KR1020030088456A 2002-12-09 2003-12-08 인큐베이터 KR101090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6824 2002-12-09
JPJP-P-2002-00356834 2002-12-09
JP2002356834A JP2004187523A (ja) 2002-12-09 2002-12-09 インキュベータ
JP2002356824A JP2004187521A (ja) 2002-12-09 2002-12-09 インキュ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53A KR20040050053A (ko) 2004-06-14
KR101090570B1 true KR101090570B1 (ko) 2011-12-08

Family

ID=3251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456A KR101090570B1 (ko) 2002-12-09 2003-12-08 인큐베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35567B2 (ko)
KR (1) KR101090570B1 (ko)
CN (1) CN1004223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2270A1 (en) * 2004-06-21 2005-12-22 Applera Corporation System for thermally cycling biological samples with heated lid and pneumatic actuator
US20060024204A1 (en) * 2004-08-02 2006-02-02 Oldenburg Kevin R Well plate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EP1888739B1 (en) * 2005-05-24 2021-08-11 Lee H. Angros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biological specimens on slides
US20080318280A1 (en) * 2007-02-13 2008-12-25 Eppendorf Ag Cover for an array of reaction vessels for one-step operation modus
US8247217B2 (en) * 2008-02-15 2012-08-21 Bio-Rad Laboratories, Inc. Thermal cycler with self-adjusting lid
DE202008009556U1 (de) * 2008-07-16 2009-12-03 Eppendorf Ag Vorrichtung zum Temperieren wenigstens einer Probe
GB2511692A (en) * 2009-08-08 2014-09-10 Bibby Scient Ltd An apparatus for treating a test sample
DE102010019232B4 (de) * 2010-05-03 2013-06-27 Eppendorf Ag Kondensatvermeidungshaube
EP2670840A4 (en) 2011-02-01 2015-08-19 Arryx Inc METHOD AND DEVICES FOR IMMUNDIAGNOSTIC APPLICATIONS
DE102011011912B4 (de) * 2011-02-21 2020-09-03 Eppendorf Ag Laborgerät mit Deckel und Pressanordnung und Verfahren zum Anpressen
AU2013202793B2 (en) * 2012-07-31 2014-09-18 Gen-Probe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ncubation
BR112015023882A2 (pt) * 2013-03-19 2017-07-18 Life Technologies Corp tampa de ciclador térmico
WO2015176675A1 (en) * 2014-05-21 2015-11-26 Coyote Bioscience Co., Ltd. Thermal cycler lid configurations and uses thereof
EP3260529B1 (en) * 2015-03-30 2019-01-30 PHC Holdings Corporation Incubator
US9920292B2 (en) * 2015-08-31 2018-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cell culture
US10384208B2 (en) 2015-12-22 2019-08-20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thermal cycler heated cover
GB201604062D0 (en) 2016-03-09 2016-04-20 Cell Therapy Catapult Ltd A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a sample
JP6686800B2 (ja) * 2016-08-31 2020-04-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学測定器
CN106244446B (zh) * 2016-10-14 2018-10-09 上海爱易生物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荧光定量pcr仪
CN108072561A (zh) * 2016-11-11 2018-05-25 广州康昕瑞基因健康科技有限公司 金属浴热盖
US11746375B2 (en) 2017-04-19 2023-09-05 Yamato-Esulon Co., Ltd. PCR vessel, PCR vessel containing reagent, and reagent cassette
CN106950098B (zh) * 2017-05-02 2023-10-24 深圳市活水床旁诊断仪器有限公司 一种生物芯片盒的孵育装置
CN107389961B (zh) * 2017-08-16 2019-11-08 领航基因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生物系统的加热装置
CN110607235A (zh) * 2018-06-14 2019-12-24 复旦大学 一种电加热恒温离体器官孵育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979A (ja) * 1985-08-23 1987-02-26 株式会社東芝 高周波加熱装置
US4840771A (en) * 1986-09-22 1989-06-20 Becton Dickinson & Company Incubator for reagents
JPH07308183A (ja) * 1994-05-17 1995-11-28 Sanyo Electric Co Ltd インキュベータの滅菌装置
US6049924A (en) * 1997-09-09 2000-04-18 Hill-Rom, Inc. Hinged panels for a thermal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5567B2 (en) 2005-08-30
CN1506452A (zh) 2004-06-23
CN100422306C (zh) 2008-10-01
KR20040050053A (ko) 2004-06-14
US20040112969A1 (en)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570B1 (ko) 인큐베이터
CA2344179C (en)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 station for disposable test devices
CA2715292C (en) Thermal cycler with self-adjusting lid
CN206457488U (zh) 样本承载系统
CA2189629C (en) Kiln
WO1999048608A3 (en) Multi-site reactor system with dynamic, independent control of individual reaction sites
GB2116321A (en) Analytical furnaces
US6843245B2 (en) High-level built-in oven unit
JP2004187521A (ja) インキュベータ
CN213086036U (zh) 一种多温区管式炉
JP2004187523A (ja) インキュベータ
CN215757370U (zh) 热盖机构以及pcr设备
CN116060151A (zh) 热循环实验装置
CN209624447U (zh) 一种相变点测试专用试样热处理炉
CN216049158U (zh) 一种实验室用自带托盘的立式电阻炉
CN109444210A (zh) 一种相变点测试专用试样热处理炉
CN218901904U (zh) 一种带有快速搅拌机构的恒温槽
CN220767019U (zh) 一种核酸扩增装置
CN214408763U (zh) 一种多瓣式石墨坩锅检测装置
CN219136755U (zh) 一种方便控温的培养机
CN117305050A (zh) 全自动pcr荧光定量分析仪
CN112501013A (zh) 一种加热装置可移动的pcr仪
CN117305093A (zh) Pcr荧光定量分析仪温控模块及温控系统
JPH029284Y2 (ko)
JPH063234U (ja) 屋外用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