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80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80B1
KR101090480B1 KR1020050126170A KR20050126170A KR101090480B1 KR 101090480 B1 KR101090480 B1 KR 101090480B1 KR 1020050126170 A KR1020050126170 A KR 1020050126170A KR 20050126170 A KR20050126170 A KR 20050126170A KR 101090480 B1 KR101090480 B1 KR 10109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front panel
assembly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578A (ko
Inventor
김진원
김광석
우창윤
장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4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프론트패널의 전면에 조립된 액자패널을 분리한 후 배관 서비스커버 또는 전장부 서비스커버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액자패널을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서 서비스업자가 용이하게 배관의 연결 또는 전장부를 수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picture frame type air-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액자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액자패널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액자패널 중 액자프레임이 열린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배관 서비스커버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전장부 서비스커버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2 : 베이스
13 : 오리피스 14 : 송풍팬
15 : 흡입구 16 : 토출구
17 : 토출그릴 18 : 유로가이드
20 : 프론트패널 21 : 프론트그릴
22 : 배관 서비스커버 24 : 전장부 서비스커버
30 : 액자패널 31a : 상단
31b : 하단 32 : 베이스프레임
34 : 액자프레임 35 : 투명창
50 : 열교환기 52 : 드레인팬
55 : 냉매배관 55a : 끝단
60 : 필터 64 : 끼움돌기
70 : 조립기구 72 : 조립돌기
74 : 조립부재 75 : 홈
80 : 고정기구 90 : 힌지기구
93, 95 : 브래킷 94 : 핀
100 : 사진프레임 110 : 제 2 힌지기구
113, 115 : 브래킷 114 : 핀
150 : 전장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 또는 프론트패널에 액자패널이 끼움 고정되되 분리된 액자패널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다시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기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기(2)와, 상기 송풍기(2) 전방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a)가 형성된 전면패널(4)과, 상기 캐비닛(1)과 전면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패널(5)과, 상기 전면패널(4)의 전면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개폐시키는 전면그릴(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2)는 상기 캐비닛(1)의 두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터보팬(2a)과, 상기 터보팬(2a)을 회전시키는 모터(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패널(5)은 상기 열교환기(3)와 송풍기(2) 사이에 설치되 어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2)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4)과 상기 가이드패널(5)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7)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패널(5)의 상부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8)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열교환기(3)에 냉매배관을 연결하거나 상기 컨트롤박스(8)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패널(4)을 비롯한 전면그릴(6) 및 필터(7) 등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론트패널을 분리하지 않고도 배관작업이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론트패널을 분리하지 않고도 전장부의 수리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론트패널에 액자패널이 끼움 고정되되 분리된 액자패널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다시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기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과 결합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액자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액자패널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 및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액자패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재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조립돌기보다 개수가 많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재의 홈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에는 상기 홈에서 분리된 상기 조립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홈이 형성된 뒷벽과, 상기 조립돌기가 이동되는 슬릿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 외형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부를 차폐하는 전장부 서비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 서비스 커버는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홈 중 일부에 결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 외형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을 차폐하는 냉매배관 서비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매배관 서비스 커버는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홈 중 일부에 결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자패널은 프론트 패널에 분해/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액자프레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액자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액자패널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액자패널 중 액자프레임이 열린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에 따른 공기조화기 배관 서비스커버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전장부 서비스커버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패널(20)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 끼움 조립되는 액자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일측면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의 캐비닛(10)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팬(14)과, 상기 송풍팬(14)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14)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4)은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상기 송풍팬(14)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4)의 양측, 즉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상기 송풍팬(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10) 밖으로 안내하는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6)에는 토출그릴(17)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6)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16)에도 실내기의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그릴(17)이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실내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4)의 상부, 즉 상기 베이스(12)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팬(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된 토출구(16)로 안내하는 유로가이드(1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4)은 상기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장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32)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패널(20) 또는 상기 오리피스(13)에 고정된다.
한편,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되는 냉매배관(55)은 상기 열교환기(50)의 하부로부터 측부로 절곡되어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와 일체화되어 설치된 냉매배관(55)의 끝단(55a)은 상기 열교환기(5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은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12)와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상기 베이스(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토출구(1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토출그릴(17)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하부에는 상기 냉 매배관(55)을 차폐하는 배관 서비스커버(2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전장부(150)를 커버하는 전장부 서비스커버(24)가 설치되며, 상기 서비스커버(22)(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22)(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측부에 볼트(미도시) 또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체결 결합된다.
특히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조립되되, 상기 열교환기(50) 하부의 냉매배관(55)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냉매배관(55)을 차폐한다.
더불어 상기 전장부 서비스커버(24)도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조립되되, 상기 열교환기(50) 상부의 전장부(150)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장부(150)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도록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그릴(21)을 차폐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상기 필터(60)가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 중 상기 프론트그릴(21)의 가장자리에는 끼움홈(25)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60)의 배면에는 상기 끼움홈(25)에 대응되는 끼 움돌기(64)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64)는 상기 끼움홈(2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액자패널(3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패널(20)에 끼움 조립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2)에 힌지 연결되는 액자프레임(3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은 상기 프론트패널(20)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액자프레임(3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2)과 유사한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자프레임(34) 내측에 형성되는 투명창(35)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투명창(35)은 유리 또는 투명한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액자패널(30)과 상기 프론트패널(20) 사이에는 상기 액자패널(30)을 상기 프론트패널(20)에 고정시키는 조립기구(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기구(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립돌기(72)와, 사익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72)를 끼움 고정시키는 조립부재(74)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돌기(72)는 상기 조립부재(74)에 끼움 고정되는 끝단이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조립돌기(7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배면에 복수개 형성되 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돌기(72)는 4 모서리 부근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재(7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72)가 끼움 고정되는 홈(75)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각 조립돌기(72)는 상기 조립부재(74)의 복수개 홈(75)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기(72)와 상기 조립부재(74)는 상기 액자패널(30)과 상기 프론트패널(20)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조립기구(70)의 이격거리에 의해 흡입구(15)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32)에 설치된 상기 액자프레임(3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2)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힌지기구(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기구(9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액자프레임(34)을 핀(94) 연결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핀(94)이 삽입되도록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93)이 형성되고, 상기 액자프레임(34)에도 상기 핀(94)이 삽입되도록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95)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93)(95)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상대측으로 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핀(94)은 상기 브래킷(93)(95)들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기구(90)의 반대편에는 상기 액자프레임(3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을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기구(8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후크(86) 및 상기 후크(86)에 대응되는 걸림턱(88)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 기 후크(86)가 상기 액자프레임(34)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88)이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전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액자프레임(34)의 배면에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삽입 어 걸릴 수 있도록 사진 프레임(1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사진 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액자프레임(34)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투명창(35)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진 프레임(100)은 상기 투명창(3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좌/우 사방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진프레임(100) 중 일부분(102)은 나머지 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사진프레임(100)은 상기 액자프레임(34)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은 상기 사진프레임(100)의 돌출된 거리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소정 간격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액자패널의 작동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액자패널(30)이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조립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액자패널(30) 내의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하거나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액자패널(30)의 액자프레임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액자프레임(34)을 상기 베이스프레임(32)으로부터 회전시켜 열게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액자프레임(34)의 좌측단(30a)을 잡아당김으로서 상기 액자프레임(3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된 고정기구(86)(88)의 걸림고정을 해제한다.
특히 상기 액자프레임(34)이 열리는 경우, 상기 액자프레임(3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우측 단에 설치된 힌지기구(9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게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액자프레임(34)을 완전히 젖혀 상기 액자프레임(34)의 후면이 전방을 향하게 한 다음 상기 사진프레임(100)에 사진 또는 그림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교체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비닛(30) 내부에 설치된 필터(60)를 교체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액자프레임(34)과 베이스프레임(32)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액자패널(30) 전체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된 조립부재(74)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을 개방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액자패널(30)을 잡아당김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프론트패널(20) 사이에 설치된 조립돌기(72)와 조립부재(74)의 끼움 결합을 해제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이 개방되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 고정된 필터(60)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필터(60)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업자는 배관(56)을 열교환기에 연결하기 위해 프론트패널(20)의 배관 서비스커버(22)만을 노출시킨다.
그래서 서비스업자는 상기 액자패널(30)을 잡아당겨 상기 액자패널(30)과 프론트패널(20)의 끼움 결합을 해제한 후, 분리된 액자패널(3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다시 상기 액자패널(30)을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조립부재(74)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자패널(30)의 조립돌기(72)는 초기 홈(75a)의 위치에서 상측에 형성된 홈(75b)으로 이동되어 끼움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조립돌기(7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액자패널(30)이 고정되면, 상기 액자패널(30)의 상단(31a)은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액자패널(30)의 하단(31b)은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가 전면에 노출된다.
이후 서비스업자는 상기 액자패널(30)을 상기 프론트패널(20)에 고정시킨 채로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 만을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20)가 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을 상기 캐비닛(30)에서 분리하지 않고 상기 액자패널(30) 및 배관 서비스커버(22)를 개방하는 과정만으로도 상기 배관(55)을 연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관(56) 상기 배관 서비스커버(22)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장부 개방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업자는 전장부(150)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액자패널(30)을 분리한 후 하측으로 이동하여 프론트패널(20)에 다시 고정시킴으로서 전장부 서비스커버(24) 만을 전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자패널(30)의 조립돌기(72)는 초기 홈(75a)에서 하측에 위치된 홈(75c)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서, 액자패널(30)의 상단(31a)이 상기 전장부 서비스커버(24) 하측에 위치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20)가 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종래와 같이 전면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액자패널(30) 이동 및 전장부 서비스커버(24)를 개방하는 과정만으로도 전장부(15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돌기(172)가 끼움 고정되는 홈(175)과 상기 홈(175)에서 분리된 조립돌기(172)가 이동되는 가이드홈(176)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재(174)의 뒷벽(174b)에는 상기 홈(175)이 형성되고, 상기 홈(175)의 전방에 상기 가이드홈(176)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76)의 전방에 상기 조리돌기(172)가 상기 조립부재(17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벽(174b)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앞벽(174a)에는 상기 조립돌기(172)의 목(172a) 부분이 이동되는 슬릿(173)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액자패널(30)에 형성된 조립돌기(172)는 상기 조립부재(174)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7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홈(175)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고정된다.
특히, 상기 조립돌기(172)는 상기 조립부재(174)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홈(175)에 끼움 고정되지만, 상기 조립돌기(172)가 상기 앞벽(174)에 걸리도록 상기 조립부재(174)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17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립부재(174)와 분리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조립돌기(172)가 형성된 액자패널(30)은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가 이동 과정에서 액자패널(30)을 놓치더라도 액자패널(30)이 조립부재(174)에 걸려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 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립기구의 위치 및 분리 방향 등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프론트패널의 전면에 조립된 액자패널을 분리한 후 배관 서비스커버 또는 전장부 서비스커버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액자패널을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서 서비스업자가 용이하게 배관의 연결 또는 전장부를 수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액자패널이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조립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기 때문에, 액자 패널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액자패널의 조립돌기가 조립부재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부재에 걸려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액자패널의 분리 및 이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액자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위치되기 때문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 다.

Claims (6)

  1.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과 결합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액자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액자패널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 및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액자패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재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조립돌기보다 개수가 많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에는 상기 홈에서 분리된 상기 조립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홈이 형성된 뒷벽과, 상기 조립돌기가 이동되는 슬릿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 외형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부를 차폐하는 전장부 서비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 서비스 커버는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홈 중 일부에 결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 외형의 일부를 이루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을 차폐하는 냉매배관 서비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매배관 서비스 커버는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홈 중 일부에 결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패널은,
    프론트 패널에 분해/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액자프레임;
    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50126170A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170A KR101090480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170A KR101090480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78A KR20070065578A (ko) 2007-06-25
KR101090480B1 true KR101090480B1 (ko) 2011-12-08

Family

ID=383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170A KR101090480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77Y1 (ko) 2002-08-09 2002-11-16 이혜진 조명액자가 부착된 벽걸이 에어콘
JP2003322355A (ja) 2002-04-25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345331Y1 (ko) 2003-12-16 2004-03-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조명기구 일체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355A (ja) 2002-04-25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294777Y1 (ko) 2002-08-09 2002-11-16 이혜진 조명액자가 부착된 벽걸이 에어콘
KR200345331Y1 (ko) 2003-12-16 2004-03-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조명기구 일체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78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9116A1 (en) Air conditioner
EP1607692B1 (en) Air conditioner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00056582A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12598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42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8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55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10141698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120356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320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736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505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157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8632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768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563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0612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8038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1197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