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765B1 -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765B1
KR101089765B1 KR1020090056086A KR20090056086A KR101089765B1 KR 101089765 B1 KR101089765 B1 KR 101089765B1 KR 1020090056086 A KR1020090056086 A KR 1020090056086A KR 20090056086 A KR20090056086 A KR 20090056086A KR 101089765 B1 KR101089765 B1 KR 10108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aper
cor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850A (ko
Inventor
최창학
오영균
허지행
최건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to KR102009005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32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기의 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수성과 블록킹성이 우수한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코어-쉘 구조의 라텍스 내수/내유제에 대한 것이고, 제지공장의 초지기에서 원지를 생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재료를 사용하여 제지기 내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도공기인 온머신코터(On-machine Coater)에서 온머신 배리어코팅 가능한 식품 포장용 용지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코팅된 식품 포장용 용지는 제지공장에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식품포장용 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열접착 기능을 갖는다.
내수제, 내유제, 포장용지, 라텍스, 열접착, 온머신 배리어 코팅, 재활용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WATERPROOFING/OILPROOFING AGENT AND PAPER FOR FOOD CONTAINER HAVING WATERPROOFING/OILPROOFING AGENT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식품 포장용지를 제공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대체 내수/내유제를 적용하여 제지공장의 초지기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해서 열접착 기능이 있는 식품 포장용지를 생산하는 방법 및 그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다.
상품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종이를 포장용지라고 한다. 이에는 단순히 내용물을 보호하는 데 알맞은 질기고 내수성만이 좋은 것과, 그 이외에 인쇄적성도 좋은 것이 있다.
전자는 강도와 함께 어느 정도 내수성이 있어야 하고, 후자는 전자의 성질들 외에 얼마간의 아름다움과 인쇄적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자의 대표적인 것은 미표백화학펄프(UKP)를 주원료로 해서 만든 크라프트지이며, 시멘트설탕비료녹말 등의 포장봉투에 사용된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편광지로서 일반적으로 롤지라고 하는데, 이것은 양키머신(yankee machine)으로 초조하여 한 면만을 광택이 있도록 한 종이이며, 가벼운 물건의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식품 포장용지는 내수 및 내유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 간의 식품포장용기는 제지업체에서 원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면, 후가공 업체에서 내수/내유 기능과 열접착 기능이 있는 폴리에틸렌 코팅 및 필요시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실시 후 성형을 위한 후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PE코팅 식품 포장 용기는 재활용이 되지 않고 분류 후 소각되고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부정적이다.
따라서 관련 산업분야에서는 폴리에틸렌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내수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이 친환경적인 내수/내유제를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해서 내수/내유 기능만이 아니라 성형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필요한 열접착 기능을 갖추게 되면 폴리에틸렌 코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후가공 업체의 폴리에틸렌 코팅으로 인한 부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이 친환경 내수/내유제가 코팅된 용지는 제지공장에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다만, 폴리에틸렌 대체 내수/내유제를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공정의 오염문제 및 롤블록킹(=Roll Blocking, 권취롤의 종이 쉬트간 붙음)문제로 실용화가 쉽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성형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사용되고 열접착 기능을 갖춘 식품포장용지를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시 공정의 오염문제와 롤 블록킹 문제를 해결한, 폴리에틸렌을 대체하는 라텍스 내수/내유제가 적용된 친환경적인 식품 포장용지를 생산하는 방법과 그 용지의 특징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내수/내유제를 제공하고, 천연펄프를 사용하는 판지에 내수/내유성 기능을 부여하고, 성형을 필요로 하는 후가공 에 관한 것으로서, 열접착이 가능하고 제지공장에서 공정오염과 롤 블록킹이 없는 상태로 온머신코팅이 가능하며, 제지공장에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한 식품 포장용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인 예비코팅층을 도공하는 1 단계; 상기 예비코팅층을 건조하는 2 단계; 원지의 하층면에 이면코팅층을 도공하는 3 단계; 상기 이면코팅층을 건조하는 4 단계; 원지의 상층면의 예비코팅층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인 탑코팅층을 도공하는 5 단계; 및 상기 탑코팅층을 건조하는 6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제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전분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이 접하고 있고 그 예비코팅층 위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블록킹방지제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 층이 접하고 있으며, 상기 원지의 하층면에 전분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이 접하고 있는 식품 포장용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텍스 내수/내유제는 내수성과 블록킹성이 우수하다.
본 내수/내유성 식품포장 용지는 제지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내수/내유성이 필요한 음료 및 식품 포장용기에 적용 가능하며, 후가공으로 성형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열접착이 가능하고, 제지공장에서 공정오염과 롤 블록킹이 없는 상태로 온머신코팅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후가공 폴리에틸렌 코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표면처리를 통해 음료 및 식품이 직접 닿는 포장용으로 적합하며 국내 식품포장 품질기준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 라텍스는 코어 부분과 쉘 부분의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코어 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 10 ℃ ~ 10 ℃이고, 상기 쉘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20 ℃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이고, 상기 공중합 라텍스의 평균입자경은 800 ~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공중합 라텍스는 고형분이 40 ~ 60 중량%인 수용성 에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모노머, 하드 모노머 및 카르복시산 모노머의 혼합물에 분자량조절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시드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소프트 모노머, 하드 모노머 및 카르복시산 모노머 혼합물에 상기 시드 라텍스 혼합하고 분자량조절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코어부분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부분 라텍스에 소프트 모노머, 하드 모노머 및 카르복시산 모노머 혼합물을 추가로 투입하고 분자량조절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소프트 모노머는 부타디엔,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드 모노머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르복시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이타콘산, 퓨마릭산 및 메틸메타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터셔리-도데실 머켑탄(tertiary-dodecyl mercaptan) 및 알파메틸스티렌(α-Methylstyrene) 중에서 선 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이고, 상기 개시제는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phate),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phate) 및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산업용지 원지 제조시 기존 도공되는 전분 및 에포민이 아닌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를 상층면에 도공하고, 전분과 인쇄향상제를 하층면에 도공하여 공정 단축화를 통한 원가 절감과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고자 한다.
식품 포장용지는 내수 및 내유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 간의 식품포장용기는 제지업체에서 원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면, 후가공 업체에서 내수/내유 기능과 열접착 기능이 있는 폴리에틸렌 코팅 및 필요시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실시 후 성형을 위한 후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코팅 식품 포장 용기는 재활용이 되지 않고 분류 후 소각되고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부정적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는 회수하여 재가공이 가능하므로 이 친환경적이고,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이 가능하다. 즉,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해서 내수/내유 기능만이 아니라 성형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필요한 열접착 기능을 갖추게 되면 폴리에틸렌 코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후가공 업체의 폴리에틸렌 코팅 으로 인한 부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이 친환경 내수/내유제가 코팅된 용지는 제지공장에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폴리에틸렌 대체 내수/내유제를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공정의 오염문제 및 롤블록킹(=Roll Blocking, 권취롤의 종이 쉬트간 붙음)문제로 실용화가 쉽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도입한 코팅조성물은 라텍스 입자구조의 코어인 내부와 쉘인 외부의 유리전이온도(Tg)가 다른 특징으로 인하여, 공정의 오염문제와 롤블록킹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라텍스는 유리전이온도가 일정한 균질한(Homogeneous)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리전이온도가 -10 ~ 10 ℃ 범위인 소프트 영역에 해당하는 라텍스는 내수성이 뛰어나지만 블록킹성이 떨어지고, 유리전이온도가 20 ~ 50 ℃ 범위인 하드 영역에서는 블록킹성은 뛰어나지만 내수성은 떨어진다. 즉, 라텍스 물성에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형태를 보이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적인 라텍스로는 내수성과 블록킹성을 만족하는 제품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는 라텍스 입자의 코어에 해당하는 내부는 내수성과 열접착력(Heat sealing)을 위하여 부타디엔,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리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같은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모노머를 풍부하게 사용하여 소프트 영역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하 였다. 입자의 쉘(shell)에 해당하는 외부는 블록킹에 유리하도록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모노머를 사용하여 하드 영역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과제가 얻고자 하는 내수성과 블록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2 가지 특징의 유리전이온도(Tg)가 존재하는 코어-쉘 형태의 라텍스로 구조화하였다(도 5 참고).
또한, 분자량이 작은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끈끈한 성질을 억제하기 위하여 라텍스의 분자량을 크게 형성한다. 분자량조절제 및 가교화제 최적화하여 사용하여 라텍스의 분자구조를 가지화(Branch) 및 가교화(Crosslinking)하여 라텍스의 분자량 크게 하고, 블록킹성을 더욱 강화한다. 분자량은 식품포장용기에서 중요한 열접착성(Heat sealing)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급적 분자량을 거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분자량이 클수록 열접착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 라텍스의 입자의 쉘인 외부가 열접착에 불리한 하드 영역의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있음에도, 열접착 특성을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분자량 조절제와 개시제 사용의 최적화에 의한 분자량 조절기술에 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작은 올리고머(Olygomer)는 불안정하여 끈적임이 많아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악취의 원인이 되어 식품용기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드(Seeded) 중합에 의해서 입자의 균일성을 확보하고 스티렌(SM), 부타디엔(BD),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에틸아크릴레이트(EA), 아트릴로니트 릴(AN), 비닐아세테이트(VAC), 아크릴산(AA), 이타콘산(IA), 퓨마릭산(FA), 메타크릴산(MAA)를 모노머 원료로하고 입자내부에 상기 원료분포를 최적화시킬 뿐만 아니라 메르캅탄 또는 알파메틸스티렌과 같은 분자량조절제를 적정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생산하기 위해서 더욱 바람직한 모노머 조성은 다음과 같다.
스티렌(SM) 10 ~ 60 중량부, 부타디엔(BD) 0.1 ~ 2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BA) 10 ~ 6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 ~ 30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0.1 ~ 1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5 ~ 30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EA) 0.1 ~ 30 중량부, 아트릴로니트릴(AN) 1 ~ 20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VAC) 0.1 ~ 10 중량부, 아크릴산(AA) 0.1 ~ 7 중량부, 이타콘산(IA) 0.1 ~ 7 중량부, 퓨마릭산(FA) 0.1 ~ 7중량부를 모노머 원료로 한다.
포타슘퍼설페이트(KPS) 0.1 ~ 2 중량부, 소디움퍼설페이트(SPS) 0.1 ~ 2 중량부, 암모늄퍼설페이트(APS) 0.1 ~ 2 중량부를 개시제로 하며,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DBS) 0.1 ~ 4 중량부를 유화제로 사용한다.
시드 중합 또는 인시튜(In-situ) 중합법에 의해 60 ~ 90 ℃ 온도에서 3 ~ 12시간 반응하여 잔류 모노머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물리적 스트리핑 공정(Stripping)을 거친 고형분이 50 ± 10 % 이고 평균입자경이 800 ~ 2000 Å 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10 ~ 50℃인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중합한다.
중합된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는 수용성의 에멀젼이기 때문에 물과 친화력이 있으며 공정에 적용시 별도의 용해장치가 필요 없이 바로 적용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미반응 모노머를 스트리핑 공정을 통해 제거하기 때문에 작업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폴리에틸렌은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온 용해설비 및 사출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용융시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제지공정에 사용하기 용이성 측면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항 목 제지 공정 요구특성 공중합 라텍스 폴리에틸렌
코팅액 슬러리상 수성 우유빛 에멀젼 고형비드 플라스틱
코팅액 조제 물에 혼합 분산 시스템 물에 직접 혼합 가능 물에 불용/용융설비 필요
온머신 코팅 온머신 코터 가능 불가
재활용 비품 재사용 가능 불가
건조방식 열풍 건조기 뜨거운 공기 냉각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중합 라텍스의 경우가 모든 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및 전분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을 도공하는 1 단계; 상기 예비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2 단계; 상기 원지의 하층면에 전분 70 ~ 100 중량부, 무기물 20 ~ 100 중량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10 ~ 40 중량부 및 블록킹방지제 2 ~ 10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을 도공하는 3 단계; 상기 이면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4 단계; 상기 원지의 상층면의 예비층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층을 도공하는 5 단계; 및 상기 탑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6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지 원지는 천연펄프로 구성된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수입산 천연펄프를 물에 희석한 후, 종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리파이닝(refining)이라는 멧돌과 같이 기계적으로 가는 공정을 거친다. 기계적 처리된 펄프에 충전제, 보류제, 사이즈제등과 같은 부원료가 투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펄프는 초지기라는 종이를 형성하는 공정에 투입되는데 이 공정을 통해 탈수, 압착, 건조 공정을 거쳐 원지가 형성된다. 초지공정을 거쳐 형성된 원지는 도공기에서 전분 및 에포민 도공이 이루어 지게 된다.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인 예비층을 도공하고, 상기 예비층을 열풍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한다. 그 후에 원지의 하층면에 전분층을 도공하고, 상기 열풍 건조기를 통하여 전분층을 건조한다. 원지의 상층면의 예비층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인 탑층을 도공한다. 상기 도공된 원지는 실린더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하고, 하드닙 칼렌더 공정 및 소프트닙 칼렌더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릴(Reel)공정을 거치게 된다(도 3 및 도 4 참고).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도입하고, 그 조성비를 한정하여 식품포장 용기의 제조방법에 적용한 경우에는 제지공장에서 공정오염과 롤 블록킹이 없는 상태로 온머신코팅이 가능하고, 이로부터 기존의 후가공 폴리에틸렌 코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전분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이 접하고 있고 그 예비코팅층 위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블록킹방지제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층이 접하고 있으며, 상기 원지의 하층면에 전분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이 접하고 있는 식품 포장용지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전분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및 전분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고, 상기 예비코팅층의 코팅량은 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블록킹방지제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층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고, 상기 탑코팅층의 코팅량은 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전분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은 전분 70 ~ 100 중량부, 무기물 20 ~ 100 중량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10 ~ 40 중량부 및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고, 상기 이면코팅층의 코팅량은 0.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지는 에멀전 사이즈제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에 대한 것이다.
식품 포장용지는 내수 및 내유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 간의 식품포장용기는 제지업체에서 원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면, 후가공 업체에서 내수/내유 기능과 열접착 기능이 있는 폴리에틸렌 코팅 및 필요시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실시 후 성형을 위한 후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코팅 식품 포장 용기는 재활용이 되지 않고 분류 후 소각되고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부정적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는 회수하여 재가공이 가능하므로 이 친환경적이고,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이 가능하다. 즉,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해서 내수/내유 기능만이 아니라 성형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필요한 열접착 기능을 갖추게 되면 폴리에틸렌 코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후가공 업체의 폴리에틸렌 코팅으로 인한 부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이 친환경 내수/내유제가 코팅된 용지는 제지공장에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폴리에틸렌 대체 내수/내유제를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공정의 오염문제 및 롤블록킹(=Roll Blocking, 권취롤의 종이 쉬트간 붙음)문제로 실용화가 쉽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도입한 코팅조성물은 수용성의 에멀젼이기 때문에 물과 친화력이 높고,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입자의 쉘(shell)에 해당하는 외부는 하드 영역 유리전이온도의 모노머를 사용하므로 블록킹에 유리하므로, 공정의 오염문제와 롤블록킹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라텍스는 코어-쉘 구조화 되어 있어 소프트영역과 하드영역 유리전이온도(Tg)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열접착성, 내블록킹성, 내수성이 뛰어나므로 내수, 내유성의 베리어(Barrier)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스틸렌 부타디엔 라텍스계, 아크릴 라텍스계, 스틸렌 아크릴라텍스계, 스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라텍스계 제품 등으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상기 전분은 식품포장용지의 열접착성과 내수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산화전분이 사용된다.
상기 무기물은 식품포장용지의 거친 표면을 평활하게 커버하고 인쇄적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탄산칼슘, 클레이, 이산화티탄 등이 사용된다.
상기 블록킹 방지제는 끈적임이 많은 점착성 물질의 표면에서 이형성을 부여하여 블록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왁스 에멀젼, 폴리에틸렌 왁스 에멀젼, 폴리프로필렌 왁스 에멀젼, 실리콘 에멀젼,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식품포장 용지는 제지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내수/내유성이 필요한 음료 및 식품 포장용기에 적용 가능하며, 후가공으로 성형을 필요로 하는 식품포장용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열접착이 가능하고, 제지공장에서 공정오염과 롤 블록킹이 없는 상태로 온머신코팅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후가공 폴리에틸렌 코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표면처리를 통해 음료 및 식품이 직접 닿는 포장용으로 적합하며 국내 식품포장 품질기준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제지공정에 폴리에틸렌 대체 내수/내유제를 적용하여 식품포장 용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용도의 포장공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열접착 성질을 식품포장 용지에 부여한다. 열접착 성질은 포장공정의 필요성 여부에 따라 기능의 부여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내유성의 경우 내유 필요정도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식품포장 용기의 용도는 종이컵, 컵라면, 치킨박스등 내수성과 내유성이 필요한 모든 식품포장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다 확실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보다 구체화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배치( Batch ) 모노머 투입 반응 시드 라텍스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원료배합비를 기준으로 초기수용액(Initial Solution)을 4리터 반응기에 투입 후 240 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70 ℃ 이상 승온시키고,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준비된 하기 표 2의 구성의 모노머 및 개시제를 혼합한 모노머 탱크 혼합액과 개시제 탱크 혼합액을 일시에 상기 반응기에 100 % 투입하였다. 반응기 온도는 100 ℃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120분 동안 반응을 진행하여 시드 라텍스를 얻었다. 제조된 시드 라텍스는 하기 표 2에 따른 고형분 35 %, pH 4, 입자경은 350 및 450 Å이다.
시드 라텍스 제조 원료 배합비 단위: 중량부
구분 원료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 1-3

초기 수용액
순수 150 150 150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0.5 0.5 0.5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S) 10 10 10
모노머 부타디엔(BD) 10 10
부틸아크릴레이트(BA) 5 5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5 10
에틸아크릴레이트(EA) 10
스티렌(SM) 85 80 43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 20
아크릴로니트릴 (AN) 2 10
아크릴산 (AA) 3 3 1
이타콘산 (IA) 1 0.5
퓨마릭산 (FA) 1 0.5
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KPS) 2 1.5 2
암모늄퍼설페이트 (APS) 0.5
순수 30 30 30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S) 0.5 0.5 0.5
분자량
조절제
터셔리도데실머르켑탄(TDDM) 0.25 0.2
알파메틸스티렌(α-MSD) 0.05
반응시간(분) 120 120 120
물성 고형분(%) 35 35 35
pH 4 4 4
입자경(Å) 350 350 450
실시예 2. 인시튜 ( In Situ ) 모노머 투입 반응 시드 라텍스 제조
4 ℓ 고압 반응기에 물 150 중량부에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0.3 중량부, 계면활성제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A)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240 RPM 속도로 교반을 실시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80 ℃까지 승온시키고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하기 표 3의 구성을 갖는 모노머 및 분자량 조절제의 혼합액의 30 %를 반응기에 일시투입 후 준비된 개시제 탱크의 혼합액도 30 %를 일시에 투입하고 반응기 온도를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도를 80 ℃로 유지시키면서 1 시간 내에 반응시켰다. 1시간 이후 잔량 모노머와 개시제 탱크 혼합액을 120 분 동안 일정하게 정량펌프를 이용 투입하면서 80 ℃에서 반응시켰다. 제조된 시드 라텍스는 고형분 35 %, pH 4, 입자경 300 및 350 Å 이다.
시드 라텍스 제조 원료 배합비 단위: 중량부
구분 원료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1단계/2단계
(비율)
1단계 30 30 30
2단계 70 70 70
합계 100 100 100
모노머 부타디엔(BD) 10 10
부틸아크릴레이트(BA) 5 5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5 10
에틸아크릴레이트(EA) 10
스티렌(SM) 85 80 43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 20
아크릴로니트릴 (AN) 2 10
아크릴산 (AA) 3 3 1
이타콘산 (IA) 1 0.5
메타크릴산(MAA) 0.5 0.3
퓨마릭산 (FA) 0.5 0.2
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KPS) 2 1.5 2
암모늄퍼설페이트 (APS) 0.5
소디움퍼설페이트 (SPS)
순수 30 30 30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S) 0.5 0.5 0.5
분자량
조절제
터셔리도데실머르켑탄(TDDM) 0.25 0.2
알파메틸스티렌(α-MSD) 0.05
반응시간(분) 120 120 120
물성 고형분(%) 35 35 35
pH 4 4 4
입자경(Å) 300 350 300
실시예 3. 코어-쉘 구조 공중합 라텍스 제조
4 ℓ 고압 반응기에 물 90 중량부에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드 라텍스 4 중량부를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0.3 중량부, 계면활성제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A) 0.3 중량부를 함께 투입하고 240 RPM 속도로 반응기 온도가 80 ℃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에, 질소를 투입하여 반응기 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고 다음과 같이 모노머 및 분자량 조절제 혼합액의 모노머 혼합탱크와 개시제 혼합탱크를 하기 표 4의 비율로 각각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모노머 혼합탱크를 반응기와 연결된 정량펌프와 연결하였다. 개시제 혼합탱크도 반응기와 연결된 정량펌프에 연결하였다.
코어-쉘 구조 공중합 라텍스의 성분비 단위 : 중량부
라텍스 실시예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사용 시드 라텍스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코어 모노머(%) 40 40 40 40 40 40
반응시간(분) 240 240 240 240 240 240
모노머(%) 60 60 60 60 60 60
반응시간(분) 240 240 240 240 240 240
모노머 부타디엔(BD) 20 20
부틸아크릴레이트(BA) 5 15 15 5 15 15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5 15 10 5 15 10
에틸아크릴레이트(EA) 5 10 5 5 10 5
스티렌(SM) 54 53 52 54 53 52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 10 5 10
아크릴로니트릴 (AN) 3 5 5 3 5 5
아크릴산 (AA) 1.5 1.5 2 1.5 1.5 2
이타콘산 (IA) 1 1 1 1
메타크릴산(MAA) 0.5 0.5 0.5 0.5
퓨마릭산 (FA) 0.5 0.5
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KPS) 2 1.5 1.5 2 1.5 1.5
암모늄퍼설페이트 (APS) 0.5 0.5
소디움퍼설페이트 (SPS) 0.5 0.5
순수 30 30 30 30 30 30
소디움도데실벤젠설페이트(SDBS) 0.5 0.5 0.5 0.5 0.5 0.5
분자량
조절제
터셔리도데실머르켑탄(TDDM) 0.25 0.2 0.1 0.25 0.2 0.1
알파메틸스티렌(α-MSD) 0.05 0.05
물성 고형분(%) 51 51 51 51 51 51
pH 8 8 8 8 8 8
입자경(Å) 1200 1250 1150 1200 1250 1150
반응기 온도를 80 ℃에서 30분 유지한 후 모노머 혼합탱크 조제액 40 %, 개시제 혼합탱크 제조액 40 %를 정량펌프를 이용 240분 동안 일정한 투입량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1차로 코어 라텍스 부분을 제조하였다. 5분 경과 후 모노머 혼합탱크 조제액의 나머지 60 %, 개시제 혼합탱크 조제액 나머지 60 %를 240분 동안 각각의 정량펌프를 이용 일정한 투입량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코어 라텍스의 표면에 셀부분 라텍스가 공중합이 되도록 하여 코어-쉘 구조 공중합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라텍스 내수/ 내유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최종반응이 완료된 후에 120분 동안 반응을 추가로 진행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1차 제거하고, 차아황산소다(SD) 0.005 중량부, 터셔리부틸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T-BHP) 0.005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2차 제거하였다.
제조된 라텍스를 고압 스트리퍼(Stripper) 정제조에 넣고 240 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고온 스팀을 정제조 하부에서 분사하고 광유계 소포제 또는 실리콘계 소포제 0.001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정제조에서 미반응 모노머를 스티렌 기준 50 ppm 기준 이하가 될 때까지 실시하고 잔류 스티렌이 기준치 이하이면 준비된 방부제를 1000 ppm 투입하여 라텍스 제조를 완료하였다.
제조된 코어-쉘 구조화된 수용성 에멀젼 공중합 라텍스는 코어-쉘 구조화된 수용성 에멀젼 공중합 라텍스는 고형분 51 %, PH 8, 입자경 1150 ~ 2000Å, 유리전이온도 -10 ℃ ~ + 50 ℃ 물성을 보유하게 된다.
실시예 5. 식품 포장용지의 제조
1) 제지기의 온머신 코터에서 1차로 상기 실시예 4의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중량부, 탄산칼슘 및 클레이를 혼합한 무기물 30 중량부 전분액 20 중량부를 포함한 도공용 약품을 배합하고 조제하여 로드 또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예비층을 도공(도공량 10g/㎡)하여 건조하였다.
2) 이어서 상기 예비도공된 원지의 하층면에 산화전분 60 중량부와 (삭제:인쇄향상제) 무기물 20중량부, 라텍스 20 중량부를 함께 배합 조제하여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도공(도공량 5 g/㎡)하여 건조하였다.
3) 상기 1)항의 예비도공된 상층면에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중량부, 탄산칼슘 및 클레이를 혼합한 무기물 30 중량부, 전분액 10 중량부, 블록킹 방지제 10중량부를 포함한 도공용 약품을 배합,조제하여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탑층을 도공(도공량 10 g/㎡)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공정에 따라 식품 포장용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식품포장용기
기존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음료용 1회용 종이컵을 구입하였다. 기존의 종이컵은 '현대크린상사(주)'의 제조품으로 위생허가 제36호를 받은 자동판매기용 종이컵이며 무형광 천연펄프를 사용한 원지에 폴리에틸렌을 코팅하여 종이컵을 성형,제조하였으며 규격은 184 ml 일회용 종이컵이다.
시험예 . 내수성 등의 물성의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3의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라텍스 내수/내유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5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내수성은 3 % 계면활성제, 25 % 알코올 및 고온의 커피 각 20 ml를 실시예와 비교예의 식품 포장용지를 준비하여 콥(Cobb) 사이즈도 측정 방법으로 내수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내유성은 TAPPI(The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미국종이·펄프기술협회)의 내유성 평가기준인 T559cm-02 KIT법을 사용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열접착성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품용지를 종이컵 생산에 사용하는 컵성형기를 이용하여 컵성형 작업의 일반적인 열접착 온도 조건인 200 ℃ 이상의 범위에서 정상적인 성형기 운전에 의한 컵성형 여부를 측정하여 열접착 온도 범위를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내(耐) 블록킹성은 항온항습기 내에 유압식 프레스기를 설치하고 시험조건을 온도 50 ℃, 습도 55 %, Press 압력 35 kgf/㎠ 하에서 5점법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라텍스 실시예 비교예1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내수성
(Cobb 사이즈도:
g/㎡/1분)
3% 계면활성제 0.52 0.28 0.26 0.27 0.23 0.25 0.26
25% 알코올 0.47 0.38 0.35 0.37 0.35 0.35 0.37
커피 1.50 1.55 1.53 1.51 1.50 1.50 1.51
내유성
(키트시험/TAPPI T559츠-02)
12 12 12 12 12 12 12
열접착성
(종이컵 성형기접착온도,℃)
200이상 200이상 200이상 200이상 200이상 200이상 200이상
내블록킹성
(Press 압착 테스트/5점법)
4.7 4.5 4.5 4.5 4.5 4.5 4.5
무해성은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시험의뢰하여 무해성 검사인 용출실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의 무해성 시험결과
시험 항목 단위 규격 기준 시험결과
재질 시험 납(Pb) mg/kg
100 이하
불검출(검출한계 10)
카드뮴(Cd) 불검출(검출한계 5)

용출 시험
중금속(Pb)
mg/ ℓ
1.0 이하 1.0 이하
KMnO4 10 이하 1
증발잔류물(4 % 초산) 30 이하 10
식품공전 제7. 기구 및 용기·포장에 대한 기준 및 규격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내수성이 각 시료별로 0.52, 0.47 및 1.50임에 대하여, 실시예 5의 경우에는 내수성이 0.23 ~ 0.28, 0.35 ~ 0.38 및 1.50 ~ 1.55로 측정되었다. 내수성은 콥(Cobb) 사이즈도 측정기(35 mm 규격)를 사용하였고, 각 측정값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5의 용지를 측정기의 바탕에 두고 각 시료별 20 ml의 양을 측정기에 1분간 담아 둔 후 용지의 흡습량을 측정하여 g/㎡의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측정값이 낮을수록 흡습량이 적어서 내수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내므로 시험결과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내수성이 동등수준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내유성은 TAPPI의 내유성 평가기준으로 키트번호 1에서부터 12까지 12단계의 평가번호가 있으며, 번호가 높을수록 내유성이 우수하다. 내유성 시험 결과는 비교예의 결과와 실시예의 결과가 동일하게 12번으로 평가되어 발명제품이 폴리에틸렌 제품과 내유성이 동등함을 알 수 있었다.
열접착성이 필요한 식품용기는 종이컵 등과 같이 후가공 업체에서 성형을 하는 경우에 열을 이용하여 접착을 하게 되는데 종이컵 성형기의 일반적인 열접착 온도는 200 ~ 300 ℃이다. 실시예의 경우 200 ℃ 이상의 열접착 온도에서 정상적인 컵성형이 가능하여 열접착성이 폴리에틸렌 제품과 동등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내블록킹성이 경우에는 5점법 평가에서 비교예가 4.7점, 실시예가 4.5점으로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무해성의 경우에도 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식품환경 제7.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에 대한 용출테스트 결과인 상기 표 6에 따르면 비교예 1과 같이 실시예 5의 제품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제품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무해하여 친환경적이고, 내수/내유/열접착성이 필요한 식품 포장용기에 적용 가능하며, 열접착성과 내블록킹성이 기존의 폴리에틸렌 코팅 제품과 동등하여 제지공장에서 온머신코팅 방식으로 생산이 가능하므로 산업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품의 표면처리를 통해 식품이 직접 닿는 포장용으로 적합하며 국내 식품포장 품질기준을 충족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지의 원지 및 코팅층에 대한 도식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한, 기존 온머신 코팅 제품의 원지 및 코팅층에 대한 도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수/내유제 도공 공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수/내유제 도공 공정의 설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의 구조에 대한 도식이다.

Claims (19)

  1. 코어 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 10 ℃ ~ 10 ℃이고, 쉘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20 ℃ ~ 50 ℃인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라텍스의 평균입자경은 800 ~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라텍스는 고형분이 40 ~ 60 중량%인 수용성 에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내수/ 내유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원지의 상층면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및 전분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을 도공하는 1 단계;
    상기 예비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2 단계;
    상기 원지의 하층면에 전분 70 ~ 100 중량부, 무기물 20 ~ 100 중량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10 ~ 40 중량부 및 블록킹방지제 2 ~ 10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을 도공하는 3 단계;
    상기 이면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4 단계;
    상기 원지의 상층면의 예비층에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층을 도공하는 5 단계; 및
    상기 탑코팅층을 100 ~ 200 ℃에서 건조하는 6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지 제조방법.
  13. 원지의 상층면에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전분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이 접하고 있고, 상기 예비코팅층 위에는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블록킹방지제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탑코팅층이 접하고 있으며, 상기 원지의 하층면에는 전분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층이 접하고 있는 식품 포장용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전분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예비코팅층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 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및 전분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코팅층의 코팅량은 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내수/내유제 50 ~ 100 중량부, 무기물 10 ~ 50 중량부,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의 코팅량은 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코팅층은 전분 70 ~ 100 중량부, 무기물 20 ~ 100 중량부, 코어-쉘 구조화된 공중합 라텍스 10 ~ 40 중량부 및 블록킹방지제 2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코팅층의 코팅량은 0.2 ~ 1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지.
KR1020090056086A 2009-06-23 2009-06-23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86A KR101089765B1 (ko) 2009-06-23 2009-06-23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86A KR101089765B1 (ko) 2009-06-23 2009-06-23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50A KR20100137850A (ko) 2010-12-31
KR101089765B1 true KR101089765B1 (ko) 2011-12-07

Family

ID=4351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086A KR101089765B1 (ko) 2009-06-23 2009-06-23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7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28B1 (ko) 2013-04-05 2014-05-08 대상 주식회사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EP3301222A1 (en) 2016-09-30 2018-04-04 Repaper Inc Paper coating material having environment-friendly, water-proof and oil-proof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7974B1 (ko) 2018-08-24 2019-08-06 전인성 산화생분해 재활용성 방수 코팅 종이
KR20200115936A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창제지 식품 용기용 친환경 워터 베이스 폴리머 코팅제
KR102321870B1 (ko) 2020-06-17 2021-11-04 주식회사 한창제지 생분해 및 리사이클이 가능한 pla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종이 포장용기
KR20220007933A (ko) 2020-07-13 2022-01-20 씨엔에이텍 주식회사 펄프 재활용성 식품포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67B1 (ko) * 2013-12-20 2015-07-09 대상 주식회사 합성피혁 제조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KR101535564B1 (ko) * 2013-12-24 2015-07-09 대상 주식회사 점착제용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14527A1 (ko) * 2015-07-21 2017-01-26 (주) 리페이퍼 친환경성,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갖는 제지 코팅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지의 제조방법
DE112018004899T5 (de) 2017-09-01 2020-06-04 Swimc Llc Mehrstufige, polymere latizes, diese latizes enthalten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und damit beschichtete artikel
WO2019046700A1 (en) 2017-09-01 2019-03-07 Swimc Llc MULTI-STAGE POLYMER LATEX,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LATEX, AND ARTICLES THEREOF
CN109594422B (zh) * 2017-09-30 2022-06-10 王慧丽 一种多功能食品包装及加工用纸及其制造方法
KR102023160B1 (ko) 2019-02-22 2019-09-20 (주)하늘이노베이션 종이컵용 친환경 코팅지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코팅지
KR102538962B1 (ko) 2023-03-03 2023-06-02 리베이션(주) 친환경 내수내유제를 사용한 강화 페이퍼몰드
CN117777366B (zh) * 2024-02-26 2024-05-24 山东世纪阳光纸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热封型防水防油食品卡纸用丙烯酸酯乳液及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28B1 (ko) 2013-04-05 2014-05-08 대상 주식회사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EP3301222A1 (en) 2016-09-30 2018-04-04 Repaper Inc Paper coating material having environment-friendly, water-proof and oil-proof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7974B1 (ko) 2018-08-24 2019-08-06 전인성 산화생분해 재활용성 방수 코팅 종이
KR20200115936A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창제지 식품 용기용 친환경 워터 베이스 폴리머 코팅제
KR102321870B1 (ko) 2020-06-17 2021-11-04 주식회사 한창제지 생분해 및 리사이클이 가능한 pla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종이 포장용기
KR20220007933A (ko) 2020-07-13 2022-01-20 씨엔에이텍 주식회사 펄프 재활용성 식품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50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765B1 (ko) 폴리에틸렌 대체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지 및 그 제조 방법
RU275393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уч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KR20120101430A (ko) 코팅된 기판, 코팅된 기판의 생산 방법, 포장물 및 분산 코팅
KR102569127B1 (ko) 배리어 코팅 조성물, 시트형 제품 및 그 용도
EP1010807B1 (en) Polymers for use as barrier coatings
WO2016144799A1 (en) Barrier compositions
CN111902513B (zh) 热封涂层
US7235308B2 (en) Recyclable repulpable coated paper stock
CN113832774B (zh) 纸材以及使用其的软包装材
EP3710548B1 (en) Heat-seal coatings
KR20200019124A (ko) 코팅 구조물, 시트형 제품 및 그 용도
JP2020192737A (ja) 防湿性積層体および紙容器
Schuman et al. Dispersion coating with carboxylated and cross-linked styrene–butadiene latices: 2. Effects of substrate and polymer characteristics on the properties of coated paperboard
US11046483B2 (en) Coated hot drink cup
KR100830558B1 (ko) 전분-비닐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분-비닐 공중합체수성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FI129111B (en) Coating structure, sheet-like product and its use
US20220316135A1 (en) Moldable cellulose fiber based material
WO2020173876A1 (en) Polymeric coating formulation with hydrophobic side chains
JP2001192510A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耐水・防湿紙並びにその製造方法
CA2241315A1 (en) Latex for packaging applications
JP2022147679A (ja) 包装用紙
KR20200050655A (ko) 서스펜션중합 아크릴계 라텍스를 이용한 도공지 제조방법
AU2022207259A1 (en) Vapor deposition p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90042163A (ko) 사이즈프레스 도포용 나노라텍스를 이용한 도공지 제조방법
WO2024038332A1 (en) Paperboard-based disposable cup arranged with an interior layer with a low pps-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9