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21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21B1
KR101315421B1 KR1020060011399A KR20060011399A KR101315421B1 KR 101315421 B1 KR101315421 B1 KR 101315421B1 KR 1020060011399 A KR1020060011399 A KR 1020060011399A KR 20060011399 A KR20060011399 A KR 20060011399A KR 101315421 B1 KR101315421 B1 KR 10131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front panel
air conditioner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272A (ko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21B1/ko
Priority to AU2006337754A priority patent/AU2006337754B2/en
Priority to US12/223,076 priority patent/US20100242518A1/en
Priority to PCT/KR2006/005073 priority patent/WO2007091764A2/en
Priority to AT06256321T priority patent/ATE528594T1/de
Priority to EP06256321A priority patent/EP1816405B1/en
Priority to ES06256321T priority patent/ES2371029T3/es
Priority to CNB2007100062737A priority patent/CN100520194C/zh
Publication of KR2007008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지지기구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설치되는 액자베이스 및 데코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열리는 데코프레임을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두 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면서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액자베이스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및 필터가 도시된 q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과 필터가 조립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코프레임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패널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모터마운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작동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1 : 조립커버
12 : 베이스 13 : 오리피스
14 : 송풍기 15 : 흡입구
16 : 토출구 17 : 브래킷
18 : 에어가이드 20 : 프론트패널
21 : 프론트그릴 23 : 걸림부
24 : 서비스커버 25 : 홈
30 : 액자패널 40 : 토출유닛
50 : 열교환기 52 : 연결배관
60 : 필터 61 : 테두리부
63 : 리브 63a : 일단
63b : 중앙부 65 : 돌기부
66 : 필터메쉬 67 : 필터프레임
68 : 지지부 100 : 드레인팬
200 : 링크기구 201 : 힌지축
202 : 브래킷 203 : 저널
204, 205 : 브래킷 206 : 보스
210 : 길이조절링크 212 : 액자암
213 : 가이드홈 214 : 패널암
215 : 가이드돌기 217 : 끼움홈
220 : 구동링크 222 : 이동관절
222a : 일단 222b : 타단
224 : 회전관절 224a : 일단
224b : 타단 230 : 구동모터
235 : 모터축 240 : 모터마운트
241 : 바디 242 : 모터체결부
243 : 체결홀 244 : 패널체결부
245 : 체결홀 248, 249 : 체결부재
250 : 액자고정기구 260 : 고정핀
300 : 지지기구 302 : 지지바
303 : 힌지 304 : 수납홈
305 : 손잡이 306 : 손잡이홈
309 : 지지홈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 시 데코프레임과 액자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데코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기(2)와, 상기 송풍기(2) 전방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a)가 형성된 전면패널(4)과, 상기 캐비닛(1)과 전면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5)와, 상기 전면패널(4)의 전면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개폐시키는 전면그릴(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2)는 상기 캐비닛(1)의 두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터보팬(2a)과, 상기 터보팬(2a)을 회전시키는 모터(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는 상기 열교환기(3)와 송풍기(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2)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4)과 상기 오리피스(5)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7)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5)의 상부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7) 및 상기 전면패널(4)을 통해 캐비닛(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전면패널(4)은 상기 열교환기(3)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3)를 커버한다.
본 발명은 실내기에 그림 또는 사진이 설치될 수 있도록 액자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패널의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할 때, 액자패널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플레이트 또는 데코프레임을 용이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액자베이스와; 상기 액자베이스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데코프레임과; 상기 액자베이스와 상기 데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액자베이스와 상기 데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액자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는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액자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바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바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힌지 부분과 끝단 중간에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납홈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바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데코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바의 끝단이 걸림되는 지지홈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는 상기 액자베이스와 소정간격 이격 되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기 액자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베이스를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이격시키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패널(20)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액자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에는 중앙에 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상기 캐비닛(10)에는 토출구(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상기 액자패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상기 흡입구(15)로 공기가 이동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기(14)와, 상기 송풍기(14)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14)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14)는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상기 토출구(16)로 안내한다.
특히 상기 송풍기(14)는 상기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4)의 양측, 즉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상기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10) 밖으로 안내하는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6)에는 베인(48)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6)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16)에도 실내기의 전장부(150)에 의해 개폐되는 베인(48)이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실내로 안내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12)는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17)에 의해 실내 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4)의 상부, 즉 상기 베이스(12)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 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된 토출구(1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장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00)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패널(20) 또는 상기 오리피스(13)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은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1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은 모서리에는 배관커버(11)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베이스(12)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캐비닛(10)에 4 모서리 중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1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안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및 필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과 필터가 조립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패널(20)은 중앙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15)와, 상기 흡입구(15)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 일부를 차폐하는 서비스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미도시) 또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체결 결합된다.
특히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조립되되, 상기 열교환기(50) 하부의 연결배관(52)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배관(52)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도록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에는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상기 흡입구(15)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이 저감되도록 상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 일부에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형성되되, 상기 액자패널(30) 측인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착탈되는 구 조로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프론트그릴(21)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60) 및 상기 필터(60)를 지지하는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두께가 완만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연결된 일단(21a)에서 상기 흡입구(15) 측에 위치된 타단(21b)이 더 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타단(21b)은 상기 일단(21a)보다 상기 액자패널(30) 측과 가깝게 위치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타단(21b)은 상기 일단(21a)에 비해 상기 프론트패널(20) 내측에 위치된 상기 열교환기(50)와의 거리가 더 멀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그릴(2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필터(60)는 상기 열교환기(50)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일단(21a)에서 상기 타단(21b)으로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단(21a)과 상기 타단(21b)의 중간에 전방으로 돌출된 절곡부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흡입구(15)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5)에 최소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 중 상부 및 양 측부 일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상기 흡입구(15)가 형성된 가장자리에는 상기 필터(60)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수단으로서 걸림부(23) 및 돌기부(65)/홈(25)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상기 흡입구(15) 하측에는 상기 필터(60)의 돌기부(65)가 삽입되는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60)가 끼워지는 걸림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필터(60)의 상단을 감싸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60)의 외측을 감싸 상기 필터(60)가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홈(25)은 상기 돌기부(65)가 삽입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60)가 상기 열교환기(5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홈(25)은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21)에서 전방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홈(25)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0)의 수납부(26)는 상기 전면(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필터프레임(67)과, 상기 필터프레임(67)에 씌워져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필터메쉬(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프레임(67)은 상기 흡입구(15) 전체를 차폐하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테두리부(61)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프레임(67)의 테두리부(6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리브(63)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리브(63)는 서로 교차되어 형성됨으로서 필터(60)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61)의 중앙 부분(63b)에 위치된 리브(63)는 상기 테두리부(61)에 연결된 부분(63a)보다 더 전방 측에 위치되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리브(63) 중 중앙부(63b)는 일단(63a)과 연결되되, 전방 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테두리부(61)와 연결된 일단(63a)은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프레임(67)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부(63b)가 상기 테두리부(61)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프레임(67)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리브(63)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6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8)는 상기 테두리부(61)에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형성된 지지부(68)는 상기 테두리부(6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61)와 상기 중앙부(63b)의 높이 차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68)는 상기 테두리부(61)에서 상기 리브(63)를 따라 형성되어 끝단(68a)이 상기 중앙부(63b)와 동일한 높이를 이룬다.
또한 상기 지지부(68)는 본 실시예에서 상/하 2개소가 형성되었으나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61)의 하단에는 상기 홈(25)에 삽입되는 돌기부(65)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65)는 상기 테두리부(61)의 하단에 2개소 형성되고, 상 기 홈(25)은 상기 돌기부(65)에 대응하여 2개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흡입구(15)를 덮도록 형성되나 상기 서비스커버(24)를 차폐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상기 리브(63)는 상기 필터(60)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패널(20)에 형성된 프론트그릴(2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60)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63)는 상기 프론트그릴(21)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60)는 중앙이 테두리부(61)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60) 배면에 위치된 열교환기(50)와의 접촉이 억제되고,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 평면 형상의 필터에 비해 필터메쉬(66)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코프레임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은, 도 1 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기구(200)와 힌지 연결되는 액자베이스(32)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데코프레임(34)과,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전면에 부착되는 투명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투명 아크릴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액자베이스(32)에 부착되는 사진 또는 그림이 실내기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코프레임(34)은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투명플레이트(35)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상단은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데코프레임(34)과 상기 액자베이스(32) 사이에는 전방으로 열리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지지하는 지지기구(3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구(300)는 상기 액자베이스(32)에 수납되어 전방으로 회전되는 지지바(30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302)의 일단에는 힌지(30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302)의 힌지(303)는 상기 액자베이스(32)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2)에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지지할 때 충분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내부가 중공(302a)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302)의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302b)가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지지바(302)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302)에는 손잡이(305)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05)는 상기 지지바(302)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305)는 실내기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바(302)가 수납되는 수납홈(30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304)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305)가 안착되는 손잡이홈(306)이 별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2)에는 상기 액자베이스(32)에서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의 기능은 상기 지지바(302)가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지지바(302)의 소정 각도 이상 회전을 제한한다.
즉, 상기 지지바(302)는 상기 힌지(303) 부분에서 회전되는 끝단(302d) 부분 중간이 절곡부(302c)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02c)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수납홈(304)에 걸려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바(302)는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납홈(304)의 하단(304c)에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바(302)의 끝단(302d)이 삽입되는 지지홈(30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309)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302)는 상기 지지홈(309)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됨으로서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지지바(3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홈(309)에 걸림 고정되는 바, 상기 지지홈(309)의 위치에 따라 상기 데코프레임(34)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에 부착되는 그림 또는 사진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투명플레이트(35)가 고정된 상기 데코프레임(34)을 들어올린 후, 상기 지지바(302)를 펴서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홈(309)에 밀착시킴으로서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연 채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을 경사진 연 채로 고정시킨 후, 자유로운 두 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그림 또는 사진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기구(300)가 상기 액자베이스(3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나,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데코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베이스에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패널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모터마운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도 4 또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자패널(30)은 링크기구(200)에 의해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그래서 액자패널(30)의 배면인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배면에는 상기 링크기 구(200)가 연결되는 브래킷(202)과, 상기 액자패널(30)의 회전중심인 힌지축(20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201)은 상기 액자패널(30)의 배면 하측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저널(도 4의 203)에 안착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02)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배면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202)은 상기 액자패널(30)의 상측에 3개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는 상기 액자패널(30) 측으로 돌출된 브래킷(도 4의 204)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기구(200)는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상기 액자패널(30)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길이조절링크(210)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대해 상기 액자패널(3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링크(220)와, 상기 구동링크(220)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230)와 상기 구동모터(230)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고정시키는 모터마운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링크(210)는 양단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 형성된 브래킷(204)과 상기 액자패널(30)의 배면에 형성된 브래킷(202)에 각각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링크(210)는 상기 액자패널(30)의 브래킷(202)에 힌지 연결되는 액자암(212)과,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브래킷(204)에 힌지 연결되는 패 널암(2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자암(212)과 상기 패널암(214)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암(214)의 전방 측 단(214a)에는 가이드돌기(215)가 형성되고, 상기 액자암(212)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5)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213)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액자암(212)의 가이드홈(213)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돌기(215)는 상기 가이드홈(213)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액자패널(30)의 회전될 때 그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된다.
특히 상기 액자암(212)에는 상기 가이드홈(21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215)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암(214)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5)와 끼워 맞춰지는 끼움홈(217)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링크(220)는 상기 액자패널(30)의 액자베이스(32)에 힌지 연결되는 이동관절(222)과, 일단이 상기 이동관절(222)과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230)와 연결되는 회전관절(2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관절(222)은 일단(222a)이 상기 액자베이스(32)에 형성된 브래킷(202)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222b)이 상기 회전관절(224)의 일단(224a)과 힌지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관절(224)의 일단(224a)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관절(222)의 타단(222b)은 상기 회전관절(224)과 상대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관절(222)은 상기 액자패널(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서서히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절(224)의 타단(224b)은 상기 구동모터(230)의 모터축(미도시)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축이 소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관절(224)은 상기 타단(224b)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관절(224)은 작동 시 상기 모터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축소시키기 위해 복수개소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관절(224)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단(224a) 및 상기 타단(224b)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3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전류에 따라 상기 모터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이다.
더불어 상기 이동관절(222)의 일단(222a)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브래킷(202)에 삽입된 후 고정핀(26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260)은 상기 이동관절(222) 및 상기 브래킷(20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핀부(262)와, 상기 핀부(26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에 걸림고정되는 고정부(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6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66)와 상호 결합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264)는 내측에 사각형 형상의 홀(265)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66)는 상기 홀(265)에 삽입되어 상호 걸림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자패널(30)의 측부에는 상기 데코프레임(34)과 상기 액자베이스(32)를 고정시키는 액자 고정기구(2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액자 고정기구(250)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에 설치는 고정부재(252)와,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52)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홈(2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52)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드홈(254)은 상기 고정부재(252)의 상/하단이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52)를 좌/우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래서 상기 고정부재(252)가 상기 액자베이스(32) 배면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부재(252)의 전면이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액자베이스(32)를 상기 데코프레임(34) 측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액자베이스(32)는 상기 데코프레임(34)과 상기 고정부재(25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252)에 의해 상기 데코프레임(34)에 밀착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마운트(240)는 상기 구동모터(2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 측으로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모터마운트(240)는 상기 구동모터(230)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구동모터(230)의 플랜지(232)와 연결되는 모터체결부(242)와,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체결되는 패널체결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기 모터축(235)이 상기 프론트패널(20)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플랜지(232)에 형성된 체결홀(233) 역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모터마운트(240)의 모터체결부(242)는 상기 플랜지(23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32)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체결부(242)의 체결홀(243)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232)와 대향되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체결부(244)는 상기 모터체결부(24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패널(20)의 배면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패널체결부(244)에 형성된 체결홀(245)은 상기 실내기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마운트(240)를 이루는 바디(241)는 상기 구동모터(23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체결부(242)와 상기 패널체결부(244)는 상기 바디(24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모터체결부(242)를 이루는 면과 상기 패널체결부(244)를 이루는 면의 가상의 연장선은 서로 직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사용방법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 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액자패널(30)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부착하기 위해, 투명플레이트(35)가 고정된 데코프레임(34)의 하단을 잡아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이로 인해 상기 데코프레임(34)은 힌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회전되면서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이 노출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액자베이스(32)에 수납된 지지바(302)의 손잡이(305)를 잡아당겨 상기 지지바(302)를 인출하고, 인출된 지지바(302)의 끝단(302d)에 상기 데코프레임(34) 배면에 형성된 지지홈(309)을 밀착시켜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지지바(302)는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상기 데코프레임(34)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는 두 손을 자유로이 사용하여 그림 또는 사진 등을 상기 액자베이스(32)에 부착 또는 삽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지지기구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설치 되는 액자베이스 및 데코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열리는 데코프레임을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두 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면서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액자베이스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지지바는 액자베이스에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액자베이스와 데코프레임이 보다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데코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바가 걸림 고정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데코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지지바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지바를 용이하게 인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과;
    상기 프론트패널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공기가 이동되는 틈을 형성하는 액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자패널은
    액자베이스와;
    상기 액자베이스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데코프레임과;
    상기 액자베이스와 상기 데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 타단이 걸림되게 설치되어 상기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기구의 타단은, 상기 액자베이스 및 상기 데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다른 하나를 걸림 지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액자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는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자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바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힌지 부분과 끝단 중간에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납홈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삭제
  8. 삭제
KR1020060011399A 2006-02-07 2006-02-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99A KR101315421B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U2006337754A AU2006337754B2 (en) 2006-02-07 2006-11-28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2/223,076 US20100242518A1 (en) 2006-02-07 2006-11-28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CT/KR2006/005073 WO2007091764A2 (en) 2006-02-07 2006-11-28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T06256321T ATE528594T1 (de) 2006-02-07 2006-12-12 Innenraumeinheit einer klimaanlage
EP06256321A EP1816405B1 (en) 2006-02-07 2006-12-1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S06256321T ES2371029T3 (es) 2006-02-07 2006-12-12 Unidad de interior de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CNB2007100062737A CN100520194C (zh) 2006-02-07 2007-02-07 空调室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99A KR101315421B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72A KR20070080272A (ko) 2007-08-10
KR101315421B1 true KR101315421B1 (ko) 2013-10-14

Family

ID=3860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99A KR101315421B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15421B1 (ko)
CN (1) CN100520194C (ko)
ES (1) ES237102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9737B (zh) * 2008-07-14 2012-02-2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KR101224646B1 (ko) * 2008-07-30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내기
CN110699768B (zh) * 2019-10-28 2024-05-03 南通醋酸纤维有限公司 一种防绊丝甬道滤网机构
CN115337715B (zh) * 2022-08-08 2024-02-02 约克广州空调冷冻设备有限公司 过滤器框架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001A (ja) * 1993-10-21 1995-05-1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KR20030083190A (ko) * 2002-04-1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20050078536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00768A (ko) * 2004-06-29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001A (ja) * 1993-10-21 1995-05-1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KR20030083190A (ko) * 2002-04-1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20050078536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00768A (ko) * 2004-06-29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0194C (zh) 2009-07-29
KR20070080272A (ko) 2007-08-10
ES2371029T3 (es) 2011-12-26
CN101017014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4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6925831B2 (en) Unit type air conditioner
JP5264558B2 (ja) 換気ユニット
JP2005127696A (ja) 空調機の室内機
KR1012598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42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0356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55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505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768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563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0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07091767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8632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563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563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563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505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557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765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지지구조
KR20050098399A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후면그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