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91B1 -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 Google Patents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91B1
KR101090191B1 KR1020090012372A KR20090012372A KR101090191B1 KR 101090191 B1 KR101090191 B1 KR 101090191B1 KR 1020090012372 A KR1020090012372 A KR 1020090012372A KR 20090012372 A KR20090012372 A KR 20090012372A KR 101090191 B1 KR101090191 B1 KR 10109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ore
vane pump
cylinde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262A (ko
Inventor
김찬주
Original Assignee
김찬주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주,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찬주
Priority to KR102009001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18/113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the inner member carrying rollers intermeshing with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인(VANE) 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보어와 이에 편심 내장되는 캐리어 사이에 편심 압축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공간부 반대편에 밀착부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밀착부에 해당하는 보어와 캐리어의 각 곡률이 서로 상응하도록 하여,
밀착부에서 보어와 캐리어의 간극을 줄여 캐리어보다 보어가 더 큰 곡률을 갖는 기존 베인펌프와 대비해서 대폭 펌핑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는 샤프트를 갖는 모터부; 흡입부와 토출부, 그리고 보어(bore)를 갖는 실린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보어 내에 편심 내장되고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선회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출몰하는 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의 보어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는 편심 압축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어와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압축공간부 반대편에서 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에 해당하는 상기 보어의 곡률과 상기 캐리어의 곡률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베인, 펌프, 실린더, 캐리어, 곡률, 압축공간, 밀착부, 간극, 갭, GAP, 유체 유입, 완충

Description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VANE PUMP THAT IMPROVED EFFICIENCY}
본 발명은 베인(VANE) 펌프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가 편심 내장되는 실린더의 보어 내벽이 2개의 곡률로 이루어지되, 특히 압축공간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밀착부에서 보어와 캐리어의 곡률이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밀착부에서 보어와 캐리어의 간극을 줄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베인펌프[보어가 캐리어보다 더 큰 곡률 1개로 이루어진 베인펌프]와 대비해서 대폭 펌핑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에 관한 것이다.
베인펌프에 대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73800호 (2006.04.18, 등록, 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 "측류방식 엘피지용 외장형 펌프" 등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공간용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작동유체를 흡입, 배출하는 유체 이송부에 의해 작동유체가 이송되는 한편, 상기 유체이송부의 회전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작동유체가 유입, 토출되는 유동챔버와, 상기 유체이송부에 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가 내장되는 한편 상기 유동챔버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회전력 공급부와, 상기 회전력 공급부의 냉각을 위해 상기 회전력 공급부상에 형성되어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 도입구와 상기 회전력 공급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작동유체의 흡입방향과 펌프의 회전방향을 일치시켜 흡입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상기 냉매 도입구 및 토출구의 구성에 의해 냉각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도 7을 참조하면(선행기술과 본 발명을 대비하기 위하여 도 7에서는 실린더의 흡입부와 토출부가 선행기술과는 달리 상부 측에 치우치게 배열되도록 도시하였다), 흡입부(2a)와 토출부(2b)를 갖는 실린더(2)와, 이의 보어(2c)에 편심 내장된 캐리어(3)에서
상기 실린더(2)의 보어(2c)는 1개의 곡률로 이루어져 있고, 또 이 곡률은 상기 캐리어(3)의 곡률 보다 크므로, 상기 실린더(2)의 보어(2c)와 상기 캐리어(3)가 서로 밀착되는 영역(본 발명의 밀착부에 해당)의 간극(G1), 특히 유체가 강제 토출되는 토출부(2b) 측 간극(G1)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펌핑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린더의 보어가 캐리어와 상응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두 구성(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의 간극을 줄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펌핑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캐리어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천공된 유체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캐리어의 선회에 따른 베인의 원심력을 보강시킨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유체 유입공이 발휘하는 기능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캐리어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유체 유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캐리어의 선회에 따른 베인의 원심력을 보강시킨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유체 유입공 및 유체 유입홈을 상기 캐리어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게 하여 유체가 원활히 유입되어 베인의 원심력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캐리어의 장착부 내벽 상하단에 유체 유입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유입된 유체가 베인의 원심력을 보강시켜 유체 유입공이나 유체 유입홈과 더불어 유체의 흡입 및 토출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캐리어의 장착부 내벽 특히, 캐리어 중심방향 내벽에 완충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결합홈에 완충결합돌기가 끼워져 있어 베인의 출몰직선운동시 상기 완충결합돌기와 접촉하게 되어 베인의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캐리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을 형성하여 상하부에 밀착 배열되는 각 플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최소화 한 베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는,
샤프트를 갖는 모터부;
흡입부와 토출부, 그리고 보어(bore)를 갖는 실린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보어 내에 편심 내장되고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선회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출몰하는 베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의 보어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는 편심 압축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어와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압축공간부 반대편에서 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에 해당하는 상기 보어의 곡률과 상기 캐리어의 곡률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는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천공된 유체 유입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캐리어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는 상면부 또는 하면부, 또는 이들 모두에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유체 유입홈이 연결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 유입홈은 상기 캐리어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 내벽 상하단에 유체 유입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 중심방향 내벽에 완충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결합홈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완충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캐리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는,
첫째, 실린더의 보어가 캐리어와 상응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두 구성(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의 간극을 줄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펌핑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베인의 원심력 보강을 위해 베인의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모터의 회전수(rpm)를 높이게 되면, 베인의 경우 단가 상승 및 캐리어 내에서 출몰직선 운동시 소음 증가의 요인이 되고, 모터의 경우 빈번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사선을 이루는 유체 유입수단(유입공, 유입홈) 및 유입단턱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베인의 원심력을 보강시켜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캐리어 장착부 내벽 상하단에 유체 유입단턱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를 갖는 장착체가 장착부 내벽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수단과 더불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캐리어 장착부나 베인에 완충부재 또는 완충재층을 구비하고 또 장착부 내벽에 구비된 완충결합돌기를 통해 캐리어 장착부에 대한 베인의 출몰직선 운동시 소음 저감 효과가 있다.
다섯째, 캐리어 상하에 위치한 각 플레이트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캐리어 상하면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을 형성하여 접촉 면적을 줄여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에서 실린더와 이의 보어에 캐리어가 편심 내장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의 각 곡률과 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에서 바디에 실린더, 캐리어 및 베인이 수용되고 캐리어의 샤프트 결합부와 모터부의 샤프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입홈, 완충결합홈 및 완충결합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체 유입단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체 유입단턱이 형성된 장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베인펌프에서 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 간의 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제1플레이트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6a의 "B"는 캐리어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두 베어링 중 위에 배치된 베어링 측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정하고, 또 제2플레이트 측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정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는,
크게 모터부, 실린더, 캐리어 및 베인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모터부(10)는
샤프트(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하면
일단(一端)이 비(非)원형, 즉 일단에 결합되는 대상체(본 발명의 캐리어가 해당)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타입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의 외주면에 배열되고 코어(121) 및 상기 코어(121)를 감싸는 마그네트(122)로 이루어진 로터(12), 그리고
상기 로터(12)의 마그네트(122)를 감싸는 스테이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1)에 축 결합되는 베어링(1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20)는
흡입부(21)와 토출부(22), 그리고 보어(23 : bor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상부에 치우치고 상하면 모두에 형성되는 흡입부(21)와 토출부(22), 그리고
상기 흡입부(21)와 토출부(22)에 연통되도록 상기 샤프트(11)의 중심에서 편심 되게 형성되는 보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0)의 보어(23) 형상에 관해서는 후술할 캐리어(30)와 함께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30)는
장착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20)의 보어(23) 내에 편심 내장되고 상기 모터부(10)의 샤프트(11)에 연결되어 선회되는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주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형성된 장착부(31),
중심에 샤프트 결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0)의 보어(23)와 상기 캐리어(30) 사이에는 편심 압축공간부(S1)가 형성되며,
상기 보어(23)와 상기 캐리어(30)는 상기 압축공간부(S1) 반대편에서 밀착부(S2)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S2)에 해당하는 상기 보어(23)의 곡률(R1)과 상기 캐리어(30)의 곡률(R2)은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 설명하자면,
상기 밀착부(S2)는 펌핑성능을 해치지 않는 한도에서 미세한 접촉이나. ㎛ 단위의 공차(공차는 공차가 커져서 불필요하게 공간이 발생하여 압축행정에서 토출되지 않는 유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불필요한 마찰로 동력을 소모하고 소음 발생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을 충족하는 정도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를 갖는 비(非)접촉 개념을 포함하는, 엄밀하지 않은 의미이다.
또 상기 밀착부(S2)에 해당하는 보어(23)의 곡률(R1)과 캐리어(30)의 곡률(R2)은 '상응' 한다는 의미는 보어(23)와 곡률이 일치하게 되는 캐리어(30)의 각도 범위가 임의로 변형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변형 모델을 포괄하기 위하여 선정된 용어이다(곡률 일치 범위는 결국 보어(23)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것이며, 펌핑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밀착' 만을 고려한다면 밀착부(S2)의 최대 범위는 캐리어(30)의 절반인 180도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S2)에 해당하는 상기 실린더(20)의 보어(23) 내벽을 상기 캐리어(30)의 곡률(R2)에 상응하도록 형성하게 되고, 상기 압축공간부(S1)는 유체의 압축 변위가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30)의 곡률(R2) 보다 큰 곡률(R3)을 갖도록 형성하게 된다.
결국, 상기 실린더(20)의 보어(23)는 상기 캐리어(30)의 곡률(R2)에 상응하는 곡률(R1)과, 상기 캐리어(30)의 곡률(R2) 보다 큰 곡률(R3), 즉 2개의 곡률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살펴볼 때에 본 발명은 상기 밀착부(S2)에서 상기 실린 더(20)의 보어(23)와 이에 편심 내장된 상기 캐리어(30)의 간극(G2)이 줄어 기존 베인펌프(실린더의 보어가 1개의 곡률로 이루어진 베인펌프)와 대비해서 펌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베인(40)은
상기 캐리어(30)의 장착부(31)에 배치되어 출몰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인(40)이 롤러(roller)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캐리어(30)의 장착부(31)에 출몰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에 만족하면서 상기 장착부(31)에 맞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베인(40)은 상기 캐리어(30)의 선회에 따라 장착부(31) 내에서 출몰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압축공간부(S1)에서 압축공간이 변위되고, 따라서 유체의 강제 흡입과 토출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는,
상기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중공(512), 그리고 하부에 상기 실린더(20)의 흡입부(21) 및 토출부(22)와 대응되게 형성된 두 함몰부(511)로 이루어져 상기 캐리어(3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플레이트(51),
상부에 상기 실린더(20)의 흡입부(21) 및 토출부(22)와 대응되게 형성된 두 함몰부(521)로 이루어져 상기 캐리어(3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2플레이트(52),
상기 실린더(20), 캐리어(30), 베인(40), 제1 및 제2 플레이트(51, 52)가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20)의 흡입부(21)와 토출부(22)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흡입부(531)와 외부토출부(532)를 갖는 바디(5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베인(40)의 원심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30)는
일 예로써,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외주면부(30a)에서 상기 장착부(31)를 향하여 천공된 유체 유입공(33)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 유입공(33)은 상기 캐리어(30)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캐리어(30) 선회 방향에 맞게 사선을 이루게 하여 상기 유체 유입공(33)으로 원활히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유체는 베인(40)의 원심력을 보강시키게 된다.
다른 예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외주면부(30a)에서 상기 장착부(31)를 향하여 유체 유입홈(34)이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하면 모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유입홈(34)은 상기 캐리어(30)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체 유입공(3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의 원활한 유입 및 베인(40)의 원심력을 보강시키기 위함이다.
또 다른 예로써, 도 6a에서와 같이, 장착부(31) 내벽 상하단에 유체 유입단턱(35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유체 유입단턱(35A)을 갖는 장착체(35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착체(35B)가 장착부(3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체 유입단턱(35A)이나 이를 구비한 장착체(35B) 또한 상기 유체 유입공(33) 및 상기 유체 유입홈(34)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베인(40)의 완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30)는
도 5에서와 같이, 장착부(31) 중심방향 내벽에 완충결합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결합홈(36)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완충결합돌기(361)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결합돌기(361)는 탄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결합돌기(361)를 통해 장착부(31) 내에서 출몰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상기 베인(40)이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2플레이트(51, 52)와 캐리어(30) 간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30)는
도 6a의 "B"에서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38)이 형성된다.
상기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38)은 상기 캐리어(30)와 상하에 위치한 제1,2플 레이트(51, 52)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줌으로써, 캐리어(30)의 원활한 유체 흡입 및 토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캐리어(30)는 샤프트 결합부(32)와 모터부(10)의 샤프트(11)가 결합되어 선회함에 따라
기본적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베인(40)은 캐리어(30)의 장착부(31) 내에서 나가고 들어오는 출몰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바디(53)의 외부흡입부(531) 및 외부토출부(532) 각각을 통해 강제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모터부(10)의 샤프트(11) 선회에 따른 실린더(20)의 보어(23) 내의 캐리어(30)는 선회되고, 캐리어(30)의 장착부(31) 내에 위치한 배인(40)은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20)의 보어(23) 내벽을 따라 밀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30)는 상기 유입공, 유입홈 및 유입단턱으로 유입된 유체가 장착부(31)로부터 베인(40)의 출(出) 동작시에 장착부(31) 빈 공간을 채우게 되고, 원심력에 의하여 베인(40)을 보어(23) 내벽으로 밀어줌은 물론, 베인(40)이 뒤로 밀려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20)의 흡입부(21)를 통해 강제 흡입된 유체는 압축공간부(S1)를 지나 토출부(22)로 강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밀착부(S2)에 해당하는 보어(23)와 캐리어(30)의 간극(G2)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실린더(20)의 흡입부(21)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밀착부(S2)에 해당하는 보어(23)와 캐리어(30)의 곡률(R1, R2)을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간극(G2)을 줄여 기존 베인펌프와 대비해서 간극(G2)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펌핑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에서 실린더와 이의 보어에 캐리어가 편심 내장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의 각 곡률과 간극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에서 바디에 실린더, 캐리어 및 베인이 수용되고 캐리어의 샤프트 결합부와 모터부의 샤프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입홈, 완충결합홈 및 완충결합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체 유입단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인펌프의 캐리어에서 유체 유입단턱이 형성된 장착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베인펌프에서 실린더의 보어와 캐리어 간의 간극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터부
11 : 샤프트 12 : 로터
121 : 코어 122 : 마그네트
13 : 스테이터 14 : 베어링
20 : 실린더
21 : 흡입부 22 : 토출부
23 : 보어
30 : 캐리어
31 : 장착부 32 : 샤프트 결합부
33 : 유체 유입공 34 : 유체 유입홈
35A : 유체 유입단턱 35B : 장착체
36 : 완충결합홈 361 : 완충결합돌기
38 :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
40 : 베인
51 : 제1플레이트
511 : 함몰부 512 : 중공
52 : 제2플레이트
521 : 함몰부
53 : 바디
531 : 외부흡입부 532 : 외부토출부
R1, R2, R3 : 곡률 S1 : 압축공간부
S2 : 밀착부 G2 : 간극

Claims (8)

  1. 샤프트를 갖는 모터부;
    흡입부와 토출부, 그리고 보어(bore)를 갖는 실린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보어 내에 편심 내장되고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선회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출몰하는 베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의 보어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는 편심 압축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어와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압축공간부 반대편에서 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 내벽 상하단에 유체 유입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에 해당하는 상기 보어의 곡률과 상기 캐리어의 곡률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천공된 유체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캐리어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면부 또는 하면부, 또는 이들 모두에 외주면부에서 장착부를 향하여 유체 유입홈이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홈은 상기 캐리어 선회에 맞게 사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장착부 중심방향 내벽에 완충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결합홈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완충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마찰저항 감소용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KR1020090012372A 2009-02-16 2009-02-16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KR10109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72A KR101090191B1 (ko) 2009-02-16 2009-02-16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72A KR101090191B1 (ko) 2009-02-16 2009-02-16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62A KR20100093262A (ko) 2010-08-25
KR101090191B1 true KR101090191B1 (ko) 2011-12-06

Family

ID=4275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72A KR101090191B1 (ko) 2009-02-16 2009-02-16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783B1 (ko) 2016-02-11 2018-10-18 김경수 외부 케이싱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형 베인 펌프 또는 진공 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2711U (ko) * 1975-10-15 1977-04-15
JPS5639882U (ko) * 1979-09-04 1981-04-14
KR100736384B1 (ko) * 2006-09-26 2007-07-06 김신유 가압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2711U (ko) * 1975-10-15 1977-04-15
JPS5639882U (ko) * 1979-09-04 1981-04-14
KR100736384B1 (ko) * 2006-09-26 2007-07-06 김신유 가압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62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2242B2 (ja) オイルポンプ
KR101902326B1 (ko) 원심식 볼류트펌프의 케이싱웨어링
JP2008524486A (ja) ベーンポンプ
KR101090191B1 (ko) 성능이 향상된 베인펌프
CN100491734C (zh) 单叶片真空泵
KR100593208B1 (ko) 회전용적형 펌프의 로터구조
JP4481090B2 (ja) ベーンポンプ
KR100505821B1 (ko) 용적형 펌프
CN112901482A (zh) 一种组合式往复移动滑片及其轴向滑片泵
CN211500972U (zh) 滑片、泵体组件、压缩机和空调器
CN108533486B (zh) 一种具有滑块结构的容积式高压水泵
KR101041211B1 (ko) 베인펌프
CN113482932A (zh) 旋转式压缩机及制冷设备
CN111794966A (zh) 泵体组件、压缩机和空调器
JP2003307185A (ja) ベーンポンプ
RU2419728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нефтяной насос
CN110905814A (zh) 滑片、泵体组件、压缩机和空调器
US11466686B2 (en) Rotary compressor
CN110630490B (zh) 一种叶片泵
KR102626191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674656B1 (ko) 유압펌프의 경사판 구조
JP2004176676A (ja) 車両用モータ式燃料ポンプ
KR200276901Y1 (ko) 로터형 진공펌프
KR101693883B1 (ko) 가변오일펌프
JP4821673B2 (ja) ベーン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